KR20130104454A -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454A
KR20130104454A KR1020120025955A KR20120025955A KR20130104454A KR 20130104454 A KR20130104454 A KR 20130104454A KR 1020120025955 A KR1020120025955 A KR 1020120025955A KR 20120025955 A KR20120025955 A KR 20120025955A KR 20130104454 A KR20130104454 A KR 2013010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ower
hdmi
data relay
playba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우
Original Assignee
(주)정직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직한기술 filed Critical (주)정직한기술
Priority to KR102012002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454A/ko
Publication of KR2013010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소스 기기에서 재생되는 화면 또는 소스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수신한 후에 재생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재생 기기의 USB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코딩한 후 상기 재생 기기로 출력하는 HDMI/DP포트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데이터 중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고 재생 기기의 USB포트에 연결된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제작단가가 낮아지고 부피가 줄어들어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DATA RELAY APPARATUS FOR SUPPLING POWER VIA USB CONNECTER}
본 발명은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고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문서, 사진이나 그래픽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다수가 함께 볼 수 있도록 대형 스크린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해당 PC나 노트북 컴퓨터를, 예를 들어 D-sub 케이블 등을 통해 프로젝터와 연결해야 하는바, 이 경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 자체가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유한한 길이에 따라 자유로운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근래 들어서는 범용 OS를 갖춘 스마트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이 휴대하기 편리하면서도 와이파이(WiFi) 기능을 지원하여 인터넷망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탑재하여 선명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를 유선으로 프로젝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와이파이 기능을 갖춘 테스크톱, 노트북 또는 넷북 컴퓨터 또는 전술한 스마트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즉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 예를 들어 초당 30회 정도 캡처한 후에 압축하고 패킷타이징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후에 디코딩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프로젝터나 대형 TV에 출력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중계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어 콘센트가 위치한 장소에만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데이터 중계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어댑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부피로 인해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고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는 소스 기기에서 재생되는 화면 또는 소스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수신한 후에 재생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재생 기기의 USB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코딩한 후 상기 재생 기기로 출력하는 HDMI/DP포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USB커넥터는 상기 재생 기기의 USB포트에 구비된 파워 핀을 통하여 전원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HDMI/DP포트는 상기 재생 기기의 HDMI/DP포트에 구비된 파워 핀을 통하여 전원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은 데이터 중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고 재생 기기의 USB포트에 연결된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제작단가가 낮아지고 부피가 줄어들어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생 기기에 설치된 USB커넥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DMI/DP포트로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생 기기에 설치된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크게 키보드 및 마우스를 주변 입력 기기로 구비한 컴퓨터,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또는 넷북 컴퓨터 또는 터치 스크린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소스 기기'라 한다)와 와이파이 등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되는 한편, 프로젝터나 TV(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재생 기기'라 한다)(200)와는 유선, 예를 들어 HDMI, DP, RCA 또는 D-sub등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USB커넥터, USB포트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HDMI/DP포트(120) 및 USB커넥터(110)를 구비한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USB커넥터(110)를 재생 기기(200)에 구비된 USB포트(210)에 연결하여 재생 기기의 USB포트(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소스 기기로부터 통신부(102)를 통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코딩한다. 이때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외부장치 즉 재생 기기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파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USB포트(210) 및 HDMI/DP포트(220)를 구비한 재생 기기(200)는 데이터 중계장치(100)의 USB커넥터(110)와 연결되는 USB포트(210)로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중계장치(100)의 HDMI/DP포트(120)와 연결되는 HDMI/DP포트(220)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달받아 화면에 재생한다.
HDMI는 기존에 DVI(Digital Visual Interface)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인터페이스로, DVI가 디지털 비디오만을 전송한다면 HDMI는 디지털 비디오와 디지털 오디오 및 추가 정보를 보내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것이다.
데이터 중계장치(100)와 같은 중계 기기들이 DVI 인터페이스와 별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기기에 연결되어 있으나 HDMI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출현으로 대부분의 데이터 중계장치들이 DVI에서 HDMI로 급변해가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중계장치와 같이 소정의 미디어 소스 장비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재생 기기는 소정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예컨대 HDMI 케이블을 통해 상호간에 접속된다.
이러한 HDMI를 통한 파일의 전송 포맷으로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채택하고 있으며, EDID는 재생 기기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하는 영상포맷의 종류와 기타 정보를 기록해 놓은 데이터로 소스 기기가 이를 읽어 재생 장치에 적합한 영상을 보내주게 하는 정보로 HDMI, DVI 및 PC 입력에서 채용되고 있다.
또한 EDID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모니터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지원하기도 하며, EDID에는 제품의 생산지, 생산자, 제품의 제조 년월, 제품의 해상도 및 색좌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DMI/DP포트로 전원을 공급받는 데이터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부(102)는 소스 기기로부터 패킷 스트림을 전달받는다.
이때 소스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패킷 스트림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소스 기기는 소스 기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모니터에서 재생되는 화면이나 음성을 소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초당 30회만큼 캡처하고, 캡처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그리고 소스 기기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 스트림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스트림을 패킷타이징하여 패킷 스트림으로 생성한 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 중계장치(100)로 전달한다.
제1 저장부(103)는 통신부(102)를 통해 전달받은 패킷 스트림을 저장한다.
이때 제1 저장부(103)는 RAM일 수 있다.
디코더(104)는 제1 저장부(103)를 통해 전달받은 패킷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제2 저장부(105)로 출력한다.
이때 디코더(104)는 소스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패킷 스트림을 디패킷타이징하고, 디패킷타이징 처리된 전송 스트림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한다.
그리고 디코더(104)는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압축을 복원하고, 복원된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랜더러 처리한다.
그리고 디코더(104)는 랜더러 처리된 재생 데이터 즉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제2 저장부(105)로 전달한다.
제2 저장부(105)는 디코더(104)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HDMI/DP포트(120)를 통해 재생 기기(200)로 전달한다.
USB커넥터(110)는 재생 기기의 USB포트(210)와 연결되어 USB포트(21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는다.
이때 USB포트(210)는 USB커넥터(110)가 연결되면 파워 핀을 통하여 500~600mA정도의 전원을 USB커넥터(110)로 전달한다.
전원공급부(106)는 USB커넥터(11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전원을 각 구성부로 전달한다.
제어부(101)는 데이터 중계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전원공급부(106)를 통해 전원을 전달받으면, 소스 기기로부터를 패킷 스트림을 전달받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기기(2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데이터 중계장치(100)가 재생 기기(200)의 USB포트(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기기(200)의 HDMI/DP포트(220)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HDMI 케이블을 통해 HDMI/DP포트(120)와 재생 기기의 HDMI/DP포트(220)가 상호접속되면 재생 기기의 HDMI/DP포트(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106)로 전달한다.
이때 재생 기기(200)의 HDMI/DP포트(120)는 데이터 중계장치(100)의 HDMI/DP포트(220)가 연결되면 파워 핀을 통하여 5V정도의 전압을 데이터 중계장치(100)의 HDMI/DP포트(220)로 전달한다.
이후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통신부(102)를 통해 수신한 패킷타이징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패킷타이징 후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기기(200)로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고, USB커넥터(120)를 구비하여 재생 기기(200)에 구비된 USB포트(210)와 연결됨으로써, 재생 기기(200)의 USB포트(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계장치(100)는 재생 기기(200)의 HDMI/DP포트(220)와 연결된 HDMI/DP포트(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데이터 중계장치 101: 제어부
102: 통신부 103: 제1 저장부
104: 디코더 105: 제2 저장부
106: 전원 공급부 110: USB커넥터
120, 220: HDMI/DP포트 200: 재생 기기
210: USB포트

Claims (3)

  1. 소스 기기에서 재생되는 화면 또는 소스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수신한 후에 재생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데이터 중계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재생 기기의 USB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SB커넥터;
    장치의 적소에 마련되어 상기 소스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코딩한 후 상기 재생 기기로 출력하는 HDMI/DP포트를 구비한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SB커넥터는,
    상기 재생 기기의 USB포트에 구비된 파워 핀을 통하여 전원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DMI/DP포트는,
    상기 재생 기기의 HDMI/DP포트에 구비된 파워 핀을 통하여 전원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KR1020120025955A 2012-03-14 2012-03-14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KR20130104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55A KR20130104454A (ko) 2012-03-14 2012-03-14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55A KR20130104454A (ko) 2012-03-14 2012-03-14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454A true KR20130104454A (ko) 2013-09-25

Family

ID=4945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955A KR20130104454A (ko) 2012-03-14 2012-03-14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4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88B1 (ko) * 2020-04-13 2020-11-05 주식회사 비에스티코리아 Vga 모니터의 구동전압 공급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88B1 (ko) * 2020-04-13 2020-11-05 주식회사 비에스티코리아 Vga 모니터의 구동전압 공급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388B1 (ko) 회의 시스템, 툴, 및 주변 디바이스들
US8843178B1 (en) Wireless hotspot device capable of sharing video picture
CN110231924B (zh) 视讯会议系统及其传送端装置
US9071866B2 (en) Wireless video/audio signal transmitter/receiver
US8331766B2 (en) Image supply apparatus, image supply system, image suppl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70066423A (ko)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037169A (zh) 嵌入式硬盘录像机的画面拼接合成的方法
CN112433689A (zh) 用于同屏器的数据传输方法、装置、同屏器及介质
KR20130104454A (ko) Usb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데이터 중계장치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N103686045A (zh) 音视频信息传输方法及设备
KR101187269B1 (ko)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418811B1 (ko) 가상 파일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중계장치
US2014005532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nd external image appratus
KR20130104455A (ko) 디코더를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중계장치
KR101493772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계장치
JP2008141697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TWM484878U (zh) 可分享視訊畫面之無線熱點裝置
KR20130104458A (ko)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장치
WO2016103916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TWM395312U (en) Handheld insert type wireless AV tran apparatus
CN210518434U (zh) 一种手机扩展装置
KR20180083488A (ko) 스마트 유에스비 저장 장치
TW202211689A (zh) 視訊直播系統及其影音傳輸工作站
WO2023124699A1 (zh) 控制方法、装置、投屏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