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315A -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315A
KR20130104315A KR1020120025709A KR20120025709A KR20130104315A KR 20130104315 A KR20130104315 A KR 20130104315A KR 1020120025709 A KR1020120025709 A KR 1020120025709A KR 20120025709 A KR20120025709 A KR 20120025709A KR 20130104315 A KR20130104315 A KR 20130104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film
fabric
edg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2002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315A/ko
Publication of KR2013010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겉면을 이루는 섬유원단 및 내면을 이루는 내화학필름으로 이루어진 복합원단의 테두리가 중첩되면서 심테이프에 의해 심실링되는 두건; 상기 두건의 내측 하부에 수평상태로 고정되고, 목의 둘레를 탄력적으로 밀폐하여 화학성 유독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박막의 차단막; 상기 두건의 내부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구강과 비강을 커버하는 노즈마스크; 상기 노즈마스크에 고정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정화통; 상기 정화통을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및 상기 두건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구; 상기 두건의 내부 공기를 두건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 상기 두건의 후방을 감싸면서 두건을 후두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양단을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건의 내면을 구성하는 내화학 필름이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고, 두건의 겉면의 구성하는 섬유원단이 내화학 필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심테이프에 의해 복합원단의 중첩된 테두리가 기밀상태로 실링된다.

Description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ADHESION TYPE AND SAFTY COVER TYPE GAS-MASK AND MENUFACTURING METHOD FOR SAFTY COVER OF GAS-MASK}
본 발명은 접착식으로 제조되는 두건에 의해 화생방(CBR warfare: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warfare) 상황에서 유독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방사능전 등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화학가스와 같은 유독물질이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독면은 착용자를 보호하여 착용자를 오염지역에서 안전지역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방독면은 고무재 마스크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등록 제10-1070194호(명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및 등록 제10-1072529호(명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이하 '종래기술2'라 함)와 같이 두건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종래기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단 및 제2원단의 테두리가 중첩되어 심실링 테이프에 의해 외측면이 접합됨에 따라 봉제식이 아닌 접착식 두건이 제조된다. 그리고, 두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및 노즈마스크가 장착되며, 조임끈 및 정화통이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1에 의한 방독면은 후술되는 바와 같은 두건의 재질특성에 의해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1은 두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원단 및 제2원단으로 구성되므로 가공상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복수의 원단에 의해 접착부위가 여러 곳에 발생되므로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종래기술2는 전술한 종래기술1을 개량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절개된 하나의 원단으로 두건이 구성된다. 이러한 두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면을 이루는 외측에서 원단의 절개부위가 심실링 테이프로 실링된다. 따라서, 종래기술2는 원단이 하나로 구성되므로 가공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종래기술1 보다 접착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1 및 2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의 겉면을 이루는 내화학 필름에 두건의 내면을 이루는 섬유재 원단이 부착된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은 두건의 겉면을 이루는 내화학 필름에 의해 화학성 유독물질을 두건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섬유재 원단이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의 내면(내측면)을 구성하므로 섬유재 원단에 국방색이나 얼룩무늬 등을 염색하여도 염색이 두건의 겉면을 이루는 내화학 필름으로 차폐됨에 따라 염색을 외부로 선명하게 발현시킬 수 없다.
또, 내화학 필름이 두건의 겉면을 구성하므로 내화학 필름이 빛을 반사하면서 전시상황이나 야간 임무 수행중에 착용자를 노출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내화학 필름이 두건의 겉면을 구성하므로 야전 임무를 수행할 경우 내화학 필름의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학성 유독물질이 두건의 내부로 침투할 수도 있다.
KR 10-1070194 KR 10-10725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원단의 테두리를 재봉하지 않고 접착을 통해 두건을 형성하는 동시에 심실링하여 화학성 유독물질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섬유재로 이루어진 두건의 섬유원단에 내화학 필름이 부착되어 섬유원단이 두건의 겉면을 구성하고, 내화학 필름이 두건의 내면을 구성하여 염색된 색상이나 무늬를 염색된 상태로 그대로 두건의 외부에 발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원단에 의해 내화학 필름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섬유원단 및 내화학 필름의 부착에 의해 한장으로 이루어져서 두건을 구성하는 복합원단의 테두리가 내화학 필름의 소성변형 및 소성변형이 가능한 부재에 의해 다단계로 실링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두건의 하단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통과시키면서 목주변을 실링하는 박막재를 용이하게 두건에 설치할 수 있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아울러, 두건의 겉면을 이루는 직물재 섬유원단의 단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은, 섬유재로 이루어진 섬유원단 및 상기 섬유원단에 부착되어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는 내화학 필름으로 이루어진 복합원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이 겉면 및 내면을 제각기 형성하고, 상기 복합원단의 테두리가 중첩상태로 부착되어 주머니형태로 형성되며, 렌즈공 및 결합공이 전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렌즈공에 투시렌즈가 실링상태로 장착되고, 머리에 씌워져서 머리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를 따라 융착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를 실링하는 심테이프;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서 수평을 이루면서 테두리가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실링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수평상태로 고정되고, 중앙에 머리가 삽입되는 머리삽입공을 갖는 고무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삽입공의 수축을 통해 목의 둘레를 탄력적으로 밀폐하여 화학물질이나 유독물질이 상기 두건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상기 두건의 내부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구강과 비강을 커버하고, 상기 두건의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보스가 마련되는 노즈마스크;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정화통; 상기 정화통을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및 상기 두건의 상기 결합공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구; 상기 두건의 내부 공기를 두건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 상기 두건의 후방을 감싸면서 두건의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두건의 후방부를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양단을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은 접착제로 접착되어 한 장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합원단을 구성하고, 상기 복합원단은 상기 섬유원단이 겉면을 형성하여 상기 내화학 필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두건의 겉면을 형성하는 상기 섬유원단은 얼룩무늬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을 하고, 상기 심테이프는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열융착으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테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건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환형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내측테두리에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가 일체적으로 부착되며, 외측테두리가 절곡된 상태로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을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실링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두건은, 상기 차단막이 고정된 하단부의 끝부분이 내측으로 접철되어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화학 필름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예컨대, 상기 두건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통기시키는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정화통이 나사결합되도록 통기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내측에 걸리는 걸림판이 타단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에 삽입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통기공에 마련되어 두건의 내부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밸브; 상기 체결관의 걸림판이 걸리는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테두리와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의 테두리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배면에 형성된 배면테두리가 상기 걸림판을 향한 상태로 상기 두건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관의 일단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실링캡; 및 상기 체결관에 억지끼움된 상기 실링캡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은 예컨대, 상기 체결관의 일단부 외주연에 쐐기형상의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실링캡의 전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관에 억지끼움되는 상기 실링캡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체결돌기의 후방에 걸려서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밸브는 예컨대, 상기 노즈마스크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두건의 측방이나 상기 차단막에 설치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 공기를 두건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커는 예컨대, 상기 체결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가 마련된 연결편; 상기 연결편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임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임끈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임끈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임끈을 연결편의 스파이크에 밀착시켜서 연결편과 함께 조임끈을 파지하는 파지링; 및 상기 파지링의 일측을 상기 연결편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상기 파지링의 일측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편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 및 이 경사턱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경사턱을 통과하여 경사턱 및 직선턱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파지링의 일측이 경사턱 및 직선턱에 걸려서 상기 연결편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은, 섬유재로 이루어진 섬유원단의 일측면에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는 내화학 필름을 부착하여 복합원단을 제조하는 복합원단 제조단계; 상기 복합원단을 재단하여 상부의 중앙에 일직선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삼각형 형태의 삼각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렌즈공 및 결합공이 형성된 두건원단을 제조하는 두건원단 제조단계; 상기 두건원단의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삼각부의 테두리를 중첩상태로 부착하여 하부가 개방된 주머니형태의 두건본체를 제조하는 두건본체 제조단계; 상기 두건본체의 렌즈공에 투시렌즈를 실링가능하게 부착하는 렌즈부착단계; 상기 두건본체를 뒤집어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1 턴오버단계; 상기 노출된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머리삽입공이 형성된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차단막을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차단막 고정단계; 및 상기 차단막이 고정된 상기 두건본체를 원상태로 다시 뒤집는 제2턴오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원단 제조단계는 예컨대, 상기 섬유원단의 일측면이나 상기 내화학 필름의 일측면에 도트나 메쉬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을 밀착시키면서 가압하여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을 상기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두건본체 제조단계는 예컨대, 상기 두건원단의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삼각부의 테두리를 중첩시키는 테두리 중첩단계; 및 상기 중첩된 테두리를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고정단계는 예컨대,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뒤집혀서 노출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차단막 밀착단계; 및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접착제나 열융착으로 상기 두건본체의 노출된 내측면에 부착하는 차단막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고정단계는 예컨대, 상기 복합원단을 재단하여 환형의 박막으로 형성된 연결막을 제조하는 연결막 제조단계; 상기 연결막의 내측 테두리에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테두리 부착단계; 및 상기 차단막이 부착된 상기 연결막의 외측 테두리를 뒤집혀서 노출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상기 연결막을 통해 상기 차단막을 상기 두건본체에 고정하는 연결막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턴오버단계에 의해 상기 두건본체가 뒤집어지면, 상기 두건본체의 중첩된 테두리에 심실링 테이프를 열융착으로 테이핑하여 중첩된 테두리를 심실링 테이프로 실링하는 심실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단의 테두리를 재봉하지 않고 접착을 통해 두건을 형성하는 동시에 심실링하여 화학성 유독물질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섬유재로 이루어진 두건의 섬유원단에 내화학 필름이 부착되어 섬유원단이 두건의 겉면을 구성하고, 내화학 필름이 두건의 내면을 구성하여 염색된 색상이나 무늬를 염색된 상태로 그대로 두건의 외부에 발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원단에 의해 내화학 필름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섬유원단 및 내화학 필름의 부착에 의해 한장으로 이루어져서 두건을 구성하는 복합원단의 테두리가 내화학 필름의 초음파융착에 의해 1차로 실링되고, 심실링 테이프의 열융착에 의해 2차로 실링되므로 화학성 유독물질의 유입을 거의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두건의 하단부에 연결막 및 차단막이 함께 설치되므로 차단막을 용이하게 두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두건의 하단부 끝부분이 내측으로 접철되어 내화학 필름에 밀착되므로 직물재 섬유원단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두건형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두건형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두건형 방독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종방향 측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종방향 배면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독면에 적용되는 흡기밸브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흡기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방독면에 적용되는 체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체결구를 분해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체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록커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록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고리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록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록커가 적용된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측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금속밴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종단면도;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방독면의 두건본체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1은 도 4에 도시된 방독면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1차 턴오버단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방독면의 종단면도;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 차단막(10), 노즈마스크(3), 정화통(2), 체결구, 배기밸브(4), 조임끈(5) 및 록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건(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 및 어깨부위를 씌워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가스나 유독가스를 차단하는 박막의 내화학재 및 열기를 차단하는 박막의 방열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층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테두리가 중첩되면서 중첩된 부위의 외측이 심테이프(S)에 의해 심실링되어 주머니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두건(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형성되는 렌즈공(L1)에 투시렌즈(L)의 테두리가 실링상태로 장착되며, 후술되는 정화통(2) 및 노즈마스크(3)가 장착되는 결합공(1d)이 관통형성된다.
두건(1)은 원단이 전술한 바와 같이 내화학재 및/또는 방열재가 적층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연장되어 화학가스 및 화기로부터 착용자의 머리 및 어깨를 보호한다.
여기서, 전술한 내화학재는 후술되는 PET층(1b) 및 PE층(1c)이고, 방열재는 후술되는 알루미늄층(1e)(도 5참조)이다. 또한, 후술되는 심테이프(S)는 외측면에 알루미늄층(미도시)이 증착에 의해 코팅되거나 알루미늄층이 형성된 박막의 필름이 접착되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두건(1)을 구성하는 원단은 예컨대, 도 4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a),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층(1b) 및 PE(polyethylene)층(1c)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섬유층(1a)은 폴리에스터섬유, 나일론섬유, 면섬유 또는 아라미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재로 구성될 수 있다. PET층(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층(1a)에 내화학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이 형성되도록, 섬유층(1a)에 박막형태로 적층된다. PE층(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PET층(1b)이 적층된 섬유층(1a)에 내화학재로 이루어진 또 하나의 층이 형성되도록, PET층(1b)에 박막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PET층(1b) 및 PE층(1c)은 박막의 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섬유층(1a)에 부착된다. 따라서, 두건(1)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화학성분의 작용에 대해 상호 보완적으로 대응하는 섬유층(1a), PET층(1b) 및 PE층(1c)들에 의해 다양한 화학가스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두건(1)은 섬유재의 섬유층(1a)에 PET층(1b) 및 PE층(1c)의 내화학재가 적층된 원단으로 구성되므로 박막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화학가스의 침투를 차단한다.
또한, 두건(1)을 구성하는 원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층(1e)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층(1e)은 섬유층(1a)과 PET층(1b)의 사이에 박막형태로 형성되어 복사열을 반사하여 착용자의 머리 및 피부를 화기로부터 보호하는 방열재이다. 이러한 알루미늄층(1e)은 박막형 필름으로 구성되어 섬유층(1a)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섬유층(1a)에 증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건(1)은 섬유재의 섬유층(1a)에 알루미늄층(1e)이 적층된 원단으로 구성되므로 방열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원단은 단수로 이루어져 테두리가 중첩되면서 두건(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원단은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전술한 렌즈공(L1) 및 결합공(1d)이 형성된 단수의 박막재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절개된 절개부(FA1)가 형성되고, 절개부(FA1)의 양측에 삼각형 형태로 절개형성된 삼각부(FA2)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단은 두건(1)으로 가공될 경우,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오므려지면서 원통형을 형성하며, 삼각부(FA2)의 테두리가 서로 중첩되면서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심실링부(Sa)를 형성하고, 절개부(FA1)의 테두리가 서로 중첩되면서 횡방향의 심실링부(Sa)와 수직으로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심실링부(Sb)를 형성한다. 그리고, 횡방향의 심실링부(Sa) 및 수직방향의 심실링부(Sb)는 심테이프(S)에 의해 심실링된다. 따라서, 원단은 봉제공정이 없이도 두건(1)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건(1)은 오직 하나로 이루어진 단수의 박막재 원단으로 제조되므로 제조공정 및 원단가공이 매우 편리하다. 이에 더하여, 두건(1)은 도 21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테이프(S)의 라인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주머니형태로 용이하게 형성되고, 후방에 심테이프(S)의 라인이 한줄로 형성되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전술한, 투시렌즈(L)는 두건(1)의 전면에 형성된 렌즈공(L1)의 외측 테두리에 본딩으로 고정되어 실링되거나, 테두리가 렌즈공(L1)에 봉제되어 고정된 후, 심테이프(S)에 의해 심실링될 수 있다.
차단막(10)은 두건(1)의 내측에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 머리가 삽입되며, 착용자의 목부분을 탄력적으로 밀폐하여 두건(1)의 내부에 유독가스나 화학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막(11) 및 고정막(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막(11)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머리삽입공(12)을 가지며, 머리삽입공(12)이 신장되면서 머리가 삽입된 후 수축되면서 목의 둘레를 밀폐하여 유독가스나 화학가스가 두건(1)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막(13)은 탄성막(11)을 두건(1)의 내측 하부에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부재로써 두건(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내측테두리(13a)가 탄성막(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고, 외측테두리(13b)가 절곡된 상태로 두건(1)의 내주면을 따라 접착되면서 두건(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즉, 고정막(13)은 외측테두리(13b)가 두건(1)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막(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내측 하부에 일체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탄성막(11)을 수평상태로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막(13)은 내측테두리(13a)가 탄성막(11)과 접착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봉제를 통해 고정되어 심테이프(S)로 심실링될 수도 있다.
또한, 차단막(10)은 전술한 바와 달리 탄성막(11)으로만 구성되어 탄성막(11)의 외측테두리가 두건(1)의 내주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차단막(10)은 두건(1)의 내측면에 외측테두리(13b)가 부착될 경우 외측테두리(13b)가 절곡되면서 주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막(10)은 외측테두리(13b)에 주름이 발생할 경우 주름을 통해 화학가스나 유독가스가 두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10)은 주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름방지수단은 두건(1)의 내주면을 따라 접착되는 고정막(13)의 외경을 가변시켜서 고정막(13)의 주름발생을 방지한다. 이러한 주름방지수단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가 절개됨에 따라 외측테두리(13b)에 형성되어 외측테두리(13b)의 일부분을 중첩시키거나 이격시키면서 외측테두리(13b)의 외경을 축소시키거나 확장시키는 절개부(15)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10)은 접착시 주름방지수단을 통해 외측테두리(13b)가 중첩되거나 이격되면서 외경(R)이 가변되므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노즈마스크(3)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내부에 마련되어 결합공(1d)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된 보스(3d)가 마련되며, 착용자의 구강과 비강을 커버한다.
체결구는 정화통(2)을 두건(1)에 통기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결합공(1d)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외부의 공기를 두건(1)의 내부로 통기시키는 통기공(21d)을 가지며, 두건(1)의 내부공기가 통기공(21d)을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밸브(22)가 통기공(21d)에 마련된다.
이러한, 체결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관(21), 실링캡(23) 및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관(21)은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2)이 나사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흡기밸브(22)의 테두리가 고정되는 박판형의 스토퍼(21a)가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며, 노즈마스크(3)에 형성된 보스(3d)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판(21b)이 타단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노즈마스크(3)의 보스(3d)에 삽입된다.
실링캡(23)은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21b)이 걸리는 노즈마스크(3)의 보스(3d) 테두리와 두건(1)에 형성된 결합공(1d)의 테두리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형성된 배면테두리가 걸림판(21b)을 향한 상태로 두건(1)의 외부에서 체결관(21)의 일단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실링캡(23)은 체결관(21)에 실링캡(23)을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관(21) 및 실링캡(23)을 조립식으로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링캡(23)은 예컨대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의 배면 테두리에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가압돌기(23f)를 형성하여, 가압돌기(23f)가 노즈마스크(3)의 보스(3d) 테두리에 웨지(wedge)고정되면서 보스(3d)의 기밀상태를 보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캡(23)은 테두리에 형성된 가압돌기(23f)가 노즈마스크(3)를 가압하므로 노즈마스크(3)의 탄성에 의해 실링캡(23)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상태가 증대되어 화학가스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체결관(21)에 억지끼움된 실링캡(23)을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관(21)의 일단부 외주연에 쐐기형상의 체결돌기(21c)를 형성하고, 실링캡(23)의 전단에 체결돌기(21c)에 걸리는 걸림턱(23c)을 형성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관(21)에 억지끼움되는 실링캡(23)에 의해 걸림턱(23c)이 체결돌기(21c)의 후방에 걸려서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1c)는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관(21)의 외주면에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외측경사면(21e)을 형성하고, 외측경사면(21e)의 경사에 대응되는 내측경사면(23e)을 실링캡(23)의 걸림턱(23c)에 연장형성하여, 실링캡(23)의 내측경사면(23e)이 외측경사면(21e)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실링캡(23)이 체결관(21)의 일단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체결구는 체결관(21)과 실링캡(23)으로 구성되어 두건(1)과 노즈마스크(3)에 간단하게 조립장착할 수 있으므로, 방독면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체결관(21)이나 실링캡(23)이 파손된 경우 체결관(21)과 실링캡(23)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체결관(21)이나 실링캡(23)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체결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화통(2)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두건(1)에 정화통(2)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흡기밸브(22)는 전술한 두건(1)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22a) 및 다이아프램(22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기관(22a)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의 내주연을 가로지르는 지지대(22c)가 형성되며, 지지대(22c)에서 중공방향을 따라 돌기(22d)가 돌출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환형의 고정홈(22e)이 형성된다.
다이아프램(22f)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의 탄성막으로 형성되어 돌기(22d)의 단부에 중앙이 접착제나 열융착이나 억지끼움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흡기관(22a)의 중공을 개폐한다. 이러한, 다이아프램(22f)은 착용자의 들숨(흡입)에 의해 정화통(2)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d)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흡기관(22a)의 단부를 개방하여 공기가 두건(1)의 내측으로 흡기되도록 안내한 후, 착용자의 날숨(배기)에 의해 정화통(2)에서 공기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다시 원위치 되면서 흡기관(22a)의 단부를 폐쇄하여 공기의 역류를 방지한다.
정화통(2)은 도 11 및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의 통기공(21d)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 마련되는 화학작용재나 여과제에 의해 화학가스를 정화하여 두건(1)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화통(2)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구의 통기공(21d)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정화통(2)은 체결구의 통기공(21d)에서 분리되므로 훈련시에 두건(1)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정화통(2)은 전술한 체결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배기밸브(4)는 노즈마스크(3)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두건(1)의 측방이나 차단막(10)에 설치되어 두건(1)의 내부 공기를 두건(1)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4)는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a), 밸브관 체결수단, 다이아프램(4c), 다이아프램 체결수단 및 밸브캡(4h)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기관(4a)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차단막(10)을 관통한 상태로 노즈마스크(3)의 하부에 통기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배기관(4a)은 하단의 내측에 내측걸림턱(4a-1)이 형성되고, 하단의 외측에 외측걸림턱(4a-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스커트(4a-3)가 형성된다.
밸브관 체결수단은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배기관(4a)에 삽입된 상태에서 펀칭에 의한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일단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배기관(4a)의 상단에 걸림과 동시에 노즈마스크(3)의 하부를 가압하고, 타단도 압축되어 벌려지면서 배기관(4a)의 하단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걸림턱(4a-1)에 걸리는 리벳(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벳(4b)은 상단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노즈마스크(3)의 하부를 가압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a)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커트(4a-3)가 노즈마스크(3)의 하부와 겹쳐진 차단막(10)의 하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노즈마스크(3)와 차단막(10)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리벳(4b)과 스커트(4a-3)의 가압에 의해 밀폐된다.
다이아프램(4c)은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에 의해 배기관(4a)의 하부를 용이하게 개폐하도록 탄성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 체결수단은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f) 및 복수의 리브(4g)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4f)는 고무재 링으로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a)의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걸림턱(4a-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외측걸림턱(4a-2)에 걸릴 수 있다. 복수의 리브(4g)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f)에서 다이아프램(4c)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걸림부재(4f)의 외주면과 다이아프램(4c)의 외주면에 각각의 양단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리브(4g)는 고무재로 구성되어 신축이 용이하다. 따라서, 다이아프램(4c)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4a)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배기관(4a)을 통해 공기가 배기되는 경우 배기관(4a)의 하부에서 쉽게 이격될 수 있고, 배기관(4a)의 하부에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 배기관(4a)의 하부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밸브캡(4h)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커트(4a-3)의 테두리에 억지끼움으로 체결되어 다이아프램(4c)의 외측을 커버하여 보호하고, 배기관(4a)으로 배기되는 공기를 타단으로 안내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관통홀(4h-1)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밸브(4)는 차단막(10)에 통기가능한 상태로 끼워져서 노즈마스크(3)에 고정되므로, 두건(1)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타액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밸브(4)는 차단막(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두건(1)의 내측에 은폐되므로 조임끈(5)의 조임시 조임끈(5)이나 록커(30)에 간섭되지 않는다.
조임끈(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후방을 감싸면서 두건(1)의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이 당겨짐에 따라 두건(1)의 후방부를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탄성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록커(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끈(5)의 양단을 록킹하거나 언록킹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31), 파지링(33), 연결편(35)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고리(3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인 실링캡(23)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고리(31)는 연결끈(32)을 통해 연결편(35)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편(35)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39)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편(3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32)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34)가 형성되고, 연결부(34)와 반대되는 자유단에는 착용자가 조임끈(5)의 가압을 손가락으로 해제하도록 팁(36)이 형성된다.
파지링(33)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5)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35)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조임끈(5)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임끈(5)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임끈(5)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35)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임끈(5)을 연결편(35)의 스파이크(39)에 밀착시켜서 연결편(35)과 함께 조임끈(5)을 파지한다. 이러한, 파지링(3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는 조임끈(5)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관형태의 슬리브(33a)가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파지링(33)의 일측을 연결편(35)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일예로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링(33)의 일측이 위치하는 연결편(35)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37) 및 이 경사턱(37)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37a)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경사턱(37)을 통과하여 경사턱(37) 및 직선턱(37a)의 사이로 삽입되는 파지링(33)의 일측이 경사턱(37) 및 직선턱(37a)에 걸려서 연결편(35)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록커(3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5)에 조임끈(5)과 함께 삽입된 파지링(33)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끈(5)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임끈(5)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35)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연결편(35)의 스파이크(39)가 파지링(33)에 조임끈(5)을 가압하므로, 조임끈(5)의 인장력만으로 조임끈(5)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록커(3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팁(36)을 외측으로 미는 경우 연결편(35)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스파이크(39)가 파지링(33)에서 이격되어 가압이 해제하므로 조임끈(5)을 풀 수 있다.
한편, 두건(1)은 고리부재(80)가 마련될 수 있다. 고리부재(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외측에 마련되고, 조임끈(5)이 두건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고리(S1) 및 심테이프(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끈고리(S1)는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의 표면에 양단이 융착으로 절곡되어 고정됨에 따라 고리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끈고리(S1)는 두건(1)의 원단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끈고리(S1)는 PE층(1c)의 표면에 융착되므로 두건(1)에 고정된다. 심테이프(S)는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고리(S1)에 중첩되면서 양단이 끈고리(S1)의 양단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고, 끈고리(S1) 및 두건(1)의 표면에 일측면이 융착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고리부재(80)는 끈고리(S1)의 양단과 심테이프(S)의 양단이 동시에 두건(1)의 표면에 융착되므로 조임끈(5)의 조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리부재(80)는 두건(1)의 표면에 이중의 융착으로 부착되는 끈고리(S1)와 심테이프(S)로 구성되므로, 이중의 융착부위에 의해 견고하게 조임끈(5)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융착에 의하여 두건(1)에 봉제부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완전실링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부위를 포함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을 제작하기 위한 방독면용 두건(1)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중첩단계(S100), 두건본체 제조단계(S200), 렌즈부착단계(S300), 제1턴오버단계(S400), 차단막 부착단계(S500) 및 제2턴오버단계(S600)를 포함한다.
원단중첩단계(S100)는 렌즈공(L1) 및 결합공(1d)이 형성된 원단을 주머니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로써,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원단에 형성된 삼각부(FA2) 및 절개부(FA1)의 테두리를 중첩시켜, 횡방향의 심실링부(Sa) 및 수직방향의 심실링부(Sb)를 형성한다.
두건본체 제조단계(S200)는 중첩된 원단의 테두리, 즉 횡방향의 심실링부(Sa)와 수직방향의 심실링부(Sb)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테이프(S)로 융착하여 심실링시키면서 주머니형태의 두건본체를 제조한다.
렌즈부착단계(S300)는 두건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렌즈공(L1)에 투시렌즈(L)를 실링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투시렌즈(L)는 렌즈공(L1)의 외측 테두리에 본딩으로 고정되어 실링되거나, 테두리가 렌즈공(L1)에 봉제되어 고정된 후, 심테이프(S)에 의해 심실링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제1 턴오버단계(S400)는 두건본체를 뒤집어서 뒤집힌 상태로 고정하여 두건번체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로써,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JIG)를 통해 두건본체의 내주면을 뒤집어서 수평상태로 고정한다.
차단막 부착단계(S500)는 뒤집힌 상태로 노출된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접착을 통해 차단막(10)을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로, 먼저 뒤집힌 상태로 고정된 두건(1)의 내주면에 접착체를 도포하고(S510), 차단막(10)의 외측테두리 즉, 전술한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에 접착제를 도포한다(S520). 또한 접착체가 도포된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를 두건(1)의 내주면에 접착하고(S530), 접착된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를 가열프레스(미도시)와 같은 부재로 가열하면서 가압한다.(S540)
제2 턴오버단계(S600)는 차단막(10)이 접착된 두건본체의 내주면을 원상태로 다시 뒤집어서 두건(1)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은 주름방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방지단계는 전술한 차단막 부착단계(S500)를 통해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차단막(10)의 테두리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로써, 먼저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에 절개부(15)를 외측테두리(13b)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절개부 형성단계를 수행하고, 절개부(15)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시키거나 이격시켜서 외측테두리(13b)의 외경(R)을 축소하거나 확장시키면서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하는 테두리 부착단계를 수행하여 주름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두건(1)은 조임끈 부착단계를 통해 전술한 조임끈(5)을 두건(1)에 부착한다.
조임끈 부착단계는 먼저, 끈고리(S1)가 고리형태로 형성되도록 끈고리(S1)의 양단부를 두건(1)의 표면에 융착하여 부착하고, 부착된 끈고리(S1)의 외측면에 심테이프(S)를 융착하면서 심테이프(S)의 양단부를 두건(1)의 표면에 융착하며, 고리형태로 두건(1)에 부착된 끈고리(S1)의 내측에 조임끈(5)을 삽입한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두건(1)은 전술한 노즈마스크(3)와 정화통(2) 및 배기밸브(4)를 장착한다.
노즈마스크(3)는 두건(1)의 내측에서 보스(3d)가 결합공(1d)에 삽입된다. 또한, 체결관(21)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마스크(3)의 내측에서 보스(3d)에 삽입되며, 실링캡(23)은 두건(1)의 외측에서 억지끼움으로 체결관(21)에 결합된다. 그리고, 흡기밸브(22)는 체결관(21)의 스토퍼(21a)에 고정되고, 정화통(2)은 체결관(21)에 나사결합되며, 배기밸브(4)는 차단막(10)을 관통하여 노즈마스크(3)에 통기가능한 상태로 노즈마스크(3)에 고정된다.
또한, 조임끈(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록커(30)에 양단이 제각기 록킹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은 머리 및 어깨를 차폐하는 두건(1)이 PET층(1b) 및 PE층(1c)을 통해 화학가스 및 유독가스를 차단하는 동시에 알루미늄층(1e)에 의해 화기나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단일체로 이루어진 원단의 중첩된 테두리가 봉제되지 않고 심테이프(S)에 의해 심실링되면서 완전밀폐 상태로 두건(1)이 완성되고, 아울러 차단막(10)이 봉제가 아닌 접착을 통해 두건(1)의 내측에 고정되므로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원단 및 차단막의 봉제에 따른 취약부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차단막(10)이 신축성을 갖는 탄성막(11) 및 탄성막(11)을 두건(1)의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막(13)으로 구성되므로, 탄성막(11)이 두건에 직접 접착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탄성막(1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막(13)의 외측테두리(13b)의 부분적인 절개를 통해 외측테두리(13b)가 두건(1)의 내주면에 접착되면서 외경(R)이 가변되므로 고정막(13) 및 두건(1)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두건(1)의 내주면에 차단막(10)을 부착할 경우, 두건(1)의 하부 내주면을 뒤집어 수평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막(10)을 접착하여 부착하므로, 차단막(10)을 두건(1)의 내주면에 수월하게 부착하면서 빈틈없이 부착시킬 수 있다.
덧붙여, 차단막(10)을 두건(1)에 접착하는 과정에서 차단막(10)을 가열하면서 가압하므로 차단막(10)의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배기밸브(4)는 차단막(10)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조임끈(5)이 당겨지는 경우 조임끈(5)과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정화통(2)은 체결구에 나사결합시켜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다. 이에 더하여, 정화통(2)은 체결구의 통기공(21d)에서 분리되므로 훈련시에만 두건(1)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정화통(2)은 전술한 체결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두건(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화통(2)은 훈련시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록커(30)는 정화통(2)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조임끈(5)의 양단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록커(30)는 당겨지는 조임끈(5)의 이동은 허락하고, 당겨진 후의 조임끈(5)의 인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임끈(5)을 록킹하며, 손가락으로 팁(33)을 벌리는 동작만으로 조임끈(5)을 록킹을 부드럽게 해제한다.
게다가, 고리부재(80)는 삽입된 조임끈(5)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조임끈(5)을 두건(1)의 후두부에 위치시키므로 조임끈(5)이 당겨지면서 두건(1)을 후두부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고리부재(80)는 두건(1)의 표면에 양단이 이중으로 융착되므로 조임끈(5)이 당겨지는 경우 두건(1)에서 뜯겨지지 않으면서 조임끈(5)의 조임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배기밸브(4), 체결구 및 정화통(2)은 전술한 바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배기밸브(4)는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마스크(3)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두건(1)의 측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두건(1)을 통해 노즈마스크(3)에 통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체결구는 예컨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2)을 두건(1)의 결합공(1d)과 노즈마스크(3)의 보스(3d)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금속밴드(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밴드(20)는 결합공(1d)과 보스(3d)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므로,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금속밴드(2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32)이 걸린 상태로 밴딩된다.
정화통(2)은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케이스(2a), 필터(2b) 및 정화부재(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화통케이스(2a)는 양단에 관통공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난연성과 고강도를 유지하도록 금속이나 변성PPO수지(MPPO : Modifide Polyphenylene Oxide) 및 글래스파이퍼(glass fiber)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체가 시계를 가리지 않도록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마스크(3)의 보스(3d)에 삽입되는 후방의 돌출된 원통형 끼움부가 본체의 상부측으로 편심형성된다. 필터(2b)는 정화통케이스(2a)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어 유독가스를 필터링한다. 정화부재(2c)는 화학작용재나 여과제로 구성되고, 정화통케이스(2a)의 내부 타측에 마련되어 화학가스를 정화한다.
이러한, 정화통(2)은 금속밴드(20)에 의해 견고하게 두건(1)에 결합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두건(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정화통(2)은 화생방시 발생하는 화학가스를 정화하고,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화생방이나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서 호흡하면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섬유원단은 박막으로 형성되며, 직조된 직물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화학 필름은 PE층 및 PET층으로 구성된 복합층으로 구성되어 각층이 다양한 화학물질을 차단할 수 있으며, PTFE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PTFE층은 화학성 유독물질을 여과하는 활성탄 분말이나 알갱이 또는 과립이 부착된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차단막은 테두리가 열융착으로 상기 연결막의 내측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막은 외측테두리가 초음파융착에 의해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은 접철된 부분이 재봉나 접착으로 내화학 필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접철된 부분이 초음파융착에 의해 내화학 필름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심실링 테이프는 초음파융착으로 접합된 복합원단의 테두리를 추가로 실링한다.
한편, 전술한 테두리 부착단계는, 차단막의 테두리를 열융착으로 연결막의 내측 테두리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연결막 부착단계는, 연결막의 외측 테두리를 초음파융착으로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접착제로 차단막 및 연결막을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단막 부착단계는 바와 달리, 뒤집힌 상태로 고정된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두건본딩단계; 상기 차단막의 외측테두리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차단막 본딩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차단막의 외측테두리를 상기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접착시키는 차단막 접착단계; 및 상기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접착된 상기 차단막의 외측테두리를 가열하면서 가압하는 열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방지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름방지단계는, 상기 차단막 부착단계의 이전에, 상기 차단막의 외측테두리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를 상기 외측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절개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절개부를 서로 중첩시키거나 이격시켜서 상기 외측테두리의 외경을 축소시키거나 확장시키면서 상기 차단막을 뒤집힌 상기 두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하는 테두리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건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조임끈이 두건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두건에 양단이 재봉으로 고정되어 고리형태를 이루는 끈고리; 및 상기 두건의 내측에서 상기 끈고리의 재봉부위에 융착되어 재봉부위를 실링하는 심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건은 하단부에 착용자의 목부분과 어깨를 차폐하는 베일이 추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베일은 두건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두건과 별개로 마련된 후 상기 두건의 하단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술한 차단막이나 연결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두건의 하단부 내측면에 테두리가 부착되어 수평상태로 고정되거나, 이와 달리 베일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부착되어 수평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일은 두건의 하단부에 연장형성되어 두건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차단막이나 연결막은 베일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부착되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두건 2 : 정화통 3 : 노즈마스크
4 : 배기밸브 5 : 조임끈 10 : 차단막
11 : 탄성막 13 : 고정막 13a : 외측테두리
13b: 내측테두리 20 : 금속밴드 30 : 록커

Claims (13)

  1. 섬유재로 이루어진 섬유원단 및 상기 섬유원단에 부착되어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는 내화학 필름으로 이루어진 복합원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이 겉면 및 내면을 제각기 형성하고, 상기 복합원단의 테두리가 중첩상태로 부착되어 주머니형태로 형성되며, 렌즈공 및 결합공이 전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렌즈공에 투시렌즈가 실링상태로 장착되고, 머리에 씌워져서 머리를 차폐하는 두건;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를 따라 융착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를 실링하는 심테이프;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서 수평을 이루면서 테두리가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실링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수평상태로 고정되고, 중앙에 머리가 삽입되는 머리삽입공을 갖는 고무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삽입공의 수축을 통해 목의 둘레를 탄력적으로 밀폐하여 화학물질이나 유독물질이 상기 두건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상기 두건의 내부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구강과 비강을 커버하고, 상기 두건의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보스가 마련되는 노즈마스크;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정화통;
    상기 정화통을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및 상기 두건의 상기 결합공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체결구;
    상기 두건의 내부 공기를 두건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
    상기 두건의 후방을 감싸면서 두건의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단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두건의 후방부를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는 조임끈; 및
    상기 조임끈의 양단을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은 접착제로 접착되어 한 장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합원단을 구성하고, 상기 복합원단은 상기 섬유원단이 겉면을 형성하여 상기 내화학 필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두건의 겉면을 형성하는 상기 섬유원단은 얼룩무늬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상기 테두리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을 하고,
    상기 심테이프는 상기 두건의 내부에서 열융착으로 상기 복합원단의 중첩된 테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환형의 박막으로 형성되고, 내측테두리에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가 일체적으로 부착되며, 외측테두리가 절곡된 상태로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부착되어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을 상기 두건의 하단부 내측에 실링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막;을 더 포함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은,
    상기 차단막이 고정된 하단부의 끝부분이 내측으로 접철되어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화학 필름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두건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통기시키는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정화통이 나사결합되도록 통기공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내측에 걸리는 걸림판이 타단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에 삽입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통기공에 마련되어 두건의 내부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밸브;
    상기 체결관의 걸림판이 걸리는 상기 노즈마스크의 보스 테두리와 상기 두건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의 테두리가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배면에 형성된 배면테두리가 상기 걸림판을 향한 상태로 상기 두건의 외부에서 상기 체결관의 일단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실링캡; 및
    상기 체결관에 억지끼움된 상기 실링캡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관의 일단부 외주연에 쐐기형상의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실링캡의 전단에 상기 체결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관에 억지끼움되는 상기 실링캡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체결돌기의 후방에 걸려서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상기 노즈마스크에 연통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두건의 측방이나 상기 차단막에 설치되어 상기 두건의 내부 공기를 두건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체결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가 마련된 연결편;
    상기 연결편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임끈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임끈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임끈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임끈을 연결편의 스파이크에 밀착시켜서 연결편과 함께 조임끈을 파지하는 파지링; 및
    상기 파지링의 일측을 상기 연결편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파지링의 일측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편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 및 이 경사턱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경사턱을 통과하여 경사턱 및 직선턱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파지링의 일측이 경사턱 및 직선턱에 걸려서 상기 연결편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8.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섬유재로 이루어진 섬유원단의 일측면에 화학성 유독물질을 차단하는 내화학 필름을 부착하여 복합원단을 제조하는 복합원단 제조단계;
    상기 복합원단을 재단하여 상부의 중앙에 일직선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에 삼각형 형태의 삼각부가 형성되며, 전방에 렌즈공 및 결합공이 형성된 두건원단을 제조하는 두건원단 제조단계;
    상기 두건원단의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삼각부의 테두리를 중첩상태로 부착하여 하부가 개방된 주머니형태의 두건본체를 제조하는 두건본체 제조단계;
    상기 두건본체의 렌즈공에 투시렌즈를 실링가능하게 부착하는 렌즈부착단계;
    상기 두건본체를 뒤집어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1 턴오버단계;
    상기 노출된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머리삽입공이 형성된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차단막을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차단막 고정단계; 및
    상기 차단막이 고정된 상기 두건본체를 원상태로 다시 뒤집는 제2턴오버단계;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원단 제조단계는,
    상기 섬유원단의 일측면이나 상기 내화학 필름의 일측면에 도트나 메쉬형태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을 밀착시키면서 가압하여 상기 섬유원단 및 상기 내화학 필름을 상기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본체 제조단계는,
    상기 두건원단의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삼각부의 테두리를 중첩시키는 테두리 중첩단계; 및
    상기 중첩된 테두리를 초음파로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고정단계는,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뒤집혀서 노출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차단막 밀착단계; 및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접착제나 열융착으로 상기 두건본체의 노출된 내측면에 부착하는 차단막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고정단계는,
    상기 복합원단을 재단하여 환형의 박막으로 형성된 연결막을 제조하는 연결막 제조단계;
    상기 연결막의 내측 테두리에 상기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막의 테두리를 부착하는 테두리 부착단계; 및
    상기 차단막이 부착된 상기 연결막의 외측 테두리를 뒤집혀서 노출된 상기 두건본체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상기 연결막을 통해 상기 차단막을 상기 두건본체에 고정하는 연결막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턴오버단계에 의해 상기 두건본체가 뒤집어지면, 상기 두건본체의 중첩된 테두리에 심실링 테이프를 열융착으로 테이핑하여 중첩된 테두리를 심실링 테이프로 실링하는 심실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20120025709A 2012-03-13 2012-03-13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20130104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09A KR20130104315A (ko) 2012-03-13 2012-03-13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09A KR20130104315A (ko) 2012-03-13 2012-03-13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315A true KR20130104315A (ko) 2013-09-25

Family

ID=4945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709A KR20130104315A (ko) 2012-03-13 2012-03-13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33B1 (ko) * 2020-12-24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마스크가 결합된 산업용 두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658A (ja) * 2004-11-10 2008-06-12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防護閉鎖容器
KR20110025551A (ko) * 2009-09-04 2011-03-10 위승용 팔각회향,전기석,산소촉매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스크
KR101047944B1 (ko) * 2010-12-16 2011-07-1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화학방호용 보호복
KR101070193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8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4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KR101072529B1 (ko) * 2011-04-01 2011-10-11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658A (ja) * 2004-11-10 2008-06-12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防護閉鎖容器
KR20110025551A (ko) * 2009-09-04 2011-03-10 위승용 팔각회향,전기석,산소촉매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스크
KR101047944B1 (ko) * 2010-12-16 2011-07-12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화학방호용 보호복
KR101070193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8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KR101070194B1 (ko) * 2011-02-15 2011-10-05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KR101072529B1 (ko) * 2011-04-01 2011-10-11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33B1 (ko) * 2020-12-24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마스크가 결합된 산업용 두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444B1 (ko)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US6134716A (en) Disposable smoke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KR101278386B1 (ko) 방독면
EP0678048B1 (en) Personal disposable emergency breathing system
US4831664A (en) Garment for protecting agains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KR101072529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CN106456919A (zh) 用于贴附主动排放系统的具有单向阀的呼吸罩装置
EP0124994B1 (en) Emergency mask
KR101163509B1 (ko) 방독면
KR101210662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536265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407515B1 (ko) 방독면용 두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508027A (ja) 防護衣服集合体
US10265553B2 (en) Protective hood
US4361146A (en) Filtering respirator
KR101070198B1 (ko)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KR200264920Y1 (ko)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101070194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US20220279907A1 (en) Wallet-type smartphone case
KR101070193B1 (ko)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KR20130104315A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278436B1 (ko) 방독면
KR101536264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513859B1 (ko) 두건형 방독면
JP200651293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