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01A -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901A
KR20130103901A KR1020120024903A KR20120024903A KR20130103901A KR 20130103901 A KR20130103901 A KR 20130103901A KR 1020120024903 A KR1020120024903 A KR 1020120024903A KR 20120024903 A KR20120024903 A KR 20120024903A KR 20130103901 A KR20130103901 A KR 2013010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amino acid
arteriosclerosis
atheroscleros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629B1 (ko
Inventor
조양제
장진욱
임형준
Original Assignee
아이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2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944 priority patent/WO2013137606A1/ko
Priority to EP13760651.3A priority patent/EP2826488B1/en
Priority to CN201380013748.9A priority patent/CN104168909B/zh
Priority to US14/384,646 priority patent/US9290542B2/en
Publication of KR2013010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과 신장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죽상경화반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동맥경화 치료에 유효한 효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eriosclerosis}
본 발명은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양식의 서구화에 따라, 협심증, 간헐성 파행, 심근경색, 뇌경색 등과 같은 동맥경화성 질환은 암과 더불어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질환은 한번 발병하면 치유가 대단히 어렵고, 생활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예방이나 질병의 용태의 진전을 조절하기 위한 대책이 사회적으로도 지극히 중요하다.
동맥경화는 오랜 기간에 걸쳐 혈관의 벽에 지방이 축적되고 또한 혈관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주로 고지질 혈증 특히,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주요 위험인자이며 또한 고혈압 및 당뇨병 등도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서구화된 식사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동맥경화의 발병 및 이와 관련된 뇌심혈관계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동맥경화의 진행과정을 보면, 산화지질, 높은 혈압과 빠른 혈류 등에 의해 혈관 내면을 구성하고 있는 혈관 내피세포에 손상이 먼저 일어나고, 점차 혈관 벽에 지방이 축적되며 대식세포 및 T 세포 등의 침윤과 염증반응이 진행되고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혈관 벽이 두꺼워진다. 그 결과 혈관이 좁아지게 되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좁아진 경우 무리한 운동 등에 의해 심장으로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통증을 느끼게 되는 협심증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한편 두꺼워진 혈관 벽(동맥경화 플라크)내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왕성한 경우 플라크를 덮고 있는 조직의 일부가 터지게 된다. 이때 플라크 안에 있던 지방 및 주변 단백질 등이 혈관 내로 나와 혈전을 형성하며 흔히 심장의 관상동맥 또는 뇌의 혈관 등을 막아버려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을 야기하게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동맥경화에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이 동맥경화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동맥경화에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이 동맥경화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그 자체로서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아미노산 잔기를 변형시킴으로써 더욱 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보호기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동맥경화를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서열목록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예를 들어,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에 변화를 가져오는 변이인 경우에도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의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단백질에 포함될 수 있는 생물학적 기능 균등물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의 단백질과 균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발휘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에 한정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변이를 도입하는 데 있어서, 아미노산의 소수성 인덱스 (hydropathic idex)가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아미노산은 소수성과 전하에 따라 소수성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아이소루이신 (+4.5); 발린 (+4.2); 루이신 (+3.8); 페닐알라닌(+2.8); 시스테인/시스타인 (+2.5); 메티오닌 (+1.9); 알라닌 (+1.8); 글라이신 (-0.4); 쓰레오닌 (-0.7); 세린 (-0.8); 트립토판 (-0.9); 타이로신 (-1.3); 프롤린 (-1.6); 히스티딘 (-3.2); 글루타메이트 (-3.5); 글루타민 (-3.5); 아스파르테이트 (-3.5); 아스파라긴 (-3.5); 라이신 (-3.9); 및 아르기닌 (-4.5).
단백질의 상호적인 생물학적 기능(interactive biological function)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소수성 아미노산 인덱스는 매우 중요하다. 유사한 소수성 인덱스를 가지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야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소수성 인덱스를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소수성 인덱스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 치환을 한다.
한편, 유사한 친수성 값(hydrophilicity value)을 가지는 아미노산 사이의 치환이 균등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초래한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4,554,1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친수성 값이 각각의 아미노산 잔기에 부여되어 있다: 아르기닌 (+3.0); 라이신 (+3.0); 아스팔테이트(+3.0± 1); 글루타메이트 (+3.0± 1); 세린 (+0.3); 아스파라긴 (+0.2); 글루타민 (+0.2); 글라이신 (0); 쓰레오닌 (-0.4); 프롤린 (-0.5 ± 1); 알라닌 (-0.5); 히스티딘 (-0.5); 시스테인 (-1.0); 메티오닌 (-1.3); 발린 (-1.5); 루이신 (-1.8); 아이소루이신 (-1.8); 타이로신 (-2.3); 페닐알라닌 (-2.5); 트립토판 (-3.4).
친수성 값을 참조하여 변이를 도입시키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 2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1 이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0.5 이내의 친수성 값 차이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사이에 치환을 한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 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상술한 생물학적 균등 활성을 갖는 변이를 고려한다면,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의 단백질은 서열목록에 기재된 서열과 실질적인 동일성(substantial identity)을 나타내는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61%의 상동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의 상동성,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의 상동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비교를 위한 얼라인먼트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얼라인먼트에 대한 다양한 방법 및 알고리즘은 Smith and Waterman, Adv . Appl . Math . 2:482(1981); Needleman and Wunsch, J. Mol . Bio . 48:443(1970); Pearson and Lipman, Methods in Mol . Biol . 24: 307-31(1988); Higgins and Sharp, Gene 73:237-44(1988); Higgins and Sharp, CABIOS 5:151-3(1989); Corpet et al., Nuc . Acids Res . 16:10881-90(1988); Huang et al., Comp . Appl . BioSci . 8:155-65(1992) and Pearson et al., Meth . Mol . Biol. 24:307-31(1994)에 개시되어 있다.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ltschul et al., J. Mol . Biol . 215:403-10(1990))은 NBCI (National Center for Biological Information) 등에서 접근 가능하며, 인터넷 상에서 blastp, blasm, blastx, tblastn and tblastx와 같은 서열 분석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이용할 수 있다. BLSAT는 http://www.ncbi.nlm.nih.gov/BLAST/에서 접속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열 상동성 비교 방법은 http://www.ncbi.nlm.nih.gov/BLAST/blast_help.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맥경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동맥경화”는 동맥의 탄력이 떨어지고 동맥벽에 지방질, 섬유조직, 혈전 등이 쌓여 혈관벽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는 것을 말하며, 뇌 혈관에 동맥경화가 발생하면 뇌졸중, 심장에 발생하면 심근 경색증, 협심증이 생기고, 동맥이 완전히 막히면 막힌 동맥이 혈액을 공급하는 신체 각 부위가 죽는 괴사가 발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동맥경화는 죽삭경화증(atherosclerosis), 중피층 석회화경화증(medialcalcific sclerosis) 또는 세동맥경화증(arteriolosclerosis)이고, 바람직하게는 죽삭경화증 또는 중피층 석회화경화증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죽삭경화증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동맥경화는 아포리포단백질 E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맥경화 동물모델에서 죽상경화반 형성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죽상경화반 형성을 1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60%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 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 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 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과 신장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죽상경화반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동맥경화 치료에 유효한 효능을 발휘한다.
도 1은 ApoE-KO 마우스에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투여에 따른 대동맥 병변 변화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ApoE-KO 마우스에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투여에 따른 죽상경화반 면적 변화의 정량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는 ApoE-KO 마우스에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투여에 따른 간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ApoE-KO 마우스에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투여에 따른 신장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방법
시험물질의 제조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파우더에 1 ml의 증류수를 넣어 완전히 용해하여 스톡 1 mg/ml을 제조하였다. 100 /kg 샘플을 만들기 위해 스톡을 50배 희석(A)하였다(PBS 4.9 ml + 시험물질 스톡 0.1 ml 첨가(총 5 ml)). 이 후 마우스 체중 1 g 당 5 투여하였다. 10 /kg 샘플을 만들기 위해 (A)를 10배 희석하였다(PBS 4.5 ml + 시험물질 0.5 ml 첨가(총 5 ml)). 이 후 마우스 체중 1 g 당 5 투여하였다.
시험동물
시험에 이용하는 마우스(C57BL/6.KOR/Stm Slc-Apoeshl)는 중앙실험동물(한국)으로부터 6주령 웅성 36마리(체중 20-25 g)를 구입하여 1주일간 사육 환경 순화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마우스는 온도 22 ± 2℃, 습도 50 ± 10%, 환기 횟수 10-20회/시간, 12 시간 명암주기, 조도 150-300 Lux 조건에서 케이지당 3 마리 마우스를 넣어 사육하였다. 실험은 동물보호법(제정 1991년 5월 31일 법률 제 4379호, 일부개정 2008년 2월 29일 법률 제 8852호) 규정을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평가동물의 시험군 구성
표 1과 같이 시험군을 구성하였다.
시험군 구성
그룹 처리군 개체수
N.Con PBS 정상식이 6
V.Con PBS 동맥경화 유발식이 6
EGT-L EGT022 10 μg/kg 12
EGT-H EGT022 100 μg/kg 12
평가동물의 군별 평가 방법
동맥경화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는 C57BL/6.KOR/Stm Slc-Apoeshl를 구입하였으며,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무작위법으로 총 4 군으로 편성하였다. 사료는 일반 설치류 Diet와 동맥경화 유발 식이(Piagen D12336)를 자유식이 하였다. 동물의 체중측정은 1주일에 한번 채혈은 안와정맥에서 3주에 한번 씩 실시하였다. 동맥경화 유발 식이를 12 주간 식이하여 동맥경화를 유도한 후,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을 10 μg/kg와 100 μg/kg 농도로 1회 100 μl 용량으로 등쪽에 피하주사로 투여하였다.
동맥경화 부위의 조직병리학 분석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 1주일이 지난 후 동물을 희생시켜 혈액을 채취하고 심장 및 오름 대동맥부터 흉부대동맥까지 절제하여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심장을 20% 수크로오스 용액에 경화시킨 후 절단하여 OCT 컴파운드에 포매하여 대동맥궁을 동결절편기로 10 ㎛의 두께로 잘라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또한, 대동맥궁에 형성된 죽상경화반을 평가하기 위해서 오일 레드 O 염색을 이용하여 지방 성분을 염색하여 죽상경화반의 면적을 측정함으로 대상 약물에 의한 질환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면적 측정은 이미지 측정 소프트웨어(LAS 3.8, Leica Microsystem Framework,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절제한 간 조직은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 후, 통상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실시하였으며, 파라핀 포매한 조직을 4 ㎛ 두께로 절편한 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평가 통계분석
모든 결과는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얻어진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다중비교검정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평균치에 대하여는 배틀렛 검정으로 균질성을 검사하여 균질성이 있는 경우에는 부형제 대조군과 투여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다중비교법인 던넷 검정을 실시하였다. 배틀렛 검정 결과 균질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순위화한 데이터를 이용한 비모수적 방법인 크루스칼-월리스 검정을 실시하고, p<0.05인 경우 던넷 검증을 이용하여 군간의 유의차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GraphPad InStat(version 3.05, GraphPad Software Inc.)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정의 위험율은 5% 및 1%로 정하였다.
실험결과
대동맥궁에 형성된 죽상경화반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ApoE-KO 마우스에 12주 동안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해서 유도한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동맥궁에 대한 오일 레드 O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은 혈관 내에 어떠한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V.Con)에서는 혈관내피가 침착되어 오일 레드 O 양성 반응으로 붉게 염색된 죽상경화반의 형성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반면, 시험물질인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의 투여에 의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죽상경화반의 형성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10 μg/kg 투여군(EGT-L)과 100 μg/kg 투여군(EGT-H)은 대조군에 비해서 죽상경화반의 두께 및 면적이 유효하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1). 이러한 죽상경화반에 대한 면적에 대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에 있어서도 EGT-L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서 약 57% 정도 죽상경화반 형성이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EGT-H 그룹도 대조군에 비해서 약 30% 정도 병소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2).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간과 신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의 안전성 및 독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간과 신장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에 있어서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에서는 중심정맥 주위로 경미한 지방 변성을 나타내었다(microvacoular change). 하지만, 시험물질인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는 간에 어떠한 독성 변화도 유도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도 3), 신장 역시 모든 시험군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4).
고찰
고 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한 ApoE-KO 마우스에서 동맥경화에 있어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가 미치는 영향 평가 결과 10 μg/kg의 저농도(EGT-L)와 100 μg/kg의 고농도(EGT-H) 투여군 모두에서 죽상경화반 병소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EGT-L 투여군은 약 57%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EGT-H 투여군은 30% 정도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어 대조군에 비해서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가 죽상경화반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단백질 투여는 저농도와 고농도 모두 간과 신장 등의 장기에 대해 어떠한 독작용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 문헌
Nakashima, Y., A. S. Plump, et al. "ApoE-deficient mice develop lesions of all phases of atherosclerosis throughout the arterial tree." Arterioscler Thromb 1994. 14(1): 133-40.
Weiss, D., J. J. Kools, et al. "Angiotensin II-induced hypertension accelerates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apoE-deficient mice." Circulation 2001.103(3): 448-54.
Kolovou, G., K. Anagnostopoulou, et al. "Apolipoprotein E knockout models." Curr Pharm Des 2008. 14(4): 338-51.
Yamakawa, T., K. Ogihara, et al. "Effect of dehydroepiandrosterone on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J Atheroscler Thromb 2009. 16(4): 501-8.
Amar, M. J., W. D'Souza, et al. "5A apolipoprotein mimetic peptide promotes cholesterol efflux and reduces atherosclerosis in mice." J Pharmacol Exp Ther 2010. 334(2): 634-41.
Inanaga, K., T. Ichiki, et al.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ttenuate atherogenesis in apolipoprotein E-knockout mice." Atherosclerosis 2010. 213(1): 52-8.
<110> EYEGENE <120> PN120096 <130> PN120096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5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GT022 peptide <400> 1 Thr Cys Gln Leu Arg Pro Gly Ala Gln Cys Ala Ser Asp Gly Pro Cys 1 5 10 15 Cys Gln Asn Cys Gln Leu Arg Pro Ser Gly Trp Gln Cys Arg Pro Thr 20 25 30 Arg Gly Asp Cys Asp Leu Pro Glu Phe Cys Pro Gly Asp Ser Ser Gln 35 40 45 Cys Pro Pro Asp Val Ser Leu Gly Asp Gly 50 55

Claims (4)

  1. (a) 서열목록 제1서열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맥경화는 죽삭경화증(atherosclerosis), 중피층 석회화경화증(medialcalcific sclerosis) 또는 세동맥경화증(arteriolosclero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맥경화는 죽삭경화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맥경화는 아포리포단백질 E 유전자에 결함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20024903A 2012-03-12 2012-03-12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2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03A KR101421629B1 (ko) 2012-03-12 2012-03-12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13/001944 WO2013137606A1 (ko) 2012-03-12 2013-03-11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13760651.3A EP2826488B1 (en) 2012-03-12 2013-03-1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eriosclerosis
CN201380013748.9A CN104168909B (zh) 2012-03-12 2013-03-11 动脉硬化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US14/384,646 US9290542B2 (en) 2012-03-12 2013-03-1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erioscler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03A KR101421629B1 (ko) 2012-03-12 2012-03-12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01A true KR20130103901A (ko) 2013-09-25
KR101421629B1 KR101421629B1 (ko) 2014-07-22

Family

ID=491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03A KR101421629B1 (ko) 2012-03-12 2012-03-12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90542B2 (ko)
EP (1) EP2826488B1 (ko)
KR (1) KR101421629B1 (ko)
CN (1) CN104168909B (ko)
WO (1) WO20131376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36A1 (ko) * 2018-10-19 2020-04-23 아이진 주식회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6047B (zh) 2014-12-31 2021-07-23 汇恩斯株式会社 治疗烧伤和青光眼、减少皮肤皱纹和促进毛发生长的包含含rgd基序的肽或其片段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101A (en) 1981-01-09 1985-11-19 New York Blood Center, Inc. Identification and preparation of epitopes on antigens and allergens on the basis of hydrophilicity
EP2243488B1 (en) * 2006-01-19 2013-08-14 Eyegene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vascular-related diseases comprising peptide
CN101379082A (zh) * 2006-01-19 2009-03-04 爱吉恩公司 治疗血管相关疾病的包含肽的药物组合物
EP2514767A1 (en) * 2006-12-19 2012-10-24 Ablynx N.V. Amino acid sequences directed against a metalloproteinase from the ADAM family and polypeptides comprising the same for the treatment of ADAM-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36A1 (ko) * 2018-10-19 2020-04-23 아이진 주식회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8405A1 (en) 2015-02-05
WO2013137606A1 (ko) 2013-09-19
CN104168909A (zh) 2014-11-26
US9290542B2 (en) 2016-03-22
CN104168909B (zh) 2018-05-15
EP2826488B1 (en) 2019-01-16
EP2826488A1 (en) 2015-01-21
KR101421629B1 (ko) 2014-07-22
EP2826488A4 (en)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 et al. Coordinated induction of iNOS–VEGF–KDR–eNOS after resveratrol consumption: A potential mechanism for resveratrol preconditioning of the heart
JP2018021033A (ja) ペプチド治療薬およびその使用方法
DE69837855T2 (de) Apolipoprotein-a-i-agonisten und ihre anwendung zum behandeln von dyslipidämischer erkrankung
DE69839014T2 (de) Apolipoprotein a-i agonisten und deren verwendung zur behandlung dyslipidämischer erkrankungen
Méndez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cytolytic activity of snake venoms from African spitting cobras (Naja spp., Elapidae) and its neutralization by a polyspecific antivenom
WO2015183963A2 (en) Therapeutic compositions including redox-active parabenzoquinones and uses thereof
WO2016195663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including bpm 31510, variants and analogues thereof, and uses thereof
Khemtemourian et al. Residue specific effects of human islet polypeptide amyloid on self-assembly and on cell toxicity
CN107531752A (zh) 用于炎症和纤维化的肽治疗
US11872261B2 (en) Lipoprotein targeting protease inhibitors and uses
KR101421629B1 (ko) 동맥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Berlanga et al. Rapid communication: epidermal growth factor protec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injury
ES2753381T3 (es) Miméticos de apolipoproteína y usos de los mismos
US20040126812A1 (en) Method for isolating an intestinal cholesterol binding protein
WO2003080103A1 (en) Antagonists of megalin or cubilin for use in preventing organ damage induced by therapeutic agents
US20160279255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INCLUDING MODULATORS OF deltaPKC AND/OR epsilonPKC, AND USES THEREOF
US20050080016A1 (en) Tripeptides and tripept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postlesional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US10092620B2 (en) Uses of cyclic peptide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therosclerosis
TW528869B (en) Preparation of cartilage extracts using organic solvents
Momi et al. A nitric oxide-donor pravastatin hybrid drug exerts antiplatelet and antiatherogenic activity in mice
JP2020506874A (ja) 皮膚炎症抑制用ペプチドおよびそれを含む皮膚炎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22109679A1 (en) Peptides and uses thereof in modulation of amyloid-beta protein degrading proteases
JPH1171299A (ja) ヘモペキシンを含有する抗真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