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708A -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708A
KR20130102708A KR1020120023742A KR20120023742A KR20130102708A KR 20130102708 A KR20130102708 A KR 20130102708A KR 1020120023742 A KR1020120023742 A KR 1020120023742A KR 20120023742 A KR20120023742 A KR 20120023742A KR 20130102708 A KR20130102708 A KR 201301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envelope
synthetic resin
bag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진 filed Critical 서영진
Priority to KR102012002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2708A/ko
Publication of KR201301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의 부착 부위(sealing part) 즉 융착부 혹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합성수지 봉투의 내면 재질의 융해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이질 재료의 끈이 개재되어 이 끈 부분에서는 두 합성수지 시트 사이의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이 끈의 일부는 봉투 외측으로 노출되어 개봉자가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와 그 개봉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부터 완전히 밀폐된 밀폐부를 뜯는 것이 아니고 일부가 봉투 밖으로 노출되고, 일부가 밀폐부에 심어진 끈을 당겨 밀폐부에 틈을 만들고, 이 틈을 취약부로 하여 이 틈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힘을 주면서 틈을 넓히는 방법으로 밀폐봉투를 개봉할 수 있으므로 힘의 조절이 용이하고, 너무 쉽게 봉투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easy open envelope and method of openning the same}
본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자 봉투나 다른 물품 포장 봉투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밀폐형 봉투에 관한 것이다.
봉투는 내용물을 담아 운반하고,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포장재이다. 과거에는 개봉된 형태의 종이 봉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특히 과자나 기타 식품을 담는 포장 봉투의 경우, 유통 과정에서 내용물의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 가스를 충진시킨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합성수지 봉투는 내부에 합성수지가 아닌 금속박이 포함된 것도 포함하여 합성수지가 주된 재료를 이루는 봉투 전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합성수지 봉투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장용 합성수지 시트를 접어 두 겹으로 하여 일부를 남기고 주변을 밀폐한 상태에서 열린 부분으로 내용물을 넣고, 나머지 부분을 다시 밀폐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합성수지 봉투를 밀폐하는 방법으로 겹치는 두 합성수지 시트의 부착 부위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이나 고온의 틀로 두 합성수지 시트의 맞닿는 면을 부분적으로 녹인 후 식으면서 일체로 경화되도록 하는 융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융착 방법을 사용할 때에도 융착부를 이루는 합성수지 시트 내면층에는 용융 혹은 반 용융 상태에서 접착력이 뛰어난 재질이나 접착 첨가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융착과 접착을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내용물 보호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합성수지 봉투에서 이 부착 부위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봉투에서 서로 부착된 부위 즉, 접착 부위나 융착 부위를 다시 뜯어서 두 장의 시트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것이므로 내용물을 잘 보호하는 한편으로 개봉을 쉽게 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이들 부위를 뜯기보다는 다른 부위에 일부 절취부를 인위적으로 형성하거나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끝단을 이루는 주변부를 지그재그식 혹은 산과 골이 연속되는 톱니 형태로 만들고 이 골들 가운데 하나에서부터 합성수지 봉투를 이루는 시트를 찢어나가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봉투를 개봉하면 이 절취부에서 시작하여 합성수지재 봉투를 이루는 시트의 주된 연신 방향인 세로방향(길이 방향)의 결을 따라 필요 이상으로 봉투가 찢어지기 쉽고, 이런 경우 한번 개봉하면 다시 봉투를 오무려서 내용물을 보존하기가 어렵고, 심지어는 여는 과정이나 개봉상태에서 과자와 같은 내용물을 취식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을 흘리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재 밀폐 봉투의 개봉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통과정에서는 쉽게 봉투가 뜯어지지 않아 내용물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 단계에서 사용자는 쉽게 봉투를 개봉할 수 있고, 또한, 개봉하는 과정에서 과다하게 봉투가 찢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봉투 및 그 개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의 부착 부위(sealing part) 즉 융착부 혹은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합성수지 봉투의 내면 재질의 융해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이질 재료의 끈이 개재되어 이 끈 부분에서는 두 합성수지 시트 사이의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이 끈의 일부는 봉투 외측으로 노출되어 개봉자가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끈은 봉투의 부착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한번만 가로지를 수도 있지만 하나의 끈을 절곡하여 끈(부분)과 끈(부분)이 몇 번을 겹치도록 부착 부위에 심어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끈이 겹쳐지는 부분을 한 곳으로 뭉쳐서 배치할 수도 있지만, 부착 부위에서 끈이 절곡되어 끈의 한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가 서로 조금씩 떨어져 이 사이 부분에서는 봉투를 이루는 시트 내면 사이의 부착이 이루어지고, 끈이 당겨질 때에는 이 사이 부분에서는 끈이 부착 부분을 가르면서 지나가 이 부분 전체가 열린 틈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끈이 봉투의 부착 부위의 상당 구간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봉투의 부착 부위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 끈도 부착 부위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뻗도록 하고, 끝단에서만 세로방향으로 뻗어 한 끝은 봉투 밖으로 노출되고 다른 한 끝은 봉투 안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끈은 개봉시에 뽑혀서 제거될 수도 있지만 한 끝은 봉투의 두 시트 가운데 한쪽의 내측면 계속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고, 이런 경우, 두 개의 끈이 겹쳐진 두 시트 내면에 하나씩 부착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사용하여 봉투를 개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봉투의 준비와 개봉은, 봉투의 밀폐부를 형성하기 전에 밀폐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끈을 위치시키는 단계, 끈이 개재된 상태로 밀폐부를 실링하는 단계, 개봉자가 끈을 당겨 밀폐부에 작은 틈을 형성하는 단계, 이 틈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밀폐봉투를 이루고 있는 두 합성수지 시트를 당겨 틈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부터 완전히 밀폐된 밀폐부를 뜯는 것이 아니고 일부가 봉투 밖으로 노출되고, 일부가 밀폐부에 심어진 끈을 당겨 밀폐부에 틈을 만들고, 이 틈을 취약부로 하여 이 틈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힘을 주면서 틈을 넓히는 방법으로 밀폐봉투를 개봉하게 된다.
따라서, 힘의 조절이 용이하고, 너무 쉽게 봉투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봉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봉투의 상단 부착 부위를 위에서 본 개략적 구성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끈이 떨어져 나가고 밀폐부에 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구성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끈이 떨어져 나간 밀폐부의 틈을 중심으로 밀폐봉투를 이루는 겹쳐진 두 시트를 양쪽에서 당겨 틈이 벌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구성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폐부에 끈이 서로 겹쳐지되 겹치는 부분이 일정 간격을 두고 겹쳐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 구성 개념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밀폐부에 끈이 서로 밀착하여 겹쳐진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 구성 개념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끈의 끝단이 두 시트 가운데 하나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아울러 부착 부위에 심어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및 이 끈을 당기고 틈을 넓히는 데 사용하는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두 끈의 끝단이 두 시트 내측면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고 아울러 부착 부위에 심어진 상태에서 이 끈들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고 틈을 넓히는 데 사용하는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근이 부착 부위에서 부착 부위가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심어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및 이를 이용하여 봉투를 개봉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 및 각 개봉 단계를 나타낸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끈의 굵기나 봉투를 이루는 시트의 두께는 다소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봉투(10)는 통상의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이며, 전면 가운데에는 세로로(길이방향으로) 세로융착부(11)가 일정 폭으로 형성되고, 하단과 상단에도 상단융착부(13)와 하단융착부(15)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융착부(13)에는 하나의 끈(17)의 일부가 심어져 도드라진 부분(점선표시)이 있고, 끈(17)의 다른 일부는 도드라진 부분에서 연속하여 위쪽으로, 봉투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2에서 보이듯이 봉투를 이루는 융착부에는 겹쳐진 두 시트 각각에 내층(23a, 23b), 외층(21a, 23a)의 두 층씩 모두 네 층이 있고, 이들 가운데 두 내층(23a, 23b)은 서로 융착되어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융착선(25)으로 표시되어 있다. 끈(17)이 개재된 부분에서는 끈(17)으로 인하여 두 내층(23a, 23b) 사이에는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3은 도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봉투 개봉을 위해 끈을 뽑아 끈이 있던 자리에 융착선이 연결되지 않은 작은 틈(17')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봉투의 상단융착부(13) 아래에서 봉투(10)의 전면과 후면을 이루는 두 시트를 도4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당기면 작은 틈은 벌어져 더 큰 틈(17")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점차 힘을 주어 틈을 키우면 봉투를 열고 내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끈에 의해 형성된 작은 틈은 비록 작은 부분이지만 파단이 시작될 수 있는 점이 되므로 모든 부분이 융착되어 있는 부착 부위를 뜯을 때와 비교할 때에는 상당히 작은 힘으로도 봉투를 뜯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이 부위를 뜯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힘은 필요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한꺼번에 봉투가 찢어져버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봉투(110)의 부착 부위인 상단 융착부(113)에 끈(117)이 절곡되면서 부분부분이 서로 약간씩 떨어지면서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봉투를 뜯기 위해서는 끈(117)을 위쪽으로 당겨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의 끈(117')의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끈(117)이 펴지는 과정에서 상단융착부(113) 일부를 끈(117)이 지나가면서 부착된 봉투의 전후면 시트를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는 부착 부위의 부착 폭이 작아지고, 약해져서 전후면 봉투를 양쪽으로 잡아당길 때 조금의 힘만 주어도 봉투를 개봉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봉투(210)의 부착 부위인 상단 융착부(213)에 끈(217)이 절곡되면서 절곡된 부분이 한데 뭉쳐서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봉투를 뜯기 위해서는 끈(217)을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끈이 겹쳐 뭉쳐서 있던 상태에서 끈이 빠지면서 도3의 틈(17')보다 더 큰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단융착부(213) 아래에 있는 봉투의 전후면 시트를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3과 같은 실시예에 비해 더 쉽게 봉투를 개봉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끈(217)이 얇은 경우에 봉투를 뜯기 시작하는 지점인 취약부를 더 확실히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7a는 도6의 실시예와 비슷한 구성을 가지지만 끈(317)의 단부 가운데 내측에 있는 단부가 봉투(310)의 내면에 부착부(319)를 통해 단단히 부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봉투(310) 외측으로 드러난 끈(317)의 끝단을 당기면 상단융착부(313)에 틈이 생기고, 이때 끈(317)은 여전히 틈 속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7b와 같이 한 손으로 봉투의 후면을 이루는 시트나 후면의 세로융착부(311)를 잡아 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봉투의 전면 시트의 내면에 부착부(319)를 통해 고정된 끈(317)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봉투의 틈이 점차 커지면서 봉투가 개봉된다.
도8은 도7b와 다른 한 실시예에서의 개봉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끝을 사용한 도7b와 달리, 두 끈(417a, 417b)의 끝단이 봉투를 이루는 전, 후의 두 시트 내측면에 각각 하나씩 부착된다. 아울러 상단융착부(413)에 심어진 상태에서 이 끈들을 당기면 상단융착부에서 끈들이 두 시트의 내층(423a, 423b)에서 떨어져 나와 틈(417")을 만들고,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융착선(425)에 의해 융착된 부분에서 분리가 일어나면서 틈(417")을 넓혀 개봉이 이루어진다.
도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끈(517)이 상단융착부(513)에서 도면상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심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끈(517)의 단부 가운데 내측에 있는 단부가 봉투(510)의 내면에 부착부(319)를 통해 단단히 부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9a와 같이 봉투(510) 외측으로 드러난 끈(517)의 끝단을 당기면 상단융착부(513)에는 도9b와 같이 끈(517)이 자나가는 부분에서는 융착부가 훼손되어 일정 구간(513')에 걸쳐 상단융착부에 부착된 폭이 좁아지게 되거나 틈이 생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봉투를 이루는 시트 전,후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벌리면 쉽게 봉투의 틈이 커지면서 봉투가 개봉된다.
10, 110, 210, 310, 510: 봉투 11: 세로융착부
13, 113, 213, 313, 413, 513 : 상단융착부 15: 하단융착부
17, 117, 217, 317, 417a, 417b, 517 : 끈 21a, 21b: 외층
23a, 23b, 323a, 323b, 423a, 423b : 내층
25, 325, 425 : 융착선 319, 519 : 부착부

Claims (5)

  1. 부착 부위(sealing part)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합성수지 봉투의 내면 재질의 융해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이질 재료의 끈이 개재되어 이 끈 부분에서는 합성수지 봉투를 이루는 두 합성수지 시트 사이의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끈의 일부는 합성수지 봉투 외측으로 노출되어 개봉자가 잡아당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절곡되어 겹친 상태로 상기 부착 부위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절곡된 상태로 상기 부착 부위에 개재되고, 상기 끈의 절곡된 부분과 부분 사이는 상기 부착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사이에서는 합성수지 봉투를 이루는 상기 시트 내면 사이의 부착이 이루어져 상기 끈이 당겨질 때에는 상기 사이에서는 상기 끈이 부착 된 부분을 가르면서 지나가 열린 틈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노출되지 않은 일부는 합성수지 봉투의 내부에서 상기 시트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끈을 당겨 상기 부착 부위에 틈이 생긴 경우에도 계속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5. 봉투의 부착 부위를 형성하기 전에 부착 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끈을 위치시키는 단계,
    끈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부착 부위를 밀폐(실링)하는 단계,
    개봉자가 끈을 당겨 상기 부착 부위에 작은 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틈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에서 상기 봉투를 이루고 있는 두 합성수지 시트를 서로 반대로 당겨 상기 틈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개봉 방법.
KR1020120023742A 2012-03-08 2012-03-08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KR2013010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42A KR20130102708A (ko) 2012-03-08 2012-03-08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42A KR20130102708A (ko) 2012-03-08 2012-03-08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08A true KR20130102708A (ko) 2013-09-23

Family

ID=4945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742A KR20130102708A (ko) 2012-03-08 2012-03-08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2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5U (ko) 2020-11-10 2022-05-17 이주열 개봉이 용이한 택배용 비닐봉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95U (ko) 2020-11-10 2022-05-17 이주열 개봉이 용이한 택배용 비닐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297C2 (ru) Упаковка
US7300207B2 (en)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JP4526884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
US6988828B2 (en)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US9708104B2 (en)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9656783B2 (en)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RU2626712C2 (ru) Элемент вскрытия упаковки и способы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4828413B2 (ja) パウチ及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EP2709910B1 (en)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30114918A1 (en) Easy Open Flexible Film Packag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2347971A1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H10338244A (ja) テープ張り密封袋及びその製法
US9914576B2 (en) Package with tamper-evident feature
JP5544455B2 (ja) 包装袋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包装袋に対する被包装物の充填包装方法
GB2543264A (en) Package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AU2013265394B2 (en)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e
KR20130102708A (ko) 개봉이 용이한 밀폐형 합성수지 봉투 및 그 개봉 방법
US20200391907A1 (en) Recloseable side-gusseted package
JP6291880B2 (ja)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367847A (zh) 具有可重新闭合的开口特征部的食物包装以及打开可重新闭合的食物包装、取出食物产品并重新闭合可重新闭合的食物包装的方法
JP7346805B2 (ja) 包装袋、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押圧部材
JP6833262B2 (ja) 合成樹脂系包装用袋
WO2015183913A2 (en) Reclosable packages
JPH03261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