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446A -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446A
KR20130102446A KR1020120078857A KR20120078857A KR20130102446A KR 20130102446 A KR20130102446 A KR 20130102446A KR 1020120078857 A KR1020120078857 A KR 1020120078857A KR 20120078857 A KR20120078857 A KR 20120078857A KR 20130102446 A KR20130102446 A KR 20130102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upling
coupling hole
buried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917B1 (ko
Inventor
강승국
Original Assignee
강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국 filed Critical 강승국
Publication of KR2013010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는,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배선작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 측벽에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기 위한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층에서 발생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각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슬라브에 매립되는 연결장치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AND CABLE TRAY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상부 층과 하부 층을 연결하여 시공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건축물들은 건축기술의 발달에 기인함은 물론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점차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각 세대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뿐만 아니라, 통신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약전선들 예컨대 전화선, ADSL 이나 VDSL 등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 선, MATV선, 각종 원격검침 조작선 및 홈 오토메이션 선 등이 배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합건물에는 EPS(Electrical Pipe Shaft) 실 및 TPS(Telecommunication Pipe Shaft)실의 설치가 법규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EPS 실이나 TPS 실은 집합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전선 트레이(Cable Tray)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케이블 배전이 흔히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RC구조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SRC구조의 철골철근 콘트리트 구조의 집합 건축물에서, 전선 트레이(20)가 각층의 슬라브(1)를 통과하여 벽체(3)에 고정되어 있고, 벽체(3)에는 풀박스(30 - pull box)가 매립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체(3)에 가까이 있는 슬라브(1)의 일부에는 전선 트레이(20)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공(10)이 형성된다. 개구공(10)은 슬라브(1)의 시공시에 철근 구조물과 함께 매입되는 슬리브 박스(거푸집)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선 트레이(20)는 사이드 레일들(21,22)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21,22)을 서로 평행하게 고정하는 가로대(23)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의 세대별에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들(L1,L2,L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1)의 두께 T1과, 상기 벽체 슬라브(3)의 두께 T2는 인장 및 압축강도가 충분하도록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두께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벽체 슬라브(3)에 형성되고 일면이 노출되는 풀박스(30)는 강철이나 PVC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스의 측면 일부에는 케이블 보호용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인입/인출 홀(31,33)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선 트레이(20)를 이용하여 각 층별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 배선을 행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케이블 보호/통과용 배관들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풀박스(30)를 상기 벽체 슬라브(3)에 미리 매입시켜야 하고, 상기 전선 트레이(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공(10)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여 슬라브(1)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에 매입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슬라브(1)의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나무 또는 합판, 스티로폼 등의 일회용 재질로 제작되어진 거푸집을 제거하여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개구공(10)를 형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공(10)은 거푸집의 해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시공 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다. 또한 소방법 등의 층간방화구획을 처리함에 있어서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진행 속도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선 트레이(20)의 수직 설치를 위해 방해가 되는 울퉁불퉁한 개구공(10)의 내측면은 나중에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콘크리트 까내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슬라브(1)에 개구공(10) 형성이 완료되고, 상기 풀박스(30)의 매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선 트레이(20)가 개구공(10)을 통하여 각 층의 슬라브(1)을 관통하여 벽체(3)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경우에 일정 간격의 지지점을 벽체 슬라브(3)에 박아 로드(Rod)로 고정시킨 다음 C-형강(25)과 연결 부속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즉, 전선 트레이(20)를 벽체 슬라브(3)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25)을 앵커링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드릴링하는 공구 및 전기작업선을 매층마다 끌고 다녀야하는 불편함과 작업능률 저하 및 안정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 또한 작업이 번거롭고 트레이(20)의 시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선 트레이(20)의 벽면 설치가 끝나면 수직 간선계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있는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들(C1,C2)은 상기 수직 간선계 케이블들에서 분기되어 풀박스(30)내의 인입홀들(31,33)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케이블들은 배선 정렬성을 위해 케이블 타이(CT)로 상기 전선 트레이(20)의 사이드 레일들(21,22)이나 가로대(23)에 묶여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선 트레이 통과용 개구공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시공한 다음 콘크리트 양생 후에 해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고, 전선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의 앵커링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슬라브에 개구공을 형성한 후에, 이 개구공을 관통하여 전선 트레이를 배치하고, 개구공을 관통하여 배치된 전선 트레이를 별도의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만 함으로써 전선 트레이의 설치 및 케이블 배전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공기 단축에 제한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공사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성이 없으며 또한 작업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점도 존재하며 시공완료시에도 방화구획을 처리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외관이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9882호(공고일 : 2007.05.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트레이(20)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세대들의 슬라브(1)가 있는 곳에 위치되어 전선 트레이(20)를 상기 슬라브(1)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00)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이 상기 개구부(100)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102)과, 상기 바디 프레임(102)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을 통과하는 케이블(C1,C2,C3)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 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슬라브(1)에 개구부(100)를 형성하고, 케이블(C1,C2,C3)들을 보호할 수는 있었으나, 전선 트레이(2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조립이 완료된 전선 트레이(20)를 바디 프레임(102)으로 관통시킨 후 전선 트레이(20)를 벽체에 고정하거나 바디 프레임(102)에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9882호(공고일 : 2007.05.21)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복합 건물의 아랫층 구간에 위치하는 전선 트레이와 윗층 구간에 위치하는 전선 트레이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거나 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이나 하부영역 또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마련되고,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각각 볼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각 트레이의 결합시 각 트레이의 수직방향 결합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같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측의 각 하부 연장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같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부 영역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하부 트레이 결합공의 이면영역에는 아랫층의 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브 형성용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상기 매립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향 절곡된 양단은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하단부 둘레와 상기 매립부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매립부의 매립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공 내측면과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외측면과 상기 매립부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날개가 바깥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는 방화덮개가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라브에 매립되는 중공형의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 하부영역 또는 상,하부 영역에 하부 트레이 결합공 및 상부 트레이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층과 윗층의 각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으로서,
a) 아래층과 윗층 사이에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및 철근 골조 배근시에 상기 연결장치의 매립부를 상기 거푸집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브를 이루는 두께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연결장치의 가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 골조에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으로 슬라브를 형성하여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설하여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가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매설되면, 상기 슬라브를 기준으로 윗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부를 상기 결합부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고, 아래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부를 아래층 쪽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여 상기 상,하부측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로 절곡된 각 고정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하고, 각각의 타단은 슬라브를 이루는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의 슬라브 매설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이 제거될 때 상기 고정 브라켓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매립부가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조 브라켓의 상향 절곡된 양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하고, 바닥부는 거푸집이나 철근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의 한쪽 측벽과 상부측 트레이를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아랫층에 위치한 트레이의 길이가 아래층과 윗층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부의 하부 영역에 하부 연장부를 형성하거나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단부를 상기 하부 연장부 또는 연결패널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매립부의 전면에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해당 층으로부터 발생된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입하거나, 다른 층으로부터의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를 방화덮개로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와 같은 복합 건물의 아랫층과 윗층 사이의 슬라브에 아랫층 구간의 전선 트레이와 윗층 구간의 전선 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슬라브 시공시에 미리 매설하여 전선의 안전한 배선은 물론, 각 트레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트레이를 슬라브를 관통하여 시공하고 설치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불필요하게 트레이를 벽체에 고정하거나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제공되며, 연결장치가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되므로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 트레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트레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에 의해 윗층과 아래층의 각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7b,7c,7d,7e,7f,7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에 의해 윗층과 아래층의 각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장치(500)는 집합건물의 윗층(F2)과 아래층(F1)을 구분하는 슬라브(F)에 매설되어 윗층(F2)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상부측 트레이(600A)와 아래층(F1)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하부측 트레이(600B)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장치(500)는 슬라브(F)에 매설되는 매립부(510)와, 이 매립부(510)의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측 트레이(600A)와 하부측 트레이(600B)의 각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52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는 내부에 관통공(512)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의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512)의 내부 폭은 각 트레이(600A,600B)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매립부(5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514)가 수평방향, 즉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고정날개(514)는 용접에 의해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날개(514)는 슬라브(F) 형성시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매립부(510)가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날개(5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매립부(510)의 관통공(512)은 트레이(600A,600B)가 통과되고, 전선이나 통신선 등이 통과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결합부(520)는 매립부(510)의 상부 측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 3을 기준으로)에는 전선 작업을 위한 개구구부(528)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측벽(526)이 각각 형성되며, 배면은 벽쪽에 근접하므로 막힌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526)들에는 아래층(F1)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의 윗쪽 영역에는 윗층(F2)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의 하단이 결합되기 위한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쌍을 이루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부 트레이 결합공(522,524)들은 각 트레이(600A,600B)들이 각 측벽(526)에 볼팅되어 결합될 때, 각 트레이(600A,600B)의 수직방향 결합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 트레이(600A,600B)의 길이와 각 연결장치(500) 간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그 볼팅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 결합공(522,524)들이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각 측벽(526)에는 각 층에서 발생된 전선들이 트레이(600A,600B)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장치(500)를 이용하여 슬라브(F)를 기준으로 윗층(F2)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와 아래층(F1)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래층(F1)과 윗층(F2) 사이에 슬라브(F)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골조 배근시에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를 골조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각 고정날개(514)가 슬라브(F)를 이루는 두께(T1)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매립부(510)의 높이(H1)는 슬라브(F)의 두께(T1)와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립부(510)의 높이(H1)가 슬라브(F)의 두께(T1)보다 작을 경우에 콘크리트가 매립부(510 )의 하단부 영역으로 돌출되거나, 개구부(528) 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매립부(510)의 높이(H1)를 슬라브(F)의 두께(T1)보다 크게 형성할 경우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돌출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매립부(510)를 골조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연결장치(500)의 위치 변동, 즉 연결장치(5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로 절곡된 각 고정 브라켓(700)의 일단을 매립부(510)의 내측면에 각각 볼팅하여 고정하고, 각각의 타단은 슬라브(F)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슬라브(F)의 형상을 이루는 거푸집(800)에 고정한다. 이때, 골조를 이루는 철근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700) 대신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라켓(700A)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 브라켓(700A)은 매립부(510)를 슬라브(F)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매립부(51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은 상향 절곡되고 바닥부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매립부(510)의 내측면에 볼팅되어 고정되고, 바닥부는 거푸집이나 철근에 볼팅되거나 다양한 고정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700A)은 바닥부가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각 고정 브라켓(700)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된다.
이어서, 연결장치(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 골조에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하여 슬라브(F)를 형성한다. 이 과정으로 슬라브(F)가 형성되면,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가 슬라브(F)에 수직상태로 매립된 상태가 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트레이(600A,600B)가 수직으로 설치되기 위한 개구공을 형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개구공 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해야 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트레이(600A,600B)가 통과되는 관통공(512)이 형성된 연결장치(500)가 직접 슬라브(F)에 콘크리트 양생으로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전술한 불필요한 작업들이 삭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 고정날개(514)들이 슬라브(F)의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므로 매립부(510)는 견고하게 슬라브(F)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가 슬라브(F)를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고정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F)를 기준으로 윗층(F2)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의 양측 하단부를 결합부(520)의 각 측벽(526)에 형성된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팅하여 각각 결합한다.
이어서, 아래층(F1)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의 각 상단부를 아래층(F1)에서 관통공(512)으로 삽입한 후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에 볼팅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각 트레이(600A,600B)의 단부들을 각 측벽(526)에 볼팅하여 결합할 때, 장공 형태의 각 결합공(522,524)을 이용하여 그 볼팅 위치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하부측 트레이(600B)의 길이에 따라 볼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결합공(522,524)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각 트레이(600A,600B)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다양한 길이의 각 트레이(600A,600B)가 적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연결장치(500)에 상,하부 트레이(600A,600B)가 각각 결합되면, 한쪽의 측벽(526)과 상부측 트레이(600A)을 접지선(900)으로 연결한다. 즉, 접지선(900)의 일단은 상부측 트레이(600A)에 고정하고, 타단은 측벽(526)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선은 하부측 트레이(600B)와 측벽(526)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F)에 고정된 연결장치(500)에 의해 윗층(F2)과 아래층(F1)의 각 트레이(600A,600B)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각 층에 위치하는 각각의 수직형 전선 트레이(600A,600B)를 슬라브(F)에 매립되는 연결장치(5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윗층(F2)과 아래층(F1)의 슬라브(F)에 매립된 연결장치(500)는 구조적으로 강도있는 콘크리트 골조에 매립되어 있어서 공사중에 발생되는 낙하물 방지처리에도 간단하고 또한 벽체에 고정을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며, 방화구획 처리도 손쉽게 할 수 있어 마감 후 미관이 깨끗하다.
한편, 각 트레이(600A,600B)의 길이가 각 층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여러 층의 슬라브(F)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라브(F), 예를 들면 3개 층마다 연결장치(500)가 매설되는 슬라브(F)에 여유공간의 개구공을 형성하여 길이가 긴 트레이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7b,7c,7d,7e,7f,7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500)는 결합부(520)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같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양 측벽(526)에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매립부(10)의 양쪽 하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연장부(515)에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장공(517)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하부 연장부(515)에는 하부 트레이(600B)가 결합되기 위한 트레이 결합장공(517)이 복수개 천공된 것이다. 이때, 상부의 양 측벽(526)에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 연장부(515)는 상부측 트레이(600A) 또는 하부측 트레이(600B)의 길이가 아래층(F1)과 윗층(F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에, 짧게 형성된 예를 들면 하부측 트레이(600B)의 하단은 아래층(F1)에 위치한 연결장치(500)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팅하고, 상단은 윗층(F2)에 위치한 연결장치(500)의 하부 연장부(515)에 볼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600A,600B)의 길이가 짧더라도 간편한 연결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굳이 관통공(512)로 삽입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매립부(510)의 하부에 하부 연장부(515)가 형성될 경우에는 하부 연장부(515)가 슬라브(F)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립부(510)의 하단부와 하부 연장부(515)의 경계영역에 보조날개(514A)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날개(514A)에는 거푸집에 고정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날개(514A)가 형성된 연결장치(500)를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골조 또는 거푸집에 고정함으로써 연결장치(500)의 매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매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날개(514A)는 거푸집과 연결장치(5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52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은 장공형태가 아닌 일반 원형공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은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c,7d는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20)는 상부의 양 측벽(526)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과, 매입부(510)의 하부 영역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와, 각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의 이면영역에는 아랫층의 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용접되어 구비되는 너트(N)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부(52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가 슬라브(F)에 매립될 때 같이 매립되는 것으로, 하부측의 트레이(600B)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트레이(600B)로부터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을 통하여 너트(N)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트레이(600B)의 결합이 완료될 수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7e,7f는 또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e,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는 매립부(510)에 구비된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와 너트(N)에 보조 결합공(529)을 구비한 연결패널(52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부(520)를 이용하여 하부측의 트레이(600B)을 연결장치(5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결패널(527)의 상부 영역을 볼트를 이용하여 너트(N)에 고정하고, 트레이(600B)의 상단부를 보조 결합공(529)에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패널(527)이 구비됨으로써 길이가 짧은 트레이(600A,600B)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7g는 연결패널(527)의 상단부가 상부의 양 측벽(526)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연결패널(527)이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결합되므로 매립부(510)에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는 매립부(510)의 전면 영역에 전선이나 통신선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519A)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519)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는 전면부(개구부가 형성된 방향) 일부분이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고, 이 커플링 박스부(519)에 전선이나 통신선 등을 인출하거나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커플링(519A)이 다수개가 구비된 것이다.
이때, 커플링 박스부(519)의 상부 측은 개구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립부(510)에 커플링 박스부(519)가 구비되므로, 기존의 풀박스를 삭제해도 되므로, 구조가 단순화 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플링 박스부(519)가 적용된 연결장치(500)는 도 8b,8c,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에는 커플링(519A)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519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설치공(519B)에 커플링(519A)를 설치하여 케이블의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플링(519A)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킹부는 커플링 박스부(519)에 형성될 수 있고, 매립부(5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박스부(519)의 하단부 둘레 및 매립부(510)의 하단부 둘레에는 매립부(510)의 매립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공 내측면과 커플링 박스부(519)의 외측면과 매립부(51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날개(514A)가 바깥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보조날개(514A)는 커플링 박스부(519)의 하단부 둘레 및 매립부(510)의 하단부 둘레와 거푸집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내측면 사이에 최소한의 간격만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물론, 보조날개(514A)는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지 않은 매립부(510)의 둘레에도 형성될 수 있고, 전면과 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좌,우측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보조날개(514A)는 다양한 위치에 1개 또는 다수개, 또는 연이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날개(514A)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보조날개(514A)가 거푸집 등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a,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는 매립부(510)의 상부나 개구부(512) 또는 매립부(510)와 커플링 박스부(519)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방화덮개(9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방화덮개(900)는 각 층(F1,F2)이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 이웃한 층으로 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9a와 같이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개구부(512)에 삽입되어 개구부(512)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방화덮개(900)의 양쪽 날개에는 체결장공(912)이 수평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벽(526)에는 방화덮개(900)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설치되도록 방화덮개용 체결공(9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장공(912)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공(914)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특정한 개수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체결장공(91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방화덮개(9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에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된 경우에 적용되는 방화덮개(900)는 일부가 커플링 박스부(519) 상부에 안착되고 다른 부분은 개구부(512)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커플링 박스부(519)의 상면에는 방화덮개(900)가 안착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날개가 나사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에 방화덮개(900)가 구비됨으로써 아래층이나 윗층의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 등이 다른 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00 : 연결장치 510 : 매립부
512 : 관통공 514 : 고정날개
514A : 보조날개
515 : 하부 연장부 517 : 트레이 결합장공
519 : 커플링 박스부 519A : 커플링
520 : 결합부 522 : 상부 트레이 결합공
524 : 하부 트레이 결합공 528 : 개구부
540 : 고정날개 600A,600B : 트레이
700 : 고정 브라켓 800 : 접지선
900 : 방화덮개

Claims (21)

  1.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거나 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이나 하부영역 또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마련되고,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각각 볼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각 트레이의 결합시 각 트레이의 수직방향 결합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측의 각 하부 연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각각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측의 각 하부 연장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같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부 영역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하부 트레이 결합공의 이면영역에는 아랫층의 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브 형성용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상기 매립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향 절곡된 양단은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1. 제1항 내지 제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되거나, 커플링 설치를 위한 설치공 또는 마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하단부 둘레와 상기 매립부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매립부의 매립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공 내측면과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외측면과 상기 매립부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날개가 바깥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는 방화덮개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15. 슬라브에 매립되는 중공형의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 하부영역 또는 상,하부 영역에 하부 트레이 결합공 및 상부 트레이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층과 윗층의 각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으로서,
    a) 아래층과 윗층 사이에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및 철근 골조 배근시에 상기 연결장치의 매립부를 상기 거푸집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브를 이루는 두께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연결장치의 가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 골조에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으로 슬라브를 형성하여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설하여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가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매설되면, 상기 슬라브를 기준으로 윗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부를 상기 결합부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고, 아래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부를 아래층 쪽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여 상기 상,하부측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로 절곡된 각 고정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하고, 각각의 타단은 슬라브를 이루는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의 슬라브 매설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이 제거될 때 상기 고정 브라켓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매립부가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조 브라켓의 상향 절곡된 양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하고, 바닥부는 거푸집이나 철근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의 한쪽 측벽과 상부측 트레이를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아랫층에 위치한 트레이의 길이가 아래층과 윗층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부의 하부 영역에 하부 연장부를 형성하거나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단부를 상기 하부 연장부 또는 연결패널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매립부의 전면에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해당 층으로부터 발생된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입하거나, 다른 층으로부터의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를 방화덮개로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KR1020120078857A 2012-03-07 2012-07-19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KR101358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3470 2012-03-07
KR1020120023470 2012-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099A Division KR101409274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20130133098A Division KR101389988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446A true KR20130102446A (ko) 2013-09-17
KR101358917B1 KR101358917B1 (ko) 2014-02-05

Family

ID=494522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57A KR101358917B1 (ko) 2012-03-07 2012-07-19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
KR1020130133099A KR101409274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20130133098A KR101389988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099A KR101409274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20130133098A KR101389988B1 (ko) 2012-03-07 2013-11-04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58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161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트레이의 신축이음구조
KR20190121029A (ko) * 2018-04-17 2019-10-25 조태진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2020005362A (ja) * 2018-06-26 2020-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668B1 (ko) *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44384B1 (ko) 2018-04-18 2019-11-13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318A (ja) * 1996-04-24 1997-11-11 Taisei Corp ケーブルラックの設置方法
KR200403539Y1 (ko) 2005-09-26 2005-12-09 오태수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79931B1 (ko) 2006-09-21 2007-02-08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0889498B1 (ko)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5670152B2 (ja) 2010-10-25 2015-02-18 株式会社関電工 ケーブルラックの縦方向への敷設工法及び当該工法に使用するケーブルラックの取付金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161A (ko) * 2017-05-23 2018-12-03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케이블트레이의 신축이음구조
KR20190121029A (ko) * 2018-04-17 2019-10-25 조태진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2020005362A (ja) * 2018-06-26 2020-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88B1 (ko) 2014-04-30
KR20130133736A (ko) 2013-12-09
KR101358917B1 (ko) 2014-02-05
KR20130133737A (ko) 2013-12-09
KR101409274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274B1 (ko)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CA2733310A1 (en) Composite building module with a thermal mass radiator
KR100719882B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US20140000192A1 (en) Wall assembly for a building structure
KR101035404B1 (ko) 슬러리월과 슬래브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CN111236625A (zh) 一种基于wisa模板体系现浇饰面混凝土结构及其建造方法
KR101856583B1 (ko) 건축물 슬라브 개구부 설치용 안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50402B1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KR20150039408A (ko)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200403539Y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101379949B1 (ko) 주름관 배관 고정구조와 이를 이용한 주름관 배관시공방법
KR101386405B1 (ko) 슬래브 매입형 콘크리트 박스
KR100985855B1 (ko) 집합건물용 케이블 배전박스의 설치 방법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US20070107332A1 (en) Modular framing system
KR20100129877A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100958123B1 (ko) 냉온수 분배기 박스
US20100018144A1 (en) Wall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l channel
JP4979441B2 (ja) 壁パネル
KR200443571Y1 (ko) 매립형 배관 고정장치
KR102626358B1 (ko)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KR102659393B1 (ko) 공동주택 벽체에 설치되는 전기배관 보호구
KR101146846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US6327824B1 (en) Termite shielding structure of underground beam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