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962A -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962A
KR20130101962A KR1020120078592A KR20120078592A KR20130101962A KR 20130101962 A KR20130101962 A KR 20130101962A KR 1020120078592 A KR1020120078592 A KR 1020120078592A KR 20120078592 A KR20120078592 A KR 20120078592A KR 20130101962 A KR20130101962 A KR 2013010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net
snow removal
wi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12007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962A/ko
Publication of KR2013010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7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and conveying dislodged material by driven or pneumatic means
    • E01H5/07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and conveying dislodged material by driven or pneumatic means by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골프연습장의 그물막에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한 그물막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실외 골프연습장에 설치되는 그물막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물막의 바닥망(31)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닥망(31)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설조립체(200); 상기 제설조립체(200)를 떠받힘으로써 상기 바닥망(31)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는 제설조립체 지지수단; 상기 제설조립체(2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설조립체(200)로 하여금 상기 바닥망(31)의 저면을 훑으면서 종방향, 즉 타격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Snow From Nets Of Driving Range}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 골프연습장과 같은 시설의 그물막에 쌓인 눈을 제거하기 위한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외 골프연습장에는 골프공을 막기 위한 그물막 시설이 되어 있다. 골프 연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를 갖추어야 하며 이에 따라 그물막은 높이와 면적이 상당한 정도까지 달한다.
그물막은 골프공이 통과될 수 없는 메쉬로 되어 있으므로 겨울철에 눈이 내리면 그물막에 눈이 쌓일 수도 있게 된다. 그물막의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많지 않은 적설량에 의해서도 그물막을 손상시키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눈이 내리면 여러 작업인력이 제설작업에 동원되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럽게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인력만으로는 눈을 치우기 어려워 불가피하게 그물막을 손상시킬 때가 있다. 이 경우 눈이 그물막 아래에 있는 차량을 덮치거나 그물막을 지지하고 있던 트러스 구조의 기둥체가 쓰러지는 등 막대한 재산적 손실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4-169667호는 "골프연습장의 제설네트 전장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제안된 구성은 네트 자체가 회전하는 것이어서 장치를 설치 및 기동하는데 비용이 크게 소요되어 현실적이지 못하며 기존의 골프연습장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실외 골프연습장과 같이 규모가 큰 시설물, 특히 그물막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골프연습장에도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눈을 치울 수 있는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실외 골프연습장에 설치되는 그물막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물막의 바닥망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닥망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설조립체; 상기 제설조립체를 떠받힘으로써 상기 바닥망에 접하도록 하는 제설조립체 지지수단; 상기 제설조립체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설조립체로 하여금 상기 바닥망의 저면을 훑으면서 종방향, 즉 타격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막용 제설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설조립체는 다수의 봉형상의 스크래퍼; 상기 바닥망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길이가 될 때까지 상기 스크래퍼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가요성 선재; 상기 스크래퍼와 상기 선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설조립체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망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망와이어이며; 상기 제설조립체의 중간에는 상기 바닥망와이어가 안착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크래퍼는 속이 빈 원통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선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스크래퍼와 선재의 결합부에는 상대적 유동을 허용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크래퍼에는 다수의 브러시, 봉 또는 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롤베어링은;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선재에 설치되는 롤베어링 본체; 유(U)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바닥망와이어를 에워싼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선재에 연결되는 이탈방지대; 상기 이탈방지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대의 일부 구간을 개폐시킨 다음 상기 이탈방지대와 롤베어링 본체 사이에 상기 바닥망와이어를 끼워넣을 수 있게 하는 클램퍼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실외 골프연습장의 그물막에 쌓이는 눈을 자동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그물막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를 훑고 지나가면서 쌓인 눈을 떨쳐낼 수 있는 제설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그물막을 지지하기 위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그물막 지지용 와이어를 제설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설장치의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설장치가 설치되는 실외 골프연습장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설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설장치의 제설조립체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설장치의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설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구성도의 일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설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골프연습장(10)은 큰 규모를 가지는 야외 시설물이며, 트러스 구조로 된 다수의 지주체(20)와 지주체(20)에 의해 큰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막(30)을 포함하고 있다. 일측에는 타격장소인 플랫홈(40)이 설치되고 있다. 그물막(30)중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망(31)은 플랫홈(40)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이 보통이며 플랫홈(40) 근처에는 볼수거로(50)가 마련되어 볼을 수거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설장치는 골프연습장(10)의 규모에 비해 미시적이므로 도 2의 구성도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위해 유리할 것이다. 이하, 도 2 또는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필요할 경우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골프연습장의 전방에 해당하는 도 2의 우측에는 전방롤러(100)가 설치되고, 골프 연습장의 후방에 해당하는 도 2상 좌측에는 한쌍의 후방롤러(101)가 설치된다. 이들 전방롤러(100)와 후방롤러(101)에는 구동와이어(110)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동와이어(110)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텐션조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와이어(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곳곳에 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롤러(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와이어(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특정 지점에는 제설조립체(200)가 1개 이상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와이어(110)가 회전하게 되면 제설조립체(200)가 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동와이어(110)는 감속기가 부착된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중에서 어셈블리 형태로 구입할 수 있는 윈치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도 3의 평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와이어(110)는 적어도 제설조립체(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설조립체(200)가 길어 가운데 부분이 너무 늘어질 경우에는 제설조립체(200)의 중간에도 1개 이상의 구동와이어(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와이어(11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비는 적어도 한쌍 이상이 마련되게 된다.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모든 구동와이어를 구동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구동모터로써 하나의 구동와이어만을 구동하게 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설치된 모든 구동모터는 동기화됨으로써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바닥망와이어(32)가 바닥망(31)을 지지하기 위해 바닥망(31)의 저면을 받치는 형태로 설치된다(도 7 참조). 바닥망와이어(32)는 골프연습장(10)을 설치할 때부터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질 때는 기존의 것에 추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망와이어(32)의 횡방향으로의 설치간격은 1000mm일 수 있다.
바닥망와이어(32)는 골프연습장의 종방향, 즉 타격된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보통이다. 골프공이 경사진 바닥망(31)을 따라 자연적으로 굴러서 볼수거로(50, 도 1 참조)로 떨어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구동와이어(110)의 일부 구간이 바닥망와이어(32)와 바닥망(31) 사이에 위치한다. 즉, 도 2를 보면 바닥망와이어(32)와 구동와이어(110)의 높낮이가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생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 일부 구간을 '제설구간(L)'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설조립체(200)는 이 제설구간(L) 내에 설치되며 제설구간(L) 내에서 왕복기동하게 된다. 제설조립체(200)는 제설구간(L)에서 바닥망(31)과 바닥망와이어(32)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국 바닥망(31)의 저부에 위치하면서 바닥망(31) 위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와이어(110)가 기동함에 따라 제설조립체(200)가 제설구간(L)의 어느 끝에 다다르면 구동와이어(1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제설조립체(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30)가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130)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지면에 인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130)가 눈에 쌓인다면 오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눈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제설조립체(200)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속도는 약 2배로 빨라질 것임이 분명하다. 하나의 제설조립체(200)가 전체 제설구간(L)의 1/2만을 제설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제설조립체(20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설조립체(200는 바닥망(31)을 골프연습장의 횡방향, 즉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게끔 설치된다.
제설조립체(200)는 줄줄이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스크래퍼(210)를 포함하고 있다. 가요성 선재(220)는 바닥망(31)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길이가 될 때까지 스크래퍼(210)를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제설조립체(200)는 결과적으로 스크래퍼(210)와 선재(220)가 교변하면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후술되는 연결구(230)가 스크래퍼(210)와 선재(220)를 연결한다.
이웃하는 스크래퍼(210) 간의 간격은 예를 들어 200 ~ 300mm일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이 간격은 조정될 수 있다. 스크래퍼(210)의 길이는 바닥망 와이어(32)의 간격보다 작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바닥망와이어(32)의 간격이 1000mm인 경우에는 500 ~ 800mm일 수 있다. 선재(220)는 녹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구동와이어로 할 수 있지만, 유리섬유 또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된 것일 수도 있다.
스크래퍼(210)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망와이어(32) 사이의 모든 구간마다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군데군데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와 같이 스크래퍼(210)의 설치를 생략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만큼 장치의 부하가 적게 된다. 스크래퍼(210)의 설치를 일정한 패턴으로 생략할 수도 있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닐 것이다.
아무튼 이렇게 모든 위치에 스크래퍼(210)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옆의 바닥망에 스프래퍼(210)가 설치되었다면 그 옆의 바닥망에도 진동이 가해지기 때문에 스크래퍼(210)를 생략하여도 진동을 하게 되고 어느 정도 눈을 떨어낼 수 있게 된다.
스크래퍼(210)는 도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나 정면에서 보나 바닥망와이어(32)의 사이에, 즉 바닥망와이어(32)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된다. 바닥망와이어(32)와 저촉되는 부분에는 선재(220)가 위치하며, 선재(220)는 바닥망와이어(32)와 직각 또는 그와 유사한 각도로 교차하게 된다. 선재(220)의 바닥망와이어(32)와 교차되는 부분에는 롤베어링(140)이 설치된다. 롤베어링(140)은 선재(220)가 직접 바닥망와이어(32)와 접촉하여 마찰하게 되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설치되는 것이다. 바닥망와이어(32)는 롤베어링(14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어 있다. 즉 바닥망와이어(32)는 선재(220)를 매개로 하여 제설조립체(200)와 상대적인 교차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롤베어링(140)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닥망와이어(32)가 롤베어링(140)을 타고 구름운동하는 중에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롤베어링(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롤베어링 본체(141) 내부에는 베어링(142)을 매개로 하여 선재(220)가 통과하고 있다. 유(U)자형 단면을 가지는 이탈방지대(143)가 바닥망와이어(32)를 에워싼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선재(220)에 연결된다. 이탈방지대(143)의 일단에는 클램퍼(150)가 설치된다. 클램퍼(150)는 이탈방지대(143)의 일측에 설치되며 레버의 원리로써 작동된다. 손잡이(151)를 조작함으로써 이탈방지개가 개폐되고 따라서 그 내부로 바닥망와이어를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가로대(143a)에는 바닥망와이어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부싱(145)이 끼워져 베어링 역할을 하도록 한다. 부싱(145)은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회전되면서 바닥망와이어(32)와 가로대(143a)와의 마찰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구(230)는 스크래퍼(210)가 선재(2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며, 선재(220)와 스크래퍼(210)의 상대적 유동을 허용하도록 베어링(231)을 구비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연결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210)에 고정되는 스크래퍼고정부(233)와 선재(220)에 고정되는 선재고정부(235)와 이 양자 사이의 원활한 상대적 유동을 허용하는 베어링(231)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선재(220)는 구동와이어(110)를 따라 바닥망(31)의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지만, 스크래퍼(210)는 구동와이어(110)를 따라 이송되기도 하며 이와 동시에 바닥망(31)과의 마찰에 의한 구름운동을 하기도 한다. 즉 스크래퍼(210)는 바퀴처럼 구르면서 바닥망(31)의 저면을 훑고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크래퍼(2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브러시(211), 봉 또는 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청소용 빗자루와 같은 방식으로 브러시(211)가 식재되어 있다. 따라서 브러시(211)는 빗자루와 같은 방식으로 바닥망(31) 위를 지나면서 눈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스크래퍼(200)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재(220')는 클램프(300)에 의해 구동와이어(110)와 직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클램프(300)는, U자 형태의 선재홈(310)과 일자형 구동와이어홈(311)이 마련되는 베이스블럭(313)과, 볼트에 의해 베이스블럭(313)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는 체결블럭(315)을 포함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0 : 골프연습장 30 : 그물막
31 : 바닥망 32 : 바닥망와이어
100 : 전방롤러 101 : 후방롤러
110 : 구동와이어 120 : 구동모터
130 : 위치센서 140 : 롤베어링
141 : 롤베어링 본체 143 : 이탈방지대
145 : 부싱 150 : 클램퍼
151 : 손잡이 200 : 제설조립체
210 : 스크래퍼 211 : 브러시
220 : 선재 230 : 연결구
231 : 베어링 233 : 스크래퍼고정부
235 : 선재고정부 300 : 클램프
310 : 선재홈 311 : 구동와이어홈
313 : 베이스블럭 315 : 체결블럭
L : 제설구간

Claims (3)

  1. 실외 골프연습장에 설치되는 그물막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물막의 바닥망(31)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닥망(31)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설조립체(200); 상기 제설조립체(200)를 떠받힘으로써 상기 바닥망(31)의 저면에 접하도록 하는 제설조립체 지지수단; 상기 제설조립체(2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설조립체(200)로 하여금 상기 바닥망(31)의 저면을 훑으면서 종방향, 즉 타격된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설조립체 지지수단은 상기 바닥망(3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바닥망와이어(32)이며; 상기 제설조립체(200)의 중간에는 상기 바닥망와이어(32)가 안착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베어링(1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조립체(200)는 다수의 봉형상의 스크래퍼(210); 상기 바닥망(31)의 좌우 폭에 상응하는 길이가 될 때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래퍼(210)를 연결하는 가요성 선재(220); 상기 스크래퍼(210)와 상기 선재(2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KR1020120078592A 2012-07-19 2012-07-19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KR20130101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92A KR20130101962A (ko) 2012-07-19 2012-07-19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592A KR20130101962A (ko) 2012-07-19 2012-07-19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926A Division KR101184584B1 (ko) 2012-03-06 2012-03-06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62A true KR20130101962A (ko) 2013-09-16

Family

ID=4945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592A KR20130101962A (ko) 2012-07-19 2012-07-19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20B1 (ko) * 2019-09-16 2020-02-17 하성주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KR102078118B1 (ko) * 2019-12-02 2020-02-17 하성주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20B1 (ko) * 2019-09-16 2020-02-17 하성주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KR102078118B1 (ko) * 2019-12-02 2020-02-17 하성주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101B2 (en) Tennis ball collection device
US8984704B2 (en) Solar panel cleaning system
KR100684695B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US4827637A (en) Apparatus for clearing a surface of snow and dirt
NL2010450C2 (nl) Kasdekreiniger.
JP2961406B2 (ja) 競技用フィールドの移動装置
CN108118660A (zh) 一种木桥梁除积雪设备
CN108176628A (zh) 一种监控装置的清洁系统
KR20130101962A (ko)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CN108221812A (zh) 一种市政工程用道路灰尘刷洗设备
AU2012101216A4 (en) Cleaning apparatus
CN105421279B (zh) 一种路面清冰雪车
KR101184584B1 (ko) 골프연습장용 그물막 제설장치
JPH07276236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CN107288273B (zh) 一种大棚自动扫雪装置
KR100972145B1 (ko) 골프연습장의 골프공 회수장치
CN216740422U (zh) 一种果树种植大棚用棚顶积雪清扫装置
KR200416631Y1 (ko) 비닐하우스 지붕 적설방지장치
KR20130033009A (ko) 개선된 정치망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70126B1 (ko) 비닐하우스 지붕 적설방지장치
DE202005004800U1 (de) Bürstengerät zum Säubern vom Schnee in der Skispur auf einer Sprungschanze
KR101167072B1 (ko) 그물막용 제설장치
CN102613091B (zh) 自动化饲养清理机构
KR102258255B1 (ko) 스크린 잔류 협잡물의 처리구조를 갖는 레이크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CN210439443U (zh) 一种新型格栅清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