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624A -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624A
KR20130101624A KR1020120015697A KR20120015697A KR20130101624A KR 20130101624 A KR20130101624 A KR 20130101624A KR 1020120015697 A KR1020120015697 A KR 1020120015697A KR 20120015697 A KR20120015697 A KR 20120015697A KR 20130101624 A KR20130101624 A KR 20130101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terminal
content
target terminal
manag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덕
최병철
한승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624A/ko
Priority to US13/766,743 priority patent/US20130218891A1/en
Publication of KR2013010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45Filtering by information in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by monitoring network traffic
    • H04L63/1425Traffic logging, e.g. anomaly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3Clearing memory, e.g. to prevent the data from being stol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대상 단말이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와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관리 대상 단말이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 대상 단말이 관리 서버에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관리 대상 단말이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관리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관리 대상 단말이 관리 단말로부터 전달된 콘텐츠에 대한 처리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CONTROL METHOD FOR HARMFUL CONTENTS IN YOUTH AND TEENAGER'S}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하여 유해 콘텐츠를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단말에서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유해 콘텐츠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 등 스마트 단말의 활성화와 콘텐츠의 제공 통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에는 청소년들에게 해로운 음란성 콘텐츠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단말에서의 음란성 콘텐츠 관리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부모가 청소년 자녀들의 단말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부모와 청소년 자녀 모두에게 불필요한 마찰과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고 청소년 자녀의 단말의 음란성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9-0019329호(2007.08.20)의 '유해 콘텐츠 차단을 위한 방법 및 유해 콘텐츠 차단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것으로서,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단말에서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된 유해 콘텐츠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은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와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무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가하는 것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유해 콘텐츠를 파일 항목에 리스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네트워크 영역 변동시마다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은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와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한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무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 허가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리 단말은 네트워크 영역 변동시마다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소년 자녀가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건전하게 스마트 단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관리를 통해 청소년 자녀의 단말을 직접 확인해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 단말이 유해 콘텐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관리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이 관리 대상 단말의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단말(10), 관리 단말(20), 관리 서버(30), 데이터베이스부(40) 및 앱업데이트 서버(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유해 콘텐츠는 청소년 자녀 등 청소년 등에게 유해한 음란성 콘텐츠나 폭력성 콘텐츠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게임 콘텐츠 등 청소년 등에게 유해한 콘텐츠를 통칭한다.
관리 대상 단말(10)은 청소년 자녀 등이 소지하여 이용하는 스마트 단말로써, 유해 콘텐츠 분석을 위한 유해 콘텐츠 분석앱을 탑재하여 실행시킨다.
유해 콘텐츠 분석앱은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된 시간 또는 실행 명령에 따라 활성화되어 관리 대상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관리 단말(20)에 전달하고, 관리 단말(20)로부터 전달받은 처리 요청에 따라 유해 콘텐츠를 처리한다. 더욱이, 분석 결과를 전달할 유해 콘텐츠 관리앱 정보, 유해 콘텐츠 분석앱 운용을 위해 앱 접근에 필요한 비밀번호, 유해 콘텐츠 분석앱 삭제 방지 등 앱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환경 설정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분석 결과에는 분석된 콘텐츠의 총 개수, 음란성으로 분석된 콘텐츠 개수의 분석 통계 정보 및 분석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 내용에 대한 썸네일 정보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관리 단말(20)은 부모나 보호자 등이 소지하여 이용하는 스마트 단말로써, 유해 콘텐츠 관리를 위한 유해 콘텐츠 관리앱을 탑재하여 실행시킨다.
유해 콘텐츠 관리앱은 관리 단말(20)에서 운용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써,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수행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받고,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10)에 저장된 유해 콘텐츠를 원격으로 처리하여 관리한다. 더욱이, 관리 대상 단말(10)의 정보, 유해 콘텐츠 처리 방법 등의 환경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30)는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4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연결 정보는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로써, 예를 들어,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와 전화번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관리 단말(20)은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대상 단말(10)과 연결되고,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단말(20)에 연결됨으로써, 유해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와 같은 정보를 송수신하고, 유해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리 서버(30)는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이 네크워크 환경에 따라 연결 정보 즉, IP 정보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최신의 연결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관리 단말(20)이나 관리 대상 단말(10)이 다른 네트워크 영역으로 이동되어 IP 정보가 변동되면, 유해 콘텐츠 분석앱 또는 유해 콘텐츠 관리앱은 네트워크 영역의 변경을 감지하여 관리 서버(30)에 자신의 변동된 IP 정보를 등록하게 되고 관리서버는 변동된 I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0)에 구비된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저장하여 최신의 연결 정보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최신의 연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은 상호 간의 통신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관리 서버(30)를 운용하는 관리자나 사용자의 선택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생성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저장부(42)에 저장한다.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는 유해 콘텐츠 관리앱의 재설치 등으로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삭제될 경우, 관리 대상 단말(10)의 분석 결과를 복구할 때 이용되거나, 분석 결과 통계 등의 추가 정보 제공에 활용된다.
데이터베이스부(40)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와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연결 정보 저장부(41) 및 관리 대상 단말(10)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분석 결과 저장부(42)를 포함한다.
앱업데이트 서버(50)는 관리 대상 단말(10)에 탑재된 유해 콘텐츠 분석앱과, 관리 단말(20)에 탑재된 유해 콘텐츠 관리앱을 업데이트한다. 특히, 유해 콘텐츠 분석앱과 유해 콘텐츠 관리앱의 응용프로그램이 기능상의 개선, 안정성 강화 등의 이유로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해당 앱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을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대상 단말이 유해 콘텐츠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관리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이 관리 대상 단말의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은 자신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3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30)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와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0)의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등록한다(S100).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 등록 과정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관리 서버(30)에 연결을 시도한다. 이는 유해 콘텐츠 분석앱에서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등 사용상의 편의상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서버(30)와 연결되면, 관리 대상 단말(10)의 등록메세지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S110). 이 때,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 간의 통신을 위해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의 전화번호 및 현재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를 관리 서버(30)에 전달한다.
관리 서버(30)는 관리 대상 단말(10)로부터 등록메세지를 전달받아 연결관리 데이터베이스부(40)에 해당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S112).
이후, 등록완료 메시지를 관리 대상 단말(10)에 전달(S114)하여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 등록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 등록 과정은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 등록과 유사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관리 단말(20)은 관리 서버(30)에 연결을 시도한다. 이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등 사용상의 편의상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관리 단말(20)은 관리 서버(30)와 연결되면, 관리 단말(20)의 등록메시지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S120). 이 때,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 간의 통신을 위해 관리 단말(20)은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의 전화번호와 현재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를 관리 서버(30)에 전달한다.
관리 서버(30)는 관리 단말(20)의 등록메시지를 전달받아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해당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다(S122).
이후, 관리 서버(30)는 등록완료 메시지를 관리 단말(20)에 전달(S124)하여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 등록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연결 정보 저장부(41)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전화번호,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 관리 단말(20)의 전화번호, 관리 단말(20)의 IP 정보 등을 서로 연관지어 관리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 정보는 유효 콘텐츠 분석앱과 유효 콘텐츠 관리앱의 최초 등록에도 등록되지만, 각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이 다른 네트워크 영역으로 이동되어 IP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마다 수행되어 항상 최신의 IP 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은 네트워크 영역을 이동하여 IP 정보가 변동되면, 관리 서버(30)에 자신의 변동된 네트워크 영역 변경에 따라 IP 정보를 새롭게 등록하고, 관리 서버(30)는 변동된 I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0)의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저장하여 연결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관리 대상 단말(10)과 관리 단말(20)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단말(20)과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가 등록되면, 다음으로 관리 대상 단말(10)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생성(S200)하고, 그 분석 결과를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단말(20)로 전달한다(S300).
참고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는 유해 또는 무해 콘텐츠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와, 콘텐츠 명 등이 포함된다.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관리 단말(20)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하는 과정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관리 대상 단말(10)은 콘텐츠 분석이 완료되면, 관리 대상 단말(10)의 전화번호 및 IP 정보를 획득하고(S302), 이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 즉, 전화 번호와 IP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하며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S304).
이때, 관리 서버(30)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를 요청한다(S306). 이 경우,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는 관리 단말(20)이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 영역에 따른 최신의 IP 정보이다.
연결 정보 저장부(41)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 중 전화번호와 IP 정보를 확인하여 이 연결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 서버(30)로 전달하고(S308), 관리 서버(30)는 연결 정보 저장부(41)로부터 받은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를 관리 대상 단말(10)에게 전달한다(S310).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관리 단말(20)의 IP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단말(20)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한다(S312).
이때, 관리 단말(20)은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받았음을 통지하는 알림을 표시하여(S314) 관리자가 관리 대상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관리 대상 단말(10)은 유해 콘텐츠를 자녀가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파일 항목을 확인할 때 리스트되지 않도록 한다. 즉, 유해콘텐츠로 판단된 콘텐츠는 관리 대상 단말(10)에서 리스트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는 파일로 처리된다.
또한, 관리 대상 단말(10)에서의 콘텐츠 분석 결과를 서버에 로깅하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 추가로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와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하고(S316), 관리 서버(30)는 해당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대상 단말(10)의 분석 결과를 분석 결과 저장부(42)에 전달하여 저장한다(S318).
이 경우, 분석 결과 저장부(42)는 관리 단말(20)에서 단말 부하 등을 고려하여 관리하지 않은 오래된 분석 결과 조회나 유해 콘텐츠 관리앱의 재설치 등으로 삭제된 분석 결과 복구시, 그리고 추가적인 분석 결과 통계 정보 제공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관리 단말(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단말(1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이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10)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콘텐츠를 제어 및 관리한다(S400). 이를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리 단말(20)은 유해 콘텐츠 관리앱에서 관리 메뉴가 실행되면, 현재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 즉 전화번호 및 IP 정보를 획득한 후, 이 관리 단말(20)의 전화번호와 IP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하고 관리 대상 단말(10)의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S402).
관리 서버(30)는 관리 단말(20)로부터 전달된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정보 저장부(41)에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를 요청한다(S404).
연결 정보 저장부(41)는 관리 단말(20)의 연결 정보 중 전화번호와 IP 정보를 확인하여 이들에 대응되는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를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S406).
관리 서버(30)는 연결 정보 저장부(41)로부터 받은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를 관리 단말(20)에게 전달한다(S408).
관리 단말(20)은 관리 서버(30)로부터 관리 대상 단말(10)의 IP 정보를 전달받으면, 관리 대상 단말(10)로부터 받은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콘텐츠에 대한 분석 일시, 분석 결과 통계 정보 등의 요약 정보를 확인하고, 콘텐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썸네일 정보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 정보 등을 통해 분석 결과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또한, 유해 콘텐츠로 오판된 무해 콘텐츠에 대해서는 접근 허가 처리 요청을 하고(S410), 접근 허가 처리 요청을 받은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대상 단말(10)에 없는 것처럼 처리되어 있는 유해 콘텐츠로 오판된 무해 콘텐츠를 파일 목록에서 리스트하고 접근을 허가한다(S412).
반면에, 무해 콘텐츠로 오판된 유해 콘텐츠에 대해서는 접근 통제 처리 요청을 하고(S414), 접근 통제 처리 요청을 받은 관리 대상 단말(10)은 관리 대상 단말(10)에 있는 무해 콘텐츠로 오판된 유해 콘텐츠를 파일 목록에서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고 관리 대상 단말(10)에서의 직접 접근하는 것을 통제한다(S416). 즉, 관리 대상 단말(10)에 없는 콘텐츠처럼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유해 콘텐츠로 판단된 유해 콘텐츠는 삭제 요청을 한다(S418). 이때, 삭제 처리 요청을 받은 관리 대상 단말(10)은 해당 유해 콘텐츠를 삭제한다(S42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관리 대상 단말 20: 관리 단말
30: 관리 서버 40: 데이터베이스부
41: 연결 정보 저장부 42: 분석 결과 저장부
50: 앱업테이트 서버

Claims (18)

  1.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와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된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전달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이 상기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는 무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유해 콘텐츠를 파일 항목에 리스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네트워크 영역 변동시마다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상기 관리 단말과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IP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등록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단말과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IP 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는 분석된 상기 콘텐츠의 총 개수, 음란성으로 분석된 콘텐츠 개수의 분석 통계 정보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썸네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관리 방법.
  11.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와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전달받으면, 상기 관리 서버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 대상 단말의 상기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관리 대상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한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유해 콘텐츠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무해 콘텐츠에 대한 접근 허가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은 네트워크 영역 변동시마다 상기 관리 단말의 연결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관리 대상 단말과 상기 관리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관리 단말의 IP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여 등록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대상 단말과 상기 관리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관리 단말의 IP 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는 분석된 상기 콘텐츠의 총 개수, 음란성으로 분석된 콘텐츠 개수의 분석 통계 정보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썸네일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관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요약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 내용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통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분석 결과의 오류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120015697A 2012-02-16 2012-02-16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KR20130101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97A KR20130101624A (ko) 2012-02-16 2012-02-16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US13/766,743 US20130218891A1 (en) 2012-02-16 2013-02-13 Control method for harmful contents in youth and teenag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97A KR20130101624A (ko) 2012-02-16 2012-02-16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624A true KR20130101624A (ko) 2013-09-16

Family

ID=4898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97A KR20130101624A (ko) 2012-02-16 2012-02-16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18891A1 (ko)
KR (1) KR20130101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2996A1 (ko) * 2014-07-03 2016-01-07 플러스기술 주식회사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 차단방법 및 차단장치,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자 단말,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및 피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7609B2 (en) * 2005-10-28 2008-11-2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services provided to shared plan subscribers
US7869792B1 (en) * 2007-03-13 2011-01-11 Sprint Spectrum L.P. Handset based dynamic parental controls
US7970388B2 (en) * 2007-04-01 2011-06-28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ommunications services with unified parental notification and/or control features
US8490176B2 (en) * 2009-04-07 2013-07-16 Juniper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US9208337B2 (en) * 2009-09-22 2015-12-08 Denise G. Tayloe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providing and identity and age-appropriate verification registry
KR101496632B1 (ko) * 2010-11-04 2015-03-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심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EP2737732A4 (en) * 2011-07-27 2015-02-18 Seven Networks Inc MOBILE DEVICE USE CONTROL IN A MOBILE NETWORK BY A DISTRIBUTED PROX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2996A1 (ko) * 2014-07-03 2016-01-07 플러스기술 주식회사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 차단방법 및 차단장치,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자 단말,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및 피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04600A (ko) * 2014-07-03 2016-01-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 차단방법 및 차단장치, 피보호자의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자 단말,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및 피보호자측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8891A1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030B1 (en) Dynamic security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19512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time sensitive application privileges on a wireless device
KR101605967B1 (ko) 어플리케이션 특성을 반영하여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91011A1 (en) Method for curing a virus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217852A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Server Therefor
JPWO2006001524A1 (ja) 移動端末、移動端末のリソース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移動端末におけるリソースアクセス制御方法
JP2008294976A (ja) 携帯端末、携帯端末管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保存方法
US793356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communication method to be used therein and program therefor
US9015791B2 (en) Method of managing web application policy using smart card, and web server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13504801A (ja) ドメイン管理を復元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549166B2 (en) Execution of unverified programs in a wireless, device operating environment
KR100642998B1 (ko) 단말의 정책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정책메시지 전송방법
CN109508516A (zh) 文件处理方法、终端、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B2353918A (en) Access right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801928B2 (en)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pparatus,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provision of a dictionary
US20090150979A1 (en) Network system, network method, and terminal and program therefor
KR20130101624A (ko) 유해 콘텐츠 원격 관리 방법
KR20220023963A (ko) 사용자 장치의 원격 관리
JP2017500642A (ja) ポリシー制御機能の管理メカニズム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104618A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718286B2 (ja) 通信端末、更新サーバ、放送局サーバ、通信端末制御方法、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JP4336899B2 (ja) 携帯端末装置、課金管理プログラム
KR101217240B1 (ko) 사용자 도메인 관리를 위한 도메인 정책 전송방법
JP2005250779A (ja) 属性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属性提供方法
US20110093935A1 (en) Control over access to device management tree of device management cl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