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458A -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458A
KR20130099458A KR1020120020992A KR20120020992A KR20130099458A KR 20130099458 A KR20130099458 A KR 20130099458A KR 1020120020992 A KR1020120020992 A KR 1020120020992A KR 20120020992 A KR20120020992 A KR 20120020992A KR 20130099458 A KR20130099458 A KR 2013009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olar
blind
pow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497B1 (ko
Inventor
박종복
Original Assignee
박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복 filed Critical 박종복
Priority to KR102012002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4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용량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고, 일부 슬랫이 소손되어도 다른 슬랫의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지속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가 양단에 구비된 헤드와, 상기 헤드와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및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과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은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되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태양전지 단자가 양 단에 구비된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태양전지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된 슬랫 프레임 및 상기 슬랫 프레임을 커버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을 보호하는 투명강화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 전선은 상기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된 태양전지 리드선과 서로 같은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Solar Power Generating Blind}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하기 위하여 창문이 설치된 장소에 태양광 창호를 설치할 수 있는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창호 자체를 태양전지로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기존건물에 적용시는 설치된 창문를 뜯어내고 일체화된 태양광 창호을 설치해야 하며, 창호를 전부 막을수 없어 일부 전지와 전지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빛이 들어와 내부 거주자에게 눈부심을 주어 불쾌감과 시력의 감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지를 더욱 미세하게 쪼개어 태양광전지 창호를 개발하여 사용하지만 태양광 전체 중 일부만을 실내로 끌어 들여 내부거주자에게 흐린날씨를 연상하게 하고 조망권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중 창 내에 고정된 블라인드 슬랫을 설치하여 사용하지만 이 또한 내부 거주자가 원하는 때에 밖을 보고자 하지만 블라인드 슬랫이 고정되어 있어 조망을 해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은 모두 창호 자체를 태양광발전시스템으로 활용하므로 매우 고가이며 기존 건물의 창호에 사용시는 기존 창호를 철거하고 설치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고, 비가 오는 등 외부환경이 불량할 경우는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2516호는 종래의 블라인드 슬랫에 박막형의 태양전지필름을 부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블라인드용 착탈식 태양광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블라인드 상호간의 전기적 접속이 없어 매우 소량의 전력만을 생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 충전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내 화재시나 비상시에 기존 고정된 창호형태양광발전의 경우는 창호를 깨뜨려야 하며 이 경우에 태양전지 창호에서는 발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사람이 이를 접촉시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대용량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고, 일부 슬랫이 소손되어도 다른 슬랫의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지속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가 양단에 구비된 헤드와, 상기 헤드와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및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과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은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되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태양전지 단자가 양 단에 구비된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태양전지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된 슬랫 프레임 및 상기 슬랫 프레임을 커버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을 보호하는 투명강화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 전선은 상기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된 태양전지 리드선과 서로 같은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리드선과 인출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선 콘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외부로 인출되거나 다른 태양전지 셀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류 다이오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셀은 복수개의 셀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셀은 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의하면, 대용량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고, 일부 슬랫이 소손되어도 다른 슬랫의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지속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며, 전력계통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력 요금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기존 창문을 분해하지 않으며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용전원의 정전시에도 발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규모 건축물에는 분산전원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입가격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공사기간이 짧으며, 거주자의 조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의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와, 복수개의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 및 인출 전선(300)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100)는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110)가 양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단자(110)에 연결되는 헤드 전선(1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100)는 권취기(130)와, 권취기 롤러(140)와, 헤드 덮개(150)와, 헤드 브라켓 레일(160) 및 헤드 브라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기(130)는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이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고, 상기 권취기 롤러(140)는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랫 조절로프(500)를 레일에 걸어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덮개(150)는 상기 헤드(100)의 내부공간을 막기 위해 양 끝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 브라켓 레일(160) 및 헤드 브라켓(170)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1)를 조영재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은 상기 헤드(100)와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에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210)과, 슬랫 프레임(220) 및 투명강화필름(23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 셀(210)은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되,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태양전지 단자가 양 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21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태양전지 리드선(211)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 셀(210)은 결정질의 태양광 전지로서 태양광의 일사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 셀(210)은 복수개의 셀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셀은 셀 전선(2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 셀(210)은 역전류 다이오드(213)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전류 다이오드(222)는 상기 태양전지 셀(210)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 외부로 인출되거나 다른 태양전지 셀(210)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역전류 다이오드(213)를 각각의 태양전지 셀(210)에 부착함으로써 복수개의 태양전지 셀(210) 중 일부의 태양전지 셀(210)에서 그림자 또는 소손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태양전지 셀(210)에서 지속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슬랫 프레임(220)은 상기 태양전지 셀(210)이 안착되는 셀 안착홈(221)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안착홈(221)은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예를 들어, 2개의 셀을 셀 전선(212)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형성한 경우, 상기 셀 안착홈(221)은 상기 태양전지 셀(2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랫 프레임(220)은 리드선 가이드 홀(22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리드선 가이드 홀(222)은 상기 태양전지 리드선(211)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투명강화필름(230)은 상기 슬랫 프레임(220)을 커버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강화필름(230)은 상기 슬랫 프레임(220) 내의 부품들을 고정시키면서 습기, 먼지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보호할 수 있는데, 상기 투명강화필름(230)을 상기 슬랫 프레임(220)의 상부에 붙여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 셀(21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인출 전선(300)은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과 헤드 단자(110)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 전선(300)은 유연하게 구부려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된 태양전지 리드선(211)과 서로 같은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110)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21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인출 전선(300)은 (+)극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된 태양전지 리드선(211)과 (+)극 헤드 단자(110)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21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 전선(300)은 상기 헤드 단자(11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헤드 단자(110)에 연결된 헤드 전선(1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1)는 전선 콘넥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콘넥터(400)는 상기 태양전지 리드선(211)과 인출 전선(3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2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대용량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고, 일부 슬랫이 소손되어도 다른 슬랫의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아 지속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므로 전력 요금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상용전원의 정전시에도 발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건축물에는 분산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는 구입가격 및 설치비가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공사기간이 짧으며, 거주자의 조망을 해치지 않으면서 눈부심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100:헤드 110:헤드 단자
120:헤드 전선 200: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210:태양전지 셀 211:태양전지 리드선
212:셀 전선 213:역전류 다이오드
220:슬랫 프레임 221:셀 안착홈
222:리드선 가이드 홀 230:투명강화필름
300:인출 전선 400:전선 콘넥터
500:슬랫 조절로프

Claims (4)

  1.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가 양단에 구비된 헤드;
    상기 헤드와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및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과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은,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되,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태양전지 단자가 양 단에 구비된 태양전지 셀;
    상기 태양전지 셀이 안착되는 셀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된 슬랫 프레임; 및
    상기 슬랫 프레임을 커버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을 보호하는 투명강화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 전선은 상기 태양전지 단자에 연결된 태양전지 리드선과 서로 같은 극을 가지는 헤드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리드선과 인출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선 콘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태양광 블라인드 슬랫 외부로 인출되거나 다른 태양전지 셀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류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복수개의 셀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셀은 셀 전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20120020992A 2012-02-29 2012-02-2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136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92A KR101364497B1 (ko) 2012-02-29 2012-02-2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92A KR101364497B1 (ko) 2012-02-29 2012-02-2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458A true KR20130099458A (ko) 2013-09-06
KR101364497B1 KR101364497B1 (ko) 2014-04-03

Family

ID=4945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92A KR101364497B1 (ko) 2012-02-29 2012-02-2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4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09A1 (en) * 2018-07-13 2020-01-16 Lg Electronics Inc. Solar power generator and solar power generating blind
KR102160460B1 (ko) * 2020-04-14 2020-09-28 주식회사 롤크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JP2022526774A (ja) * 2020-02-17 2022-05-26 横店集団東磁股▲ふん▼有限公司 ブラインド太陽光発電羽根
KR20220108429A (ko) 2021-01-27 2022-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태양광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062B1 (ko) * 2017-06-01 2021-01-2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2153047B1 (ko) * 2017-06-01 2020-09-07 (주)엘지하우시스 전극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날개
KR102206065B1 (ko) 2017-06-01 2021-01-2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KR102164582B1 (ko) 2017-06-01 2020-10-12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102078548B1 (ko) * 2018-09-18 2020-02-18 박종선 모듈형 차광 블레이드부를 갖는 자가 발전형 블라인드
KR102382575B1 (ko) 2018-11-27 2022-04-04 (주)엘엑스하우시스 태양광 블라인드 전기 커넥터 연결구조
KR102181471B1 (ko) * 2018-12-24 2020-11-2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1501A (ja) * 2008-07-14 2010-01-28 Mitsubishi Chemicals Corp ブラインド用太陽電池パネル及びブラインド
KR20100072957A (ko) * 2008-12-22 201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블라인드 장치
KR20110087202A (ko) * 2010-01-25 2011-08-02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
KR100984703B1 (ko) * 2010-02-10 2010-10-0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태양광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블라인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09A1 (en) * 2018-07-13 2020-01-16 Lg Electronics Inc. Solar power generator and solar power generating blind
JP2022526774A (ja) * 2020-02-17 2022-05-26 横店集団東磁股▲ふん▼有限公司 ブラインド太陽光発電羽根
KR102160460B1 (ko) * 2020-04-14 2020-09-28 주식회사 롤크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KR20220108429A (ko) 2021-01-27 2022-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태양광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497B1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97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1573058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KR100923219B1 (ko)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US20030098056A1 (en) Window structure with photovoltaic panel
CN202249686U (zh) 薄膜电池太阳能发电外遮阳帘
KR20130059170A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10112368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KR100735101B1 (ko) 단자박스가 일체화된 발코니형 태양전지모듈
KR101690678B1 (ko) 태양광 발전 창호
KR101633825B1 (ko) 발코니에 설치되는 좌우 회전식 비아이피브이 모듈
WO2012157964A1 (ko) 블라인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블라인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발광 및 발열 장치
JP2011157729A (ja) 太陽電池縦型ブラインド
JP2022526774A (ja) ブラインド太陽光発電羽根
CN202391183U (zh) 太阳能停车棚
KR10119333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창문형 전력발생장치
KR20140141763A (ko)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CN104790599A (zh) 一种阳台用光伏雨篷装置
CN207526386U (zh) 一种多功能中空玻璃窗户
KR101935812B1 (ko) Bipv 창호 시스템
CN108999554A (zh) 一种太阳能蓄能型直条式电动百叶
KR101557740B1 (ko) 발전효율 및 채광성을 고려한 발코니형 상하 회전식 비아이피브이 모듈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CN104375513A (zh) 一种分布式光伏发电矩阵及其整体调节装置
KR20170052125A (ko) 태양광 전지판을 일체로 한 블라인드
CN209799192U (zh) 一种太阳能电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