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938A -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938A
KR20130098938A KR1020130022325A KR20130022325A KR20130098938A KR 20130098938 A KR20130098938 A KR 20130098938A KR 1020130022325 A KR1020130022325 A KR 1020130022325A KR 20130022325 A KR20130022325 A KR 20130022325A KR 20130098938 A KR20130098938 A KR 2013009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belino
corneal dystrophy
test
avell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
윤정국
Original Assignee
(주)아벨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벨리노 filed Critical (주)아벨리노
Publication of KR2013009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이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의 서명란을 통하여 서명을 받고, 전자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전자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Method for Applying Diagnosis and Identifying Results of Avellino Corneal Dystrophy}
본 발명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막이상증(corneal dystrophy)은 각막 중심에 혼탁이 발생하여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혼탁이 많아져서 시력이 감소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Avellino corneal dystrophy), 과립형각막이영양증(Granular corneal dystrophy), 라티스 타입 I 각막이영양증(lattice type I corneal dystrophy) 및 레이스버클러스 I 각막이영양증(Reis-bucklers corneal dystrophy) 등이 있으며, βIG-H3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 중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환자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형접합체(heterozygote)는 시력의 상당한 손실을 보이고, 동형접합체(homozygote)의 경우에는 6세부터 실명한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기존에 과립형 각막이영양증으로 통칭되었던 질환이나 유전자 차이가 발견되어 1988년 분리되어 새로이 명명된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각막 이영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자 검사결과 국내에 1/340~1/1,000 사이의 유병율(heterozygote의 경우)로 상당히 흔한 질환이다 (Holland, E.J. et al., Ophthalmology, 99:1564, 1992; Kennedy, S.M. et al., Br. J. Ophthalmol., 80:489, 1996; Dolmetsch, A.M. et al., Can. J. Ophthalmol., 31:29, 1996; Afshari, N.A. et al., Arch. Ophthalmol., 119:16, 2001; Stewart, H.S. Hum. Mutat., 14:126, 1999).
본 발명자들은 이형접합체의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환자가 라식수술을 받으면 약 2년 후부터 각막 혼탁이 급격히 증가하여 실명한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Jun, RM et al., Ophthalmolgy, 111:463, 2004). 이 전에는 라식 또는 엑시머 레이저 수술이 각막이영양증 환자의 혼탁을 없앨 것이라는 예측 하에 많은 시술이 이루어 졌으며, 국내 그간 시술된 라식수술은 약 30만건으로 추정되는 바, 국내의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의 이형접합자의 빈도를 최소한 계산치인 1/1,000로 보더라도 300명이 시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또한, 2000년 이후 라식수술의 시술허가가 공표된 미국의 경우 흑인들에서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환자의 라식수술에 의한 실명이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전세계적으로 많은 환자가 시술 받은 후 병이 진행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라식수술의 시술 전에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수행하여, 라식수술에 의한 증상 진행을 방지하여야 하나, 기존의 안과에서는 안과의사가 현미경으로 안구 혼탁을 검사하는 것만으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을 진단하고 있어, 증상이 진행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는 발견하지 못하고, 라식수술을 시행하여 실명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각막이영양증의 진단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써, 신청서에 직접 서명을 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신청서를 읽고, 서명입력 보조장치에 서명을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신청서나 결과서를 우편으로 송수신하거나 스캐너로 신청서나 결과서를 전자 파일화시킨 다음 송수신해야 하기에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보조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구입하는데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고, 서명입력 보조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서만 검사를 신청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고, 로그인한 다음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에 직접 서명할 경우, 우편이나 서명입력 보조장치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및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결과 확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의 서명란을 통하여 서명을 받고, 전자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와 작성된 동의서의 신청 시 생성되는 의뢰서 전자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를 전송받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 확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블릿 컴퓨터에서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를 표시한 화면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를 전송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전송받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를 표시한 화면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인트로 화면 및 메인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를 표시한 화면의 사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의뢰서를 전송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전송받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를 표시한 화면의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flow chart)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인트로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서브메인 페이지로 연결되며 지금까지의 ㈜아벨리노에서 진행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수와 검사결과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서브메인 페이지에서 로그인 및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회원가입 신청 후 검사기관에서 동의서작성, 동의서관리, 의뢰서작성, 의뢰서관리, 결과확인 등 모든 작업수행이 가능한 운영자 혹은 동의서작성만 가능한 부운영자로 권한이 구분된 등급을 적용한 후 회원가입을 승인한다. 승인 이후 로그인하면 해당 병원에서 검사신청된 건 중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의서 등록을 터치한 후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작성된 동의서는 동의서 관리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뢰서 등록을 터치하여 동의서 작성된 의뢰가능 검체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검체목록의 체크박스를 이용하여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를 신청할 검체를 선택하고 등록을 터치하면 해당 목록이 의뢰서 관리 페이지로 이동하면서 ㈜아벨리노로 검사신청이 완료된다. 이후 의뢰서 관리 페이지에서 검사신청된 검체목록을 볼 수 있으며 이 목록은 검사진행 후 결과전송이 완료되면 의뢰서 관리 페이지에서 제외된다. 검사결과를 터치하면 해당 병원에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를 신청한 검체 중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최근 3개 검체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고, 검사가 신청되었던 전체 검체의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 공지사항을 터치하여 ㈜아벨리노의 소식을 알 수 있으며, 자료실에는 ㈜아벨리노에서 제공하는 논문 등의 자료를 볼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과 트위터에도 연결 가능하다.
본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은 아이패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누구든지 어플리케이션 마켓 중 앱스토어를 통하여 무상으로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3에서 나타내는 절차흐름도와 같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의 서명란을 통하여 서명을 받고, 전자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 전자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블릿 컴퓨터에서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시킬 경우, 아벨리노 소개, 동의서 작성, 의뢰서 전송 및 결과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아벨리노 소개 탭을 터치함으로써,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동의서 작성 탭을 터치함으로써, 로그인 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에 서명할 수 있으며, 의뢰서 전송 탭을 터치함으로써,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결과 확인 탭을 터치함으로써,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결과를 전송받고,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4가지 기능 중 아벨리노 소개 기능 이외의 동의서 작성, 의뢰서 전송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아벨리노 소개 탭을 터치하면 AGDS(Avellino Gene Detection System) 검사의 정의(A), 검사의 필요성(B), 검사과정(C), 검사의 정확도(D)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동의서 작성 탭을 터치하면 도 3과 같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로그인을 위해서는 먼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등록절차를 거치면 자유롭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등록시킨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에 성공하면, 도 4와 같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유전자 검사 동의서) 화면이 표시되고, 이는 검사대상물의 처리방법, 보존시 검사 대상물의 보존기간, 본래 목적 외로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때에 개인정보 포함여부 등에 대한 확인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하단에는 서명란이 있으며, 서명란 화면을 터치하면 사인 입력 창이 나타나는데, 상기 사인 입력 창에 서명을 하면 상기 서명란에 서명이 입력된다.
서명이 이루어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는 전자 파일로 저장되며, 한번 저장된 전자 파일은 열람이나 복사는 가능하지만 편집이나 수정은 되지 않는 읽기전용 문서 형태이거나, 암호화되어 있어 편집이나 수정할 수 없도록 저장된다. 상기 암호화는 랜덤으로 암호가 자동 형성되므로, 문서의 내용을 임의로 편집이나 수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의뢰서 전송 탭을 터치하면 도 5와 같이 의뢰서 전송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의뢰서 전송 화면에는 샘플 ID, 신청자, 검사코드, 등록일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작성된 동의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화면에 표시된 "작성완료" 버튼을 터치하면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가 웹서버로 전송된다.
이미 전송된 목록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등록되어 있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가 없을 경우, "등록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가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및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결과를 전송받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서버로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가 전송되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기관에서는 신청자의 검체(혈액, 모근, 구강상피세포 등)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DNA로 유전자 검사를 수행한 다음 검사 결과를 상기 웹서버에 업로드시킨다. 상기 신청자의 검체(혈액, 모근, 구강상피세포 등)는 병원에서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전송 후, 채취하여 상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기관으로 발송될 수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 검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결과 확인 탭을 터치하면 도 3과 같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로그인을 위해서는 먼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등록절차를 거치면 자유롭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등록시킨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에 성공하면,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결과를 전송받은 후, 도 6의 (A)와 같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 검사결과 목록을 표시한 화면이 표시되고, 목록중에서 특정 샘플을 선택하면 (B)와 같이 샘플정보, 실험정보, 판정기준,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태블릿 컴퓨터에서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나타나는 인트로 화면(A) 및 메인 화면(B)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시킬 경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의뢰, 검사결과 및 공지사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탭을 터치함으로써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검사의뢰 탭을 터치하고 하부메뉴의 동의서 등록을 터치함으로써 로그인 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에 서명할 수 있고,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는 하부메뉴 중 의뢰서 등록 탭을 통하여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검사결과 탭을 터치함으로써 웹서버에서 전송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4가지 기능 중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기능 이외의 검사의뢰 기능, 검사결과 기능 및 공지사항 하부메뉴 중 검사실 공지사항, 자료실 기능은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탭을 터치하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소개(A), 검사를 하는 이유(B), AGDS™ 소개(C)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검사의뢰 탭을 터치하면 도 9와 같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로그인을 위해서는 먼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등록절차를 거치면 자유롭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등록시킨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에 성공하면, 도 10과 같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 화면이 표시되고, 이는 검사대상물의 처리방법, 보존시 검사 대상물의 보존기간, 본래 목적 외로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때에 개인정보 포함여부 등에 대한 확인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하단에는 서명란이 있으며, 서명란 화면을 터치하면 사인 입력 창이 나타나는데, 상기 사인 입력 창에 서명을 하면 상기 서명란에 서명이 입력된다.
서명이 이루어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는 전자 파일로 저장되며, 한번 저장된 전자 파일은 열람이나 복사는 가능하지만 편집이나 수정은 되지 않는 읽기전용 문서 형태이거나, 암호화되어 있어 편집이나 수정할 수 없도록 저장된다. 상기 암호화는 랜덤으로 암호가 자동 형성되므로, 문서의 내용을 임의로 편집이나 수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검사의뢰 탭을 터치하고 하부메뉴 중 동의서 관리 탭을 터치하면 작성된 동의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뢰서 등록 탭을 터치하면 도 11과 같이 의뢰서 내용을 확인하고 전송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의뢰서 등록 화면에는 등록번호, 의뢰자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화면 하단의 '등록' 탭을 터치하면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 및 의뢰서가 웹서버로 전송된다. 전송완료된 의뢰서 목록이 구현되는 의뢰서 관리 탭을 터치하면 검사코드, 등록일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의뢰서 등록 메뉴에서 이미 전송된 목록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등록되어 있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가 없을 경우, "유전자 검사 동의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구가 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및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결과를 전송받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결과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서버로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가 전송되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 기관에서는 신청자의 검체(혈액, 모근, 구강상피세포 등)로부터 DNA를 추출하고, DNA로 유전자 검사를 수행한 다음 검사 결과를 상기 웹서버에 업로드시킨다. 상기 신청자의 검체(혈액, 모근, 구강상피세포 등)는 병원에서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 및 의뢰서를 전송 후, 채취하여 상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 기관으로 발송될 수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 검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에서 검사결과 탭을 터치하면 도 3과 같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로그인을 위해서는 먼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등록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상기 등록절차를 거치면 자유롭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등록시킨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로그인에 성공하면,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 결과를 전송받은 후, 도 12의 (A)와 같이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 검사결과 목록을 표시한 화면이 표시되고, 목록중에서 특정 샘플을 선택하면 (B)와 같이 샘플정보, 실험정보, 판정기준, 검사결과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 3-Tier 구조인 클라이언트, 미들웨어, 서버 단계로 구성되었다.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중간계층인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두고 프리젠테이션 로직과 데이터베이스를 미들웨어로 연결하는 형태를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리젠테이션 로직에 XML 서비스를 적용하여 클라이언트단에서 받는 부하를 분산하고 성능향상을 이루었다. 트렌잭션 처리도 미들웨어에서 검증하여 데이터중복이나 무결점 체크를 하고 데이터의 검증화를 처리하였다. 또한 개발도구로는 Xcode 4.2를, 개발언어로는 PHP, objective C++, Mysql, 혹은 XML을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이 구동되는 OS는 iOS 6.0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a)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을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b)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의 서명란을 통하여 서명을 받고, 전자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전자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이 이루어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서 전자 파일은 열람이나 복사는 가능하지만 편집이나 수정은 되지 않는 읽기전용 문서 형태이거나, 암호화되어 있어 편집이나 수정할 수 없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랜덤으로 암호가 자동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5. (a)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b)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휴대용 전자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의 서명란을 통하여 서명을 받고, 전자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명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와 작성된 동의서의 신청 시 생성되는 의뢰서 전자 파일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이 이루어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동의서 전자 파일은 열람이나 복사는 가능하지만 편집이나 수정은 되지 않는 읽기전용 문서 형태이거나, 암호화되어 있어 편집이나 수정할 수 없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랜덤으로 암호가 자동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방법.
  9. (a)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진단검사를 신청하고,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실행하는 단계;
    (b) "아벨리노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는 단계; 및
    (c) 웹서버로부터,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결과를 전송받고,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결과 확인방법.
KR1020130022325A 2012-02-28 2013-02-28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KR20130098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0514 2012-02-28
KR1020120020514 2012-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38A true KR20130098938A (ko) 2013-09-05

Family

ID=4908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325A KR20130098938A (ko) 2012-02-28 2013-02-28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진단검사 신청 및 결과 확인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00338A1 (ko)
KR (1) KR20130098938A (ko)
WO (1) WO20131298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713A (en) * 1997-04-09 2000-01-25 Coli; Robert D.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and cumulative results reporting of medical tests
US6171112B1 (en) * 1998-09-18 2001-01-09 Wyngat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informed consent
US8438042B2 (en) * 2002-04-25 2013-05-07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obtaining informed consent to genetic tests
WO2005047534A2 (en) * 2003-10-28 2005-05-26 Bayer Healthcare A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response prediction of malig-nant neoplasia to treatment
JP2007148757A (ja) * 2005-11-28 2007-06-14 Ssb:Kk 申請書電子署名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70115107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KR20110134532A (ko) * 2010-06-09 2011-12-15 정미희 대학 병원 실시간 통합 정보 검색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876A1 (ko) 2013-09-06
US20150100338A1 (en)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edicine,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role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potential and promise in pathology: present and future impact, obstacles including costs and acceptance among pathologists, practical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A comprehensive review
Coudray et al. Classification and mutation prediction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histopathology images using deep learning
Bui et al. Quantitative image analysis o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immunohistochemistry for breast cancer: Guideline from the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Schilsky Implementing personalized cancer care
Pantanowitz et al. Validating whole slide imaging for diagnostic purposes in pathology: guideline from the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Pathology and Laboratory Quality Center
Zicari et al. Co-design of a trustworthy AI system in healthcare: deep learning based skin lesion classifier
Wecker et al. Anti-VEGF injection frequency correlates with visual acuity outcomes in pro re nata neovascular AMD treatment
Daya Pitfalls in the design and analysis of efficacy trials in subfertility: Associate editor’s commentary: on the article ‘Common statistical errors in the design and analysis of subfertility trials’ by A. Vail and E. Gardner.
Schoemans et al. The eGVHD App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aft-versus-host disease assessment: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urner et al. Design and preliminary recruitment results of the Cluster randomised triAl of PSA testing for Prostate cancer (CAP)
Muse et al. Impact of polygenic risk communication: an observational mobile application-based coronary artery disease study
Aboy et al. How does emerging patent case law in the US and Europe affect precision medicine?
Wu et al. Automated causal inference in application to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Weenink et al. Getting back on track: a systematic review of the outcomes of remedia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mes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performance concerns
Chung et al. Rare versus common diseases: a false dichotomy in precision medicine
Petracci et al. Use of real-world evidence for oncology clinical decision making in emerging economies
Jacob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djustment disorders, and somatoform disorders in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Germany
Tembuyser et al. Endorsing good quality assurance practices in molecular pathology: risks and recommendations for diagnostic laboratories and external quality assessment providers
Weckbach et al. Association of Complement and MAPK Activation With SARS-CoV-2–Associated Myocardial Inflammation
Browman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personalized medicine’research and practice: through an ethical lens
US201903554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pert system for precision oncology
Boquimpani et al. Inclusion of molecular monitoring (BCR-ABL1) in the treatment of chronic myeloid leukemia in the Brazilian Public Health System (SUS): an urgent need for treatment management
Pearson et al. National nephrectomy registries: Reviewing the need for population-based data
Selvan et al. The state of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for pediatric patients with inherited retinal disease
Son et al. Completeness of pedigree and family cancer history for ovarian cancer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