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882A -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882A
KR20130097882A KR1020120019517A KR20120019517A KR20130097882A KR 20130097882 A KR20130097882 A KR 20130097882A KR 1020120019517 A KR1020120019517 A KR 1020120019517A KR 20120019517 A KR20120019517 A KR 20120019517A KR 20130097882 A KR20130097882 A KR 2013009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nanoparticles
primary
glycol
ferrite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084B1 (ko
Inventor
곽승엽
유병용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0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지지체의 사용이 배제된 방법으로서 시간/에너지 소모적이지 않고 제조공정이 간편하며, 이에 의해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는 고온 안정성, 높은 기공도, 넓은 비표면적, 좁은 크기 분포, 바람직한 형태학적 특성(예를 들어, 구형), 자기장을 이용한 손쉬운 회수 방법 및 다수의 활성화 자리를 지님으로 인해 에너지, 환경, 바이오 및 촉매 분야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Ferrite nanocrystal clu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 산화물의 하나인 페라이트는 일반적으로 MFe2O4(M: Co2 +, Ni2 +, Mn2 +, Cu2 +, Zn2+ 등)의 화학식을 가지며 CCP(cubic closest packing)로 가장 조밀하게 쌓인 산소(O2 -)의 사면체 공간(tetrahedral hole)과 팔면체 공간(octahedral hole)에 반대 전하의 이온 Fe3 + 또는 M2 + 원자들이 들어가 안정한 구조를 형성하여 스피넬(spinel) 결정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수한 자기적 및 특징적인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짐으로써 전자기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약품 전달체, 촉매, 리튬 2차 전지, 센서 등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메조기공의 페라이트 물질은 2 내지 50 nm 크기의 기공을 갖는 물질로서 단위 부피당 높은 비표면적을 가짐으로써 바이오, 촉매, 선택적 흡착, 태양전지, 가스 분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메조기공의 페라이트 물질은 일반적으로 고분자, 활성탄소, 기공성 실리카 등과 같은 지지체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지지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은 지지체의 화학적/구조적 특징에 의존적이며, 반응 후 지지체의 제거를 위한 후처리 공정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메조기공의 페라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지지체가 배제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체-배제(template-free) 방법을 사용하여 손쉽고 환경 친화적으로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평균입경이 약 3 내지 약 10 n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nm인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 2 내지 50 nm의 메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S1) 이원계 페라이트 전구체로서 2가 양이온을 갖는 수화물 및 3가 양이온을 갖는 철 수화물을 액상의 글라이콜에 분산시켜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S2)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을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표면에 배위시켜 정전기적 척력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균입경이 약 3 내지 약 10 n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nm인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 2 내지 50 nm의 메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지지체의 사용이 배제된 방법으로서 시간/에너지 소모적이지 않고 제조공정이 간편하며, 이에 의해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는 고온 안정성, 높은 기공도, 넓은 비표면적, 좁은 크기 분포, 바람직한 형태학적 특성(예를 들어, 구형), 자기장을 이용한 손쉬운 회수 방법 및 다수의 활성화 자리를 지님으로 인해 에너지, 환경, 바이오 및 촉매 분야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 과정 및 그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적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X-선 분말회절(XRD) 분석 결과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전계방출주사 전자현미경분석 이미지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투과전자현미경분석(HR-TEM) 이미지 및 이를 통해 확인한 결정상 이미지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에너지 분산 분광법(EDS) 결과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 입자크기를 동적 광 산란법(DLS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질소 흡탈착곡선 BET 및 BJH 방법을 이용한 비표면적 분석 및 기공크기분포 결과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 측정 결과이다.
도 9a 및 도 9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자기장 하에서의 거동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는 메조기공이 존재한다.
도 1은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를 나타내는 개략적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서로 응집되어 형성한다.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약 3 내지 약 10 n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nm이다. 이러한 범위의 평균입경을 갖는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목적하는 집합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 메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그 사이에 2 내지 50 nm 크기의 기공 및 100 내지 200 m2/g의 나노입자 BET 비표면적을 가짐으로 인해, 다수의 활성화 자리를 가짐과 더불어 자기장을 이용한 손쉬운 회수로 인해 에너지, 환경, 바이오 및 촉매 분야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구형(球形)의 집합체일 수 있으며, 여기서 구형이라는 것은 각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1인 완전한 구체와 더불어 각 단면의 종횡비가 2 이하인 타원형 구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고용(固溶)된 원소는 Ni, Co, Zn, Mn 및 M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의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전술된 크기의 입자들이 응집된 균일한 구형의 집합체로서 특정 범위의 메조기공 크기 및 BET 비표면적을 가짐으로 인해 그의 특유한 물성을 충분히 발현하여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에너지, 환경, 바이오 및 촉매 등의 여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방법은 지지체 사용이 배제된(template-free) 방법이다. 이는 브라우니언 운동(Brownian motion), 전자기적 힘,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호작용, 단거리(short-range) 척력 등의 작용에 의한 일차 나노입자의 자기조립(self-assembly)을 바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손쉽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일 것이다(문헌 [A. P. Alivisatos, Science, 2000, 289, 736]; [C. Pacholski, A. Kornowski and H. Weller, Angew. Chem., Int. Ed., 2002, 41, 1188]; [J. Xie, Q. Zhang, W. Zhou, J. Y. Lee and D. I. C. Wang, Langmuir, 2009, 25, 6454]; [J. Liu, F. Liu, K. Gao, J. Wu and D. Xue, J. Mater. Chem., 2009, 19, 6073] 참고).
이와 관련하여,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방법은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형성 단계(S1) 및 정전기적 척력의 부여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에서, 이원계 페라이트 전구체로서 2가 양이온을 갖는 수화물 및 3가 양이온을 갖는 철 수화물을 준비한다. 상기 2가 양이온을 갖는 수화물은 NiCl2, CoCl2, ZnCl2, MnCl2 및 MgCl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3가 양이온을 갖는 철 수화물은 Fe(OEt)3, FeSO4, Fe(NO3) 및 FeCl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2가 양이온을 갖는 수화물과 상기 3가 양이온을 갖는 철 수화물은 환원제인 글라이콜 중에 분산시켜서 일차 나노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페라이트 전구체 나노입자는 출발 반응으로서 균질한 중축합 및 가수분해 공정을 통해 합성되었다. 상기 균질한 중축합 공정은 핵형성(nucleation) 및 성장(growth) 과정을 포함한다. 나노입자의 지지체-배제 자기조립에서는 인력과 척력의 균형을 통해 강한 표면 장력으로 인한 나노입자의 응집을 초래한다. 즉, 표면 장력은 나노입자를 일정 배향으로 응집시켜서 매우 작은 하위 단위체들의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한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키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들 구체는 다공성이 되고, 결국 큰 구형 페라이트 집합체가 형성하게 된다.
글라이콜은 예컨대 은, 금, 니켈 및 철 산화물 나노입자 합성의 폴리올 공정에서도 환원제로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왔다. 글라이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소수 2 내지 8의 다이-알코올(di-alcohol)계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다이-알코올계 물질은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뷰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문헌 [Y. G. Sun and Y. N. Xia, Science, 2002, 298, 2176]; [L. S. Zhong, J. S. Hu, H. P. Liang, A. M. Cao, W. G. Song and L. J. Wan, Adv. Mater., 2006, 18, 2426]; [D. B. Wang, C. X. Song, Y. H. Zhao and M. L. Yang, J. Phys. Chem. C, 2008, 112, 12710]; [N. Wang, X. Cao, D. S. Kong, W. M. Chen, L. Gu and C. P. Chen, J. Phys. Chem. C, 2008, 112, 6613]; [S. E. Skrabalak, B. J. Wiley, M. Kim, E. V. Formo and Y. Xia, Nano Lett., 2008, 8, 2077] 참고).
S2 단계에서,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을 상기 일차 나노입자의 표면에 배위시켜 정전기적 척력을 부여한다. 상기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은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를 작은 크기(약 3 내지 약 10 n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 nm, 예컨대, 7 nm)에서 안정화시키며 더욱 큰 크기의 나노입자로의 성장을 막는다. 상기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은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 사슬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그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세트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뷰티르산 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은 이의 농도가 증가되면, 다수의 이들 분자들이 개별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표면에 흡착되며, 이로 인해 인접하는 일차 입자들 사이의 정전기 척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며, 직경 약 10 nm의 페라이트가 구형의 응집 없이 무작위적으로 분포하게 된다. 반면, 이의 농도가 감소되는 경우에는 크기 약 100 nm의 불규칙한 페라이트 응집체들이 형성하게 된다.
상기 S1 단계의 반응 온도는 예컨대 30 내지 50℃일 수 있고, 상기 S2 단계의 반응 온도는 예컨대 150 내지 200℃일 수 있으며, 상기 온도는 혼합물의 분산 및 일차 나노입자의 결정상 형성을 고려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예컨대 2 내지 50 nm의 균일한 기공을 지니며 넓은 비표면적의 고활성 메조기공 페라이트를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조기공 물질의 합성에 있어서 지지체의 사용을 배제하고 나노입자 사이의 전자기적 척력 및 입자 표면에너지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며, 환경적 및 에너지적 측면에서 기존 지지체의 사용 접근법보다 유리하다.
이와 같이, 메조기공 페라이트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 또는 다른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서 반응물들의 첨가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신속하게 응집되어서 그들의 표면 에너지를 최소화하도록 구형 집합체를 형성한다. 최종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은 하기 특성 분석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합성
2.0 g의 무수 아세트산 나트륨을 30 mL의 에틸렌 글라이콜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용액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페라이트 전구체로서 1.5 mmol의 니켈 클로라이드 또는 코발트 클로라이드(CoCl2-6H2O 또는 NiCl2-6H2O), 및 3.0 mmol의 아이온 클로라이드(FeCl3-6H2O) 하이브리드(hybrid)를 상기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50℃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한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이후, 현탁액을 고온/고압 반응기(Teflon-lined stainless autoclave)에서 200℃ 및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된 입자를 외부 자기장 하에서 수거하였다. 수거된 시료는 에탄올 및 증류수(예컨대,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수차례, 예컨대 2 또는 3회 세척한 후, 1℃/min의 가열로를 이용하여 500℃에서 승온하면서 3시간 동안 소결하여 검은색의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코발트 페라이트 및 니켈 페라이트) 입자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구조 및 특성 분석
실시예 1의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 합성 여부의 정성적 평가는 에너지 분산 분광분석(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X-선 분말 회절(Powder X-ray diffraction, XRD) 분석을 이용하여 형성된 결정형태와 결정크기를 분석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분석(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과 전계방출주사 전자현미경분석(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이미지를 통해 다공성과 형태적 특성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 method)을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질소 흡탈착 곡선 분석을 통한 Brunauer-Emmett-Teller(BET)와 Barrett-Joyner-Halenda(BJH) 방법 결과를 이용하여 비표면적과 기공의 크기를 확인하였고,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QUID)를 이용하여 자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는 그 구조가 페라이트 나노입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노입자들 사이에는 메조기공이 존재하고, 구형인 페라이트 집합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페라이트 집합체는 하기 실험에서 나타나는 특성상 에너지 분야, 환경 분야, 바이오 분야, 및 촉매 분야 등 여러 방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ometry, XRD)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가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규칙적 배열되어 여러 가지 특성 피크를 가지는 결정 구조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코발트-니켈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 X-선 회절 분석결과이다. 도 2a 및 2b에서 20 내지 80o 범위에서 다수의 강한 회절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피크는 (111), (220), (311), (222), (400), (422), (511), (440) 및 (533) 면에 의한 회절 피크이며, 이로부터 스피넬 구조의 특정 피크와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가 결정구조가 스피넬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Debye-Scherrer 식을 이용하여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결정 크기를 계산하였다. β 값(half width)은 가장 강한 회절강도를 나타내는 (311)의 35.6o 피크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식을 이용하여 코발트 페라이트 및 니켈 페라이트의 결정크기를 계산한 결과, 각각 약 6.63 ± 0.78 nm와 6.49 ± 1.52 nm의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를 갖는 클러스터임을 확인하였다.
(2) 전계방사주사현미경(FE-SEM) 분석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거시구조를 관찰하고, 기공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계방사주사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3과 같이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는, 고온에서 소결반응 중 구조가 붕괴되지 않고 구형의 형태 특성을 가지며 균일한 크기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30만배로 확대 관찰한 결과(도 3a 및 도 3b), 수 나노크기의 입자의 자기조립으로 형성된 약 160 nm 크기의 구형 메조기공 페라이트 입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전계방사주사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구형의 페라이트 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더라도, 거시구조 분석으로는 미세다공성의 형성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 미시구조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미세다공성의 형성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도 4a와 같은 진한 어두운색으로 나타난 나노입자 사이에 밝은 부분의 기공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규칙적으로 생성된 3차원적 채널을 갖는 것을 웜홀-유사(wormhole-like) 구조라 명명하며, 이는 수 나노 크기의 1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응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메조기공 구조를 갖는 메라이트 입자의 코발트 및 니켈 페라이트 크기는 모두 약 160 nm로 확인하였으며, 나노입자를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도 4b 및 도 4d와 같이 결정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에너지 분산 분광분석(EDS)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를 에너지 분산 분광을 이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도 5a 및 도 5b에서, Co와 Fe 및 Ni와 Fe 원자 비율(atomic ratio)이 1:2인 순수한 조성의 이원계 페라이트(CoFe2O4 및 NiFe2O4)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5) 동적 광산란(DLS) 분석
동적 광산란(DLS) 분석을 이용하여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입자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입자는 순수한(99.9%) 에탄올에 묽게 분산시켰으며, 광원으로는 488 nm의 아르곤(Ar) 레이저, 산란각은 90˚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코발트 및 니켈 페라이트 입자는 약 157 nm와 164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 입자의 크기는 상기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한 입자크기와 잘 일치하는 결과이다.
(6) 질소(N2) 흡/탈착분석
메조기공 물질의 가장 큰 장점은 비표면적이 매우 넓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나노입자의 경우는 비표면적이 100 m2/g을 넘지 않는다.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를 동일한 방법으로 질소 흡/탈착분석을 실시하였고, BET와 BJH 방법을 이용하여 비표면적 및 기공 크기분포를 측정하였다(도 7). 분석결과, 두 물질 모두 질소 흡/탈착 곡선이 상이하였고, 이로부터 기공구조가 3차원으로 이뤄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비표면적은 코발트 및 니켈 페라이트 각각 160 m2/g 및 182 m2/g, 기공 크기는 각각 7.91 nm 및 6.87 nm로 측정되었다. 메조 구조의 형성과 넓은 비표면적 및 높은 기공도 확보를 통해 다수의 활성화자리를 형성함으로써, 에너지 분야, 환경 분야, 바이오 분야, 및 촉매 분야 등 여러 방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7)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 분석
제조된 이원계 메조기공 페라이트는 상자기성 물질로서 자석을 가까이하였을 때, 즉 외부 자기장 하에서 한쪽 방향으로 끌려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상자기성이란 자기장(magnetic filed)을 걸어주었을 때 한쪽 방향으로 끌리거나 배열되고 자기장이 제거되면 자성이 즉시 제거되는 거동을 말하며, 메조기공 페라이트의 이러한 성질은 에너지 분야, 환경 분야, 바이오 분야, 및 촉매 분야에서 사용 후 자기장 하에서 쉽게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도 8).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자기장을 부여할 경우, 도 8과 같이 대표적인 상자기성 물질의 거동을 보였으며, 균일한 크기의 1차 나노입자로 형성된 페라이트는 모두 50 emu/g 이상의 높은 포화 자기화를 나타내었다.

Claims (15)

  1. 평균입경이 3 내지 10 nm인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 2 내지 50 nm의 메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5 내지 8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고용(固溶)된 원소는 Ni, Co, Zn, Mn 및 M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의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BET 비표면적은 100 내지 2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6. (S1) 이원계 페라이트 전구체로서 2가 양이온을 갖는 수화물 및 3가 양이온을 갖는 철 수화물을 액상의 글라이콜에 분산시켜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S2)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을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표면에 배위시켜 정전기적 척력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평균입경이 3 내지 10 nm인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이 응집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들 사이에 2 내지 50 nm의 메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5 내지 8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콜은 탄소수 2 내지 8의 다이-알코올(di-alcohol)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알코올 물질은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뷰틸렌 글라이콜 및 헥실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은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 사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보 음이온을 갖는 물질은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및 뷰티르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반응 온도는 3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반응 온도는 15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원계 페라이트 전구체는, NiCl2, CoCl2, ZnCl2, MnCl2 및 MgCl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전구체, 및 Fe(OEt)3, FeSO4, Fe(NO3) 및 FeCl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전구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 6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20019517A 2012-02-27 2012-02-27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17A KR101412084B1 (ko) 2012-02-27 2012-02-27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17A KR101412084B1 (ko) 2012-02-27 2012-02-27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82A true KR20130097882A (ko) 2013-09-04
KR101412084B1 KR101412084B1 (ko) 2014-06-26

Family

ID=4945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517A KR101412084B1 (ko) 2012-02-27 2012-02-27 페라이트 나노입자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8768A (zh) * 2016-11-11 2017-05-3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手性α‑芳基丙酸酯类化合物的合成方法
KR20190010001A (ko) * 2017-07-20 2019-0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입자 어셈블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면역 분석 방법
US10954584B2 (en) * 2015-03-18 2021-03-23 Phinergy Ltd. Metal oxide p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48B1 (ko) * 2008-12-12 2016-06-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정육면체 또는 팔면체 모양의 페라이트 나노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4584B2 (en) * 2015-03-18 2021-03-23 Phinergy Ltd. Metal oxide particl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CN106748768A (zh) * 2016-11-11 2017-05-3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手性α‑芳基丙酸酯类化合物的合成方法
CN106748768B (zh) * 2016-11-11 2019-05-28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手性α-芳基丙酸酯类化合物的合成方法
KR20190010001A (ko) * 2017-07-20 2019-0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입자 어셈블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면역 분석 방법
WO2019017623A3 (ko) * 2017-07-20 2019-04-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입자 어셈블리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면역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084B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o et al. Dependency of tunable microwave absorption performance on morphology-controlled hierarchical shells for core-shell Fe3O4@ MnO2 composite microspheres
Wang et al. Efficient ferrite/Co/porous carbon microwave absorbing material based on ferrite@ metal–organic framework
Chen et al. Size-controlled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NiFe2O4 hollow nanospheres via a gel-assistant hydrothermal route
Reddy et al. A facile hydrotherm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of mesoporous CoFe2O4 nanospheres
Zh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pindle-like Fe 3 O 4 mesoporous nanoparticles
Kang et al. One-step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erarchical MgFe2O4 microspheres and their application for lead removal
Bai et al. One-pot solvothermal preparation of magnetic reduced graphene oxide-ferrite hybrids for organic dye removal
Xia et al. Facile complex-coprecipitation synthesis of mesoporous Fe3O4 nanocages and their high lithium storage capacity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Ye et al. A review: conventional and supercritical hydro/solvothermal synthesis of ultrafine particles as cathode in lithium battery
Mou et al. Solvent-mediated synthesis of magnetic Fe2O3 chestnut-like amorphous-core/γ-phase-shell hierarchical nanostructures with strong As (v) removal capability
Wan et al. In situ decoration of carbon nanotubes with nearly monodisperse magnetite nanoparticles in liquid polyols
Taher et al. Hierarchical magnetic/chitosan/graphene oxide 3D nanostructure as highly effective adsorbent
Reddy et al. One-pot solvothermal synthesis and performance of mesoporous magnetic ferrite MFe2O4 nanospheres
KR100846839B1 (ko) 산화금속 중공 나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Liang et al. Polyhedral Fe 3 O 4 nanoparticles for lithium ion storage
Cui et al. One step solvothermal synthesis of functional hybrid γ-Fe2O3/carbon hollow spheres with superior capacities for heavy metal removal
Liu et al. Ferromagnetic hematite@ graphene nanocomposites for removal of rhodamine B dye molecules from water
Madrid et al. Controlling size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3O4 clusters in solvothermal process
Xie et al. Synthesis of hollow microspheres constructed with α-Fe2O3 nanorods and their photocatalytic and magnetic properties
Han et al. A facile hydrothermal synthesis of porous magnetite microspheres
Jiang et al. Trisodium citrate-assisted synthesis of highly water-dispersible and superparamagnetic mesoporous Fe3O4 hollow microspheres via solvothermal process
Livani et al. Preparation of an activated carbon from hazelnut shells and its hybrids with magnetic NiFe2O4 nanoparticles
Hu et al. Hydrothermal controlled synthesis of Fe3O4 nanorods/graphene nanocomposite for high-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ies
Li et al. Hollow CoNi alloy submicrospheres consisting of CoNi nanoplatelets: facile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Pawar et al. Solvent-polarity-induced hematite (α-Fe2O3) nanostructures for lithium-ion battery and photoelectrochem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