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523A -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523A
KR20130097523A KR1020120019242A KR20120019242A KR20130097523A KR 20130097523 A KR20130097523 A KR 20130097523A KR 1020120019242 A KR1020120019242 A KR 1020120019242A KR 20120019242 A KR20120019242 A KR 20120019242A KR 20130097523 A KR20130097523 A KR 2013009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contact
contact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536B1 (ko
Inventor
장용성
문성환
정한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36B1/ko
Priority to EP20160109.3A priority patent/EP3681137B1/en
Priority to EP13156411.4A priority patent/EP2632139B1/en
Priority to US13/774,517 priority patent/US9503872B2/en
Priority to CN201310058638.6A priority patent/CN103297610B/zh
Publication of KR2013009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을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따라,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RIGINATING EMRGENCY CALL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하게 전화를 걸 때의 응급 콜의 발신과 관련된 발명이다.
전자기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근래의 전자기기는 단순한 하나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리더, 문서 편집기 및 게임기로서의 기능 등 셀 수 없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게 되었는데,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스크린 락(Screen Lock)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슬라이드 언락(Slide Unlock) 또는 패턴 언락(Pattern Unlock)과 같은 스크린 락 기능은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또는 패턴의 입력을 통해서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의 신체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언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스크린 락 기능은 휴대단말기가 오작동하는걸 방지하는 장점이 있지만, 스크린을 언락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신속하게 사용하는 데에는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한다. 특히, 사고를 당하거나 신고를 하기 위해 신속하게 응급 콜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스크린 언락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 락 기능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도 응급 콜의 경우에는 스크린 언락 없이도 응급 콜을 발신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응급 콜의 실행에 대응되는 별도의 버튼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응급 콜의 발신 기능은 스크린의 언락 없이도 응급 콜을 신소하게 발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국가 또는 국가기관에서 관리하는 112 또는 119와 같은 특정 번호로만 응급 콜을 발신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때때로, 112 또는 119와 같은 공공기관 이외에도, 사용자가 자신의 부모님 또는 의사에게 응급 콜을 발신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발신할 때에도 112 또는 119와 같은 일반적인 응급콜 이외에도 사용자가 설정한 별도의 연락처(예를 들어, 부모님 또는 의사)에게도 응급 콜을 발신할 수 있는 발명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발신할 때에, 사용자가 설정한 별도의 연락처로도 응급 콜을 발신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을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따라,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 발신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따라 응급 연락처에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개수에 대응되게 소정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을 발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응급 연락처가 저장된 메모리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콜의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이 스크린 락인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 발신 장치장치에 있어서, 응급 연락처가 저장된 메모리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콜의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이 스크린 락인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응급 연락처에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개수에 대응되게 소정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발신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별도의 연락처로 응급 콜을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보다 신속하게 편리하게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급 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종래의 피처폰(feature phone), 태블릿(Tablet), windows 8, iOS 및 Android 등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하면서 콜의 발신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부(23)을 통해 사용자는 콜의 수신 또는 발신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급 콜의 발신(또는 수신)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표시화면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2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응급 연락처에 포함되는 각 연락처의 등록 정보(예를 들어, 연락처의 이름, 연락처의 전화번호, 연락처의 이메일 주소 등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급 연락처는 일반 응급 연락처와 개인 응급 연락처를 포함한다.
일반 응급 연락처는 국가 또는 국가기관에서 관리하는 공공(public)의 응급 연락처에 해당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운영체제의 공급자 또는 통신서비스업체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 응급 연락처의 예로는 118 (사이버테러신고센터), 112 (범죄신고), 128 (환경오염 신고), 131(기상예보), 132(법률상담), 125(밀수신고), 182(미아/가출 신고), 127(마약 신고), 1333(교통정보), 1336(개인정보침해 신고), 1339(병원정보), 1366(여성보호) 및 1391(아동학대) 등이 있다.
개인 응급 연락처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발신하고자 할 때에 표시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 용도(private)의 연락처(예를 들어, 아버지, 어머니 및 의사 등)들을 의미한다. 개인 응급 연락처에 등록되는 연락처는 사용자가 이름, 전화번호 등의 등록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추가될 수도 있으며, 기존의 주소록(Phone book data)에서 임의의 연락처가 개인 응급 연락처에 표시되도록 사용자가 설정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GPS 모듈(40, Ground Positioning System Module)은 오차 보정을 위한 계수와 함께 Ephemeris(천체력)와 Almanac(이력) 등의 정보가 포함된 GPS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경도값과 위치값 등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는 Assisted GPS 시스템과 Autonomous GPS 시스템이 결합된 A-GPS(Assismous GPS)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 위치를 계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TTFF(Time to First Fix)가 짧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모듈(40)는 응급 콜 요청후에 발신된 콜(즉, 응급 콜)이 실패하였을 경우 수행되는 응급 정보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GPS 모듈(40)을 이용하여 응급 콜의 발신이 실패하였을 경우, 응급 콜의 발신이 실패한 시점(또는 발신이 실패된 응급 콜의 발신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발신이 실패한 응급 콜의 통신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또는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을 발신하는 것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며 터치스크린은 스크린 락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크린 락 기능이 해제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2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Wi-Fi 모듈은 VoIP(Voice Over IP) 기능을 지원하여 무선 송수신부(23) 대신에 콜(또는 응급 콜)의 수신 또는 발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i-Fi 모듈은 GPS 모듈을 대신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급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제2예시도 및 제3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응급콜의 발신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2 단계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310의 스크린은 패턴락(pattern lock) 기능을 통해 스크린락이 적용된 터치스크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패턴 입력 지점(312)으로 미리 설정된 패턴을 입력하여 스크린락을 해제하거나, 도 3의 (a)에 도시된 응급 콜 버튼(311)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하여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응급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가 락스크린 상태일 때 응급 콜 버튼(311)을 조작하여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스크린(320)과 같이 키패드(321)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322)이 표시부(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도 3의 (b)에 도시된 가상의(virtual) 키패드(321)을 이용하여 특정 번호(예를 들어, 119)를 입력하여 콜의 발신을 요청하거나,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322)을 입력하여(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통해 버튼을 선택하면) 응급 연락처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응급 콜의 통화 내역(emergency call history)을 토대로 응급 콜의 발신 횟수가 가장 높은 소정 개수의 상대방 연락처 또는 가장 최근에 발생하였던 응급 콜의 상대방 연락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통화 내역(call history)을 저장하는 종래기술에 추가적으로, 응급 콜의 통화 내역(emergency call history)을 별도로 관리하여 메모리(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311의 응급 콜 버튼(31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설정한 키패드(321)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322)에 추가적으로, 소정 개수(즉, 2개)의 연락처 331 및 332를 응급 톨의 통화 내역을 토대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도 3의 (c)에 도시된 331 또는 332의 연락처는 응급 콜의 통화 내역 중에서 발신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2개의 연락처 일 수도 있고, 가장 최근에 발신된 2개의 연락처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의 (c)를 통한 설명에서는 소정 개수를 2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 가능하다.
도 3의 (c) 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키패드(321)를 이용하여 키를 수동으로 누르거나, 응급 연락처를 확인하기 위해 버튼(322)를 누를 필요가 없이, 331 또는 332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즉각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S203-S204 단계에서, 키패드를 이용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번호를 통해 응급 콜의 발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50)의 표시화면이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와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에 도시된 가상의 키패드(321)을 통해 연락하고자 하는 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번호로의 콜 발신(즉, 응급 콜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키패드(321)를 이용한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대응되게 무선 송수신부(23) 또는 Wi-Fi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통신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서, 키패드(321)를 통해 입력된 번호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가능하다면, 등교길의 아이를 납치하여 납치범이 아이의 부모에게 응급 콜을 발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급 콜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소정의 감시 센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었을 때 응급 콜을 발신하는 휴대단말기는 발신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감시 센터로 전송하고, 감시 센터는 DTMF에 대응되는 번호와의 콜 연결을 지원한다.
이후, 감시 센터는 연결된 콜의 통화 내용을 모니터링하여 납치(kidnap), 몸값(ransom) 등의 단어가 모니터링되면, 콜을 발신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즉, 납치범)의 동의 없이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감시센터는 획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경찰 등에게 제공하여 해당 상황(예를 들어, 납치)에 대처할 수 있다.
S205-S207 단계에서,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표시하고, 콜 발신이 선택된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322)이 입력되면(예를 들어, 터치되면), 제어부(10)는 이에 대응되게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도 5의 (a)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급 연락처는 일반 응급 연락처와 개인 응급 연락처를 포함하는데, 사용자로부터 응급 연락처의 표시가 요청되면(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이 입력되면) 일반 응급 연락처만이 표시될 수도 있고 일반 응급처와 개인 응급 연락처가 함께 표시될 수 도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응급 연락처의 표시가 요청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응급 연락처만 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응급 연락처와 개인 응급 연락처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반 응급 연락처는 국가 또는 국가기관에서 관리하는 공공(public)의 응급 연락처를 의미한다. 일반 응급 연락처의 예로는 118 (사이버테러신고센터), 112 (범죄신고), 128 (환경오염 신고), 131(기상예보), 132(법률상담), 125(밀수신고), 182(미아/가출 신고), 127(마약 신고), 1333(교통정보), 1336(개인정보침해 신고), 1339(병원정보), 1366(여성보호) 및 1391(아동학대) 등이 있다.
도 4의 (a)는 사용자의 응급 연락처의 표시 요청에 따라 응급 연락처 중에서 일반 응급 연락처(410)만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411 내지 413은 각각 경찰서로의 연락을 위한 112, 구급차를 부르기 위한 119 및 사이버 테러 신고를 위한 118 등의 연락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인 응급 연락처는 사용자가 직접 이름 및 번호 등을 입력하여 설정하는 응급 연락처를 의미하는데, 도 4의 (b)는 사용자의 응급 연락처의 표시 요청에 따라 일반 응급 연락처(410)과 개인 응급 연락처(420) 모두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개인 응급 연락처(420)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개인 응급 연락처에 Fa(421), Ma(422) 및 Do(423)의 연락처를 등록하였을 경우 해당 연락처가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Fa(421), Ma(422) 및 Do(423)의 이름으로 표시되는 연락처는 아버지, 어머니, 의사라는 이름을 가지는 연락처에 해당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 응급 연락처를 표시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서 개인 응급 연락처에 속하는 연락처의 이름을 정상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 응급 연락처의 각 연락처를 표시할 때, 아버지, 어머니 및 의사의 별명(Alias)에 해당하는 Fa, Ma 및 Do를 통해 해당 연락처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Fa, Ma 및 Do는 아버지, 어머니 및 의사의 별명(Alias)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명으로 표시중인 연락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예를들어, 터치하면) 해당 연락처의 이름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도4의 (c)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즉, 도 4의 (b)와 같이 응급 연락처가 표시된 상태에서 별명 Fa로 표시중인 연락처(421)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도 4의 (c)에 도시된 421a과 같이 해당 연락처의 실제 등록 이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4의 (b)에서 421-423과 같이 개인 응급 연락처에 속하는 연락처를 등록된 이름과 상이한 이름(즉, 별명)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도 4의 (b) 및 도 4의 (c)를 통해 설명한 바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응급 연락처 표시 요청시에 도 4의 (d)의 421a, 422a 및 423a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응급 연락처에 속하는 연락처의 등록된 이름(예를 들어, 아버지, 어머니 및 의사)을 즉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b) 내지 (d)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응급 연락처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임의의 연락처를 선택하여 콜의 발신(즉,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4의 (c)에 도시된 421a의 연락처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별도의 메뉴 설정을 통해 아버지에 해당하는 연락처로의 콜의 발신을 요청하며, 제어부(10)는 이에 대응하여 연락처(421a)에 등록된 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번호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S208-S209 단계에서, 제어부(10)는 발신된 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실패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콜의 발신 상대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긴급한 상태에서 연락하고자 콜을 발신할 수도 있으나,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상대방이 발신된 콜에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신된 콜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즉, 상대방이 콜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콜을 발신하였던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4의 (c)에 도시된 연락처(421a)로 콜을 발신하였으나 상대방(즉, 아버지)이 콜을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제어부(10)는 연락처(421a)로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는 텍스트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텍스트 정보는 사용자 또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설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정보이며, 위치 정보는 콜의 발신이 실패한 시점(또는 콜의 발신이 시작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도 5의 (a)는 발신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미리 설정된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연락주세요)가 콜이 실패한 상대방(즉, 아버지)에게 전송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는 발신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콜의 발신이 실패한 시점(또는 콜의 발신이 시작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주소 정보 및 지도 정보 등)가 콜이 실패한 상대방(즉, 아버지)에게 전송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는 전술한 텍스트 정보 및 위치 정보 모두가 콜이 실패한 상대방(즉, 아버지)에게 전송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응급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응급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구글맵(Google Ma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응급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콜 발신(응급 콜 발신)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의 판단 여부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획득되는 소정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콜 발신시 발생되는 링백톤(Ringback Tone) 신호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콜 발신시에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콜 발신 대상에 해당하는 통신 상대방의 휴대단말기가 꺼져있음을 알려주는 정보 또는 통신 상대방이 콜을 수신하지 않아 음성 메시지를 남기기 위한 서비스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정보 등을 획득하고, 이러한 정보가 획득되면 콜의 발신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콜의 발신시 발생되는 링백톤 신호가 소정의 횟수(예를 들어, 10회) 이상 카운트되면 콜 발신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응급콜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콜의 실패 유무와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가 응급콜의 발신 대상에 해당하는 통신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는 응급 콜의 발신 이전 또는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되는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 정보)는 응급 정보임을 구분할 수 있는 플래그 비트(Flag Bit)를 포함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는 응급 정보와 일반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메시지와 구분되는 플래그 비트가 포함된 메시지 형태(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의 응급 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인 메시지와 응급 메시지(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추후에, 응급 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수신한 응급 정보의 발신인에 해당하는 연락처(즉, 응급 정보를 발신한 연락처)로부터 콜이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수신되는 콜이 응급 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콜이 응급 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 콜에 대응되게 콜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급 콜을 발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601-S602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응급 연락처에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단말기가 스크린락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받았을 경우에 구현된다.
패턴락 등과 같이 스크린 락(Screen Lock)된 상태에 있는 휴대단말기에 대해서, 사용자가 도 3의 (a)에 도시된 응급 콜 버튼(311)과 같이 응급 콜을 요청할 수 있는 버튼을 조작하여 응급 콜의 발신을 요청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확인하여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응급 연락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응급 연락처 또한 전술한 일반 응급 연락처와 개인 응급 연락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일반 응급 연락처 및 개인 응급 연락처에 포함된 연락처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S603-S604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응급 연락처에 포함되는 연락처의 개수가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고, 연락처의 개수가 두 개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A 단계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응급 연락처에 포함된 연락처의 개수가 하나인 것으로 확인되면 즉각 해당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여, 신속한 응급 콜의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응급 연락처에 포함된 연락처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A 단계로 진행하는데, A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S206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A 단계로 진입하게 되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락처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콜을 발신하고, 콜의 발신 후에 콜의 발신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가 전송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0)

  1.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을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따라,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번호로 응급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이 입력되면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은,
    일반 응급 연락처의 목록과,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가 설정된 개인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응급 연락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는 등록된 이름과는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된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이름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응급 연락처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한 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상기 콜을 발신한 연락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1.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 발신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는 과정과,
    상기 응급 콜의 발신 요청에 따라 응급 연락처에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개수에 대응되게 소정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콜을 발신하는 과정은,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확인하여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락처의 개수가 하나로 확인되면 상기 하나로 확인된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콜을 발신하는 과정은,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확인하여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락처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은,
    일반 응급 연락처의 목록과,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가 설정된 개인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응급 연락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는 등록된 이름과는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된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이름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응급 연락처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한 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상기 콜을 발신한 연락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방법.
  21.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을 발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응급 연락처가 저장된 메모리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콜의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이 스크린 락인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키패드 및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번호로 응급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응급 연락처의 표시에 대응되는 버튼이 입력되면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은,
    일반 응급 연락처의 목록과,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가 설정된 개인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응급 연락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는 등록된 이름과는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된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이름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된 응급 연락처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8. 제22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한 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상기 콜을 발신한 연락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GPS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1. 휴대단말기의 응급 콜 발신 장치장치에 있어서,
    응급 연락처가 저장된 메모리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콜의 발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이 스크린 락인 상태에서 응급 콜의 발신이 요청되면, 상기 응급 연락처에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개수에 대응되게 소정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할 때,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확인하여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연락처의 개수가 하나로 확인되면 상기 하나로 확인된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할 때,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확인하여 등록된 연락처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연락처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연락처의 목록은,
    일반 응급 연락처의 목록과,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가 설정된 개인 응급 연락처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응급 연락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연락처는 등록된 이름과는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이한 이름으로 표시된 연락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이름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된 응급 연락처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락처로 콜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한 콜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응급 정보를 상기 콜을 발신한 연락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4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정보는 상기 발신한 콜이 실패한 시점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GPS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콜 발신 장치.
KR1020120019242A 2012-02-24 2012-02-24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KR10189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42A KR101891536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EP20160109.3A EP3681137B1 (en) 2012-02-24 2013-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EP13156411.4A EP2632139B1 (en) 2012-02-24 2013-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US13/774,517 US9503872B2 (en) 2012-02-24 2013-02-2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rminal
CN201310058638.6A CN103297610B (zh) 2012-02-24 2013-02-25 在移动终端中发送紧急呼叫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242A KR101891536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23A true KR20130097523A (ko) 2013-09-03
KR101891536B1 KR101891536B1 (ko) 2018-08-27

Family

ID=4779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242A KR101891536B1 (ko) 2012-02-24 2012-02-24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3872B2 (ko)
EP (2) EP2632139B1 (ko)
KR (1) KR101891536B1 (ko)
CN (1) CN103297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684394B2 (en) 2011-01-10 2017-06-2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8768293B1 (en) * 2011-05-09 2014-07-01 Google Inc.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telephonic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10649622B2 (en) 2012-05-09 2020-05-12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US10097496B2 (en) 2012-05-09 2018-10-09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10235014B2 (en) 2012-05-09 2019-03-19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304347B2 (en) 2012-05-09 2019-05-28 Apple Inc.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US9225753B1 (en) * 2012-11-06 2015-12-29 Google Inc. Emergency contact access for locked computing devices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068564B1 (ko) * 2013-03-15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184862B (zh) * 2013-05-27 2016-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快速通讯方法和装置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9402173B2 (en) * 2013-12-06 2016-07-26 HTC Marketing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emergency service providers
CN103916508B (zh) * 2014-03-26 2016-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快捷拨打电话的方法及装置
US9324067B2 (en) 2014-05-29 2016-04-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AU2015267240B2 (en) * 2014-05-30 2018-04-19 Apple Inc. Wellness data aggregator
US10313506B2 (en) 2014-05-30 2019-06-04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WO2016022318A1 (en) * 2014-08-04 2016-02-11 Hafeman Carolyn W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CN108133742B (zh) 2014-09-02 2020-04-14 苹果公司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DE202015006066U1 (de) 2014-09-02 2015-12-14 Apple Inc. Kleinere Schnittstellen zur Handhabung von Benachrichtigungen
US10254948B2 (en) 2014-09-02 2019-04-09 Apple Inc.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US10066959B2 (en) 2014-09-02 2018-09-04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TWI613582B (zh) 2014-09-02 2018-02-01 蘋果公司 用於重新組態使用者介面物件之方法、觸敏式電子器件及非暫時性電腦可讀儲存媒體
WO2016036541A2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10776739B2 (en) 2014-09-30 2020-09-15 Apple Inc. Fitness challenge E-awards
US9936060B2 (en) * 2014-10-01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emergency services information
TW201616459A (zh) * 2014-10-30 2016-05-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利用通訊裝置實現快速求救的系統及方法
CA2968835A1 (en) * 2014-11-24 2016-06-02 John Preston Barnes Rapid response with direct connect for emergency responders
US10102592B2 (en) 2014-12-31 2018-10-16 Ebay Inc. Native selling platform
US10129752B2 (en) * 2015-01-08 2018-11-13 Allen Cagle Emergency contact method and system
US9338627B1 (en) 2015-01-28 2016-05-10 Arati P Singh Portable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events
CN107209655B (zh) 2015-02-02 2020-08-11 苹果公司 建立两个设备之间的关系和连接
US10466883B2 (en) 2015-03-02 2019-11-05 Apple Inc. Screenreader user interface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275116B2 (en) 2015-06-07 2019-04-30 Apple Inc. Browser with docked tabs
EP4327731A3 (en) 2015-08-20 2024-05-15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CN105391857A (zh) * 2015-10-30 2016-03-09 宁波萨瑞通讯有限公司 一种快速拨打联系人的系统及方法
CN105915688A (zh) * 2015-12-12 2016-08-31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紧急电话的提示方法和系统
CN105554297A (zh) * 2015-12-29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提醒方法及装置、终端
CN105898029A (zh) * 2015-12-31 2016-08-24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紧急通讯方法及装置
CN105847507B (zh) * 2016-05-20 2020-02-1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拨号的移动终端设备及其拨号控制方法
US11033708B2 (en) 2016-06-10 2021-06-15 Apple Inc. Breathing sequence user interface
US20170357411A1 (en) * 2016-06-11 2017-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initiating a telephone call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US10873786B2 (en) 2016-06-12 2020-12-22 Apple Inc. Recording and broadcasting application visual output
US11216119B2 (en) 2016-06-12 2022-01-04 Apple Inc.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ew of an application
WO2018032470A1 (en) * 2016-08-18 2018-02-22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condary feature
CN106331334A (zh) * 2016-08-19 2017-01-11 刘统红 基于微信的呼救信息发送和管理方法及其装置
CN106331347A (zh) * 2016-08-24 2017-01-11 中科创达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锁屏状态下紧急联系人查询方法及装置
CN106357733A (zh) * 2016-08-25 2017-01-25 刘小曲 基于位置信息的呼救信息发送和管理方法及其装置
CN106454703A (zh) * 2016-09-23 2017-02-22 刘小曲 基于室内wifi和蓝牙的呼救系统及方法
WO2018058738A1 (zh) * 2016-09-27 2018-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在紧急通话界面显示当前地理位置的方法及终端
CN106657664A (zh) * 2017-01-05 2017-05-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进行通话呼叫处理的方法和装置
WO2018149145A1 (en) 2017-02-15 2018-08-23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n-demand service
WO2018149189A1 (en) * 2017-02-15 2018-08-23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erminal devices
US11765114B2 (en) 2017-05-16 2023-09-19 Apple Inc. Voice communication method
CN107124497B (zh) * 2017-06-30 2020-12-29 江西博瑞彤芸科技有限公司 服务设定方法
CN107451442A (zh) * 2017-07-07 2017-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保护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WO2022245669A1 (en) 2021-05-15 2022-1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11693529B2 (en) * 2021-08-31 2023-07-04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communications
CN113766439A (zh) * 2021-09-24 2021-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呼叫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355A (en) * 1995-12-07 1999-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mergency call handling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5041A1 (en) * 2008-02-08 2009-08-13 Steven Charles Michalske Emergency Information Access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190468A1 (en) * 2009-01-28 2010-07-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US20110076981A1 (en) * 2009-09-30 2011-03-31 Ravi Singh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459B1 (en) * 1998-01-20 2001-06-05 Agere Systems Guardian Corp. Telephone with adaptive speed dial mechanism
US6295355B1 (en) * 1999-03-31 2001-09-25 Microsoft Corporation Learned speed dialing
US20020068599A1 (en) * 2000-12-04 2002-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cal phone directory
US7231229B1 (en) * 2003-03-16 2007-06-12 Palm, Inc.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KR20040102440A (ko) * 2003-05-27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비상 연락 방법
CN100337505C (zh) 2004-09-28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监护功能的移动终端及其监护的方法
US20070135043A1 (en) * 2005-12-12 2007-06-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ble contact information on a locked electronic device
KR100754608B1 (ko) * 2006-03-14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긴급 발신 방법 및 장치
KR20080073872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정보 입력 방법
US8270935B2 (en) * 2007-12-05 2012-09-1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longing emergency calls
CN101442587A (zh) 2008-09-12 2009-05-2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锁屏/锁键方法和系统及其移动终端
KR101076190B1 (ko) 2009-12-14 2011-10-21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 콜 지원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10185313A1 (en) * 2010-01-26 2011-07-28 Idan Harpaz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user-interface of an end-user device
CN102131143A (zh) * 2011-01-25 2011-07-20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求救信息发送方法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355A (en) * 1995-12-07 1999-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mergency call handling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90205041A1 (en) * 2008-02-08 2009-08-13 Steven Charles Michalske Emergency Information Access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190468A1 (en) * 2009-01-28 2010-07-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US20110076981A1 (en) * 2009-09-30 2011-03-31 Ravi Singh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7610A (zh) 2013-09-11
US20130225118A1 (en) 2013-08-29
EP2632139A2 (en) 2013-08-28
EP3681137B1 (en) 2023-10-11
EP2632139A3 (en) 2014-01-01
CN103297610B (zh) 2018-04-03
US9503872B2 (en) 2016-11-22
KR101891536B1 (ko) 2018-08-27
EP3681137A1 (en) 2020-07-15
EP2632139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536B1 (ko) 휴대단말기의 응급콜 발신 방법 및 장치
US7761080B2 (en) Emergency call method
JP4431582B2 (ja) 携帯電話機
US7433672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emergency recording and notific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82709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aller locations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7200387B1 (en) Application invocation on a mobile station using messaging service
KR20060055562A (ko) 국제전화 자동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89708A (ko)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97567A1 (en) Emergency call from a cell phone
MX2008010943A (es) Proporcion de datos de emergencia personal a un punto de respuesta de seguridad publica.
CN105554225A (zh) 一种利用通讯装置实现快速求救的系统及方法
JP2009033313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その緊急通報方法
US8489125B2 (en) Mobile apparatus, and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location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apparatus
KR100827157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123320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치 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953629B1 (ko)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KR100606072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통화를 제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EP2654328A1 (en) Remote Request during On-Going Call
KR100604516B1 (ko) 일기예보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753088B1 (ko) 패킷 기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 장치
JP5653505B1 (ja) 端末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43372A (ko) 휴대단말의 파워 오프 시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183412A (ja) 通信装置
KR20030041638A (ko) 이동 전화기에서 위치 자동 통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