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12A - 공기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12A
KR20130097312A KR1020120018875A KR20120018875A KR20130097312A KR 20130097312 A KR20130097312 A KR 20130097312A KR 1020120018875 A KR1020120018875 A KR 1020120018875A KR 20120018875 A KR20120018875 A KR 20120018875A KR 20130097312 A KR20130097312 A KR 2013009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water tank
communica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12001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312A/ko
Publication of KR2013009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설치공간 주변 빨아들인 공기가 물과 접촉으로, 공기중 포함 된 미세 먼지(나노분진, 1급 발암 물질 석면, 중금속 등)와 모든 가스(온실 / 배기 / 매연, 직/간접흡연, 불법 소각 등)까지 흡착/용해 후, 깨끗히 세정된 청정공기만 다시 배출, 하므로, 공공기관, 교실, 휘트니스(Fitness)시설, 지하도, 지하철, 전철, 버스 등의 다중(多衆) 이용시설의 공기를 간단히, 즉시, 세정하는 새로운 공기 세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일측면 상부와 뚜껑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부 외측에서 하우징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 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측단부에 마련되는 별도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하는 흡기 팬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연통된 하우징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물탱크 일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물탱크의 내부 아랫쪽으로 인입되게 끼워져 공기 흡입관으로 흡입 될 공기를 물탱크에 채워진 물속으로 토출(吐出)시키는 토출관, 상기 물탱크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에서 내측단은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측단은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내측 단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 서 작동전원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탱크의 내측 상방으로 올라온 청정공기는 배기관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팬과 상기 배기관의 외측단부와 연통된 하우징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도록 하는 공기 확산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코드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흡기 팬 및 배기 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코드가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 팬 및 배기 팬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개/폐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판을 포함해 구성된다.
공기세정, 물탱크, 흡기팬, 배기팬, 토출관

Description

공기세정장치{AI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공간 주변으로부터 빨아들인 공기가 물과 접촉되는 방식에 의하여 공기 중 포함 된 미세 분진(1급 발암물질 석면, 중금속 등의 나노분진), 유해가스(온실 가스 등), 미생물(세균, 병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냄새까지 흡착, 깨끗히 세정된 청정 공기만 배출, 가정 실내/외, 교실, 공공기관, 휘트니스(Fitness) 시설, 지하도, 지하철 역사/전철내, 버스정류장/버스 실내 등 다중(多衆) 이용 시설의 공기를 간단히 세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 공간과 많은 학생들이 생활하는 교실, 공공기관, 휘트니스 클럽 등 다중 이용 시설 내부 공기중에는 사람들의 활동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다량의 먼지/분진이 발생하고, 또, 도로 주행 차량의 매연과 고무 타이어 갈리면서 생는 고무가루 등) 우리 주변. 특히, 건축 시, 분양가를 낯추기 위해, 고가의 단열재 대신, 저가의 건자재를 사용, 1급 발암 물질 「석면」이 많이 사용됐고, 또, 포르말린, 포름알데히드 등 방출로 인해, "하우스증후군"을 발병하고, 또, 지하의 지하상가나 지하철 역사 등 시설 내부 공기 또한 지상에 비해, 상대적 환기 및 통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나노 분진 다량 발생하고, 이 곳에 있는 사람들은 호흡으로, 유해 나노분진, 유해 가스, 미생물 등을 다량 섭취, 이로 인해, 유해 물질이 인체에 고이면서, 만병의 근원이 된다.
이와 같이 많은 이가 이용하는 실내공간에 다량의 나노 분진/먼지, 유해가스, 미생물 등과 실외 황사에 섞인 날카로운 중금속, 화공약품, 매연 중, 미세한 것은 호흡과정에 걸러지지 않은 채, 신체 내부 유입되므로, 각종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발병, 유해 나노 분진이 이목구비 고여서, 축농증, 비염, 허파/기관지 가래, 폐 등 내부 깊숙이 침투, 심장까지 전염되면, 혈액에 섞여, 전신 순환, 머리카락 - 발끝까지 중독. 만병 근중 하나가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실내공기 정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고가의 공기정화기를 개발, 시판하지만, 거의 대부분, 흡입된 공기 여과는 단순, 부직포, 숯, 모래 재질 등으로 공기 정화 시키므로, 입자 큰 먼지 일부만, 여과시킬 뿐, 나노/미세분진, 각종 가스, 미생물, 냄새 등은 실내/외로 다시 공급. 이와 같이 여과 못한 나노/미세 먼지와 각종 유해\가스는 호흡작용 시, 코속에서도 걸르지 못하고, 폐속 깊이 유입되면서 각종 호흡기 계통 질환 등을 발병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봄에 중국과 몽골에서 불어오는 황사(黃砂)에 나노분진 함유량이 높고, 인체에 큰 위험 있는 나노 중금속 성분이 다량 포함된 반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공기정화기 경우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는 물론, 공기중 포함된 나노/미세분진/중금속과 유해 가스, 미생물 등을 여과시킬 수 없기 때문에 국민 건강에 큰 위협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공간 주변 오염 된 공기를 빨아들여서, 공기가 물과 접촉, 공기중 포함된 나노/미세 분진 「1급 발암물질 석면, 중금속 등과 가스(온실, 일/이산화탄소 등)및 중금속 성분, 미생물(충/란, 세균, 병균, 바이러스, 곰팡이, 냄새까지」흡착, 제거, 후, 깨끗히 세정된 청정공기만 다시 실내/외로 배출 함으로, 일반 가정, 교실, 공공 기관, 휘트니스(Fitness)시설, 지하도나 지하철 역사, 버스 내, 전철 내 등 다중(多衆) 이용시설과 인도의 공기를 간단히 세정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공기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는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별도의 덮개에 의하여 개폐되는 원통이나 다각통형상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일측면 상부와 뚜껑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상부 외측에서 하우징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흡입관과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측단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하는 흡기팬과 상기 공기흡입관과 연통된 하우징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에 서 물탱크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물탱크 내부 아랫쪽으로 인입되게 끼워져 공기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물탱크내에 채워진 물속으로 토출(吐出)시키는 토출관과 상기 물탱크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에서 내측단은 물탱크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측단은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의 내측단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탱크의 내측 상방으로 올라온 청정공기를 배기관을 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관의 외측단부와 연통된 하우징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청정공기가 실내/외로 확산하는 공기확산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코드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흡기팬 및 배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코드가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개폐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통과하면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성분, 가스, 해충/란, 미생물, 냄새까지 완전 흡착, 제거, 이와 같이미세먼지, 중금속성분, 유해가스, 냄새, 미생물 제거된 청정공기만 다시 내/외로 공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 교실, 공공기관, 휘트니스(Fitness)시설, 지하도/지하철 역사/ 전철 내, 정류장/버스내 등 다중(多衆) 이용시설의 공기를 간단히, 깨끗하게 세정시킨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 용하는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옮길 수 있는 각종 호흡기 질환 등을 미리 예방하는 등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설치공간내의 공기를 세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에서는 내부에 설계에 의하여 정해진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별도의 덮개(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원통이나 각통 형상의 하우징(Housing:1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상단부 외주면과 덮개(14)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2a)(14a)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별도의 물탱크(18)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물 탱크(18)는 내부에 물(16)이 채워지는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물(16)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별도의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일측면 상부와 뚜껑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일측면 상부 외측에는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흡입관(22)이 하우징(12)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흡 입관(22)의 내측단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12b)의 내부에는 작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관(22)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흡기팬(2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흡입관(22)과 연통된 하우징(12)의 내주면에는 물탱크(18)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물탱크(18) 내부 아랫쪽으로 인입되게 끼워져 공기흡입관(2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물탱크(18)내에 채워진 물(18)속으로 토출(吐出)시키는 토출관(22a)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18)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와 하우징(12) 사이에는 별도의 배기관(38)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배기관(38)의 내측단은 물탱크(18)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측단은 하우징(12)의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배기관(38)의 내측단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28) 내부에는 작동전원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탱크(18)의 내측 상방으로 올라온 청정공기를 배기관(38)을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3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관(38)의 외측단부와 연통된 하우징(12)의 외주면상에는 배기관(38)을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 외부로 확산되도록 하는 공기확산부(32)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외측으로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코드(36)가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2)의 외주면상에는 흡기팬(20) 및 배기팬(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코드(36)가 외부전원과 접속된 경우 상기 흡기팬(20) 및 배기팬(30)으로 인가되는 전류 흐름을 동시에 개/폐 제어 스위치 (24)가 구비된 제어판(26)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외측 바닥면에는 이동이 자유롭게 이뤄지게끔, 하기 위해, 다수개의 바퀴(3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의 덮개(14) 상부면에는 운반 /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손잡이(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흡기팬(20)이 설치된 케이스(12b)내의 공기 유입로 및 배기팬(30)이 설치 된 케이스(28)내의 공기배출로 상에는 각각 별도의 필터(41)(42)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탱크(18)의 내부에 물이 수용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설치공간이 먼지 이외에 유해 가스(온실가스, 일 / 이산화탄소 등과 냄새)가 있을 시, 상기 유해가스를 용해시키기 위해, 별도의 액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탱크(18) 내측과 외측 둘레면 따라 별도 히터를 설치, 물탱크(18)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에 약재 등 첨가, 가온(加溫)으로 냄새/가스 제거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코드(36)가 접속되는 외부전원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의 설치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얻어진다.
휘트니스 설치 시, 자전거는 사람의 구동력 등으로도 작동, 외부에도 설치 가능. 사용 전력으로는 "자전거, 풍력, 일광 등" 친환경 에너지로, 24시간 이용. 물에 섞인 중금속, 가스 등을 추출, 산업, 공업, 의료용 등 사용 가능.
예1) 물에 희석된 온실가스 등을 극저온, 고압 등의 방법으로 추출 가능하고,
예2) 물에 희석된 각종 중금속 등도 극+/- Ion 등으로 채취, 산업/의료계 등 활용.
이와 같이 이뤄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 참조 시, 실내 공기를 세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전원코드(36)를 외부전원에 접속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어판(26)상에 설치된 스위치(24)를 "ON"상태로 변환시키면, 상기 흡기팬(20)이 구동과 동시에 케이스(12)의 내부 진공압 형성, 공기 흡입관(22)을 통해, 설치공간의 주변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흡입관(22)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공기토출관(22a)을 통해, 물탱크(18) 내부로 유입과 동시, 물탱크(18)내에 채워진 물(16)속으로 토출되면서 공기중 미세 먼지, 나노분진,중금속, 냄새, 충/란, 미생물, 냄새/가스 등 제거 후, 깨끗한 공기는 공기방울 형태로 물탱크(18)의 내측 상방으로 상승. 한편, 흡기팬(20)과 동시에 배기팬(30) 구동, 물탱크(18)의 내측 상방으로 상승된 청정공기는 물탱크(18)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과 배기관(38)을 통해, 하우징(12) 외측으로 배출되고, 이와 같이 배출된 청정공기는 하우징(12) 외주면에 설치된 공기확산부(32)를 통하여 실내로 고르게 확산. 이렇게하면, 오염된 공기가 물탱크(18) 내로 유입, 모든 먼지/가스가 물에 흡착, 깨끗한 공기가 실내외 공급되는 동작이 반복되기 때문에 공기가 깨끗히 세정된다.
사용 중, 설치 위치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12)의 덮개(14) 상부면에 형성 된 손잡이(40)를 잡고 끌거나 밀면, 하우징(12)의 저면 설치된 바퀴(34)의 구름작용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간편히 설치위치를 변경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설치 공간내의 공기를 세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2b, 28 : 케이스
12c : 유동방지리브 14 : 덮개
16 : 물 18 : 물탱크
20 : 흡기팬 22 : 공기 흡입관
22a : 토출관 24 : 스위치
30 : 배기팬 32 : 공기확산부
38 : 배기관 40 : 손잡이
41 : 필터 42 : 필터

Claims (1)

  1. 내부에 설계에 의하여 정해진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별도 덮개(14)에 의해, 개폐되는 원통이나 다각통형상의 하우징(Housing: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부 배치되며, 내부에 물(16)이 채워지는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일측면 상부와 뚜껑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물탱크(18)와 상기 하우징(12)의 일측면 상부 외측에서 하우징(12)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흡입관(22)과 상기공기 흡입관(22) 내측단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12b)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관(22)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흡기팬(20)과 상기 공기흡입관(22)과 연통된 하우징(12)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로 물탱크(18)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물탱크(18) 내부 아랫쪽으로 인입되게 끼워져 공기흡입관(22)을 통해, 흡입 된 공기를 물탱크(18)내에 채워진 물(18)속으로 토출(吐出)시키는 토출관(22a)과 상기 물탱크(18)의 뚜껑에 형성된 관통공의 상부에서 내측단은 물탱크(18)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측단은 하우징(12)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기관(38)과 상기 배기관(38)의 내측단에 마련되는 별도의 케이스(28)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물탱크(18)의 내측 상방으로 올라온 청정공기를 배기관(38)을 통해, 하우징(12)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30)과 상기 배기관(38)의 외측단부와 연통된 하우징(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기관(38)을 통해, 배출되는 청정공기 가 실내외 확산시키는 공기확산부(32)와 상기 하우징(12)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외부 전원과 접속되도록 하는 전원코드(36)와 상기 하우징(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흡기팬(20) 및 배기팬(30)과 전기적으로 연결, 전원코드(36)가 외부전원과 접속 상태로 상기 흡기팬(20) 및 배기팬(30)으로 인가되는 전류 흐름을 동시 개폐제어하는 스위치(24)가 구비된 제어판(26)을 포함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KR1020120018875A 2012-02-24 2012-02-24 공기세정장치 KR20130097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75A KR20130097312A (ko) 2012-02-24 2012-02-24 공기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75A KR20130097312A (ko) 2012-02-24 2012-02-24 공기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12A true KR20130097312A (ko) 2013-09-03

Family

ID=4944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875A KR20130097312A (ko) 2012-02-24 2012-02-24 공기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3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73A (ko) * 2014-04-05 2015-10-14 (주) 비케이엠에스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CN105288693A (zh) * 2015-11-17 2016-02-03 江苏闳业机械有限公司 汽车内饰材料除味装置
KR101896021B1 (ko) * 2017-12-05 2018-09-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WO2021169440A1 (zh) * 2020-02-26 2021-09-02 邢栋 一种负压吸气式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方法
WO2022041773A1 (zh) * 2020-08-28 2022-03-03 南京涵曦月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自动化设备除尘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73A (ko) * 2014-04-05 2015-10-14 (주) 비케이엠에스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CN105288693A (zh) * 2015-11-17 2016-02-03 江苏闳业机械有限公司 汽车内饰材料除味装置
CN105288693B (zh) * 2015-11-17 2018-03-16 江苏闳业机械股份有限公司 汽车内饰材料除味装置
KR101896021B1 (ko) * 2017-12-05 2018-09-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방법
WO2021169440A1 (zh) * 2020-02-26 2021-09-02 邢栋 一种负压吸气式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方法
WO2022041773A1 (zh) * 2020-08-28 2022-03-03 南京涵曦月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自动化设备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966B2 (ja) 熱分解法を用いて室内空気汚染物質を除去する空気浄化装置
KR101336147B1 (ko) 공기 정화장치
KR20130097312A (ko) 공기세정장치
CN204352250U (zh) 一种移动式空气净化消毒器
KR20150104062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CN108050621A (zh) 一种可进行滤芯板清洁的空滤机结构
CN210320416U (zh) 一种预防医学用空气净化装置
CN108826456A (zh) 一种室内空气用节能型净化装置
KR20150086658A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CN203744414U (zh) 空气水洗净化机
KR102076711B1 (ko) 지주 시설물 장착형 대기오염 정화장치
CN105318431A (zh) 一种家用可更换净化媒介的多功能的净化装置
CN204555073U (zh) 一种新型高效多功能空气净化器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CN103495323B (zh) 水洗空气净化装置
CN205227560U (zh) 可更换净化媒介的空气加热净化导风装置
CN204153868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03628847U (zh) 可加湿的室内空气净化器
KR20110084663A (ko) 공기세정장치
CN205227518U (zh) 可更换净化媒介的多功能的净化装置
CN212962076U (zh) 一种手术室用空气净化装置
CN107676885A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器
CN209076319U (zh) 喷漆废气的自动处理装置
CN204254750U (zh) 水净化加湿与负离子净化相结合的空气净化装置
KR20210028341A (ko) 악취탈취 및 초미세 먼지제거용 공기 정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