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02A -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02A
KR20130097302A KR1020120018851A KR20120018851A KR20130097302A KR 20130097302 A KR20130097302 A KR 20130097302A KR 1020120018851 A KR1020120018851 A KR 1020120018851A KR 20120018851 A KR20120018851 A KR 20120018851A KR 20130097302 A KR20130097302 A KR 2013009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id
application service
wlan
identification nam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805B1 (ko
Inventor
조성석
Original Assignee
티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스트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스트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은, 현재 접속 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무선통신단말;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요청된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에 따라 서비스 존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Wireless LAN detection}
본 발명은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탐지를 통해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 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예를 들어, 집, 사무실, 자동차 등)내의 디지털 기기들이 상호 연결되고, 중앙의 제어 서버(예를 들어, 홈 서버 등)를 통해 특정 공간 내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휴대폰, PDA, WebPad, PC, TV 등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술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일일이 GUI 흐름을 따라가며 기기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 AP)를 통해 수십 미터의 반경(와이파이 존(Wi-Fi Zone))내에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등과 같은 무선랜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랜 통신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의 경우 사용자가 어떤 와이파이 존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와이파이 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AP)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AP)의 탐지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어떤 와이파이 존으로 진입했는지 또는 해당 와이파이 존을 빠져나왔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단말을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진입하게 되면, 특정 공간 내 디지털 기기들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이 서비스 존에 접근/퇴장하는 것에 의해 무선랜을 탐지하고, 이러한 무선랜 탐지를 통해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른 접속 여부를 수행하는 수행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접속 여부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및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요청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무선랜 탐지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이면서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가 가능한 무선통신단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 무선랜 탐지를 이용해 판단된 서비스 존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유무선 접속부;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있는지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 및 수신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존재하면, 서비스 가입자별 설정된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조회하고 해당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서비스 존의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현재 접속 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무선통신단말;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요청된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에 따라 서비스 존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이 AP를 탐지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이 AP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동작 중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동작 중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서비스 실행을 위해서는 먼저 무선통신단말에서 각 서비스 존의 무선랜을 미리 등록해야 한다. 즉, 무선통신단말에서 각 서비스 존에 설치된 무선랜의 식별명(service set identifierd; SSID)과 키값을 입력하여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로 등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통신단말(10), AP(Acess Point)(20), 기기 제어 서버(30) 및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단말(10)은 3G 또는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스마트폰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단말(1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주변의 무선랜을 구성하는 AP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실시간 탐지하고, 탐지된 AP가 등록된 AP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AP인 경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 또는 삭제에 따라 해당 서비스 존(40-1, 40-2, 40-3)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로 판단한 후,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게 된다.
한편, 무선통신단말(10)은 탐지된 AP가 등록된 AP인 경우 탐지된 AP와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고,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해당 서비스 존(40-1, 40-2, 40-3)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로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할 수도 있다.
AP(20)는 무선랜을 구성하는 장치로, 무선통신단말(10)을 서비스 존(40-1, 40-2, 40-3)의 유무선 디바이스 및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고유한 식별명(SSID)을 가진다. 여기서, 식별명(SSID)은 AP(2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AP(20)는 무선통신단말(10)로 식별명(SSID)을 제공하고,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키값을 이용해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AP의 인증 과정은 무선 네트워크 접속에 있어서 공지된 일반적인 인증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기 제어 서버(30)는 서비스 존에 따라 홈서버, 오피스서버 및 차량제어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수신되는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 실행 명령에 따라 서비스 존 내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한다.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응용 서비스의 실행이 요청되면,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서비스 존의 기기 제어 서버(30)와 유무선랜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각 서비스 존의 기기 제어 서버(30)는 수신되는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에 따라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무선통신단말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해 서비스 존에 설치된 AP의 식별명(SSID)을 한번 등록하는 것만으로 무선통신단말은 탐지된 AP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무선통신단말(10)은 응용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무선랜 탐지부(11), 무선 접속부(12),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 및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랜 탐지부(11)는 무선통신단말(10)의 현재 위치 주변에 설치된 무선랜을 탐지하고, 탐지된 무선랜 정보인 AP의 식별명(SSID)을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로 전달한다.
그리고, 무선 접속부(12)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탐지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 접속부(12)는 무선랜에 접속하기 전에 키값의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키값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접속부(12)는 무선랜과의 접속 해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는 현재 접속 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를 관리하고, 무선랜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13)는 무선랜 탐지부(11)로부터 전달된 AP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전달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를 이용해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이 확인되면 이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추가이면서, 추가된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SSID)일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삭제이면서, 삭제된 식별명(SSID)이 진입으로 판단된 서비스 존의 식별명(SSID)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한다.
한편,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대한 접속 여부를 이용해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의 추가이면서, 추가된 식별명(SSID)에 접속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 정보가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의 삭제이면서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04)는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을 판단할 때,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이 설정값 이상일 때에만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한다.
이후,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는, 해당 서비스존에 대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14)로부터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요청한다.
즉,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판단 결과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단말번호,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15)는 3G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로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서비스는 서비스 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진입 또는 이탈 각각의 경우에 대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존이 집인 경우,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이면 전등을 점등하거나 난방기기를 키는 등의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이면 전등을 소등하거나 난방기기를 끄는 등의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유무선 접속부(51), 서비스가입자 인증부(52) 및 응용서비스 실행 처리부(5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가입자별 설정된 응용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DB(53)를 포함한다.
먼저, 유무선 접속부(51)는, 무선통신단말(10) 및 서비스 존(40-1, 40-2, 40-3)의 기기 제어 서버(30)와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무선 접속부(51)를 통해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응용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위해 서비스 존의 기기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52)는, 무선통신단말(1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정보가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 정보인지 확인한다. 즉,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52)는, 수신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있는지 서비스 가입자 DB(53)를 조회하고, 수신된 가입자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존재하면 이를 응용서비스 실행 처리부(54)로 전달한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실행 처리부(54)는, 수신된 가입자정보가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임이 확인되면, 서비스 가입자 DB(53)로부터 서비스 가입자별 설정된 응용 서비스를 조회하고 해당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위해 서비스 존의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존의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은 유무선 접속부(51)를 통해 각 서비스 존의 중앙의 기기 제어 서버(30)로 전송되거나 각 서비스 존의 기기들로 직접 전송되는 것에 의해 응용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한다(S401). 즉, 무선통신단말에 구비된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새로운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이 탐지되면 이에 따른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게 된다.
그러면,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다(S402).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탐지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를 판별하고,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추가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무선랜의 삭제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S403).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3G망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가입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이면 판단 결과에 따른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S404).
이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존을 확인하며,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서비스 가입자별로 설정된 응용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동작 중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랜 탐지부가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S501), 탐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전달된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S502),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변화를 탐지한다(S503).
그런 다음,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해당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 판별한 후(S504), 판별 결과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전달된 판별 결과를 확인하여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무선랜의 추가이면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무선랜의 삭제이면 해당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S505).
그런 다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응용 서비스 실행을 요청한다(S506).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는 전달된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3G망을 통해 연결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한다(S601). 즉, 무선통신단말에 구비된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무선통신단말이 새로운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이 탐지되면 이에 따른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게 된다.
그러면,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른 해당 무선랜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S602).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탐지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을 수행한 후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무선랜의 추가이면 접속을, 무선랜의 삭제이면 접속해제를 수행하도록 무선 접속부를 제어한다. 즉, 무선 접속부가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에 해당하는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무선통신단말이, 무선랜을 통한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S603).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 접속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이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량 정보를 이용해 단위 시간(초)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무선통신단말이,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다(S604).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접속 여부와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이용해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무선랜과 접속된 경우 산출된 데이터 처리량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무선랜과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어서,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S605).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서비스 존에 대한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그러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정당한 서비스 가입자이면 판단 결과에 따른 해당 서비스존에 대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S606).
이때,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식별명(SSID) 정보를 이용해 서비스 존을 확인하며,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이용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서비스 가입자별 설정된 응용 서비스를 조회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의 동작 중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탐지부가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S701), 탐지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전달된 탐지 정보를 이용해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S702),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변화를 탐지한다(S703).
그런 다음,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가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추가인지 삭제인지 판별하고(S704),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지 확인하다(S705).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는 확인 결과 미리 등록된 무선랜인 경우,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도록 무선 접속부를 제어한다.
그러면, 무선 접속부가 추가 또는 삭제된 무선랜에 대한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한다(S706).
이어서,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S707).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단말이 무선랜의 접속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면, 무선통신단말의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대기한다. 이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량으로부터 단위 시간(초)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무선랜의 접속 여부 정보와 함께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이용해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S708). 즉,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추가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이면서, 추가된 무선랜과 접속된 경우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삭제된 무선랜이 미리 등록된 무선랜으로써 접속된 상태에서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이때, 접속해제의 경우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할 필요없이 무선랜의 접속해제를 이탈로 판단한다.
그런 다음,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가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를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가 전달된 판단 결과(진입 또는 이탈)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단말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응용 서비스 실행을 요청한다(S709). 이때,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는 전달된 판단 결과가 진입인 경우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며, 전달된 판단 결과가 이탈인 경우 3G망을 통해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응용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무선통신단말 20. AP
30. 기기 제어 서버 40-1, 40-2, 40-3. 서비스 존
50.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21)

  1.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단계 전에,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고, 탐지 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대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추가 또는 삭제되었는지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탐지단계의 탐지 결과,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추가이면, 추가된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탐지단계의 탐지 결과,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삭제이면, 삭제된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5. 무선통신단말이, 현재 접속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탐지 결과에 따른 접속 여부를 수행하는 수행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접속 여부에 따라 무선랜의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판단 결과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및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요청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탐지된 식별명(SSID)이 사전에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고, 탐지된 식별명(SSID)이 사전에 등록된 식별명(SSID)이면, 탐지된 식별명(SSID)을 통해 무선망에 접속하는 단계 또는 삭제된 식별명(SSID)을 통해 접속된 무선망을 접속해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단계는, 새로운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탐지하고, 탐지된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포함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 중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의 삭제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탐지된 식별명(SSID)을 통해 무선망에 접속하면, 상기 탐지된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는 단계 또는 삭제된 식별명(SSID)을 통해 접속된 무선망이 접속해제되면, 상기 삭제된 식별명(SSID)에 해당하는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등록된 식별명(SSID)을 통한 접속 여부와 함께, 상기 등록된 식별명(SSID)을 통해 접속된 무선망을 통한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와 무선통신단말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기준으로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와 함께, 무선랜의 식별명(SSID) 정보, 단말기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무선랜 탐지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하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이면서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삭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가 가능한 무선통신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는 무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이면서,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식별명(SSID)에 접속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가 가능한 무선통신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가 가능한 무선통신단말.
  15. 무선통신단말로부터 무선랜 탐지를 이용해 판단된 서비스 존의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유무선 접속부;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번호 및 가입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있는지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서비스 가입자 인증부; 및
    수신된 가입자정보와 일치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존재하면, 서비스 가입자별 설정된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를 조회하고 해당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서비스 존의 기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존의 기기 제어 서버는, 수신되는 진입 또는 이탈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어 명령을 상기 서비스 존의 디지털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17. 현재 접속 가능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탐지하고, 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또는 이탈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무선통신단말;
    상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요청된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 명령에 따라 서비스 존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는 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무선랜의 출현 또는 사라짐을 탐지하는 무선랜 탐지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을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인지 확인한 후, 이전 네트워크 리스트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확인하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부;
    상기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를 이용해 해당 서비스 존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른 응용 서비스의 실행을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응용서비스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등록된 식별명(SSID)이면서,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추가일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의 변화가 무선랜의 식별명(SSID) 삭제일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과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수행하는 무선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탐지된 무선랜의 식별명(SSID)이 미리 등록된 식별명(SSID)이면서, 네트워크 리스트에 추가된 식별명(SSID)에 접속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리스트로부터 삭제된 식별명(SSID)과 접속해제된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이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 실행 판단부는,
    접속된 무선랜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서버 간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단위 시간당 데이터 처리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서비스 존으로의 진입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의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시스템.
KR1020120018851A 2012-02-24 2012-02-24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2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1A KR101325805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1A KR101325805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02A true KR20130097302A (ko) 2013-09-03
KR101325805B1 KR101325805B1 (ko) 2013-11-05

Family

ID=4944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851A KR101325805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8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761B1 (ko) * 2009-08-11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88111A (ko) * 2010-01-2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805B1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iggering applica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80046445A1 (e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CN104255064B (zh) 将接入信息从实体接入控制系统发送到用户终端
CN105916151A (zh) 一种智能设备无线网络接入方法及系统
KR101808217B1 (ko) 무선 액세스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20120064916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534476B1 (ko) 비인가 액세스 포인트 탐지 방법 및 장치
EP26739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10477396B2 (en) Affiliation and disaffiliation of computing devices
TW201503655A (zh) 存取點裝置的使用者終端驗證方法
CN104247484B (zh) 终端装置、通信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通信系统
WO2011041905A1 (en) Using a first network to control access to a second network
KR20100104570A (ko)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341228B1 (ko) 홈 네트워크용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47927B1 (ko) 기기 사용자 추가 등록 시스템
KR101723510B1 (ko)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의 신속 페어링 제어 방법
KR20130002044A (ko) 불법 액세스 포인트 탐지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통신 단말
CN111182512B (zh) 终端的连接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77662B1 (ko) 홈네트워크에서의 인증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805B1 (ko)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1759B1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KR101910737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