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570A -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570A
KR20100104570A KR1020090023072A KR20090023072A KR20100104570A KR 20100104570 A KR20100104570 A KR 20100104570A KR 1020090023072 A KR1020090023072 A KR 1020090023072A KR 20090023072 A KR20090023072 A KR 20090023072A KR 20100104570 A KR20100104570 A KR 2010010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device
control
external
controlled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744B1 (ko
Inventor
김학준
한국현
한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744B1/ko
Priority to US12/558,702 priority patent/US9417792B2/en
Publication of KR2010010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744B1/ko
Priority to US15/236,889 priority patent/US107129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여,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제어장치를 통하여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본 발명은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과 관련기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정보의 처리, 관리, 전달 및 저장에 있어, 가정 내에 설치되어 각종 계산, 관리, 감시 및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을 연결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으로서 데이터와 통신의 공유 및 상호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개 이상 장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홈 네트워킹은 가정 내의 정보기기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홈 네트워킹은 Ethernet을 비롯한 전화선, 전력선, 그리고 무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되며, 네트워크화된 가정내 디지털 정보기기들(예를 들어, PC, 이동전화, 디지털TV, 개인정보단말(PDA), 게임기 등등) 간의 기능공유, 데이터 공유, 원격 제어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터넷 액세스와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홈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비롯하여 기타의 네트워크화된 장비에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분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화된 가정 내 디지털 정보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핸드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화된 가정 내 디지털 정보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간 통신중 장치를 원격에서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과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자는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피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 기반 메뉴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 기반 메뉴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태그의 리더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유도되는 신호를 사람을 통해서 상기 피제어장치로 전파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에 의해서 검출되는 상기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외부장치로 이미지를 송신할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자 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결정된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 2 수신부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는 가정 내부에서의 각종 정보가전 기기들이며, 제어장치는 각종 정보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하며, 제어장치와 각종 정보가전 기기들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는 원격의 외부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며,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01에서,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외부장치에게 부여하기 위하여, 제어 요청 제안을 생성한다.
단계 102에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한다.
단계 103에서, 제어 요청 제안을 수신한 외부장치는 제어장치로 제어 요청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후,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다.
단계 104에서, 제어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자를 결정한다. 제어장치는 특정 피제어장치를 외부장치가 제어할 수 있도록, 공유된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선택한다. 선택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자를 결정한다. 피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자는 제어장치가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식별자를 선택된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식별자는 선택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단계 105에서, 제어장치는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식별자를 외부장치로 송신한다.
단계 106에서, 외부장치는 식별자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단계 107 내지 109에서, 표시된 식별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제어장치는 제어명령을 피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는, 표시된 식별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직접 피제어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원하는 장치에 직접 접속하거나, 가정 내의 허브에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찾을 필요가 없다. 또한, 원격지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높은 보안수준의 사용자 인증 방법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제어장치의 사용자가 상호 통신 중이므로 인증이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장치,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1에서,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수신한다. 그 후, 단계 202에서, 외부장치는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단계 203에서, 제어장치로부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피제어장치의 모델 이미지이다. 다만, 모델 이미지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피제어장치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후,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이를 맵핑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제어장치에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도 수신할 수가 있다.
단계 204에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따라,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즉, 표시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통하여, 피제어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직접 피제어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203과 단계 204에 대한 예시를 도 3a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의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장치에 공유된 피제어장치는 핸드폰이다. 따라서 외부장치의 표시부(300)에 핸드폰을 나타내는 이미지(310)가 표시된다. 외부장치는 핸드폰 자체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핸드폰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후, 핸드폰의 이미지의 각각의 부분에 실제 핸드폰에 대응되도록 명령을 맵핑한다. 즉,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화면, 커서, 방향키, 숫자키 등의 부분에 실제 핸드폰에 대응되도록 명령을 맵핑한다. 외부장치의 표시부(300)에 표시된 핸드폰 이미지에서 특정 방향키를 입력하는 경우, 실제 핸드폰에서의 특정 방향키를 누르는 것과 동일하게 핸드폰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05에서, 외부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외부장치는 제어장치에 공유된 피제어장치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이를 맵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06에서,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직접 피제어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205와 단계 206에 대한 예시를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장치에 공유된 피제어장치는 핸드폰이며, 외부장치의 표시부(300)에 핸드폰을 나타내는 이미지(310)가 표시되어 있다. 외부장치가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어장치에 제어명령을 송신한 후, 피제어장치가 그 명령을 수행하는 경우에 핸드폰의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화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은 외부장치로 송신되어 표시된다. 도 3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311)는 현재 피제어장치인 핸드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하다. 또한, 외부장치는 핸드폰 자체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핸드폰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각각의 부분에 실제 핸드폰에 대응되도록 명령을 맵핑할 수도 있다.
단계 205와 206에서의 다른 실시예로, 외부장치는 피제어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외부장치의 표시부(300)에 표시한다. 그 후, 메뉴의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그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제어장치에 송신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장치,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외부장치에 부여하기 위하여, 제어 요청 제안을 생성한다. 그 후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한다. 그 후, 단계 402에서, 제어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제어 요청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403에서, 제어장치는 공유하고 있는 피제어장치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피제어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제어장치의 표시부(500)에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하고 있는 피제어장치 목록 또는 식별자가 표시되어 있다. 제어장치의 사용자는 외부장치와 공유하고자 하는 피제어장치(501)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b에서, 피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의 정보를 갖고 있는 태그(502)(예를 들어, RFID 태그)를 구비하고, 제어장치는 그 태그에 관한 태그리더기(503)를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피제어장치를 제어장치의 표시부(500)에 태그리더기(503)가 태그(502)를 읽을 수 있는 범위 내로 접근하는 경우, 피제어장치가 선택된다. 피제어 장치를 도 5c에서, 피제어장치(504) 및 제어장치의 표시부(500)는 통신 채널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의 표시부(500)는 터치스크린이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피제어장치(504)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터치스크린(500)의 표면을 터치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터치스크린(500)의 표면에 유도된 신호는 사용자를 통해서 피제어장치(504)로 전파된다. 피제어장치(504)는 터치스크린(500)의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유도된 신호로부터 스캔 주파수 성분을 검출한다. 스캔 주파수 성분이 검출되면, 피제어장치(504)는 검출된 스캔 주파수 성분에 관한 정보 및 피제어장치(504)의 아이디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서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제어장치는 수신된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피제어장치(504)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선택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한다. 이미지는 제어장치가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함께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장치는 선택된 피제어장치에 대하여 식별정보, 예를 들어 모델명을 외부장치와 제어장치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외부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 후, 외부서버는 모델명에 대응하는 모델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한다.
단계 405에서, 외부장치에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그 후, 제어명령을 피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단계 406에서, 제어장치는 제어장치에 공유된 피제어장치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피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제어장치가 스스로 피제어장치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 후,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한다.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와 함께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407에서, 제어장치는 외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 후, 제어명령을 피제어장치로 송신한다. 피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 단계 405로 되돌아 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외부장치(610), 제어장치(620) 및 피제어장치(630)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장치(610)는 송신부(611), 수신부(612), 표시부(613) 및 제어부(614)를 포함하고, 제어장치(620)는 제1송신부(621) 및 제2송신부(622)를 포함하는 송신부, 제1수신부(623) 및 제2수신부(624)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제어부(625)를 포함한다. 제어장치(620)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63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620)는 원격의 외부장치(610)와 통신이 가능하며,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장치의 송신부(611)는 세션을 형성한 제어장치(620)로부터의 피제어장치(630)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제어장치(620)로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어 요청 제안은 피제어장치(630)에 대한 제어 권한을 외부장치(610)에 부여하기 위하여, 제어장치(620)에서 생성된다.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제어장치(620)로부터 피제어장치(63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수신한다. 상기 식별자는 피제어장치(630)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외부장치의 표시부(613)는 수신된 피제어장치(630)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외부장치의 표시부(613)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외부장치의 수신부(612)가 피제어장치(630)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이 명령을 맵핑할 수도 있다. 또는,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표시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통하여, 피제어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피제어장치에 대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직접 피제어장치(63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명령에 따라 피제어장치(630)가 제어명령을 수행함으로써, 피제어장치(6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에,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제어장치(62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한다. 또는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직접 피제어장치(6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의 표시부(6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표시한다.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외부장치의 수신부(61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이 명령을 맵핑할 수도 있다. 또는,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통하여, 피제어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피제어장치에 대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제어장치(620)로 송신 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직접 피제어장치(63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명령에 따라 피제어장치(630)가 제어됨으로써, 피제어장치(6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에, 외부장치의 수신부(612)는 피제어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외부장치의 표시부(613)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표시한다. 그 후, 외부장치의 제어부(614)는 메뉴의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그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외부장치의 송신부(611)를 통하여 제어장치에 송신한다.
제어장치(620)는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외부장치에 부여하기 위하여, 제어 요청 제안을 생성한다. 그 후, 제어장치의 제1송신부(621)는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610)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한다. 그 후, 제어장치의 제1수신부(623)는 외부장치(610)로부터 제어 요청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어장치의 제2송신부(622)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장치(610)로 송신한다. 이미지는 제어장치(620)가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제어장치(6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장치의 제2송신부(622)는 선택된 피제어장치에 대하여 식별정보, 예를 들어 모델명을 외부장치(610)와 제어장치(620)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외부서버(미도시)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 후, 외부서버는 모델명에 대응하는 모델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한다.
제어장치의 제2수신부(624)는 외부장치(610)에서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 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그 후, 제어장치의 제2송신부(622)는 제어명령을 피제어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명령에 따라 피제어장치(630)가 제어명령을 수행함으로써, 피제어장치(6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어장치의 제2수신부(624)는 제어장치(620)에 공유된 피제어장치(630)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피제어장치(630)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제어장치(620)가 스스로 피제어장치의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의 제2송신부(6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외부장치(610)로 송신한다.
제어장치의 제2수신부(624)는 외부장치(6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그 후, 제어명령을 제어장치의 제2송신부(622)를 통하여 피제어장치(630)로 송신한다.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공유하고 있는 피제어장치를 검색하여 선택한다.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피제어장치(630)가 피제어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구비하는 경우, 태그의 리더를 통하여 피제어장치를 식별하여 선택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유도되는 신호를 사람을 통해서 피제어장치(630)로 전파하고, 피제어장치에 의해서 검출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 및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기초로 하여 피제어장 치(630)를 결정한다.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이 맵핑하여, 제2송신부(622)를 통하여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소정의 부분에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명령을 맵핑하여, 제2송신부(622)를 통하여 맵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명령에 따라 피제어장치(630)가 제어됨으로써, 피제어장치(6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어장치의 제어부(625)는 피제어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생성하여, 제2송신부(622)를 통하여 외부장치(620)로 송신한다. 그 후, 제어장치의 제2수신부(624)는 제어명령 기반 메뉴를 이용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제2송신부(624)는 피제어장치(630)로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의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에 표시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피제어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Claims (20)

  1.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피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제어 명령어 기반 메뉴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6.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8.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 기반 메뉴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이용한 상기 피 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명령 기반 메뉴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태그의 리더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유도되는 신호를 사람을 통해서 상기 피제어장치로 전파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에 의해서 검출되는 상기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외부장치로 이미지를 송신할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부;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결정된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 2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장치가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태그의 리더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터치함으로써 유도되는 신호를 사람을 통해서 상기 피제어장치로 전파하고, 상기 피제어장치에 의해서 검출되는 상기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통신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피제어장치의 아이디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결정된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외부장치로 이미지를 송신할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9. 제어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형성한 세션상에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식별자를 이용한 외부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피제어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 어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세션을 형성한 외부장치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 제안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제안을 수락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식별자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피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피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23072A 2009-03-18 2009-03-18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4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072A KR101542744B1 (ko) 2009-03-18 2009-03-18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2/558,702 US9417792B2 (en) 2009-03-18 2009-09-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US15/236,889 US10712988B2 (en) 2009-03-18 2016-08-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072A KR101542744B1 (ko) 2009-03-18 2009-03-18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570A true KR20100104570A (ko) 2010-09-29
KR101542744B1 KR101542744B1 (ko) 2015-08-10

Family

ID=4273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072A KR101542744B1 (ko) 2009-03-18 2009-03-18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417792B2 (ko)
KR (1) KR101542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614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0702B2 (en) * 2010-09-30 2015-03-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ed display
US20110319056A1 (en) * 2010-06-29 2011-12-29 Enterproid Hk Ltd Remote access to a mobile device
US9078082B2 (en) * 2010-09-24 2015-07-07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acting with cloud-based applications using unrelated devices
WO2013081239A1 (ko) * 2011-12-02 2013-06-06 전자부품연구원 Nui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73612B1 (ko) 2011-11-24 2014-03-13 전자부품연구원 Nui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725124B2 (en) 2012-03-05 2014-05-13 Enterproid Hk Ltd Enhanced deployment of applications
AU2014403138B2 (en) * 2014-08-04 2018-05-17 Honor Device Co., Ltd. Terminal, server, and terminal control method
US20160105628A1 (en) * 2014-10-13 2016-04-14 Mediatek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id of user input back channel,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730A (en) * 1992-12-15 1995-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system having software mechanism providing standardized interfaces and controls for the operation of multimedia devices
DE69432199T2 (de) *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FI111760B (fi) * 1999-04-16 2003-09-15 Metso Automation Oy Kenttälaitteen langaton ohjaus teollisuusprosessissa
EP1598714B1 (en) *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KR100423808B1 (ko) 2001-08-09 2004-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60076385A1 (en) * 2002-04-18 2006-04-13 Etter Mark A Power tool control system
JP2006033645A (ja) 2004-07-20 2006-02-02 Kathenas Inc 操作方法、操作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53693B2 (en) * 2005-02-17 2012-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capable of being operated within a network, network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within a network, program ele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6301998A (ja) 2005-04-21 2006-11-02 Victor Co Of Japan Ltd 機器制御方法
US7558950B2 (en) * 2005-10-27 2009-07-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be operable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automatic identification thereof and related devices
US8063888B2 (en) * 2007-02-20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devices on touch-sensitive surface
US20090284476A1 (en) * 2008-05-13 2009-11-19 Apple Inc. Pushing a user interface to a remot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614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17792B2 (en) 2016-08-16
US20160350047A1 (en) 2016-12-01
KR101542744B1 (ko) 2015-08-10
US10712988B2 (en) 2020-07-14
US20100241966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CA2830121C (en)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EP3152933B1 (en) Automatically connect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a partner device
EP2720435B1 (en) Media sha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thereof
US85426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through a single interface
US89546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KR101816930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EP371657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ccess to content
CN10545367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注册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CN105594201A (zh) 设备配对
KR101341228B1 (ko) 홈 네트워크용 무선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2158522A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控制目标设备和信息处理系统
CN104820508A (zh) 设定权限的数据共享方法以及触控电子装置
US201101262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in access point
KR20130097303A (ko)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245933A1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5376399A (zh) 用于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WO201103073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情報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0997265B1 (ko)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731289B1 (ko) Cpns 환경에서 개인 네트워크 정보 공개 방법 및 장치
CN11079844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同步方法以及装置
KR101325805B1 (ko) 무선랜 탐지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실행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0021820A1 (ja) ユーザ装置及び外部装置
KR101520916B1 (ko) 엔에프씨(nfc) 태그를 이용한 무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30109B1 (ko)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