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759B1 -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759B1
KR102421759B1 KR1020210114427A KR20210114427A KR102421759B1 KR 102421759 B1 KR102421759 B1 KR 102421759B1 KR 1020210114427 A KR1020210114427 A KR 1020210114427A KR 20210114427 A KR20210114427 A KR 20210114427A KR 102421759 B1 KR102421759 B1 KR 10242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network
failure
terminal
acc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210A (ko
Inventor
이지운
박용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7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4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by additionally acting on or stimulating the network after receiving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장치의 관리를 위해 공개되지 않는 히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고, 상기 백홀 망으로부터 상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Network}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특히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의 증가로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다양한 장소에 제공하기 위해서 수많은 액세스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설치되는 액세스장치의 절대적인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된 액세스장치 중 서비스 불량 상태를 갖는 액세스장치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액세스장치가 서비스 불량 상태를 갖는 이유는 액세스장치와 연결되는 백홀(Backhaul) 망의 장애, 액세스장치의 전원이 꺼진 경우, 단자, 구성회로, 연결부, 안테나 등 액세스장치 내 장비 이상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장치가 서비스 불량 상태를 갖는 경우,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TMS: Traffic Management System) 액세스장치가 서비스 불량 상태를 갖는 세부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없어, 액세스장치의 관리자가 직접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을 하여야만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상에서는 액세스장치의 관리에 번거로움이 존재하였고, 네트워크상에 장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액세스장치가 액세스장치와 연결되는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한 상태를 갖는 경우에는 더욱 문제가 발생한다. 백홀 망의 장애로 액세스장치가 서비스 불가 상태를 갖는 경우, 단말기는 액세스장치로 네트워크상의 접속은 가능하나, 인터넷의 연결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가 인터넷과의 불가능한 연결을 무의미하게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액세스장치가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 불가 상태를 갖는 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실시예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를 갖는 액세스장치에 대하여 액세스장치의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액세스장치와 연결된 백홀 망의 장애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장치의 관리를 위해 공개되지 않는 히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고, 상기 백홀 망으로부터 상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단말의 접속을 제한하고, 상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켜 장애 감지서버가 상기 장애를 감지하게 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가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되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단말의 접속을 제한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의 관리를 위해 공개되지 않는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켜 장애 감지서버가 상기 장애를 감지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식별정보와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를 갖는 액세스장치에 대하여 액세스장치의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액세스장치와 연결된 백홀 망의 장애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감지 시스템이 포함된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감지 시스템이 포함된 통신시스템 상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감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가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판단장치가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감지 시스템이 포함된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감지 시스템이 포함된 통신시스템(100)은 단말(110), 액세스장치(120), 백홀 망(130), 장애 감지서버(150)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의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로 접속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려는 장치이다. 단말(1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며, 스마트 기기 외에 노트북, 랩톱,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의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Profile)을 저장하고 있으며, 액세스장치(120)의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로 접속하여 인터넷 망(140)과 세션을 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어, 포털서버 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110)은 단말 내부 시스템 상에 액세스장치(120)의 관리용 히든(Hidden)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액세스장치(120)의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란 통신시스템 공급자가 액세스장치(120)를 관리하기 위하여 부여한 식별정보로서, 단말과 액세스장치(120)를 접속시키기 위한 식별정보가 아니다. 따라서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의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는 있으나,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에 접속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이용은 불가하다.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를 거쳐 특정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와는 별도로 다른 기지국(미도시)을 통해 다른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장애 감지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를 거쳐 Wi-fi를 이용하여 통신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액세스장치(120)를 거치지 않고 별도의 eNodeB와 같은 기지국을 통해 LTE 서비스로 장애 감지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장치(120)는 인터넷 망(140)과 단말(110)을 접속시켜 단말(110)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액세스장치(120)는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를 가지며,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110)과 접속한다.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130)을 거쳐 인터넷 망(140)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액세스장치(120)에 접속중인 단말(110)이 인터넷 망(1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란 액세스장치(12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될 수 있다.
액세스장치(120)는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 외에, 내부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를 갖는다. 히든 식별정보는 액세스장치(120)는 단말(110)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식별정보가 아니라, 통신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 통신시스템 공급자가 부여한 식별정보에 해당한다. 동일한 통신시스템 공급자에 의해 관리되는 액세스장치(120)들은 각각 동일한 히든 식별정보를 가질 수 있다.
액세스장치(120)는 무선 네트워크가 Wi-fi인 경우, AP(Access Point)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와 관리용 히든 식별정보를 갖는 장치는 무엇이든 액세스장치(120)로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장치(120)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이 장애가 있는지를 감지하며, 장애 발생 시 공개용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키고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백홀 망(130)은 과금서버(미도시), 게이트웨이(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액세스장치(120)와 인터넷 망(140)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백홀 망(130)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세한 설명이나 백홀 망(130) 내 기타 다른 노드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단말(110)로부터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여,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관리서버(TMS: Traffic Management Server, 160)는 장애 감지서버(150)로부터 인터넷 망(140)과 연결된 복수의 액세스장치 중 어떤 액세스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등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네트워크 관리서버(160)는 복수의 액세스장치 중 어떤 액세스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특히,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등을 확인하고 관리하며 통신시스템 공급자 등에 알림으로써, 통신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즉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20)는 통신부(210), 데이터 제어부(220) 및 데이터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기 설정된 간격마다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으로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고, 백홀 망(130)으로부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백홀 망(130)으로 60초 간격으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할 수 있으며, 60초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1초 간격으로 복수 회 반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백홀 망(130)으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한 후, 백홀 망(130)으로부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 이를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단말(110)로부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하며, 데이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단말(110)로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단말(110)이 송신하는 히든 식별정보의 활성화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며, 데이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단말(110)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하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토대로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다. 통신부(210)가 전송한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백홀 망(130)으로부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부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제어부(220)는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키고,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서비스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단말(110)은 백홀 망(130)의 장애로 인해 인터넷 망(140)과 세션이 불가능함에도 서비스 식별정보로 지속적으로 접속을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제어부(220)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하여 더 이상 단말이 서비스 식별정보로 접속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후, 데이터 제어부(220)는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서비스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 액세스장치(120)인지 또는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어 있는 액세스장치(120)인지 판단함으로써, 통신시스템 공급자는 용이하게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한 후, 단말(110)로부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데이터 제어부(220)가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한 후, 통신부(210)는 단말(110)로부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제어부(220)는 통신부(210)가 단말(110)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하였음을 확인시키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단말(110)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히든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일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에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된 서비스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30)는 서비스 식별정보와는 별도로 통신시스템 내부적으로 관리를 위해 부여한 히든 식별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애 감지 시스템이 포함된 통신시스템 상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감지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장치(120)는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에 장애가 있는지 감지한다(S310).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130)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하며, 그에 대한 응답이 백홀 망(130)으로부터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백홀 망(130)에 장애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130)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하고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한다(S320).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130)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감지한 이상, 단말(110)이 서비스 식별정보로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하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한다.
단말(110)은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액세스장치(120)로 전송한다(S330). 단말(110) 내 시스템 상에는 기본 프로파일로 저장된 서비스 식별정보 외에도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있다. 단말(110)은 서비스 식별정보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시스템 상에 저장된 히든 식별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히든 식별정보를 갖는 액세스장치(120)로 해당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액세스장치(120)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S340). 액세스장치(120)가 단말(110)로부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120)는 단말(110)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110)은 해당 액세스장치(120)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 관리 메시지를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한다(S350). 단말(110)이 액세스장치로부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를 확인하는 경우, 단말(110)은 해당 액세스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메시지를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정보에는 액세스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 중 Wi-fi를 이용하는 경우, Wi-fi MAC 주소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120)를 확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 메시지와 함께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함으로써, 장애 감지서버(150)가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의 장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110)이 액세스장치(120)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이외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리 메시지를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한다. 액세스장치(120)와 연결된 백홀 망(130)이 장애를 가지고 있어 단말(110)은 액세스장치(120)를 이용해서는 관리 메시지를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말(110)은 관리 메시지를 액세스장치(120)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이외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중 Wi-fi를 이용하는 경우, Wi-fi를 이용해서는 관리 메시지를 장애 감지서버(150)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110)은 LTE와 같은 별도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장애 감지서버(150)로 관리 메시지를 전송한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 관리메시지를 수신하며, 관리메시지로부터 백홀 망(130)에 장애를 갖는 액세스장치(120)를 판단하며 해당 액세스장치의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160)로 전송한다(S360). 장애 감지서버(150)는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관리메시지를 토대로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120)를 파악할 수 있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120)가 백홀 망(130)에 장애를 갖는 액세스장치(120)로 판단하여, 해당 액세스장치(120)는 서비스가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해 저장한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백홀 망에 장애를 가져 서비스가 불가한 액세스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이에 대하여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은 액세스장치의 식별정보, 장애 발생여부, 장애원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홀 망(130)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 액세스장치(120)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160)로 전송한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네트워크 관리서버(160)로 액세스장치(12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생성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시스템 공급자는 장애 감지서버 및 네트워크 관리서버를 이용해 간편하게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한 액세스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가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한다(S410).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130)의 장애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한다. 액세스장치(120)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함에 있어, 기 설정된 간격마다 복수 회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주소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부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액세스장치(120)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을 전송한 후, 백홀 망(130)으로부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부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부존재하는 경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S430).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키고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다(S440). 액세스장치(120)는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단말(110)이 더 이상 서비스 식별정보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키고,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다.
단말로부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액세스장치(120)는 단말(110)로부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판단장치가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말로부터 관리메시지를 수신한다(S510). 장애 감지서버(150)는 단말로부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120)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 관리메시지를 수신한다.
관리메시지 내에 포함된 액세스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파악한다(S520). 네트워크 정보에는 액세스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 중 Wi-fi를 이용하는 경우, Wi-fi MAC 주소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관리메시지 내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파악하여,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를 파악한다.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한 액세스장치에 대하여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함을 저장한다(S530). 장애 감지서버(150)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한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액세스장치에 대하여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함을 저장한다. 장애 감지서버(150)는 백홀 망에 장애를 가져 서비스가 불가한 액세스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이에 대하여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은 액세스장치의 식별정보, 장애 발생여부, 장애원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 불가한 액세스장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540). 장애 감지서버(150)는 백홀 망의 장애로 인해 서비스 불가한 액세스장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액세스장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 생성한 파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과정 S310 내지 과정 S360을, 도 4에서는 과정 S410 내지 과정 S450을, 도 5에서는 과정 S510 내지 S54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통신시스템 110: 단말
120: 액세스장치 130: 백홀 망
140: 인터넷 망 150: 장애 감지서버
160: 네트워크 관리서버 210: 통신부
220: 데이터 제어부 230: 데이터 저장부

Claims (7)

  1. 단말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되는 서비스 식별정보와 장치의 관리를 위해 공개되지 않는 히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고, 상기 백홀 망으로부터 상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단말의 접속을 제한하고, 상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켜 장애 감지서버가 상기 장애를 감지하게 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백홀 망으로 전송한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부존재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단말로 상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상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고,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상기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하였음을 확인시키기 위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6.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가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백홀 망으로 기 설정된 간격마다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전송하는 과정;
    상기 백홀 망으로 전송한 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백홀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단말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되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비활성화시켜 상기 단말의 접속을 제한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의 관리를 위해 공개되지 않는 히든 식별정보를 활성화시켜 장애 감지서버가 상기 장애를 감지하게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 식별정보가 활성화된 후, 상기 단말로부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히든 식별정보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애 감지방법.

KR1020210114427A 2016-04-12 2021-08-30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42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427A KR102421759B1 (ko) 2016-04-12 2021-08-30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19A KR102311858B1 (ko) 2016-04-12 2016-04-12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0210114427A KR102421759B1 (ko) 2016-04-12 2021-08-30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19A Division KR102311858B1 (ko) 2016-04-12 2016-04-12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210A KR20210111210A (ko) 2021-09-10
KR102421759B1 true KR102421759B1 (ko) 2022-07-14

Family

ID=60299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19A KR102311858B1 (ko) 2016-04-12 2016-04-12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KR1020210114427A KR102421759B1 (ko) 2016-04-12 2021-08-30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19A KR102311858B1 (ko) 2016-04-12 2016-04-12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1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571B1 (ko) * 2019-05-16 2020-09-28 주식회사 케이티 은닉 ssid를 이용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6250A (ja) * 2013-05-30 2014-12-15 古野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これを採用し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4239297A (ja) * 2013-06-06 2014-12-1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障害原因推定システム、障害原因推定方法、障害原因推定装置、障害原因推定プログラム、無線通信監視装置及び無線通信監視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6250A (ja) * 2013-05-30 2014-12-15 古野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これを採用し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4239297A (ja) * 2013-06-06 2014-12-1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障害原因推定システム、障害原因推定方法、障害原因推定装置、障害原因推定プログラム、無線通信監視装置及び無線通信監視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49A (ko) 2017-10-20
KR20210111210A (ko) 2021-09-10
KR102311858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2870B (zh) 接入物联网平台的方法、物联网平台和物联网设备
US8898783B2 (en) Detecting malicious device
KR101737110B1 (ko) 무선 네트워크 고장들의 진단 및 해결
KR101328779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202382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US9949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SID-based connection between terminal device and gateway device
KR101534476B1 (ko) 비인가 액세스 포인트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170121242A (ko) 신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655729B2 (en) Using a first network to control access to a second network
JP2014507850A (ja) 動的無線ネットワーク検出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2017519399A5 (ko)
US8644814B2 (en) Automated fault reporting in femto cells
US20130340046A1 (en) Wireless network client-authent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thereof
EP3114887B1 (en) Determin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KR102421759B1 (ko) 네트워크 장애 감지장치 및 방법
US20160294465A1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relay terminal, control method for relay terminal to connect to center system, senso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sensor terminal to connect to center system
WO2015114713A1 (ja) 通信システム、共通サービス制御装置、データ収集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4378761A (zh) 一种非法接入设备检测方法、设备及系统
KR102297934B1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
KR20110137068A (ko)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25275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의 통신 제어 방법
CN105163335A (zh) 一种网络接入管理方法、服务器、移动终端以及系统
CN111918286B (zh) 通信连接检测方法、装置、设备
KR20130061994A (ko) 펨토셀 기지국 이설 방지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628869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