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257A -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257A
KR20130097257A KR1020120018759A KR20120018759A KR20130097257A KR 20130097257 A KR20130097257 A KR 20130097257A KR 1020120018759 A KR1020120018759 A KR 1020120018759A KR 20120018759 A KR20120018759 A KR 20120018759A KR 20130097257 A KR20130097257 A KR 20130097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ring
subsea
pip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362B1 (ko
Inventor
서종무
김종주
김화섭
박태근
허종행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35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ipe during 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3Pipe tension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4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25St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는 부력체와 연결된 몸체; 몸체 내부에 마련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돌출 형성된 링장치; 링장치를 회전시키는 링회전장치; 및 링회전장치에 의해 링장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밀려나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CLAMP USED FOR PIPE INSTALLATION IN SUBSEA}
본 발명은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설치선(이하, ‘선박’이라 함)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 설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를 설치(Laying)한다. 예컨대, 해저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서 S-lay, J-lay, Reel-lay, Flex-lay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예컨대 S-lay 방식은 파이프의 변형을 방지하는 선박의 스팅거(Stinger)에 의해 파이프를 비스듬하게 S자 형태로 하강시키면서 해저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S-lay 방식은 설치속도가 빠른 반면, 작업방식의 한계로 작업수심이 천해 및 중간수심 정도로 제한된다. 이때, 작업수심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하중을 지탱하는 스팅거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스팅거는 선박의 선미에 설치되므로, 스팅거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킬 경우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선박의 균형이 틀어질 수 있다. 또한, 스팅거의 길이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기존 선박의 구조를 다르게 설계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제4,563,108호)는 S-lay 방식과 같이 S자 형태로 비스듬하게 파이프를 하강시켜 해저에 설치하는 경우, 수중으로 하강되는 파이프에 부의를 체결시켜 파이프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일정수심이 되면, 수압에 의해 파이프에 체결된 체결수단이 파이프로부터 체결해제되어 부력에 의해 해상으로 떠오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가 지속적으로 수중으로 하강되어 해저에 설치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의와 연결된 체결수단을 계속해서 파이프에 체결해 주어야 하므로 파이프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특허문헌1: 미국등록특허 제4,563,108호(1986.01.07 등록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파이프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력체와 연결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돌출 형성된 링장치; 상기 링장치를 회전시키는 링회전장치; 및 상기 링회전장치에 의해 상기 링장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밀려나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밀착부재가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통부는 상기 몸체를 상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링장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 이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다른 클램프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설정수심 및 제2설정수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값과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링회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이프에 고정된 상기 몸체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상기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 자신의 하위클램프와 접촉하면, 상기 링회전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링장치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켜 상기 파이프가 클램핑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램핑 해제에 의해 상기 몸체가 상기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자신의 상위클램프와 접촉하면, 상기 링회전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링장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에 힘이 가해져 상기 파이프가 클램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해상의 윈치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는 상기 몸체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제어부로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는 파이프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파이프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선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를 클램핑 해제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를 클램핑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에 복수 개 고정되어, 파이프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선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이하, ‘클램프’ 라고 함)(100)는 파이프(라인)(P)에 복수 개 고정되어(상기 클램프를 파이프(P)에 고정시키는 것을 ‘클램핑’ 이라고 함), 수중으로 하강되는 파이프(P)의 하중을 감소시킨다. 이때, 파이프(P)은 선박(1)의 스팅거(2)를 통해 비스듬하게 하강되어 해저에 설치된다. 이하, 해저 파이프 설치방식으로 S-lay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lay 방식의 경우, 작업수심을 심해까지 확장시키기 위해 스팅거(2)에 파이프(P)의 하중이 많이 실리는 수심까지 파이프(P)의 하중을 지탱(감소)시켜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100)는 부력을 가지며, 수중으로 하강되는 파이프(P)의 하중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파이프(P)이 설치되는 작업수심이 확장될 수 있어, 심해까지 S-lay 방식으로 파이프(P)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100)는 파이프(P)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며, 각각의 클램프(100)가 순차적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를 통해, 부의와 연결된 체결수단을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에 계속해서 체결해 주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해저 파이프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클램프(100)는 와이어(W)를 통해 해상의 윈치(4)와 연결될 수 있다. 윈치(4)는 해상의 부유체(3)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램프(100)마다 하나씩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부유체(3)는 추진체(미도시)를 구비하여 클램프(10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윈치(4)는 클램프(1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해당 클램프(100)에 연결된 와이어(W)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상술한 클램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100)는 몸체(10), 링장치(20), 링회전장치(30), 밀착부재(40), 내통부(5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몸체(10)는 부력을 갖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몸체(10)는 공기가 주입된 수밀 폐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몸체(10)는 자체 부력을 가진 물질로 제작되거나, 몸체(10) 내부에 부력을 가진 물질이 채워진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부력을 갖는 별도의 부력체(미도시)와 몸체(10)가 연결된 경우, 몸체(10)는 부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부력체(미도시)는 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와이어 등에 의해 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10)는 예컨대, 파이프(P)을 감싸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는 고정부재(11), 접촉센서(13) 및 가이드부(15)를 마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는 해상의 윈치(4, 도 1 참조)와 연결된 와이어(W)를 몸체(10)에 연결시킨다. 이는, 몸체(10)가 파이프(P)를 따라 이동하여 몸체(10)의 위치가 변할 경우, 윈치(4)에 의해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려 몸체(10)와 연결된 와이어(W)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몸체(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미도시)가 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위치측정부(미도시)는 윈치(4)를 제어하는 윈치제어부(미도시)로 몸체(10)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윈치제어부(미도시)는 몸체(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윈치(4)를 제어하여 몸체(10)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W)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몸체(10)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윈치제어부(미도시)는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몸체(10) 내에 마련되거나, 선박(1, 도 1 참조) 또는 윈치(4)가 설치된 부유체(3, 도 1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10)의 위치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윈치제어부(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와이어(W) 내부에 통신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통신라인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W)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측정부(미도시)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센서(13)는 몸체(10)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되며 다른 클램프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접촉센서(13)는 몸체(10)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 이상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클램프(또는 몸체)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로 전달한다.
가이드부(15)는 몸체(1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부(15)는 후술할 링회전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링장치(20)를 가이드한다.
링장치(20)는 몸체(10) 내부에 마련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면(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면(21)은 일정 패턴으로 링장치(20)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링장치(20)가 후술할 링회전장치(3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의해 후술할 밀착부재(40)에 힘이 가해져져 파이프(P)를 클램핑하게 된다. 링장치(20)가 링회전장치(30)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의해 밀착부재(4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어 파이프(P)를 클램핑 해제하게 된다.
링회전장치(30)는 링장치(20)를 회전시킨다. 링회전장치(30)는 링장치(2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링회전장치(30)의 일단부(31)는 링장치(20)에 부착되고, 링회전장치(30)의 타단부(32)는 몸체 내측에 부착된다. 예컨대, 링회전장치(30)는 유압피스톤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회전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링장치(20)는 상술한 가이드부(1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밀착부재(40)는 링회전장치(30)에 의해 링장치(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의해 밀려나 파이프(P)를 클램핑하여 몸체(10)가 파이프(P)에 고정되도록 한다. 밀착부재(40)는 파이프(P)에 밀착되는 밀착부(41)와 밀착부(41)를 지지하며,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접촉되는 지지대(42)를 포함한다. 여기서 밀착부(41)는 파이프(P)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부위가 파이프(P) 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40)는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내통부(50)는 파이프(P)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밀착부재(40)가 결합되는 관통홀(50a)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50)는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부력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통부(50)는 내측에 몸체(10)를 파이프(P)를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설정수심과 제2설정수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값 및 상술한 접촉센서(13)에 의해 감지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술한 링장치(23), 링회전장치(30) 및 밀착부재(40)를 포함하는 클램핑유닛(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는 제1설정수심에서 몸체(10)를 고정해제시키고, 고정해제에 의해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 몸체(10)가 제2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몸체(10) 상위에 위치한 클램프와 접촉한 경우 몸체(10)를 파이프(P)에 고정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몸체(10)가 몸체(10) 하위에 위치한 클램프와 접촉한 경우, 몸체(10)를 파이프(P)로부터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와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를 클램핑 해제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를 클램핑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어부는 파이프(P)에 고정된 몸체(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자신의 하위클램프와 접촉한 경우, 링회전장치(30)를 제어하여 링장치(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의해 밀착부재(40)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켜 파이프(P)가 클램핑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클램핑 해제에 의해 몸체(10)가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자신의 상위클램프와 접촉한 경우, 링회전장치(30)를 제어하여 링장치(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링장치(20)의 경사면(21)에 의해 밀착부재(40)에 힘이 가해져 파이프(P)가 클램핑되도록 한다. 이때, 수심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미도시)가 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해당 측정센서(미도시)가 측정한 값과 상술한 설정값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값을 기초로 파이프(P)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의 내용을 기초로, 도 7을 통해 클램프(100)가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예컨대 S-lay 방식으로 해저에 설치되는 파이프(P)에 복수의 클램프(101a~101d)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상 파이프(P)를 일직선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7은 상기 도 2의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가 파이프에 복수 개 고정되어, 파이프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최하위클램프(100a)가 파이프(P)에 고정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제1설정수심에 도달하면, 파이프(P)와의 클램핑을 해제시킨다(S1).
다음으로, 최하위클램프(100a)가 클램핑 해제에 의해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위의 제1클램프(100b)와 접촉한 경우, 해당 위치의 파이프(P)를 클램핑한다(S2). 이때, 최하위클램프(100a)와 접촉한 제1클램프(100b)는 파이프(P)와의 클램핑을 해제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클램프(100b)가 클램핑 해제에 의해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위의 제2클램프(100c)와 접촉한 경우, 해당 위치의 파이프(P)를 클램핑한다(S3). 이때, 제1클램프(100b)와 접촉한 제2클램프(100c)는 파이프(P)와의 클램핑을 해제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클램프(100c)가 클램핑 해제에 의해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상위클램프(100d)와 접촉한 경우, 해당 위치의 파이프(P)를 클램핑한다(S4). 이때, 제2클램프(100c)와 접촉한 최상위클램프(100d)는 파이프(P)와의 클램핑을 해제하고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최상위클램프(100d)가 클램핑 해제에 의해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제2설정수심에 도달하면 파이프를 클램핑한다(S5).
설명의 편의상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각 과정(S1~S5)에서 윈치(4, 도 1 참조)가 각 클램프(100a~100d)의 이동 위치에 따라, 와이어(W, 도 1 참조)를 감거나 풀어, 해당 클램프(100a~100d)에 연결된 와이어(W)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100a~100d)는 상술한 과정(S1~S5)을 반복 수행하며, 파이프(P)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P)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면서 해저에 설치되므로, 각각의 클램프(100a~100d)는 결과적으로 일정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파이프(P)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파이프설치작업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클램프(100a~100d)를 재 설치할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파이프(P)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파이프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몸체 11: 고정부재
13: 접촉센서 15: 가이드부
20: 링장치 30: 링회전장치
40: 밀착부재 50: 내통부
52: 롤러

Claims (12)

  1. 부력체와 연결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며, 내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돌출 형성된 링장치;
    상기 링장치를 회전시키는 링회전장치; 및
    상기 링회전장치에 의해 상기 링장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밀려나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해저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밀착부재가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통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몸체를 상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링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링장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회전장치는 유압피스톤장치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하나 이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다른 클램프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제1설정수심 및 제2설정수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값과 상기 접촉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링회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이프에 고정된 상기 몸체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상기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 자신의 하위클램프와 접촉하면, 상기 링회전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링장치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켜 상기 파이프가 클램핑 해제되도록 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파이프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설정수심에 도달하거나 자신의 상위클램프와 접촉하면, 상기 링회전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링장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밀착부재에 힘이 가해져 상기 파이프가 클램핑되도록 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링장치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하나 이상 마련된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해상의 윈치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부는 상기 몸체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윈치제어부로 상기 몸체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20120018759A 2012-02-24 2012-02-24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134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59A KR101347362B1 (ko) 2012-02-24 2012-02-24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59A KR101347362B1 (ko) 2012-02-24 2012-02-24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7A true KR20130097257A (ko) 2013-09-03
KR101347362B1 KR101347362B1 (ko) 2014-01-16

Family

ID=4944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59A KR101347362B1 (ko) 2012-02-24 2012-02-24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196A (en) * 2017-04-04 2018-10-10 Technip France Subsea pipeline buoyanc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509B1 (ko) * 2014-08-22 2016-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흡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400517A (nl) * 1994-03-31 1995-11-01 Allseas Eng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leggen van een pijpleiding op een onder water gelegen bodem.
FR2801088B1 (fr) * 1999-11-12 2002-02-01 Bouygues Offshore Systeme de pinces pour maintenir une conduite en tension, et support flottant en comprenant
KR101065845B1 (ko) * 2009-08-17 2011-09-19 주식회사 포스코 배관 실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196A (en) * 2017-04-04 2018-10-10 Technip France Subsea pipeline buoyancy module
GB2561196B (en) * 2017-04-04 2020-05-27 Technip France Subsea pipeline buoyanc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362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6333B1 (en) A flexible pipe system
JP2020514175A (ja) スチールカテナリーライザートップインターフェイス
US73609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choring a pipeline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347362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1313559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및 그 이동방법
EP3558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KR101313562B1 (ko) 부양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이프부설선과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US20080089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Riser To A Target Structure
EP2457008B1 (en) Assemblage and method for undersea laying of pipeline from a ship spool
US8181589B2 (en) Gravity anchor
US20100098498A1 (en) Anchor system for offshore dynamically positioned drilling platform
EP2704945B1 (en) An offshore system
RU2571681C2 (ru) Наливной рукав
KR20120118729A (ko) 해양 앵커링 윈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60119357A (ko)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347359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KR20160000111U (ko)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US20110100636A1 (en) Underwater hydrocarbon transport apparatus
KR101435396B1 (ko) 선박
US20060204338A1 (en) Umbilical anchoring clamp
CN108382533B (zh) 一种海洋铺管系统
KR101599455B1 (ko) 터렛의 로테이팅 테스트 장치
KR101589683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GB2283554A (en) Marine pipe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