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687A -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687A
KR20130095687A KR1020130018017A KR20130018017A KR20130095687A KR 20130095687 A KR20130095687 A KR 20130095687A KR 1020130018017 A KR1020130018017 A KR 1020130018017A KR 20130018017 A KR20130018017 A KR 20130018017A KR 20130095687 A KR20130095687 A KR 2013009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hort message
unit
target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033B1 (ko
Inventor
고덕현
Original Assignee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인프라웨이 filed Critical (주)유인프라웨이
Publication of KR2013009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제2수단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제3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른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4수단과, 상기 제4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6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과 그에 기반한 원격제어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hort message}
본 발명은 원격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로등 등과 같이 원거리에 위치하면서 널리 지역에 걸쳐 분포되는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운용하고 있다. 특히,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2410호(등록일 2007년4월23일)의 “가로등 관제시스템”의 발명이 특허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가로등 분전함 단위 별로 소속된 가로등주들의 원격 감시 및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로등 관제 시스템으로서, 가로등 중앙 관제부는 중앙관제서버와 중앙관제단말기, 가로등 상황판 장치로 구성되고, 중앙관제센터의 운영자는 통신단말기를 보유하여 원격지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는 인터넷 망과 CDMA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분전함제어기와 통신을 하여 분전함제어기와 가로등주제어기를 제어하거나, 분전함과 가로등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관제서버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중앙관제단말기와 가로등 상황판 장치에 분전함과 가로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중앙관제단말기는 분전함과 가로등의 상황 정보를 표시하여 운영자가 알 수 있게 하고,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분전함제어기와 가로등주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가로등 상황판 장치는 중앙관제센터 내에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서 분전함과 가로등의 상황 정보를 표시하며 중앙관제서버와 PLC 통신, ZIGBEE 통신, 485 유선통신 등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또한, 휴대폰 및 PDA와 같은 이동단말기를 구비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상기 특허발명은 가로등 중앙 관제부가 중앙관제서버, 중앙관제단말기 및 가로등 상황판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관제부를 운영하기 위해서 상기 장비들, 서버운영에 따른 인터넷전용선 및 허브, 공유기, UPS 등의 부가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인터넷 통신환경 등의 잦은 장해로 인해 중앙관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발명은 휴대폰 또는 PDA를 이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휴대폰 또는 PDA도 모든 데이터, 제어명령 등을 중앙관제서버를 통해서 수신하고 송신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앙관제서버와 휴대폰 또는 PDA와의 통신환경이 좋지 못한 경우, 모바일 환경에서 원격제어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기의 원격 감시 및 제어를 위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통신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 중앙관제서버, 중앙관제단말기 및 가로등 상황판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고유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된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그 단문메시지에 삽입되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의 일 특징은,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제2수단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제3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감시한 결과에 따른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4수단과, 상기 제4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6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는 상기 암호화 키를 공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6수단은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6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입력부와, 상기 제어명령입력부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암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제1단문메시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1단문메시지생성부와, 상기 제1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 식별번호가 부여된 특정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특정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전송된 제2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CDMA통신부와, 상기 제1CDMA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복호화부와, 상기 제1복호화부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와, 상기 복호화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그리고 상기 제어대상기기로부터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에 대한 상태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기기감시부와, 상기 기기감시부에서 제공되는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상기 제2단문메시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2단문메시지생성부와, 상기 제2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된 상기 제1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CDMA통신부와, 상기 제2CDMA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를 하기 위한 제2복호화부와, 상기 제2복호화부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기기제어부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대상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기기제어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복호화부는 상기 제2암호화부에서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2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복호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복호화부는 상기 제1암호화부에서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복호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일 특징은,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된 상태변화에 따른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원된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원된 상태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기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상태변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다른 특징은,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복원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고유 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되는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단문메시지에 삽입되는 정보의 암호화를 통해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원격에 위치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의 원격 감시 및 제어를 위해서 관제서버나 관제단말기와 같은 원격 제어 전용의 장비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스템 설치 비용이 현저히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은 크게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기기제어감시장치(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기제어감시장치(200)는 제어대상기기(400)와 통신하여 그 제어대상기기(400)를 제어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기기제어감시장치(2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입력부(110)와, 상기 제어명령입력부(110)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암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암호화부(120)와,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제1단문메시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1단문메시지생성부(130)와, 상기 생성된 제1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 식별번호가 부여된 기기제어감시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서 전송된 제2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CDMA통신부(140)와, 상기 제1CDMA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복호화부(160)와, 상기 제1복호화부(160)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180)와, 상기 복호화된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190)를 구비한다.
기기제어감시장치(200)는 제어대상기기로(400)부터 각종 정보 특히, 상태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감시부(210)와, 상기 기기감시부(210)에서 제공되는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암호화부(220)와, 상기 제2암호화부(220)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제2단문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제2단문메시지생성부(230)와, 상기 제2단문메시지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2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상기 제1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CDMA통신부(24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2CDMA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제1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2복호화부(260)와, 상기 제2복호화부(260)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400)를 제어하는 기기제어부(270)와,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80)를 구비한다.
상기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기기제어감시장치(200)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400)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성에서, 제1암호화부(120)의 암호화에 따라 암호화된 제어명령을 삽입하여 제1단문메시지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1단문메시지를 제1CDMA통신부(140)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구성을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포함하며,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제1복호화부(160)에서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 정보를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180)가 표시하는 일련의 구성을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른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제2암호화부(220)에서 암호화한 후에 그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를 삽입하여 제2단문메시지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제2단문메시지를 제2CDMA통신부(240)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구성을 기기제어감시장치(200)가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제2복호화부(260)에서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기기제어부(270)가 상기 제어대상기기(400)를 제어하는 일련의 구성을 또한 기기제어감시장치(200)가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제1암호화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 구비되는 제2암호화부(22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기기제어감시장치(200)는 고유하게 부여되는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 식별번호를 각각 가지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특정 OS(오퍼레이팅 시스템)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태블릿P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성상 하드웨어일 수 밖에 없는 구성을 제외하고, 전체 또는 일부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제1암호화부(120)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 구비되는 제2암호화부(220)는 단문메시지에 삽입되는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또는 2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시에 패키지로 전송하여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제1복호화부(160)는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복호화 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복호화 키로 작용하여 제2단문메시지의 내용을 자동으로 복호화하여 표출하게 된다.
기기제어감시장치(200)에 구비되는 제2복호화부(260)는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제어대상기기(400)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복호화 키로 작용하여 제1단문메시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제어대상기기(400)의 제어를 위해 그 제어대상기기(400)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 정보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19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어대상기기(400)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200)는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고유하게 부여되는 전화번호와 같은 고유 식별변호를 각각 가지며, 일반 이동통신 기능과 같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은, 기기제어감시장치의 기기감시부에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00)와, 상기 기기감시부에서 모니터링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S101)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102)와,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S103)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04)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S105)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원된 단문메시지의 내용 즉,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06)와, 상기 복원된 상태변화 정보를 해당 제어대상기기의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S107)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8)와,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저장되어 있는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S10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전술된 시스템의 구성에서 설명된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18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단계(S201)와,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단계(S202)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203)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04)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05)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복원하는 단계(S206)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복원된 제어명령을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하는 단계(S207)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20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동통신단말기
200 : 기기제어감시장치
300 : 이동통신망
400 : 제어대상기기

Claims (16)

  1.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전송하는 제2수단과,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제3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른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4수단과, 상기 제4수단의 암호화에 따른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수단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자동으로 복호화한 후에 상기 복호화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6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게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1식별번호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제2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4.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는 상기 암호화 키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수단은,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6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9.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입력부와, 상기 제어명령입력부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암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제1단문메시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1단문메시지생성부와, 상기 제1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 식별번호가 부여된 특정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특정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전송된 제2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1CDMA통신부와, 상기 제1CDMA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2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하기 위한 제1복호화부와, 상기 제1복호화부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대상기기상황표시부와, 상기 복호화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그리고
    상기 제어대상기기로부터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에 대한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감시부와, 상기 기기감시부에서 제공되는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암호화부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상기 제2단문메시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2단문메시지생성부와, 상기 제2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송된 상기 제1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CDMA통신부와, 상기 제2CDMA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처리를 하기 위한 제2복호화부와, 상기 제2복호화부의 복호화 처리에 따라 복원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기기제어부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해 상기 제어대상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기기제어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호화부는,
    상기 제2암호화부에서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2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호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호화부는,
    상기 제1암호화부에서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로 상기 복호화 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되,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호화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복호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된 후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14.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상태변화에 따른 상태변화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변화 정보가 삽입된 단문메시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상태변화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원된 상태변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상태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기 상태변화 정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상태변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6. 기기제어감시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어명령을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제어명령이 삽입된 단문메시지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로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복원하는 단계와;
    상기 기기제어감시장치가 상기 복원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기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에서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KR1020130018017A 2012-02-20 2013-02-20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39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6912 2012-02-20
KR1020120016912 2012-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87A true KR20130095687A (ko) 2013-08-28
KR101398033B1 KR101398033B1 (ko) 2014-05-30

Family

ID=4921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017A KR101398033B1 (ko) 2012-02-20 2013-02-20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2313A (zh) * 2016-09-27 2018-04-03 联车(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控制指令的加密方法及解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81B1 (ko) * 2014-08-22 2015-12-09 주식회사 네모블루 근거리 통신을 활용한 복수 단말기 관리 시스템
KR102426367B1 (ko) * 2015-11-11 2022-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40A (ko) * 2008-08-29 2010-03-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s를 이용한 설비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3611U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유넷컨버전스 문자전송메시지를 이용한 제어, 정보전달기기의 통신 암호화
KR101066210B1 (ko) 2010-11-29 2011-09-20 (주)즐거운미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제설 방재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KR20130068562A (ko) *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맨캔두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2313A (zh) * 2016-09-27 2018-04-03 联车(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控制指令的加密方法及解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033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2041B2 (en) Content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ent encryption and decryption apparatus using white-box encryption table
CN104852925B (zh) 移动智能终端数据防泄漏安全存储、备份方法
CN104396183B (zh) 用于将固件或软件传送到多个设备的方法和系统
CN1960363B (zh) 一种利用网络实现信息安全设备远程更新的方法
JP2008287519A (ja) データ暗号化伝送保存システム及び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
CN108476140B (zh) 一种安全控制智能家居的方法及终端设备
JP5929834B2 (ja) 情報設定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4853341B (zh) 信息设置装置及方法、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无线通信系统
WO2016151758A1 (ja) 管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機器、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
CN105656669B (zh) 电子设备的远程修复方法、设备、被修复设备和系统
EP254978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leakage of a cryptographic key
EP2890083B1 (en) Key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53184A1 (en) Key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N103986723A (zh) 一种保密通信控制、保密通信方法及装置
KR101398033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4618380A (zh) 一种适用于物联网的密钥更新方法
CN108848503B (zh) 一种采用分节传输的智能家居动态加密通讯方法及系统
CN107872315A (zh) 数据处理方法和智能终端
CN103856938A (zh) 一种加密解密的方法、系统及设备
CN105577650A (zh) 一种动态令牌的远程时间同步方法及系统
WO2017141468A1 (ja) 識別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復号方法
WO2016078382A1 (zh) Hsm加密信息同步实现方法、装置和系统
KR20140059457A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정보 보안 방법
CN106254367B (zh) 基于双网卡中间服务器的远程控制方法及系统
CN104917753A (zh) 一种基于对称密钥进行通信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