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487A -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487A
KR20130095487A KR1020120016961A KR20120016961A KR20130095487A KR 20130095487 A KR20130095487 A KR 20130095487A KR 1020120016961 A KR1020120016961 A KR 1020120016961A KR 20120016961 A KR20120016961 A KR 20120016961A KR 20130095487 A KR20130095487 A KR 2013009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ydraulic
adjustment
pist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배병태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2001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5487A/ko
Publication of KR2013009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4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01H33/34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hydrau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01H3/6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making use of a fluid damper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조작장치는 메인블록(10)의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공간(12)을 피스톤(14)이 제1유압실(16)과 제2유압실(18)로 구획한다. 상기 피스톤(14)은 상기 제1유압실(16)과 제2유압실(18)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동작되면서, 피스톤(14)에 연결된 출력축을 상기 메인블록(10)의 외부로 이동시켜 전류차단부를 오픈 또는 클로즈 동작되게 한다. 상기 피스톤공간(12)의 내외부로 압력유가 이동되는 연결유로(20)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공간(12)의 제1유압실(16)과 상기 연결유로(20)를 연통시키도록 댐핑유로(22)가 구비된다. 상기 댐핑유로(22)중 하나에는 조절스풀(34)과 조절아암(44)이 설치되어 댐핑유로(22)를 통한 압력유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조절스풀(34)에 조절유로(42)와 스풀유로(40)가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아암(44)이 상기 스풀유로(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유로(42)의 개구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14)의 댐핑력조절이 원활하여 유압조작장치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특히 장착프레임(26)을 사용하게 되면 조절스풀(34)과 조절아암(44)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Oil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에 의한 댐핑력의 조절이 외부에서 가능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류차단부를 가지는 가스절연개폐장치 등과 같은 차단기에 있어서는, 전류차단부를 구성하는 가동접촉자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장치로서, N2가스 등의 압축기체를 사용한 축압장치를 구비하고, 이 축압장치에 의한 압력유를 피스톤에 작용시켜 차단조작을 행하는 유압조작장치나, 컴퓨레셔에 의하여 압력용기 내에 축압된 압축공기를 피스톤에 작용시켜 차단조작을 행하는 공기조작장치나, 코일스프링이나 접시스프링의 반발력을 작용시켜 개폐조작을 행하는 스프링 조작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유압조작장치는 고속동작, 소형화, 저소음, 대출력 등의 점에서 다른 조작장치보다 우수한 점이 있어, 차단기에서 유압조작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압조작장치의 경우 피스톤의 동작을 위한 압력유의 댐핑력은 피스톤 자체나 실린더에 형성된 유로의 유동단면적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유의 압력에 의한 피스톤의 동작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압조작장치에서 피스톤의 동작과 관련된 댐핑력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은 압력유가 유동되는 유로의 유동단면적을 달리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즉, 유압조작장치에 형성된 유로의 유동단면적을 댐핑력의 크기에 따라 달리 설정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인 것이다.
특히, 유압조작장치 내에서 유로의 유동단면적은 한번 설정되면, 유동단면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그 유로가 형성된 부품 자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압조작장치의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유압조작장치 내에서 압력유의 유동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유동되면서, 피스톤의 소정의 정해진 동작이 일정하게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피스톤이 제대로 동작되지 않아 전류차단 동작이 지체되면서 차단기가 사용되는 장비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조작장치 내에서 압력유의 유동은 피스톤의 소정의 동작을 발생시키면서도 과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219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구동을 위한 피스톤의 동작에 필요한 압력유의 유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별도의 댐핑통로를 만들고, 이 댐핑통로에서의 압력유의 유동을 조절하여 전체 유압조작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조작장치의 댐핑력을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조작장치에서 댐핑력의 조절을 위한 구성을 하나의 모듈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해당 댐핑유로를 통한 유압의 일방향 전달의 조절을 위한 조절유로를 구비하고 유압의 타방향 전달은 자유롭게 하는 조절스풀과,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절스풀의 조절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스풀은 지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댐핌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조절스풀은 스풀몸체의 선단에 스풀머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스풀의 길이방향으로 스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유로와 연통되어 스풀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조절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스풀의 스풀유로에는 상기 조절아암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스풀이 설치되는 댐핑유로와 연통되게 설치공간이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조절스풀이 지지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게 장착프레임이 메인블록에 장착된다.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에 삽입부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블록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삽입부에 형성된 지지공간 내에 지지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댐핑유로를 통한 유압의 일방향 전달의 조절을 위한 조절유로를 구비하고 유압의 타방향 전달은 자유롭게 하는 조절스풀과,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절스풀의 조절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스풀은 스풀몸체의 선단에 스풀머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스풀의 길이방향으로 스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유로와 연통되어 스풀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조절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스풀의 스풀유로에는 상기 조절아암이 위치되는데,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의 개구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선단이 상기 댐핑유로를 원하는 만큼 막도록 일단부가 메인블록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댐핑유로와 메인블록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설치공간에 일부가 설치되는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동작을 위한 압력유의 유동로 외에 별도의 댐핑을 위한 댐핑유로를 만들고, 이 댐핑유로에 댐핑력의 조절을 위한 구성을 두었으므로 차단동작을 위한 피스톤의 동작은 정확하게 일어나면서도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댐핑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조절아암이 메인블록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메인블록의 외부에서 조절아암을 조작하여 일정 범위 내의 댐핑력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의 댐핑력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절스풀, 조절아암 등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의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부품이 모두 장착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메인블록에 장착될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높아지고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다양한 규격의 유압조작장치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중요부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에서 조절아암을 조작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오픈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클로즈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픈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로즈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의 골격을 메인블록(10)이 형성한다. 상기 메인블록(10)의 내부에는 피스톤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공간(12) 내에는 피스톤(14)이 상기 피스톤공간(12)을 제1유압실(16)과 제2유압실(18)로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4)에는 출력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블록(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메인블록(10)의 외부로 상기 피스톤(14)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제공하여 차단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피스톤(14)이 압력유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유압실(16)과 제2유압실(18)의 압력의 크기가 교대로 커지고 작아지도록 이동하면서 상기 출력축의 동작을 만들어낸다.
상기 피스톤(14)의 선단에는 막음돌기(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막음돌기(15)는 유압조작장치의 오픈동작의 말기에 상기 메인블록(10)의 피스톤공간(12)과 다른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유로(20)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피스톤공간(12)에서 상기 연결유로(20)로 압력유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피스톤(14)이 제1유압실(16)의 끝부분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유로(20)와 상기 피스톤공간(12), 보다 정확하게는 제1유압실(16)을 연통시키도록 다수개의 댐핑유로(22)가 형성된다. 상기 댐핑유로(22)는 상기 피스톤(14)의 동작 말기, 상기 피스톤(14)의 막음돌기(15)가 상기 연결유로(20)를 막았을 때, 제1유압실(16) 내에 남아 있는 압력유가 상기 연결유로(20)로 빠져나가게 하여 피스톤(14)의 행정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댐핑유로(22)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2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갯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핑유로(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공상 좋다.
상기 댐핑유로(22)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설치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24)은 상기 댐핑유로(22)와 상기 메인블록(10)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24)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원통형의 공간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설치공간(24)에는 장착프레임(2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장착프레임(26)에는 그 일측에 삽입부(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8)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내부에는 지지공간(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공간(30)은 상기 삽입부(28)가 상기 설치공간(24)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댐핑유로(22)와 연통된다.
상기 지지공간(30)에는 지지탄성부재(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탄성부재(32)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32)는 조절스풀(34)을 상기 삽입부(28)의 지지공간(30) 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32)는 상기 조절스풀(34)의 선단이 상기 설치공간(24)이 상기 연결유로(20)와 연통되는 입구에 밀착되도록 하여, 오픈동작시에 상기 피스톤공간(12)쪽에서 댐핑유로(22)를 거쳐 연결유로(20)로 임의로 압력유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조절스풀(34)은 상기 장착프레임(26)의 지지공간(30) 내외로 이동되는 스풀몸체(36)와 상기 스풀몸체(36)의 선단에 상기 스풀몸체(36)보다 외경이 더 돌출되는 스풀머리(38)로 구성된다. 상기 스풀몸체(36)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다. 즉, 상기 스풀몸체(36)는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이고, 상기 스풀머리(38)는 종단면이 대략 삼각형으로 된다. 즉,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조절스풀(3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스풀유로(42)가 형성된다. 상기 스풀유로(42)는 상기 조절스풀(34)의 스풀몸체(36)와 스풀머리(38)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스풀유로(42))와 외부가 연통되게 상기 스풀몸체(36)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조절유로(42)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유로(42)의 출구는 상기 댐핑유로(22)중 상기 설치공간(24)와 연통되는 부분과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장착프레임(26)을 관통하여서는 조절아암(44)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아암(44)이 장착프레임(26)을 관통하는 부분을 통한 압력유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프레임(26)에는 상기 조절아암(44)에 밀착되게 오링(44')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아암(44)은 상기 장착프레임(26)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스풀(34)의 스풀유로(40)에 설치된다. 상기 조절아암(44)은 상기 장착프레임(26)을 관통하는 부분에서 외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프레임(26)에 고정된 상태로 그 설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장착프레임(26)의 해당되는 부분 내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조절아암(44)의 위치조절에 의해 상기 조절유로(42)의 개구도가 조절된다. 상기 조절유로(42)가 상기 조절아암(44)에 의해 개구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피스톤(14)의 댐핑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아암(44)의 외부로 돌출된 끝부분에는 손잡이(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6)는 상기 조절아암(44)을 작업자가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구조적으로 달라진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댐핑유로(122)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댐핑유로(122) 및 메인블록(110)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설치공간(124)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124)에 장착프레임(126)을 설치한다. 상기 장착프레임(126)은 상기 설치공간(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28)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128)는 상기 장착프레임(126)과 메일블록(110) 사이의 압력유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두게 되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128)의 외면이 상기 설치공간(124)의 내면에 소정 거리만큼 밀착되어 있어 압력유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128) 내부는 지지공간(130)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아암(144)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설치공간(124)에는 조절아암(144)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아암(144)은 상기 장착프레임(126)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조절아암(144)과 장착프레임(126) 사이의 압력유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144')이 상기 장착프레임(126)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아암(144)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조절아암(144)은 상기 장착프레임(126)을 관통하여 선단은 상기 설치공간(124)에 위치되고, 후단은 상기 메인블록(110)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조절아암(144)은 상기 장착프레임(126)을 관통하는 부분에서 외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프레임(126)에 고정된 상태로 그 설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장착프레임(126)의 해당되는 부분 내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조절아암(144)의 위치조절에 의해 상기 댐핑유로(122)의 개구도가 조절된다. 상기 댐핑유로(122)가 상기 설치공간(124)와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조절아암(144)의 선단이 상기 댐핑유로(122)를 차단하는 정도가 달리 되어 댐핑유로(122)의 개구도가 달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당 댐핑유로(122)를 따라 유동되는 압력유의 양이 달라지면서 피스톤(114)의 댐핑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아암(144)의 선단에 유로조절머리(145)가 상대적으로 조절아암(144)의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조절머리(145)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조절아암(144)이 설치공간(124)의 내면과 마찰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는 유로조절머리(145)를 두는 것이 좋다.
상기 조절아암(144)의 외부로 돌출된 끝부분에는 손잡이(1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46)는 상기 조절아암(144)을 작업자가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상기 댐핑유로(22)는 상기 피스톤(14)이 도 1을 기준으로 하부로 이동할 때, 다시 말해 오픈동작을 수행할 때, 오픈동작의 말기에 완충을 수행하면서 피스톤(14)의 행정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선단돌기(15)가 상기 연결유로(20)에 들어가 막으면서 상기 제1유압실(16)에 있던 압력유는 단지 상기 댐핑유로(22)를 통해서만 제1유압실(16)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스톤(14)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댐핑유로(22)는 클로즈동작, 즉 상기 피스톤(14)이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동작의 초기에 피스톤(14)의 동작이 신속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즉, 상기 댐핑유로(22)를 통해 압력유가 신속하게 제1유압실(16)로 공급되면서 이 압력을 피스톤(14)이 받아 피스톤(14)이 신속하게 초기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조절스풀(34)이 설치된 댐핑유로(22)를 통해 댐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조절아암(44)은 상기 장착프레임(26)에 대해서 전후진하게 되는데, 특히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46)를 작업자가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아암(44)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조절아암(44)이 후진하도록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스풀(34)의 조절유로(42)를 완전히 개방하면 상기 조절스풀(34)이 설치된 댐핑유로(22)를 통해서 상기 제1유압실(16)에서 연결유로(20)로 전달되는 압력유의 양이 최대로 된다. 즉, 신속하게 압력유가 이동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충격에 대한 흡수가 작아지게 된다.
만약, 상기 조절아암(44)을 사용하여 상기 조절유로(42)를 거의 폐쇄하게 되면, 상기 조절유로(42)를 통해 통과하는 압력유의 양이 줄어들면서 충격에 대한 흡수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절아암(44)을 조절하여 상기 조절유로(4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댐핑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피스톤(14)의 동작에 의해 전류차단부가 오픈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오픈동작은 전류차단부가 클로즈되어 있던 상태에서 오픈상태로 바뀌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14)은 도 4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피스톤공간(12)의 상부에 있다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피스톤공간(12)을 상대적으로 넓은 제1압력실(16)과 상대적으로 좁은 제2압력실(18)로 구획하고 있다가 제1압력실(16)쪽으로 피스톤(14)이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은 피스톤(14)에 연결된 출력축의 이동을 만들어내면서 전류차단부의 동작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14)의 선단돌기(15)가 상기 연결유로(20)에 들어가면 제1압력실(16)에서 연결유로(20)로 압력유가 들어가는 것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단지 상기 댐핑유로(22)를 통해서 상기 연결유로(20)로 압력유가 전달되면서 댐핑작용이 일어나 상기 피스톤(14)이 충격적으로 메인블록(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댐핑유로(22)를 이동하는 압력유중에서 상기 조절스풀(34)의 조절유로(42)와 스풀유로(40)를 통해 연결유로(20)로 전달되는 압력유의 양은 상기 조절유로(42)가 상기 조절아암(44)에 의해 개방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압력실(16)에 있던 압력유가 상기 댐핑유로(22)를 통해 거의 연결유로(20)로 전달되면, 오픈동작이 완료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클로즈동작을 설명한다. 클로즈동작은 상기 피스톤(14)이 제1압력실(16)에서 제2압력실(18)쪽으로 이동하여 그 출력축이 전류차단부의 동작을 만들어내어 클로즈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유로(20)를 통해 압력류가 실린더공간(12)의 제1압력실(16)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보다 신속한 상기 피스톤(14)의 동작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상기 댐핑유로(22)들을 통해서도 압력유가 상기 제1압력실(16)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유로(20)로 가압된 압력유를 공급하면, 상기 선단돌기(15)에 압력을 가해 상기 피스톤(14)이 동작되도록 하는데, 상기 댐핑유로(22)를 통해서도 압력유가 공급됨에 의해 피스톤(14)에 압력을 가해 피스톤(14)이 신속하게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스풀(34)이 설치된 댐핑유로(22)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스풀(34)이 압력유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삽입부(28)의 지지공간(30)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조절스풀(34)이 상기 지지공간(30)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해당 댐핑유로(22)가 완전히 개방되면서 상기 조절스풀(34)이 설치된 댐핑유로(22)를 통해서도 많은 양의 압력유가 이동하여 상기 제1압력실(16)로 전달되어 피스톤(14)의 이동이 신속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아암(144)의 조절에 의해 상기 댐핑유로(122)의 개구도가 직접 조절되면서 댐핑력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절아암(144)에 의해 조절되는 댐핑유로(122)를 통해서는 도 7의 오픈동작시와 도 8의 클로즈동작시에 유동되는 압력유의 양이 동일하게 설정된다. 즉, 상대적으로 클로즈동작시에 댐핑유로(122)를 통해 제1유압실(116)로 전달되는 압력유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그 외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댐핑유로(22)에만 압력유의 이동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두었다. 하지만, 이들 구성은 여러 개의 댐핑유로(22)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착프레임(26)에 상기 조절스풀(34)과 조절아암(44)이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메인블록(10) 자체에 상기 조절스풀(34)과 조절아암(44)이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절스풀(34)에 대해 조절아암(44)이 상대 이동되어 위치가 설정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조절스풀(34)의 내면과 조절아암(44)의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24)은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차폐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 외에도 상기 장착프레임(26)을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조절스풀(34)과 조절아암(44)을 메인블록(10)의 설치공간(24)에 설치할 수 있다.
10: 메인블록 12: 피스톤공간
14: 피스톤 15: 선단돌기
16: 제1유압실 18: 제2유압실
20: 연결유로 22: 댐핑유로
24: 설치공간 26: 장착프레임
28: 삽입부 30: 지지공간
32: 지지탄성부재 34: 조절스풀
36: 스풀몸체 38: 스풀머리
40: 스풀유로 42: 조절유로
44: 조절아암 46: 손잡이

Claims (11)

  1.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해당 댐핑유로를 통한 유압의 일방향전달의 조절을 위한 조절유로를 구비하고 유압의 타방향 전달은 자유롭게 하는 조절스풀과,
    상기 메인플록의 외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절스풀의 조절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아암을 포함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은 지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댐핌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은 스풀몸체의 선단에 스풀머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스풀의 길이방향으로 스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유로와 연통되어 스풀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조절유로가 형성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의 스풀유로에는 상기 조절아암이 설치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이 설치되는 댐핑유로와 연통되게 설치공간이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조절스풀이 지지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게 장착프레임이 메인블록에 장착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7.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설치공간에 삽입부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블록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삽입부에 형성된 지지공간 내에 지지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댐핑유로를 통한 유압의 일방향 전달의 조절을 위한 조절유로를 구비하고 유압의 타방향 전달은 자유롭게 하는 조절스풀과,
    상기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절스풀의 조절유로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조절아암을 포함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은 스풀몸체의 선단에 스풀머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스풀의 길이방향으로 스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유로와 연통되어 스풀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상기 조절유로가 형성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풀의 스풀유로에는 상기 조절아암이 위치되는데,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10. 내부에 피스톤공간이 형성되는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피스톤공간을 제1 및 제2 유압실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피스톤공간의 외부로 출력축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상기 제1유압실과 연통된 연결유로와의 사이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댐핑유로와,
    상기 댐핑유로의 개구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선단이 상기 댐핑유로를 원하는 만큼 막도록 일단부가 메인블록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아암을 포함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댐핑유로와 메인블록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설치공간에 일부가 설치되는 장착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아암은 상기 조절아암의 외면과 장착프레임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아암의 위치가 설정되는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KR1020120016961A 2012-02-20 2012-02-20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KR20130095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61A KR20130095487A (ko) 2012-02-20 2012-02-20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61A KR20130095487A (ko) 2012-02-20 2012-02-20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487A true KR20130095487A (ko) 2013-08-28

Family

ID=492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61A KR20130095487A (ko) 2012-02-20 2012-02-20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54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4618B (zh) 流量控制器及具有該流量控制器的驅動裝置
JP5578502B2 (ja)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KR101408768B1 (ko) 압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힌지용 가변형 완충댐퍼
KR20170038781A (ko) 스피드 컨트롤러
JP2006208094A (ja) 衝撃試験装置
JP6047796B2 (ja)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RU2009128073A (ru) Уд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9077207A1 (en) OSCILLATING CYLINDER ARRANGEMENT
JPWO2014069435A1 (ja) シリンダ制御装置
CA2302722A1 (en) Pneumatic cylinder with damping device
ES2649476T3 (es) Control de la frecuencia de trabajo de un mecanismo de impacto
KR20170075722A (ko) 충격 장치
KR20130095487A (ko) 차단기용 유압조작장치
JP5756984B1 (ja)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2020090964A (ja) 流量コント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た駆動装置
BR112021004709A2 (pt) cilindro hidráulico
KR20170014248A (ko)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 장치
KR101762212B1 (ko) 솔레노이드밸브 시스템
KR20080002159U (ko) 양단 스트로크 조절 실린더
DE102011088958A1 (de) Werkzeugvorrichtung
KR20160004055A (ko)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
US10229799B2 (en) Hydraulic drive for a switchgear
WO2018203460A1 (ja)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2009512824A (ja) 緩衝式開放システムを有するバルブ
JP2020041635A (ja) 流体圧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