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111A - 휴대용 광 치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광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111A
KR20130094111A KR1020120015520A KR20120015520A KR20130094111A KR 20130094111 A KR20130094111 A KR 20130094111A KR 1020120015520 A KR1020120015520 A KR 1020120015520A KR 20120015520 A KR20120015520 A KR 20120015520A KR 20130094111 A KR20130094111 A KR 2013009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light
lamp
senso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098B1 (ko
Inventor
김부원
Original Assignee
(주)비엔비옵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비옵토 filed Critical (주)비엔비옵토
Priority to KR102012001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광 치료기가 개시되며, 상기 휴대용 광 치료기는 빛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를 둘러싸고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리플렉터부;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확산 렌즈; 상기 빛의 경로를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전방의 대상물에 대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발광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광 치료기{PORTABLE TREATMENT DEVICE USING LIGHT}
본원은 휴대용 광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피부 질환이나, 미용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IPL(Intense Pulse Light)을 이용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편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기존 레이저 치료기와 IPL치료기는 주로 피부과나 대형 마사지 클리닉 위주로 발전 되어 왔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가격적인 부담과 시간적인 한계성이라는 부담을 주었다. 또한, 대형 레이저 치료기의 고출력에너지는 전문의의 시술이 필요하여 전문 클리닉에서 주로 취급되어야만 하는 제약이 있어, 개인이 쉽게 다룰 수 있는 휴대용 IPL 장치가 필요로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IPL장치들은 버튼 등의 수동 조작을 통해 램프의 빛을 원하는 부위에 조사하여야 했기 때문에, 장치가 원하는 부위를 향해 정확하게 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 인해 원치 않는 부위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눈과 같이 빛이 도달하여서는 안 되는 부위에 직접적으로 빛이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치료를 하지 않는 중에도 빛이 출사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가 낭비되었다.
또한, 일부 IPL장치들은 대상물에 직접적인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압력에 대응하여 램프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대상물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신호를 보내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이므로 직접적인 접촉이 꼭 필요하여,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 부위 또는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서는 안 되는 연약한 부위에 대한 치료가 힘들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휴대용 광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휴대용 광 치료기는, 빛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를 둘러싸고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리플렉터부;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확산 렌즈; 상기 빛의 경로를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전방의 대상물에 대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휴대용 광 치료기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한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램프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눈과 같은 원치 않는 대상물의 부위에 빛이 조사되는 안전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고, 직접적인 접촉 또는 소정 이상의 압력 작용이 어려운 대상물에 대하여도 치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리플렉터부가 구비되므로, 램프에서 발광된 빛을 대상물이 있는 전방을 향해 집광시켜 빛이 후방이나 측방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높이고 광 효율 대비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광 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커버가 부가된 휴대용 광 치료기에 대해 도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휴대용 광 치료기에서 접촉부와 고정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후단, 횡 방향, 상면,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보았을 때 램프로부터 빛이 조사될 수 있는 대략 11시 방향이 전방, 대략 5시 방향의 끝단이 후단, 대략 2시 방향이 상방(대략 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대략 8시 방향이 하방(대략 8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에 직교하는 도 2가 도시된 면에 수직인 방향이 횡 방향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센서가 구비된 휴대용 광 치료기의 다양한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전방이 우측으로 향하게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은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휴대용 광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광 치료기(이하 '본 휴대용 광 치료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광 치료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커버가 부가된 휴대용 광 치료기에 대해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휴대용 광 치료기에서 접촉부와 고정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램프(110)를 포함한다.
램프(110)는 빛을 발광한다. 예시적으로 도2를 참조하면, 램프(110)는 후술할 리플렉터부(130)의 만곡된 하단 부분의 내측에 리플렉터부(130)의 연장된 횡 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110)는 제논(xenon)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리플렉터부(1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플렉터부(130)는 램프(110)를 둘러싸고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플렉터부(130)는 후단이 만곡된 V자 형상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렉터부(130)는 램프(110)로부터 출사된 빛이 전방을 향해 조사될 수 있도록 내면에 반사면을 구비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리플렉터부(130)는 마운팅부(131)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플렉터부(130)는 이러한 후단이 만곡된 V자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를 향한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플렉터부(130)는 램프(110)에서 발광된 빛을 대상물이 있는 전방을 향해 집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리플렉터부(130)는 램프(110)에서 발광된 빛이 후방이나 측방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높이고 광 효율 대비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부(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 재질은 램프의 발열로 인하여 리플렉터부(13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고 있어 램프(110)의 발열로 인한 리플렉터부(13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렉터부(130)는 프레스 금형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확산 렌즈(150)를 포함한다.
도2를 참고하면, 확산 렌즈(150)는 리플렉터부(130)의 개구부 상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확산 렌즈(150)는 사각형 단면을 갖고 리플렉터부(130)의 개구부를 따라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확산 렌즈(1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물에 대한 광 조사 범위를 고려한 전방으로의 확산 범위, 요구되는 광 균일도 등을 고려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확산 렌즈(150)는 광 투과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확산 렌즈(150)는 광도와 조도를 증가시키면서 램프(110)에서 발광된 빛이 리플렉터부(130)를 통하여 집광되어 들어오면, 이러한 빛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방을 향해 조사되는 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가이드부(17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70)는 램프(110)에서 출사되어 확산 렌즈(150)를 통과한 빛의 경로를 전방으로 가이드 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램프로부터의 빛의 발산 경로를 쉽게 고려할 수 있게 되어, 광효율의 극대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0)는 확산 렌즈(150)의 둘레를 감싸면서 가이드부(170)의 후단에 구비된 후크(173)를 통해 다른 마운팅부재(175)에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0)의 내측면이 리플렉터부(130) 및 확산 렌즈(150)와 맞물림으로써, 가이드부(170)는 리플렉터부(130) 및 확산 렌즈(1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센서부(190)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센서부(190)는 가이드부(170)에 배치된다. 또한 센서부(190)는 전방의 대상물에 대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램프(110)는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발광된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거리감지센서는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전방의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에 의하면, 대상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및 압력 작용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 대상물의 부위나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서는 안 되는 대상물의 연약한 부위에 대해 보다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감지센서는 대상물에 대한 각각의 감지거리에 따라 대상물의 접근 각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7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감지센서는 2개 구비되어 가이드부(170)의 둘레 중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거리감지센서가 빛의 조사 경로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대상물의 접근 거리뿐 아니라, 대상물의 대상면이 본 휴대용 광 치료기에 대해 이루는 각도까지 산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램프의 동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부(190)는 가이드부(170)의 둘레면마다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영역의 둘레를 따라 거리감지센서를 복수 개 배치함으로써, 대상물의 대상면이 본 휴대용 광 치료기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다양한 방향에 대해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밀한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90)는 색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색감지센서는 대상물의 색상에 따라 램프(110)의 발광 정도가 조절되도록 대상물의 색상을 감지한다.
이를테면, 가이드부(17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거리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가이드부(17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색감지센서를 각각 설치하면, 센서부가 대상물과의 거리변화를 감지하면서 대상물의 색상도 감지할 수 있어 대상물을 더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광 치료기들은 버튼 등의 수동 조작을 통해 램프의 빛을 원하는 부위에 조사하여야 했기 때문에, 장치가 원하는 부위를 향해 정확하게 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 인해 원치 않는 부위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쉬웠다. 또한 이러한 수동 조작에 의하면 치료, 시술 등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종래의 IPL 장치로부터 빛이 출사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가 낭비되었다.
그리고 일부 IPL장치들은 전원을 공급하여 대상물에 직접적인 압력접촉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압력에 대응하여 램프가 작동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나, 대상물과의 직접적 접촉과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 힘으로 신호를 보내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이므로 직접적인 접촉이 꼭 필요하여, 접촉부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져서는 안 되는부위 또는 소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서는 안 되는 연약한 부위에 대한 은 치료가 힘들었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램프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눈과 같은 원치 않는 대상물의 부위에 빛이 조사되는 안전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고, 직접적인 접촉 또는 소정 이상의 압력 작용이 어려운 대상물에 대하여도 치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거리감지센서뿐 아니라 색감지센서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대상물, 이를 테면 피부의 색상에 따른 빛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용 광 치료기를 통해서도 보다 명확한 진단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그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릴부(200)는 확산 렌즈(150)에 대한 이물질의 투입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부(170)의 내측 및 확산 렌즈(150)의 전방에 그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릴부(200)는 확산 렌즈(150)를 통과한 빛의 경로를 굴절시키는 굴절율을 갖는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을 통하여 확산 렌즈(150)를 통과한 빛의 경로를 굴절시켜 치료부위의 성격에 따라 빛을 퍼트리거나 모을 수 있다. 즉, 그릴부(200)는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역할 뿐 아니라, 리플렉터부(130) 및 확산 렌즈(150)를 통과한 광이 원하는 소정의 범위로 조사될 수 있도록 확산 또는 집광 영역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릴부(200)는 복수의 그릴파이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릴파이프(210)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릴부(200)는 이 외에도 망형태와 같은 다양한 그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접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00)는 가이드부(170) 및 거리감지센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접촉부(300)는 거리감지센서에 대한 대상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부(17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00)는 대상물이 거리감지센서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대상물에 접촉되어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물에 접촉되었을 때 휘어지는 접촉부(300)가 구비됨으로써, 본 휴대용 광 치료기의 대상물에 대한 접촉이 자극 없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3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러버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촉부(300)는 거리감지센서가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대상물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300)가 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면, 이러한 접촉부(300)가 거리감지센서를 감싸 거리감지센서가 대상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더라도, 거리감지센서는 대상물, 이를 테면 인체가 접근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상 없이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300)는 거리감지센서의 작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거리감지센서가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거리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제어부(400)는 램프(110)를 감싸고 있는 리플렉터(1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400)의 위치는 이러한 위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광 치료기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고정부재(600)에 의해 보호 받을 수 있다.
고정부재(600)는 절연체인 재료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감전이나 기타 전압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램프(11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400)는 색감지센서가 감지한 대상물의 색상에 따라 IGBT방식을 통해 램프(110)의 발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IGBT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생성이 방지되어 고주파 발생의 원인이 없으며 효율적인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부(500)는 본 휴대용 광 치료기의 손잡이 상에 위치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부(500)는 본 휴대용 광 치료기의 손잡이 상에 엄지손가락이 파지되는 위치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500)가 이러한 위치가 배치됨으로써, 본 휴대용 광 치료기를 손에 쥐고 치료를 하면서 용이하게 켜고 끌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0)는 전술한 제어부(400)가 오프 상태 및 대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선택하게 한다. 여기서, 오프 상태란 본 휴대용 광 치료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거리감지센서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대상물이 다가오더라도 램프(1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대기 상태란 본 휴대용 광 치료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만 램프(110)는 아직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서, 거리감지센서에 대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대상물이 다가오는 경우에 램프(1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대기 중인 상태를 의미한다.
즉, 입력부(500)를 통해 제어부(400)를 오프 상태에 있도록 선택할 경우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램프는 작동하지 않는다. 반면에, 입력부(500)를 통해 제어부(400)를 대기 상태에 있도록 선택할 경우 제어부(400)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서 활성화된다. 이 때,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대상물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에 제어부(400)는 출력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전압을 출력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에 색감지센서가 구비된 경우에는, 감지한 대상물의 색상에 따라 램프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센서부(190), 입력부(500), 및 제어부(400)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본 휴대용 광 치료기의 안전성, 효율성, 사용 편의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를 대비하여 과전류 차단 휴즈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500)는 이를테면 키패드,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고하면, 본 휴대용 광 치료기는 충전 시와 같은 미사용 시에 전방을 덮는 커버(700)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램프 130: 리플렉터부
131: 마운팅부 150: 확산 렌즈
170: 가이드부 173: 후크
175: 마운팅부재 190: 센서부
200: 그릴부 210: 그릴파이프
300: 접촉부 400: 제어부
500: 입력부 600: 고정부재
700: 커버

Claims (10)

  1. 휴대용 광 치료기에 있어서,
    빛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를 둘러싸고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리플렉터부;
    상기 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확산 렌즈;
    상기 빛의 경로를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전방의 대상물에 대한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감지한 상기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발광되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렌즈에 대한 이물질의 투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및 상기 확산 렌즈의 전방에 그릴 형상으로 구비되는 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광 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확산 렌즈를 통과한 빛의 경로를 굴절시키는 굴절율을 갖는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포함하는 휴대용 광 치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대상물에 대한 각각의 감지 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접근 각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대상물의 색상에 따라 상기 램프의 발광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색상을 감지하는 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광 치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램프의 발열로 인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대해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상기 대상물에 접촉되어 휘어지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오프 상태 및 대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선택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입력부가 대기 상태를 선택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거리를 감지한 경우 상기 빛을 출력하는 것인 휴대용 광 치료기.
KR1020120015520A 2012-02-15 2012-02-15 휴대용 광 치료기 KR10142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520A KR101424098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용 광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520A KR101424098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용 광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111A true KR20130094111A (ko) 2013-08-23
KR101424098B1 KR101424098B1 (ko) 2014-08-01

Family

ID=4921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520A KR101424098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용 광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7331A (zh) * 2015-06-08 2017-01-04 介辉 加热指定空间内物体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702A (ja) * 1999-06-09 2000-12-12 Ya Man Ltd レーザ光照射プローブ
KR200225362Y1 (ko) * 2000-07-07 2001-06-01 박종윤 거리감지 센서를 설치한,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high power semiconductor laser diode)를 이용한, 일체형 휴대용 의료용 레이저 치료기구
JP2005102931A (ja) * 2003-09-30 2005-04-21 Terumo Corp 皮膚血流改善用光照射装置
JP2006289098A (ja) * 2005-04-12 2006-10-26 Inolase 2002 Ltd 皮膚の真空援用式光ベース治療用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098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982B2 (en) Energy emitting treatment device
US20070217199A1 (en) Light-based dermal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RU2421114C1 (ru) Оптический депиляционный прибор
EP2895096B1 (en) Device for dermatological use with a failsafe control
CN104136075B (zh) 用于在皮肤表面结合光疗和电疗的手持式装置
JP6480044B2 (ja) 光線力学治療装置
US10905896B2 (en) Treatment device for scalp
RU2015107845A (ru) Фототерапев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на сид (светодиодах), допускающая укладку в лоток для рентгеновской кассеты инкубатора
US20110238138A1 (en) Hair growth device
CN216571234U (zh) 皮肤处理设备
KR20190023890A (ko) 거리 측정 기반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KR20150079552A (ko) 광에 의한 미용 처리용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424098B1 (ko) 휴대용 광 치료기
KR20130109835A (ko) 온열 및 광마사지기
KR20150003596U (ko) 인체감지센서와 전자식 타이머가 내장된 충전식 자외선 살균장치
KR20210077469A (ko) 좌욕용 근적외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194172A (ja) 美容装置
KR20210064543A (ko) 자외선을 이용한 비타민 d 발생장치
US20120316623A1 (en) Phototherapy device
KR101833880B1 (ko) 적외선 조사장치
KR101033856B1 (ko) 뜸 및 마사지용 레이저 치료기
JP2014527871A (ja) 発光デバイス
KR101923569B1 (ko) 유브이씨 엘이디를 이용한 광면역치료기
KR101875122B1 (ko) 태양광선을 이용한 광선조사장치
US10166149B2 (en) Hardening initiation lamp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