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905A -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905A
KR20130093905A KR1020120015146A KR20120015146A KR20130093905A KR 20130093905 A KR20130093905 A KR 20130093905A KR 1020120015146 A KR1020120015146 A KR 1020120015146A KR 20120015146 A KR20120015146 A KR 20120015146A KR 20130093905 A KR20130093905 A KR 2013009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ail
drawer body
draw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246B1 (ko
Inventor
박윤식
한국화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박윤식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2001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2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 A47B2210/0094Drawer damping device with 2 relatively movable parts to convert kinetic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되는 서랍체의 인출시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본체와 서랍체를 분리 및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의 회전방향을 인체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서랍체를 고정하는 레일과 서랍체의 위치를 보정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서랍체가 인출입되는 본체의 내측면에서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서랍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재; 상기 서랍체를 상기 레일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레버; 및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레버와 착탈되는 레일의 일측면에서 내향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수직으로 상향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에서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레버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한쪽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a drawer adjusting the position of supporting rail}
본 발명은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되는 서랍체의 인출시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본체와 서랍체를 분리 및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의 회전방향을 인체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서랍체를 고정하는 레일과 서랍체의 위치를 보정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구, 냉장고, 오븐, 전자 제품 등에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수납물을 수납시킬 수 있는 서랍체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구의 경우에는 가구 본체에 보관되는 의류가 수납되는 형태, 냉장고의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냉기로 각종 음식물 및 야채 등을 저온 보관되도록 수납되는 형태, 그리고 오븐에 경우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형태로 서랍체가 설치되어 수납물이 본체의 내부와 바깥으로 이동되면서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다. 이런, 서랍체는 각 제품의 본체에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서랍체를열고 닫는 조작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 작동하여 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랍체를 슬라이딩 되도록 본체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장치는 볼 또는 롤러 등의 구름 운동하는 슬라이딩체가 설치되어 서랍체가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많은 수납물이 수납된 상태에도 작은 힘으로 인출 및 인입 시킬 수 있고, 서랍체가 부드럽게 작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의 서랍체 설치 공간의 좌우 벽면에는 고정 레일이 설치되며, 서랍체의 양 측면에는 고정 레일에 가이드되어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동 레일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서랍체는 고정 레일과 이동 레일의 사이에 슬라이딩체가 설치됨으로써 이동 레일이 고정 레일에서 부드러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서랍체는 이러한 고정 레일과 이동 레일의 2단 슬라이딩 장치 이외에도 고정 레일과 이동 레일 사이에 중간 레일을 설치하고, 각 레일 사이에 슬라이딩체들을 설치하는 3단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레일의 길이를 줄이면서 서랍체의 부드러운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슬라이딩 장치의 각 레일들은 가이드되도록 상호 결합되면 자체 구조만으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 레일에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중간 레일은 고정 레일과 중간 레일의 자체 구조 또는 슬라이딩체와의 결합에 따른 구조로 인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서랍체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은 서랍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품의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분리 장치(disconnector)가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 장치는 서랍체를 본체에서 최대 인출 위치까지 인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서랍를 본체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의 제품들 중, 예를 들어 책상은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서랍이 인출될시에 서랍체의 자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서랍체를 지지하는 레일이 휘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책상 서랍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레일이 상기 서랍체의 자중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어 휘어지므로 향후에 서랍체를책상으로 인입시킬 때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랍체는 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레일에 고정된 레버를 회전시켜 레일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된 이후에 서랍체의 인출이 가능한 구조이나, 종래의 레버는 회전방향이 인체와 맞지않도록 레일 반대측으로 레버를 회전시켜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고정되는 레일과 서랍체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갖고 인체에 맞는 회전방향을 갖도록 하여 서랍체의 인출입이 편리한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이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본체 레일과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어 서랍체와 레일 간의 높이차로 인한 기울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높이차를 보정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서랍체가 인출입되는 본체의 내측면에서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서랍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재; 상기 서랍체를 상기 레일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레버; 및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레버와 착탈되는 레일의 일측면에서 내향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수직으로 상향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에서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레버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한쪽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과 상기 레버지지판을 구획하도록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획판;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봉형상의 회전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면은 중심부가 볼록한 만곡된 면을 이루고, 타측은 하나 이상의 오목형 홈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한쪽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는 삼각형, 타원형, 사각형 내지 다각형 중 어느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일의 체결홈과 상기 레버의 삽입돌기 높이를 일치시키는 경사블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수직으로 직립된 단면이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면의 배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돌기가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에서 상기 고정판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면에서 상기 스토퍼의 제1체결돌기와 맞물리도록 상향 돌출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돌출되어 상기 위치보정부재측 방향의 측면에 내향되는 이동홈이 구비되는 이동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방향이 인체에 적합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으로 레일이 휘어지더라도 레버와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여 일치시킬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서랍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의 동작설명을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의 일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의 타측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가 적용된 서랍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인출가능한 서랍체(1)와, 상기 서랍체가 수납되는 본체에서 상기 서랍체(1)의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재(40)와, 상기 레일부재(40)와 서랍체(1)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0, 20, 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랍체(1)의 배면은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a)를 형성한다.
상기 레일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10, 20, 30)에 고정되는 제1레일(41)과, 상기 제1레일(41)을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제2레일(42)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2레일(42)을 지지하는 제3레일(4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재(40)는 일반적으로 동업종에서 사용하는 본체와 책상서랍체(1)의 체결구성을 적용한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다만, 상기 제1레일(41)은 하기의 레버부재(10)가 위치된 방향의 측면에서 내향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41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서랍체(1)의 테두리(1a)를 이루는 턱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레일부재(40)와 고정 및 체결되는 레버부재(10)와, 상기 제1레일(41)과 서랍체(1)간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위치보정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서랍체의 테두리(1a)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21)과, 상기 고정판(2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연장판(22)과, 레버(11)를 지지하는 레버지지판(23)과, 상기 레버(11)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핀(24)과, 스프링(12)을 지지하는 스프링고정핀(25)과, 상기 위치보정부재(30)를 지지하는 스토퍼(26)과, 상기 연장판(22)과 레버지지판(23)을 구획하는 구획판(27)과 측면의 하단에서 내향된 이동홈(281)을 구비한 이동지지판(28)을 포함하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판(21)은 수직으로 직립된 단면으로서 상기 서랍체(1)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벽면에 밀착되며, 나사 또는 못과 같은 고정수단이 연통되는 제1고정공(21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22)은 상기 고정판(2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랍체(1)의 배면에 밀착되며, 나사 또는 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이 연통되는 제2고정공(22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연장판(22)은 상기 제2고정공에 나사 또는 못이 삽입되어 상기 서랍체(1)의 배면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구획판(27)은 상기 연장판(22)과 상기 레버지지판(23) 사이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판(22)과 레버지지판(23) 및 스토퍼(26)를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구획판(27)은 상기 고정판(2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에 상기 연장판(22), 타측에 상기 레버지지판(23)과 상기 스토퍼(26)가 위치되도록 구획한다.
상기 레버지지판(23)은 상기 구획판(27)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면에서 상기 회전핀(24)과 스프링고정핀(25)이 상호 이격되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ㄱ' 자 형으로서 하향 연장되는 수직면(263)이 상기 고정판(21)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면(263)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면(262)이 상기 위치보정부재(30) 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수평면의 배면에서 톱니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체결돌기(261)가 형성되어 상기 위치보정부재(30)와 맞물려서 상기 위치보정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스프링고정핀(25)은 봉형상으로서 상향 돌출형성되며, 외면에서 상기 레버(11)의 회전을 지지하는 스프링(12)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핀(24)은 상기 레버지지판(23)의 상면에서 상향돌출된 봉형상으로서 상기 레버(11)의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112)에 삽입하여 상기 레버(11)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이동지지판(28)은 상기 레버지지판(23)에서 'ㄱ'자 형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판(28)의 이동홈(281)은 상기 이동지지판(28)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수직면에서 상기 위치보정부재(30) 측으로 절곡된 수평면의 측면에서 내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보정부재(30)의 이동돌기(34)를 지지한다.
상기 레버부재(10)는 상기 회전핀(24)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레버(11)와 상기 레버(11)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2)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11)는 인체의 손가락과 일치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113)와, 상기 본체(113)의 일측 끝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레일(4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1)에 착탈되는 삽입돌기(111)와, 상기 본체(113)의 일측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체결공(112)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인체의 손의 형상에 일치되는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면은 중심부가 볼록하도록 만곡된 곡면을 갖으며, 타측면에서는 각각 손가락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오목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공(112)은 상기 본체(113_)의 한쪽 끝단에서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핀(24)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12)은 상기 회전핀(24)과 회전가능한 구조로써, 예를 들면, 상기 회전핀(24)과 맞물리는 나사산을 이루거나 또는 회전핀(24)의 외면에 베어링이 체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체결공 및 회전핀(24)의 체결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삽입돌기(111)는 상기 본체의 일측 끝단에서 일측면에 돌출되는 돌기로서 상기 제1레일(41)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홈(411)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11)를 쥐고 한쪽 방향(즉, 레일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돌기(111)가 상기 제1레일(41)과 분리된다. 또한 상기 레버(11)는 사용자가 본체(1113)를 놓아버리면 상기 스프링고정핀(25)에 고정된 상기 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회전된다.
상기 위치보정부재(30)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보정부재(30)는 상기 톱니부에 맞물리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체결블럭(33)과,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는 손잡이(31)와, 상기 손잡이(31)의 일측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블럭(32)과, 상기 손잡이에서 상기 이동지지판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31)는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는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원기둥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1)는 상기 경사블럭(32)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구획판(27)의 단면과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1)이 위치된 방향의 한쪽 측면에서 상기 체결블럭(33)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체결블럭(33)은 상기 손잡이(31)의 일측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26)의 수평면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 수개의 제1체결돌기(261)와 맞물리는 다 수개의 제2체결돌기(331)가 상호 이격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블럭(33)은 상기 손잡이(31)의 이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체결돌기(331)가 상기 스토퍼(26)의 제1체결돌기(261)와 맞물리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30)의 위치를 지지한다.
상기 경사블럭(32)은 상기 손잡이(31)에서 상기 제1레일(41)을 향하는 측면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블럭(32)은 상기 손잡이(31)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레일(41)과 상기 서랍체(1)의 배면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어 제1레일(41)과 레버(11)와의 높이를 보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돌기(34)는 상기 손잡이(31)에서 상기 이동지지판(28)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281)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돌기(34)는 상기 손잡이(3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홈(281)을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손잡이(31)의 이동 및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위치보정부재(30)의 작용은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의 동작설명을 위한 측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에서 위치보정부재와 이동지지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보정부재(30)는 상기 서랍체(1)의 배면과 상기 제1레일(41)의 높이차가 발생되어 상기 제1레일(41)에 형성된 고정홈(411)과 상기 레버(11)의 삽입돌기(111)가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일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를 상기 제1레일(41)의 하부로 밀어넣는다.
따라서 상기 경사블럭(32)은 상기 손잡이(31)가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레일(41)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제1레일(41)의 높이를 승강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레버(11)의 삽입돌기와 상기 제1레일(4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1)의 높이를 상호 일치시킨다.
아울러 상기 체결블럭(33)은 상기 손잡이(3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스토퍼(26)의 배면을이동하다가 상기 경사블럭(32)의 위치가 결정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다면,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2체결돌기(331)가 상기 스토퍼(26)의 제1체결돌기(261)와 맞물려서 상기 위치보정부재(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서랍체(1)의 배면 테두리(1a)에 상향돌출되는 테두리(1a)에 나사 또는 못이 상기 고정판(21)의 제1고정공(211)과 연장판(22)의 제2고정공에 연통되어 삽입되어 상기 서랍체(1)의 배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부재(10)는 상기 레버(11)의 끝단에 형성되는 체결공(112)에 상기 회전핀(24)이 삽입되어 상기 레버(11)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버(11)는 끝단의 일측에 위치된 삽입돌기(111)가 상기 제1레일(4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1)에 안착된 상태로서 상기 서랍체(1)가 본체로부터 완전한 인출을 방지한다.
먼저 사용자는 서랍체(1)를 인출하기 위해서 서랍체(1)의 전면에 부착된 손잡이(31)를 이용하여 당기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고정된 제3레일(43)이 상기 제2레일(42)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3레일(43)이 상기 제2레일(42)의 끝까지 슬라이딩 된 이후에는 상기 제2레일(42)이 상기 제1레일(41)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서랍체(1)가 인출된다. 이때 상기 책상서랍체(1)는 상기 레버(11)의 삽입돌기(111)가 상기 제1레일(41)의 고정홈(411)에 안착된 상태로서 완전한 인출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체(1)를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11)를 바깥쪽 방향, 즉, 상기 레버(11)를 상기 제3레일(43)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돌기(111)를 상기 고정홈(411)에서 완전히 이탈시킨다.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레버(11)를 손에서 놓으면 스프링(12)에 의한 탄성력으로 레버(11)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상기 서랍체(1)는 상기 레버(11)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서랍체(1)를 잡아당기면 본체로부터 완전한 인출이 가능하다.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서랍체(1)를 상기 본체에 재결합시킬 경우는 상술한 바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서랍체(1)의 인출이 잦거나 또는 장기간 사용 또는 서랍체(1)내의 수용된 물품의 무게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상기 제1레일(41)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4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상기 레버(11)의 삽입돌기와 상기 제1레일(41)의 고정홈(411)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인출된 서랍체(1)가 본체에 재결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위와 같이 상기 레일(41, 42, 43)의 휘어짐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면, 상기 서랍체(1)를 인출 후에 재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30)를 조작하여 상기 제1레일(41)의 고정홈(411)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레버(11)의 삽입돌기(111)와 일치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위치보정부재(30)의 손잡이(31)를 잡고 상기 제1레일(41)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손잡이(31)의 이동돌기(34)가 상기 이동지지판(28)의 이동홈(281)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경사블럭(32)의 맨 아래측 하단이 상기 제1레일(41)의 하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41)은 상기 경사블럭(32)이 삽입되면서 경사면을 따라서 높이가 상승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를 잡고 밀어서 전진시키면, 상기 제1레일(41)의 높이가 상승 되고, 후진시키면 상기 제1레일(41)의 높이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1)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블럭(32)을 전후진시켜 상기 삽입돌기(111)와 고정홈(411)간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블럭(33)은 상면의 제2체결돌기(331)가 상기 스토퍼(26)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체결돌기(261)와 맞물려서 상기 경사블럭(3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서랍체(1)는 상기 위치보정부재(30)에 의하여 상기 레일부재(40)의 휘어짐등으로 인한 고장을 보정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적용된 서랍체(1)는 레버(11)의 회전방향이 서랍체(1)의 외측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인체에 적합한 형태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책상 서랍 1a : 테두리
10 : 레버부재 11 : 레버
12 : 스프링 20 : 지지부재
21 : 고정판 22 : 연장판
23 : 레버지지판 24 : 회전핀
25 : 스프링고정핀 26 : 스토퍼
27 : 구획판 30 : 위치보정부재
31 : 손잡이 32 : 경사블럭
33 : 체결블럭 40 : 레일부재
41 : 제1레일 42 : 제2레일
43 : 제3레일 111 : 삽입돌기
112 : 체결공 113 : 본체
261 : 제1체결돌기 331 : 제2체결돌기
411 : 고정홈

Claims (8)

  1. 서랍체가 인출입되는 본체의 내측면에서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서랍체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재;
    상기 서랍체를 상기 레일과 착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레버; 및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레버와 착탈되는 레일의 일측면에서 내향되는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수직으로 상향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에서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레버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레일에 대향되는 한쪽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판에서 상기 서랍체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연장판;
    상기 연장판과 상기 레버지지판을 구획하도록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진 구획판;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회전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면은 중심부가 볼록한 만곡된 면을 이루고, 타측은 하나 이상의 오목형 홈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한쪽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에 힘을 가하면 상기 레일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체결홈과 삽입돌기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레버에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서랍용 레일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는
    삼각형, 타원형, 사각형 내지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레일의 체결홈과 상기 레버의 삽입돌기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경사블럭을 더 포함하는 서랍용 레일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수직으로 직립된 단면이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면의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면의 배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돌기가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에서 상기 고정판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면에서 상기 스토퍼의 제1체결돌기와 맞물리도록 상향 돌출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돌기가 구비되는 체결블럭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버지지판의 상면에서 상향돌출되어 상기 위치보정부재측 방향의 측면에 내향되는 이동홈이 구비되는 이동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돌기를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KR1020120015146A 2012-02-15 2012-02-15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KR10139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46A KR101391246B1 (ko) 2012-02-15 2012-02-15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46A KR101391246B1 (ko) 2012-02-15 2012-02-15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05A true KR20130093905A (ko) 2013-08-23
KR101391246B1 KR101391246B1 (ko) 2014-05-27

Family

ID=4921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146A KR101391246B1 (ko) 2012-02-15 2012-02-15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2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45U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엔젤악기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CN109463917A (zh) * 2017-09-08 2019-03-15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机构及可用于滑轨的调整总成
CN114309479A (zh) * 2022-01-07 2022-04-12 陈春润 一种注料的铸造模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759A (en) 1995-04-27 1996-08-06 Snap-On Technologies, Inc. Shock absorbing disconnect latch for drawer slides
DE20217545U1 (de) * 2002-11-13 2003-01-23 Salice Arturo Spa Scharnier
JP4433780B2 (ja) 2003-12-10 2010-03-17 株式会社コジマ スライドレールの抜け止め解除用操作レバー構造
KR101106486B1 (ko) * 2009-07-10 2012-01-20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레버부재가 장착된 안전한 서랍용 레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45U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엔젤악기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CN109463917A (zh) * 2017-09-08 2019-03-15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机构及可用于滑轨的调整总成
CN114309479A (zh) * 2022-01-07 2022-04-12 陈春润 一种注料的铸造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246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341B2 (en) Sliding shelves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CN106455810B (zh) 滑动组件
JP6259398B2 (ja) 道具、特に工具の収納用デバイス
KR101622229B1 (ko) 냉장고
US20140015393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base and a cabinet assembly of an ice maker
WO2019100995A1 (zh)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KR20080045366A (ko) 냉장고 선반의 높이조절 구조
US20120017414A1 (en) Cabinet drawer support system
KR20160005338A (ko) 냉장고를 위한 선반 어셈블리
KR101622231B1 (ko) 냉장고
KR101391246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서랍체의 연결장치
US20130257254A1 (en) Crisper pan guide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US20130257253A1 (en) Crisper pan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US11448457B2 (en) Refrigerator with an adjustable bin
AU2013204121B2 (en) Light fixture for a merchandiser
JP6469614B2 (ja) 抽斗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US20190174919A1 (en) Cabinet drawer
JP3177386U (ja) 双方向引き出し用スライドレール及びその引き出しセット
CN109764623A (zh) 可调式搁物架以及使用该可调式搁物架的冰箱
CN101444370A (zh) 橱柜拉出体
CN208510330U (zh) 背墙收纳柜
JP2022552750A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JP2010194006A (ja) 収納家具
CN104739040A (zh) 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