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436A - 학습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436A
KR20130093436A KR1020120015058A KR20120015058A KR20130093436A KR 20130093436 A KR20130093436 A KR 20130093436A KR 1020120015058 A KR1020120015058 A KR 1020120015058A KR 20120015058 A KR20120015058 A KR 20120015058A KR 20130093436 A KR20130093436 A KR 2013009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ime
management system
statistics
stu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곤
Original Assignee
이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곤 filed Critical 이중곤
Priority to KR102012001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436A/ko
Publication of KR2013009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들에 대한 교습 및 평가방법을 프로세스화 하고, 각 프로세스에 따른 시간 및 성취도 등을 체크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업 과정, 방법을 프로세스화 설정하며, 각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카테고리화 하며, 프로세스별 소요시간을 쉽게 측정 및 기록하며, 시간의 통계 및 성과의 통계를 산출하며, 시간의 통계는 각각의 프로세스, 일일종합, 주기 종합별로 구성하며, 성과의 통계는 문제수, 공부분량을 입력해 평균 성과를 산출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프로세스별로 학업성취도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학생의 학습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학습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LEARNING}
본 발명은 학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생들에 대한 교습 및 평가방법을 프로세스화 하고, 각 프로세스에 따른 시간 및 성취도 등을 체크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1-0099301호에는, 학생 또는 부모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IC 카드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별도의 입력없이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서 교육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교육서비스 사업자 서버 시스템에서 상기 제공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교육서비스 사업자 서버시스템이 교육내용 또는 상기 교육내용의 학습에 대한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교육 관리 정보를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전송된 교육내용을 학습하거나 상기 전송된 교육 관리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교육내용 및 수행된 교육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IC 카드에 의한 직접적 접속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교육내용 및 교육관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가능하게 하였으나, 단순한 접근 및 교육내용 확인에 대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교육과정 전체를 평가하고, 성취도 등을 도출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5-0028243호에는 SMS를 이용한 학생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를 학원 컴퓨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교사 컴퓨터와; 학원 운영자가 SMS 학생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ID를 부여 받는 기능과, 교사로부터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를 전송 받는 기능을 갖는 학원 컴퓨터와; 학원 운영자로부터 회원가입에 따른 ID를 부여하는 기능과, 학생들의 정보를 회원 DB로 다운로드하고 필요시 업로드하는 기능과,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를 SMS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SMS 학생관리시스템과; 상기 학생들의 정보를 SMS 학생관리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고 필요시 업로드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회원DB와; 상기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를 SMS 학생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받는 기능과, 상기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 중에서 발송할 그룹을 선택한 후 발송 또는 예약할 내용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기능과, 상기 발송 또는 예약할 내용을 통신사 SMS Gate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SMS 서버와; 상기 SMS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내용을 고객(또는 학부모)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통신사 SMS Gate와; 상기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는 물론 각종 교육관리 정보를 통신사 SMS Gate를 통해 전송 받는 휴대폰(또는 고객 컴퓨터); 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 교육관리, 회원관리, 발송관리 등의 모든 업무를 웹상에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휴대폰 또는 고객의 컴퓨터에 전자메일로 전송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SMS를 이용한 학생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상기 학생들의 출결관리, 성적관리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효과적인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로세스별로 성취도를 파악하여 학생의 학습상태를 능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공급 설치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과, 메인서버에 연동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되는 학습 및 통계상황을 개인 학생별로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학습 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수업 과정 및 수업방법을 프로세스화하여 설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카테고리화하고, 각 프로세스별 소요시간을 측정 및 기록하며, 각 프로세스, 일일종합, 주기종합으로 구성된 시간의 통계를 산출하고, 문제수, 수업분량을 입력해 평균 및 성과의 통계를 산출한다.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프로세스와, 학습신간 및 성취도를 판단하는 통계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프로세스는,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학생목록과, 각 과목별 학습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 학습영역별로 학습레벨을 구분하고, 각 학습레벨에 대한 학습시간을 기록한다.
상기 학습시간은,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에 대하여 시작시간 및 마침시간, 회당 학습시간 및 총학습시간을 기록한다.
상기 회당 학습시간에는 틀린수/문제수 또는 이를 백분률로 환산한 평가도를 기록한다.
상기 학습 시간은 숙제를 더 포함하며 이 숙제에 대한 시간 및 실행여부를 기록한다.
상기 통계프로세스는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학생목록과, 각 과목별 학습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 학습영역별로 학습레벨을 구분하고, 각 학습레벨에 대한 성취도 및 시간통계를 기록한다.
상기 성취도 통계는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 각각에 대한 회별 측정시간, 평균시간, 누적 소요시간, 평균소요시간을 기초로 평가한다.
상기 시간통계는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 및 시간에 대하여 누적시간, 누적횟수, 평균소요시간을 기록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러명의 학생에 개인에 대하여 과목별 레벨별로 진행되는 학습에 대하여 학습시간, 학습횟수 및 성과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접속하는 메인서버에서 학습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학습진행상황 및 성취도를 손쉽게 분석하여 학생의 학습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메인페이지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학생목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과목별 소그룹분류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소그룹분류별로 레벨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각 레벨별로 해당학생의 학습데이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상태에서 실제 학습을 실시하기 위한 페이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이전공부학습을 선택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서 오늘 공부를 선택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오늘 공부의 실제학습 시각 및 소용시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7에서 오늘 복습을 선택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7에서 숙제를 선택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통계에 관련된 학생목록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어느 한 학생의 통계확인을 위한 영어과목을 소그룹분류를 예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통계 구분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통계 구분페이지서 성취도를 선택한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선택된 학생의 성취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관리 시스템의 통계 구분페이지서 시간을 선택한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선택된 학생의 이전공부복습에 대한 시간통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마켓(30)에 올려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에 설치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은 메인서버(20)를 운영하는 공급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마켓(30)으로 업로드되는 것이다. 메인서버(20)에는 각각의 학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데이타베이스(40)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클라이언트들은 초기에 어플리케이션 마켓(30)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단말기(10)에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인서버(20)에 접속하여 학습 및 성취도등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2내지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스마트폰용 앱으로 개발하여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시스템 앱의 메인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시스템 관리회사의 소개, 학생목록, 통계, 설정의 버튼이 개시되어 있어 버튼 선택하게 되면 해당하는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주요관점은 학생목록과 통계이다. 설정은 글씨체, 크기, 음향 등의 각종 부가기능의 설정에 사용된다.
도 3에는 도 2의 메인페이지에서 '학생목록' 버튼을 선택하였을 경우 실제 학생들의 목록을 나타내고 있는 페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페이지에는 싱단에 학생이름의 추가 및 검색 가능한 입력창이 제시되어, 이를 통해 추가 및 삭제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하단에는 기존체 입력된 학생들의 목록이 나열되고, 학생이름을 선택하면 다음 페이지로 진행하게 된다.
도 4에는 도 3에서 '유영민'이라는 학생을 선택하는 경우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유영민'학생의 개인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또한 과목을 세분화한 소그룹별로 버튼을 제공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영어'를 기준으로 하여 예시되고 있는바, 어휘영역을 나타내는 '보카'를 비롯하여 '독해','문법'이 예시되고, 시험을 보게 되는 '테스트'버튼도 포함된다. 상기 버튼들은 필요시 플러스(+) 버튼에 의해 추가,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버튼들은 과목별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며, 예컨대 수학 과목이며, 함수, 미적분, 확률통계 등으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는 도 4에서 '보카' 버튼을 선택한 경우 이동하는 페이지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어휘공부의 레벨을 그룹화하여 3개의 레벨로 표현하고 있다. 필요시 플러스(+)버튼을 이용하여 추가,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다.
도 6에는 도 5에서 레벨을 1단계 즉 'LV 1'을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단 첫 줄에 레벨수준,이름, 플러스(+) 버튼이 제공되고, 두 번째 줄에 일련번호(No), 날짜, 시각, 시간, 내용 등으로 구성된다.
No는 일련번호로 수업일수를 기재하고, 날짜에는 공부를 한 날짜를 기재한다. 그리고, 시각에는 핸드폰, 전자책, 컴퓨터의 시간 자동입력(시작시간과 종료시간)하고, 시간(소요시간을 의미함)에는 핸드폰의 종료시간-시작시간의 차(분'초'')로 구성된다. 또한 내용에는 문제수/페이지 형식, 또는 문단 수/페이지, 소제목 수/페이지 형식 등으로 기록한다.
한편 하단에는 합계를 나타내는 'T'구간을 두고 각각 수업일자수(일련번호와동일)를 기록하고, 누적시간, 평균시간이 오늘의 공부가 완료가 되면 자동으로 저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단의 플러스(+) 버튼 선택시에는 최후의 수업일자수의 다음차 즉 여기서는 3회차가 되고, 3회차의 날짜와 시작시각이 자동 측정개시되는 동시에 공부화면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7에는 도 6에서 플러스(+) 버튼을 눌러 실제 공부화면인 학습(STUDY)화면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이전공부복습','오늘공부','오늘복습'.'숙제'의 4개 분야로 구성된다. 프로세스마다 측정시간, 평균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며, 각각의 창에는 해당 프로세스의 시간측정이 이루어져 누적소요시간, 평균소요시간이 데이터화 되고, 성취도 역시 데이터화 된다. 각각의 해당 버튼 을 선택하면 해당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8에는 '이전공부복습' 버튼을 선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전공부복습은 지난 수업 시간에 공부한 내용 중 주요 부분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문제풀이, 테스트, 질문, 설명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전공부 복습은 일련번호, 시각, 시간, 평가로 구성된다
일련번호(No)는 일련의 숫자 대신에 수업분야의 챕터 또는 페이지로 대체될 수 있고, 평가는 분수형태와 백분율 두 개로 표시된다. 즉, 틀린수/전체문제의 분수형태 및 이를 계산한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다. 백분율은 소수둘째짜리까지표시(소수셋째짜리 0.5초과 반올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계인 'T'부분은 누적시간, 평균시간, 평가로 구성된다.
2회차 이후에 진행되어야할 3회차의 복습을 하기위해서는 플러스(+) 버튼을 선택하면 창이 뜨고, 시작버튼을 선택하면 핸드폰(전자책, 컴퓨터)의 현재시간이 입력된다. 멈춤버튼을 선택하면 시간측정이 정지되고,그 후 평가란에 틀린수/전체수를 입력하면 백분율을 자동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완료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측정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멈춤버튼을 선택하면 다시 시작 버튼을 선택할 때 소요시간 측정은 멈추었던 시간을 제외하고, 종료시간은 최종적으로 멈추는 시간이 입력된다. 이 경우, 종료시간-시작시간이 소요시간과 다를 수 있고, 이때 빨간색으로 구분된다.
도 9에는 도 7에서 '오늘 공부'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오늘 공부 첫 화면구성은 '이전공부복습'화면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일련번호(No),수업일수에 따르 매일의 수업시각, 그에 소요되는 시간 및 평가로 구성된다.
하단에 배치되는 합계인 'T' 부분에는 수업일수(일련번호와 동일), 누적시간, 누적평가, 누적백분율이 자동으로 나타게 된다. 플러스(+) 버튼을 누르게 되면 오늘 공부의 6개 프로세스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는 도 9에서 플러스(+) 버튼을 선택하여 오늘 공부의 프로세스화면으로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오늘 공부'는 6개의 프로세스를 통해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이 내재 된다. 표준프로세스로 선생님의 설명, 학생의 이해, 표현, 강화, 변화, 강화를 반복하는 프로세스로 각 단계의 소요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각 단계의 평균 시간 산출을 통해 선생님의 지도방법, 효율성, 적합성을 학생과 연계하여 판단한다.
학생의 경우, 이해, 표현,강화, 변화, 강화를 통한 5개 각각의 프로세스별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평균시간을 측정하고 이것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 중, 하 점수대의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상중하 수준별 학생에 맞는 학습방법과 학습지도, 시간에 따른 숙제 부여, 숙제방법까지 제시해준다.
학생의 따라, 6개의 프로세스를 4, 5개의 프로세스로 축소가능하며 축소된 프로세스에는 프로세스는 유지하되 아무런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된다.
오늘공부 버튼을 선택하면 6개의 프로세스 화면(다음장)이 나타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오늘 공부 프로세스(prcs)는 기본 6(No1~6)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10을 보면 '오늘 공부'라는 페이지 제목의 우측에는 페이지(예,248p) 또는 학습주제를 입력해 학습내용의 입력이 가능하다. 시각은 시.분.초로 측정되고, 단계별 (소요)시간 체크는 분.초 단위로 측정한다. 합계 'T' 부분은 시작시각과 종료시각으로 저장되고 그 차이가 (소요)시간으로 산출된다. 평가는 틀린수/총문제수 입력시 우측에 음의 백분율이 자동 산출된다.
우측상단의 플러스(+) 을 누르면 오늘의 공부가 부가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챕터별, 단원별로하여 세부적, 구체적으로 구분해서 저장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오늘 공부(2),(3)으로 창이 뜨며, 오늘 공부(1)의 시작시간이 시작시간으로 (3)의 종료시간이 최종시간으로 저장된다.
도 11에는 도 7에서 '오늘 복습'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오늘 복습한 공부만을 측정하고, 오늘 복습만의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이 내재 된다.
'오늘 복습' 첫 화면구성은 오늘 공부 복습 화면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일련번호(No), 수업일수에 따른 매일의 복습시각, 그에 소요되는 시간, 평가 등이 기록된다. 합계 'T' 부분에는 복습일수(일련번호와 동일), 누적시간, 누적평가, 누적백분율이 자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플러스(+)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에는 도 7에서 '숙제'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숙제시간은 학생이 측정한 시간을 입력하고 간단하게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숙제 역시 평균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통계자료와 연계된다. 실제 숙제를 한 시간 확인 후 실행여부를 오.엑스로 입력한다.
도 13에는 도 2에서 '통계'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통계 부분은 스터디 4 개의 프레임에서 '평가' 부분의 산출된 자료들이 구분 저장된다. 스터디 부분에서의 시간측정은 오프라인에서도 가능하지만, 통계부분은 온라인 접속시 서버와의 상호작용으로 데이터저장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통계자료는 엑셀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출력, 문서로도 제공가능하다.
화면에는 통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목록이 제시된다. 원하는 학생버튼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학생의 통계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도 14에는 도 13에서 어느 한 학생(여기서는 '유영민'학생)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는 '영어'를 기준으로 하여 예시되고 있는바, 어휘영역을 나타내는 '보카'를 비롯하여 '독해','문법'이 예시되어 있다.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5에는 도 14에서 '보카'버튼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에는 '성취도'와 '시간'의 버튼이 제공되고 이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분양의 통계로 이동하게 된다.
도 16은 도 15에서 '성취도'를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위의 학습(STUDY) 페이지와 동일하게 '이전공부복습','오늘 공부','오늘 복습'.'숙제'의 4개 분야로 구성된다. 프로세스마다 측정시간, 평균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며, 각각의 창에는 각각의 시간측정이 이루어져 누적 소요시간, 평균소요시간이 데이터화 되고, 평가(성취도) 역시 데이터화 된다. 버튼 선택시 해당페이지로 이동하여 전체적인 누적통계를 제시하게 된다.
도 17에는 도 16에서 '이전공부복습'버튼을 선택하여 '유영민' 학생의 레벨 1의 이전공부복습에 대한 성취도의 통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페이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영민' 학생의 성취도는 '성과' 와 '백분율(%)'로 표시된다. 하단에는 합계와 평균 백분율이 제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도 15에서 '시간'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도 15와 같이 '이전공부복습','오늘공부','오늘복습'.'숙제'의 4개 분야로 구성된다.
도 19에는 도 18에서 '이전공부복습'버튼을 선택하여 '유영민'학생의 이전공부복습' 시간의 통계를 위한 페이지로 이동한 상태이다.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영민' 학생의 시간 통계는 누적시간, 누적횟수, 평균소요시간으로 제시된다.
10: 메인서버

Claims (10)

  1. 메인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공급 설치되는 학습 어플리케이션과, 메인서버에 연동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되는 학습 및 통계상황을 개인 학생별로 저장하는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수업 과정 및 수업방법을 프로세스화하여 설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카테고리화하고, 각 프로세스별 소요시간을 측정 및 기록하며, 각 프로세스, 일일종합, 주기종합으로 구성된 시간의 통계를 산출하고, 문제수, 수업분량을 입력해 평균 및 성과의 통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프로세스와, 학습신간 및 성취도를 판단하는 통계프로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프로세스는,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학생목록과, 각 과목별 학습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 학습영역별로 학습레벨을 구분하고, 각 학습레벨에 대한 학습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시간은,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에 대하여 시작시간 및 마침시간, 회당 학습시간 및 총학습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당 학습시간에는 틀린수/문제수 또는 이를 백분률로 환산한 평가도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시간은 숙제를 더 포함하며 이 숙제에 대한 시간 및 실행여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프로세스는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학생목록과, 각 과목별 학습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각 학습영역별로 학습레벨을 구분하고, 각 학습레벨에 대한 성취도 및 시간통계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취도 통계는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 각각에 대한 회별 측정시간, 평균시간, 누적 소요시간, 평균소요시간을 기초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통계는 이전공부 복습, 오늘 공부, 오늘 복습 및 시간에 대하여 누적시간, 누적횟수, 평균소요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관리 시스템.
KR1020120015058A 2012-02-14 2012-02-14 학습 관리 시스템 KR20130093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58A KR20130093436A (ko) 2012-02-14 2012-02-14 학습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58A KR20130093436A (ko) 2012-02-14 2012-02-14 학습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436A true KR20130093436A (ko) 2013-08-22

Family

ID=4921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058A KR20130093436A (ko) 2012-02-14 2012-02-14 학습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3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65A (ko) * 2015-03-27 2015-04-20 주식회사 탐생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3256040A (zh) * 2020-02-07 2021-08-13 顾得科技教育股份有限公司 学习轨迹分析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165A (ko) * 2015-03-27 2015-04-20 주식회사 탐생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3256040A (zh) * 2020-02-07 2021-08-13 顾得科技教育股份有限公司 学习轨迹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wan et al. Using teacher logs to measure the enacted curriculum: A study of literacy teaching in third-grade classrooms
KR101455907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Nurhikmah H et al. Development of an android-based computer based test (cbt) In middle school
US20050233295A1 (en)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CN108171629A (zh) 一种课程推荐方法及装置
US20140244337A1 (en) Schedule Creating Method
Hamilton et al. Measuring educational quality by appraising theses and dissertations: pitfalls and remedies
Buzzetto-More et al. The pentagonal e-portfolio model for selecting, adopting, building, and implementing an e-portfolio
KR101488178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모의고사 및 학습 제공 시스템
US2016001980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scalable testing and evaluation
Rolf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variables to student success in a mastery learning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me
KR102186513B1 (ko) 커리큘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커리큘럼 관리 방법
Salehian Kia et a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zed feedback models, learning design and assessment outcomes
EP1450280A1 (en) Schedule data distribution evaluating method
KR20130093436A (ko) 학습 관리 시스템
Tucker et al. Validating a teaching survey which drives increased response rates in a unit survey
Sabir et al. An electronic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application for abet accreditation
Koomar et al. Using EdTech to Support Effective Data Monitoring: A Curated Resource List.
Coates Building quality foundations: Indicators and instruments to measure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hambour et al.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technologies in higher education: a mobile application for university course advising
Kim Using process indicators to facilitate data-driven decision making in the era of accountability
US20080154960A1 (en) Progress and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Sunitha et al. Program assessment and evaluation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N113268512A (zh) 基于互联网平台的企业岗位职业技能培训系统
McKeown et al. Is activity in online quizzes correlated with higher exam 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