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230A -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230A
KR20130093230A KR1020120014633A KR20120014633A KR20130093230A KR 20130093230 A KR20130093230 A KR 20130093230A KR 1020120014633 A KR1020120014633 A KR 1020120014633A KR 20120014633 A KR20120014633 A KR 20120014633A KR 20130093230 A KR20130093230 A KR 2013009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tection
web
website
infr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걸
경덕현
Original Assignee
(주)엠더블유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더블유스토리 filed Critical (주)엠더블유스토리
Priority to KR102012001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230A/ko
Publication of KR2013009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전송받아 등록 및 관리하고, 저작물 DB 는 관리서버에 의해 수신되어 등록된 저작물을 저장하다. 검출서버는 웹상에서 다수의 웹사이트에 대해 크롤링을 하여 웹사이트에 개시된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텐츠를 저작물 DB 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물과 비교하여 저작권 침해로 판단되는 컨텐츠를 검출한다. 메일서버는 검출서버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저작권을 침해한 컨텐츠를 개시한 웹사이트에 대해 저작권 침해 사실을 통지한다.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개개의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사례 검출을 쉽게 의뢰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System for detecting and managing copyright infringement contents on Web}
본 발명은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저작물의 등록 및 등록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를 검출하는 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웹상에서 다양한 컨텐츠가 자유롭게 배포 및 유통됨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저작물 보호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컨텐츠는 복제, 유통 및 배포가 매우 용이하며 이와 같이 배포된 컨텐츠는 진본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컨텐츠에 의한 저작권 침해는 저작권자의 권익을 심각하게 훼손하게 된다.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방안은 저작물의 복제, 유통, 배포가 어렵게 하는 사전적 조치와, 불법으로 복제, 유통, 배포된 저작물에 대해 검출하고 단속하는 사후적 조치로 나눌 수 있다. 사전적 조치는 예컨대 복제가 불가능하거나 복제 회수를 제한하기 위한 워터마킹 기술 등과 같이 기술적 측면에서 개발되는 방식으로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전적 조치에 의한 방식은 제한을 해제하는 기술의 개발에 의해 대부분 무력화되고 있으며, 또한 저작물의 직접적 침해에 해당되지 않는 복제 등에 대해서도 구분을 두지 않고 금지하는 효과로 인해 현실적으로 적용이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후적 조치로서 저작권의 침해를 하고 있는 행위에 대해 검출 및 적발이 지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재의 컨텐츠 저작물에 대한 침해 검출은 저작권자 스스로 또는 저작권을 위탁받아 관리하는 위탁기관이 개별적으로 웹사이트들을 접속하여 검출하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무수히 많은 웹사이트들에 대한 검출 및 적발을 매우 어렵게 하며, 기 검출된 웹사이트에서도 새로이 저작권 침해 사례가 추가되는 경우에 재접속 및 재검출을 하지 않는 한 지속적인 감시가 어렵게 된다. 나아가, 저작권자가 소자본 개인인 경우 위탁 기관에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권리 보호를 위탁시키는 것조차도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개개의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사례 검출을 쉽게 의뢰하고 관리할 수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전송받아 등록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수신되어 등록된 상기 저작물을 저장하는 저작물 DB; 웹상에서 다수의 웹사이트에 대해 크롤링을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개시된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저작물 DB 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여 저작권 침해로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를 검출하는 검출서버; 및 상기 검출서버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저작권을 침해한 상기 컨텐츠를 개시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저작권 침해 사실을 통지하는 메일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서버는,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웹 크롤링을 수행하는 웹크롤러; 상기 웹 크롤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컨텐츠 중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기; 및 상기 웹크롤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컨텐츠 중 텍스트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는 텍스트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웹크롤러는, 상기 웹사이트의 정책에 대한 환경을 추출하고, 상기 웹사이트의 HTML, 스크립트, CSS,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정보를 추출하는 후커; 추출된 상기 정책에 대한 환경을 로드하고 잡 DB로부터 수행할 잡(JOB)을 얻어오는 웹링크파서; 상기 웹링크파서에 의해 수집된 상기 웹사이트 정보를 분석하는 HTML 파서; 상기 HTML 파서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 링크를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이미지 다운로더; 및 상기 이미지 다운로더에 의해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잡 DB 에 저장하는 로그메이커;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메이커는 상기 잡 DB 에 상기 이미지 링크와 함께 상기 이미지 링크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작권을 침해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소 제기 관련 문서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화면,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저작권 침해로 검출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개개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위반내역 관리 화면, 및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저작권 침해로 검출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통계를 표시하기 위한 통계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관리 화면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컨텐츠이름 항목,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검출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는 키워드 항목, 및 상기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업로드하기 위한 스크린샷목록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 리포트 화면은,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침해로 의심되는 사례의 검출 건수를 보여주는 검출건수 항목, 및 각 검출 건별로, 저작권 침해 성립 확률을 산출한 정확도, 저작권 침해 컨텐츠의 URL,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HTML,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캡쳐화면,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OSP명을 포함하는 상세보기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위반내역 관리 화면은, 각각의 상기 컨텐츠별 저작권 침해 확정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한 건의 개수를 보여주는 확정건수 항목, 저작권을 침해로 확정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경고문을 발송하지 않은 건수를 보여주는 경고문 미발송 건수 항목, 및 저작권을 침해로 확정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소장을 생성하였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소장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 통계 메뉴의 화면은, 저작권 침해 통계를 각각의 상기 컨텐츠들에 대해서 보여주는 컨텐츠별 항목, 저작권 침해 통계를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 범위에 대해 보여주는 일별 항목, 및 저작권 침해 통계를 각각의 상기 웹사이트별로 보여주는 OSP별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개개의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사례 검출을 쉽게 의뢰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침해 컨텐츠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검출서버 내의 웹크롤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u 는 도 1 의 관리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침해 컨텐츠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침해 컨텐츠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100), 저작물 DB(200), 검출서버(Detection Server)(300), 및 메일서버(Mail Server)(400)로 구성된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저작물을 전송받아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 단말(20)이 등록하는 저작물은 컨텐츠 저작물로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음원과 같은 데이터 파일 등을 포함한다. 관리서버(100)는 저작물의 등록과 관리 이외에도 검출서버(300), 저작물 DB(200) 및 메일서버(300) 등의 제 동작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저작물 DB(200)는 관리서버(100)에 의해 수신되어 등록된 저작물을 저장한다. 저작물 DB(200)는 저장된 저작물을 검출서버(300)가 조회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검출서버(300)는 웹상에서 다수의 OSP(Online Service Provider)에 의해 운영되는 웹사이트(40)에 대해 크롤링(crawling)을 하여 웹사이트(40)에 개시된 컨텐츠를 수집한다. 또한 검출서버(300)는 수집된 컨텐츠를 저작물 DB(200)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물과 비교하여 저작권 침해로 판단되는 컨텐츠를 검출한다.
검출서버(300)는 이미지 비교기(Image Comparator)(310), 텍스트 비교기(Text Comparator)(320), 및 웹크롤러(Web Crawler)(330)를 포함한다. 이미지 비교기(310)와 텍스트 비교기(320)는 각각 수집된 컨텐츠 중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에 대해 저작물 DB(200)에 저장되어 있는 저작물과 비교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의하여 이미지와 텍스트 각각에 대해 저작권 침해 컨텐츠가 검출된다. 웹크롤러(330)는 웹사이트(40)에 대한 크롤링(crawling)을 하여 웹사이트(40) 내의 HTML, 스크립트(Script), CSS(Cascading Style Sheets) 정보를 가져온다.
메일서버(400)는 저작권 침해로 검출된 컨텐츠에 대해 동 컨텐츠를 웹상에서 개시(publishing)한 웹사이트(40)로 저작권 침해 사실을 통지하는 메일을 발송한다.
도 2 는 도 1 의 검출서버(300) 내의 웹크롤러(3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웹크롤러(330)는 후커(Hooker)(331), 웹링크파서(Web Link Parser)(333), HTML 파서(HTML Parser)(335), 이미지 다운로더(Image Downloader)(337), 및 로그메이커(Log Maker)(339)를 구비한다.
후커(331)는 웹사이트(40)에 접속하여 웹사이트(40) 정책에 대한 환경을 추출하고 또한 웹사이트(40) 내의 HTML, 스크립트(Script), CSS,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정보를 추출한다. 정책은 크롤링 대상 웹사이트(40)에서 실제 파싱(parsing)을 위한 링크 목록을 가져오기 위한 환경 변수의 리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파싱 대상웹사이트(40)에서 실제 사이트 전체 이미지, 스크린샷, HTML 컨텐츠, 텍스트 데이터 등과 같은 웹사이트 정보를 얻기 위한 환경 변수이다.
웹링크파서(333)는 후커(331)에 의해 추출된 웹사이트(40)의 정책에 대한 환경을 로드하고 상기 웹사이트 정보(HTML, 스크립트(Script), CSS,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집한다. 또한, 웹링크파서(333)는 잡(JOB) DB(340)로부터 수행할 잡(JOB)을 얻어온다. 여기에서 잡(JOB)은 콘텐츠 파싱을 위한 링크데이터를 의미한다.
HTML 파서(335)는 웹링크파서(333)에 의해 수집된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분석한다. HTML 파서(335)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 중 저작권 침해로 판단된 컨텐츠의 이미지 링크는 이미지 다운로더(337)에 의하여 웹사이트(40)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로그메이커(339)는 취합된 모든 정보(전체 사이트 스크린샷, HTML, 텍스트, 컨텐츠 내의 스크린샷 이미지 등)를 후속 작업을 위하여 잡 DB(340)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침해 컨텐츠 검출 및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저작물을 보유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100)에 접속하고, 관리서버(100)에 자신의 저작물을 등록한다. 관리서버(100)는 등록된 저작물을 저작물 DB(200)에 저장한다.
검출서버(300)는 저작물 DB(200)로부터 검출 대상 저작물을 추출하고, 웹크롤러(330)를 이용하여 웹사이트(40)에 대한 크롤링을 수행한다.
즉, 먼저 후커(331)가 웹사이트(40)에 접속하여 웹사이트(40) 정책에 대한 환경을 추출하고 또한 웹사이트(40) 내의 HTML, 스크립트, CSS,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정보를 추출한다. 웹크롤러(330)는 웹사이트 정보를 통해 추출된 링크 정보를 잡 DB(340)에 등록한다.
웹링크파서(333)는 후커(331)에 의해 추출된 웹사이트(40)의 정책에 대한 환경을 로드하고 상기 웹사이트 정보를 수집하며, 잡(JOB) DB(340)로부터 수행할 잡(JOB)을 얻어온다.
HTML 파서(335)는 웹링크파서(333)에 의해 수집된 웹사이트 정보를 토대로 컨텐츠를 분석하고, 이미지 다운로더(337)는 저작권 침해로 판단된 컨텐츠의 이미지 링크를 다운로드하며, 로그메이커(339)는 이미지 링크를 포함한 취합된 모든 정보(전체 사이트 스크린샷, HTML, 텍스트, 컨텐츠 내의 스크린샷 이미지 등)를 후속 작업을 위하여 잡 DB(340)에 저장한다.
이때, 이미지 다운로더(337)는 이미지 링크와 함께 이미지 링크에 의해 링크되어 있는 컨텐츠를 잡 DB(200)에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추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링크를 저장하여 두고 추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여야 하는데, 이미지 링크만을 제공할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 후에 침해 대상 컨텐츠를 웹사이트(40)에서 삭제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사실의 추후 확인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반면에 저작권 컨텐츠만을 저장하여 둘 경우에는 동 컨텐츠가 개시되어 있는 웹사이트(40)상에서의 위치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저작물 침해 사실의 정확한 특정 및 이를 통한 증거 자료 확보를 하여 후속되는 사용자의 법적 조치 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작권 침해 컨텐츠와 함께 동 컨텐츠의 이미지 링크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웹사이트(40)에 대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 검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검출 과정을 개개의 웹사이트(40)에 대해 반복한다. 검출 대상 웹사이트(40)는 관리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특정될 수도 있고 관리서버(100)에 의해 무작위로 또는 순차적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특정 서비스를 사업적으로 수행할 목적으로 운영되는 웹사이트가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이 문제되므로, 검출 대상 웹사이트는 주로 웹상에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조회 및 다운로드 가능하게 제공하고 있는 OSP(Online Service Provider)의 웹사이트가 될 것이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잡 DB(34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작권을 침해한 웹사이트에 대해 소 제기 관련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웹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해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개개의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사례 검출을 쉽게 의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u 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n 은 관리서버(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20)이 관리(100)에 접속되면 도 3a 와 같은 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한 후 도 3a 와 같은 화면에서 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도 3b 와 같은 화면이 메인화면으로서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된다.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는 "컨텐츠 관리", "검출 리포트", "위반내역 관리", 및 "통계"가 있다.
도 3c 는 "컨텐츠 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도 3c 와 같은 화면에서 해당 저작물을 업로드한다. 컨텐츠이름 항목에는 자신이 등록할 저작물에 대한 식별을 위한 이름을 입력하고, 키워드 항목에는 동 저작물을 검색하기 위해 필요한 키워드들을 입력하며, 스크린샷목록 항목에는 저작물이 이미지인 경우 동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한다. 저작물의 등록을 완료하면 도 3d 와 같은 화면을 통해 자신이 신청한 저작물의 등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d 의 화면에서는 동일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다수의 저작물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도 3e 는 "검출 리포트"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침해로 의심되는 사례의 검출 건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e 의 화면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컨텐츠 이름으로 "귀신전"으로 명명한 항목의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도 3f 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3f 의 화면에서는 각 검출 건별로 상세 내역이 표시된다. 상세 내역에서는 해당 건에 대한 정확도(저작권 침해가 성립될 확률로서, 사용자가 등록한 저작물과의 일치도를 검출서버(300)가 산출한 수치), URL(해당 컨텐츠의 주소), HTML, 캡쳐화면, 및 OSP명(해당 웹사이트(40)의 명칭) 등이 포함된다. 도 3f 의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건에 대한 URL 을 클릭하면 도 3g 와 같이 동 URL 에 의해 제공되는 저작물 컨텐츠 개시 화면이 표시된다.
도 3h 는 "위반내역 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위반내역 관리" 화면에서는 각 컨텐츠별로 확정건수(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확정된 건수)와 경고문 미발송 건수 등이 표시된다. 예컨대 "귀신전"이라는 컨텐츠에 대해 "상세보기"를 선택하면 도 3i 와 같은 화면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사용자는 각 위반 건별로 현황을 확인하여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3i 화면에서 정확도를 참고하여 각 건별 저작권 침해 여부에 대해 개략적으로 판단한 후, 각 건별 URL 을 클릭하여 실제로 조회하여 봄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저작권 침해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그 후, "위반" 항목을 클릭하여 "확정"을 선택함으로써 도 3i 와 같이 각 건별로 저작권 침해의 최종 판단 사항을 입력한다. "경고문" 항목은 사용자가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에 대해 경고문을 메일로 보내도록 선택함으로써 경고문을 발송한 경우에 "발송"으로 표시되며, "소장" 항목은 사용자가 저작권 침해에 따른 소 제기를 위해 소장을 출력하도록 선택하여 소장이 출력된 경우에 "생성"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각 컨텐츠에 대해서 저작권 침해 건별로 조회, 침해 확정 여부 판단, 경고문 발송, 소장 생성 등을 조작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이력이 관리서버(100)에 의해 관리된다. 도 3j 는 사용자가 경고문 발송을 선택한 경우에 관리서버(100)에 의해 메일서버(400)를 통해 발송되는 경고문을 예시한 것이고, 도 3k 는 사용자가 소장 생성을 선택한 경우에 관리서버(100)에 의해 생성되는 소장을 예시한 것이다.
도 3l 내지 도 3n 은 "통계"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통계 메뉴에서는 컨텐츠별, 일별, 및 OSP별로 저작권 침해 검출 사례의 통계를 보여준다. 도 3l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별"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 등록한 다수의 컨텐츠들에 대해서 검출된 개수를 표시하여 주며, 도 3m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 범위 내에서 검출된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해서 검출된 개수를 표시하여 주고, 도 3n 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P별"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해 저작권을 침해한 각 OSP(Online Service Provider)들에 대한 침해 건수를 표시하여 준다.
도 3o 내지 도 3u 은 관리서버(100)에 의해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a 와 같은 화면에서 관리자가 관리자 ID 와 관리자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관리화면이 제공된다. 관리화면에는 도 3o 와 같이 "사용자 관리", "OSP 관리", "관리자 관리", 및 "통계" 메뉴가 제공된다.
"사용자 관리" 메뉴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 3o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원(회사명 항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 화면에서 "수정" 항목을 선택하면 도 3p 와 같은 화면이 제공되어 각 회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가 수정할 수 있다.
"OSP 관리" 메뉴는 저작권 침해를 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된 개개의 OSP 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 3q 와 같이 도메인과 이메일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이 화면에서 "수정" 항목을 선택하면 도 3r 과 같은 화면이 제공되어 각 OSP 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가 입력 및 수정할 수 있다. OSP 에 대한 세부 정보는 HTML 의 파싱을 통해 대표 메일과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을 추출함으로써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해당 도메인을 관리자가 직접 접속하여 웹사이트를 조회함으로써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입수한 후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관리자 관리" 메뉴는 관리자의 ID 와 패스워드를 관리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 3s 와 같이 관리자 ID 로서 등록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관리자 ID 가 표시되고 그에 대한 수정 기능이 제공된다.
"통계" 메뉴는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전체 통계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 3t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OSP별 침해 개수, 도 3u 와 같이 기간별 침해 개수 등을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조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작물을 전송받아 등록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수신되어 등록된 상기 저작물을 저장하는 저작물 DB;
    웹상에서 다수의 웹사이트에 대해 크롤링을 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개시된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저작물 DB 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여 저작권 침해로 판단되는 상기 컨텐츠를 검출하는 검출서버; 및
    상기 검출서버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저작권을 침해한 상기 컨텐츠를 개시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저작권 침해 사실을 통지하는 메일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서버는,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웹 크롤링을 수행하는 웹크롤러;
    상기 웹 크롤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컨텐츠 중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기; 및
    상기 웹크롤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컨텐츠 중 텍스트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저작물과 비교하는 텍스트 비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크롤러는,
    상기 웹사이트의 정책에 대한 환경을 추출하고, 상기 웹사이트의 HTML, 스크립트, CSS,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및 웹브라우저의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정보를 추출하는 후커;
    추출된 상기 정책에 대한 환경을 로드하고 잡 DB로부터 수행할 잡(JOB)을 얻어오는 웹링크파서;
    상기 웹링크파서에 의해 수집된 상기 웹사이트 정보를 분석하는 HTML 파서;
    상기 HTML 파서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 링크를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이미지 다운로더; 및
    상기 이미지 다운로더에 의해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잡 DB 에 저장하는 로그메이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메이커는 상기 잡 DB 에 상기 이미지 링크와 함께 상기 이미지 링크에 링크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작권을 침해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해 소 제기 관련 문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화면,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저작권 침해로 검출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개개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위반내역 관리 화면, 및
    상기 검출서버에 의해 저작권 침해로 검출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통계를 표시하기 위한 통계 화면
    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화면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컨텐츠이름 항목,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검출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는 키워드 항목, 및
    상기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업로드하기 위한 스크린샷목록 항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리포트 화면은,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침해로 의심되는 사례의 검출 건수를 보여주는 검출건수 항목, 및
    각 검출 건별로, 저작권 침해 성립 확률을 산출한 정확도, 저작권 침해 컨텐츠의 URL,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HTML,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캡쳐화면, 및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의 OSP명을 포함하는 상세보기 항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내역 관리 화면은,
    각각의 상기 컨텐츠별 저작권 침해 확정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한 건의 개수를 보여주는 확정건수 항목,
    저작권을 침해로 확정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경고문을 발송하지 않은 건수를 보여주는 경고문 미발송 건수 항목, 및
    저작권을 침해로 확정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소장을 생성하였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소장 항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메뉴의 화면은,
    저작권 침해 통계를 각각의 상기 컨텐츠들에 대해서 보여주는 컨텐츠별 항목,
    저작권 침해 통계를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 범위에 대해 보여주는 일별 항목, 및
    저작권 침해 통계를 각각의 상기 웹사이트별로 보여주는 OSP별 항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KR1020120014633A 2012-02-14 2012-02-14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93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33A KR20130093230A (ko) 2012-02-14 2012-02-14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633A KR20130093230A (ko) 2012-02-14 2012-02-14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230A true KR20130093230A (ko) 2013-08-22

Family

ID=4921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633A KR20130093230A (ko) 2012-02-14 2012-02-14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32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0A1 (ko) * 2014-02-14 2015-08-20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콘텐츠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55800B1 (ko) * 2015-12-18 2016-09-22 박진영 웹사이트 이미지 오류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50791A3 (ko) * 2016-02-29 2018-03-08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WO2018124757A1 (ko) * 2016-12-30 2018-07-05 (주)엠더블유스토리 크롤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10008655A (zh) * 2019-03-01 2019-07-12 北京数字融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网络的侵权信息识别人标识系统及方法
KR102410669B1 (ko)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0A1 (ko) * 2014-02-14 2015-08-20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콘텐츠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504858A (ja) * 2014-02-14 2017-02-09 エムダブリューストー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整合性を確保するため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監視システム
KR101655800B1 (ko) * 2015-12-18 2016-09-22 박진영 웹사이트 이미지 오류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50791A3 (ko) * 2016-02-29 2018-03-08 (주)엠더블유스토리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WO2018124757A1 (ko) * 2016-12-30 2018-07-05 (주)엠더블유스토리 크롤러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10008655A (zh) * 2019-03-01 2019-07-12 北京数字融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网络的侵权信息识别人标识系统及方法
KR102410669B1 (ko) 2021-12-31 2022-06-22 주식회사 메타버즈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nft 컨텐츠의 저촉/위조 여부 판단 및 모니터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4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page analysis
US7958147B1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nd automated security assistance, a document marking regime, and central tracking and control for sensitive or classified documents in electronic format
KR100723867B1 (ko) 피싱웹페이지 차단 장치 및 방법
CA2822917C (en) Rule-based validation of websites
US92512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mpliance of references in a website
JP4936028B2 (ja) 情報提供支援装置および情報提供支援方法
TWI482045B (zh) 具商業規則應用之媒體內容來源偵測系統、方法與電腦可讀取式媒體
US20140245438A1 (en) Download resour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KR20130093230A (ko) 웹상에서의 저작권 침해 컨텐츠에 대한 검출 및 관리 시스템
US201101192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verse Pattern Recognition Matching
US20090281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irection of automated content identificatio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KR101800373B1 (ko)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80349A1 (en) System and method of policy driven content development
US200801680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Image of Web Site, Managing Information of Web Site, and Providing Image of Web Site
KR20170101624A (ko)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485128B1 (ko) 불법 저작물의 증거 채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70585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35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Digital Content
KR100912794B1 (ko) 실시간 웹 서버 해킹 분석 및 홈페이지 위변조 감시를 위한 웹 위협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04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change in a collection of web documents
JP2006511855A (ja) コンテント管理システム
US20100199220A1 (e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its method, and program
JP2008004008A (ja) 文字コンテンツ提供方法と文字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JP2005099967A (ja) 予防保守方法
Horsman Web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 analysis of forensic investigatory challe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20

Effective date: 201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