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800A - 배터리셀 - Google Patents

배터리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800A
KR20130092800A KR1020120014329A KR20120014329A KR20130092800A KR 20130092800 A KR20130092800 A KR 20130092800A KR 1020120014329 A KR1020120014329 A KR 1020120014329A KR 20120014329 A KR20120014329 A KR 20120014329A KR 20130092800 A KR20130092800 A KR 2013009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attery
battery unit
battery cel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755B1 (ko
Inventor
김명훈
임효성
윤석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7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전극부, 제2전극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사이에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지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 상기 전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필름; 및 내부에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밀봉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셀{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셀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성이 향상된 배터리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및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이중에서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장 수명, 고용량 등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차세대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중에서, 리튬 2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리튬 2차 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 이온 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cylinder type) 및 각형(prismatic type)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각광받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파우치형(pouched type)으로 제조되어서,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리튬 폴리머 전지는 안전성도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
이차 전지의 배터리 셀은 전지부와,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지부는 젤리(Jelly)를 와인딩한 형상과 같다 하여 젤리 롤(Jelly Roll)이라고도 하는데, 기존의 젤리 롤은 파우치형 케이스에 삽입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젤리 롤의 세퍼레이터는 얇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우치 케이스에 삽입 후 밀봉하는 공정에서 젤리 롤 모서리부에 위치한 세퍼레이터가 케이스 밀봉 부에 끼워진 상태로 밀봉될 수가 있으며, 이 경우 파우치 케이스의 밀봉면과 전극탭 간의 절연저항이 저하되어 배터리 셀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셀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식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젤리 롤 모서리부에 위치한 세퍼레이터를 케이스로부터 절연할 수 있는 배터리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2011-0053712(2011.05.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절연부재를 부착하여 내구성을 강화하고, 내부에 부착된 절연부재의 위치 또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전극부, 제2전극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사이에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지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 상기 전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필름; 및 내부에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밀봉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일단이 절곡된 판형태로 상기 전지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필름은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지부에 접착되는 배터리셀.
또한, 상기 필름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셀은 상기 필름의 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인 제1검출기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을 인식하는 포토다이오드인 제 2검출기, 및 상기 제2검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보기이다.
또한,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상기 필름이 상기 전지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을 인식하여 초기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필름이 상기 전지부에서 탈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이 상기 초기데이터와 달라지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기로 전송하며, 상기 경보기는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경보신호를 받으면 경보사실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알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의 네 모서리에 절연재질의 필름을 부착함으로서, 전지부에 구성된 세퍼레이터의 네 모서리를 케이스로부터 절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에 부착된 필름의 부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을 구성함으로서, 전지부에 부착된 필름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여 전지부에 부착된 필름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에 부착된 필름의 부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으로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를 구성함으로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전지부에 부착된 필름의 부착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에 구성된 제1검출기 및 제2검출기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은 전지부(100), 제1전극탭(140), 제2전극탭(150), 필름(200),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전지부(100)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 사이에 분리막이 구비되며, 제1전극부(110), 분리막, 제2전극부(120)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해질 용액과 함께 수용된다.
제1전극탭(140) 및 제2전극탭(150)은 전원 연결을 위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각각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1전극탭(140) 및 제2전극탭(150)은 각각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에 용접된다.
또한, 도면에는 제1전극탭(140) 및 제2전극탭(150)이 각각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전극탭(140)이 제1전극부(110)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및 제2전극탭(150)이 제2전극탭(150)이 제2전극부(120)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필름(200)은 전지부(100)를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전지부(100)의 네 모서리에 부착된다.
또한, 필름(200)은 일단이 절곡된 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부(100)의 네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모서리란, 전지부(100)의 대각선과 만나는 꼭지점에 배치된 모서리를 말한다.
배터리셀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전지부(100)는 모서리 부분의 연신률이 높게 나타나게 됨에 따라 절연 저항에 취약해지게 되면서, 전지부(100)에 구성된 세퍼레이터(13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될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 및 외부 진동에 의하여 전지부(100)의 모서리가 파괴되게 된다.
이 때, 필름(200)은 외부 충격 및 외부 진동으로부터 전지부(100)에 구성된 세퍼레이터(130)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함으로서, 전지부(100)의 수명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100)의 네 모서리에 절연재질의 필름(200)을 부착함으로서, 전지부(100)에 구성된 세퍼레이터(130)의 네 모서리를 케이스(300)로부터 절연하는 장점이 있다.
케이스(300)는 배터리셀을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내부에 상기 전지부(100)가 수용되며, 제1전극탭(140) 및 제2전극탭(150)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밀봉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0)은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검사수단(400)은 제1검출기(410), 제2검출기(420), 경보기(43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검출기(410) 및 제2검출기(420)는 필름(200)을 사이에 두고 각각 케이스(300)의 내측 하면 및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된다.
제1검출기(410)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로서, 제2검출기(420)로 빛을 방출한다.
제2검출기(420)는 빛을 인식하는 포토다이오드로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을 인식하며 경보신호를 생성한다.
경보기(430)는 제2검출기(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케이스(300)의 내면에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에 구성된 제1검출기(410) 및 제2검출기(420)의 작동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200)이 전지부(100)에 부착되어 있으면,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빛은 필름(200)에 의해 일정영역이 차단되면서 포토다이오드로 입사되게 된다.
이 때, 포토다이오드는 필름(200)이 전지부(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을 인식하여 초기데이터로 저장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을 받아서 필름(200)이 전지부(100)에서 탈착되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포토다이오드로 도달하는 빛의 입사량은 변화하게 된다.
이 때,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이 초기데이터와 달라진 것을 인식한 포토다이오드는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경보기(430)로 전송한다.
경보기(430)는 포토다이오드로부터 경보신호를 받으면 경보사실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알린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란, 차량용 배터리의 경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계기판 또는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 휴대폰 배터리의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부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400)을 구성함으로서,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여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부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400)으로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를 구성함으로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전지부(100)에 부착된 필름(200)의 부착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
100 : 전지부
110 : 제1전극부 120 : 제2전극부
130 : 세퍼레이터
140 : 제1전극탭 150 : 제2전극탭
200 : 필름
300 : 케이스
400 : 검사수단
410 : 제1검출기 420 : 제2검출기
430 : 경보기

Claims (7)

  1. 제1전극부, 제2전극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사이에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지부;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
    상기 전지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필름; 및
    내부에 상기 전지부가 수용되며, 상기 제1전극탭 및 제2전극탭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밀봉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일단이 절곡된 판형태로 상기 전지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는 배터리 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지부에 접착되는 배터리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셀은
    상기 필름의 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인 제1검출기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을 인식하는 포토다이오드인 제 2검출기, 및
    상기 제2검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보기인 배터리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상기 필름이 상기 전지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을 인식하여 초기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필름이 상기 전지부에서 탈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의 입사량이 상기 초기데이터와 달라지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기로 전송하며, 상기 경보기는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경보신호를 받으면 경보사실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알리는 배터리셀.
KR1020120014329A 2012-02-13 2012-02-13 배터리셀 KR10168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29A KR101680755B1 (ko) 2012-02-13 2012-02-13 배터리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29A KR101680755B1 (ko) 2012-02-13 2012-02-13 배터리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00A true KR20130092800A (ko) 2013-08-21
KR101680755B1 KR101680755B1 (ko) 2016-11-30

Family

ID=492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29A KR101680755B1 (ko) 2012-02-13 2012-02-13 배터리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7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28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팩 내부의 연소 억제 방법 및 장치
WO2019078447A1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CN114270603A (zh) * 2019-12-09 2022-04-01 株式会社Lg新能源 使用保护膜制造袋形电池单元的方法及使用该方法制造的袋形电池单元
US11973175B2 (en) 2019-12-09 2024-04-30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shaped battery cell using fixing jig and pouch-shaped battery cel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28B1 (ko) 2018-07-03 2023-11-0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 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8445B2 (ja) * 1988-02-19 1997-05-0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接合検査方法および装置
CN1180506C (zh) 1999-03-26 2004-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叠合片封装型电池
JP4004236B2 (ja) * 2001-03-26 2007-11-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ィルム状外装体を備えた電池
KR100716596B1 (ko) 2007-03-26 2007-05-09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28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팩 내부의 연소 억제 방법 및 장치
WO2019078447A1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KR20190042801A (ko)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CN114270603A (zh) * 2019-12-09 2022-04-01 株式会社Lg新能源 使用保护膜制造袋形电池单元的方法及使用该方法制造的袋形电池单元
CN114270603B (zh) * 2019-12-09 2024-02-13 株式会社Lg新能源 使用保护膜制造袋形电池单元的方法及使用该方法制造的袋形电池单元
EP4040579A4 (en) * 2019-12-09 2024-04-17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CKET-TYPE BATTERY CELL USING PROTECTIVE FILM AND POCKET-TYPE BATTERY CELL MANUFACTURED BY MEANS OF THIS METHOD
US11973175B2 (en) 2019-12-09 2024-04-30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uch-shaped battery cell using fixing jig and pouch-shaped battery cel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755B1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3516B1 (en) Battery pack
KR100965684B1 (ko) 전지 팩
US8846221B2 (en) Battery pack
KR20150138626A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140045027A1 (en) Battery pack
KR101680755B1 (ko) 배터리셀
KR102063935B1 (ko) 배터리 모듈
KR20140015859A (ko) 밀폐형 배터리 모듈
KR20110002617A (ko) 배터리 팩
US20140017551A1 (en) Battery pack
KR20160019785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6999A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60144325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30050616A (ko) 전극 탭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40022236A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30047151A (ko) 배터리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539788B1 (ko)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50115558A (ko) 보호회로모듈을 갖는 이차 전지
CN110870095B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N110612618B (zh) 二次电池模块
KR20140057701A (ko) 파우치형 전지셀을 포함하는 각형화 전지
KR201300902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30134951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