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148A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148A
KR20130091148A KR1020120012451A KR20120012451A KR20130091148A KR 20130091148 A KR20130091148 A KR 20130091148A KR 1020120012451 A KR1020120012451 A KR 1020120012451A KR 20120012451 A KR20120012451 A KR 20120012451A KR 20130091148 A KR20130091148 A KR 2013009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pontoon
submersible
lateral
mari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710B1 (ko
Inventor
김용수
박병원
김대웅
김덕수
김철현
남종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7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 및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컬럼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잠수식 해양구조물{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에서 유전 개발을 위해 시추 작업을 수행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 중인 유전의 수심은 점차 심해로 이동하고 있다.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석유의 매장을 확인하는 시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유전 개발의 추세에 따라 시추가 이뤄지는 수심도 심해로 이동하고 있다.
시추 작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해양구조물로는 Drill-ship, Drilling-Rig, Jack-up, Drilling-Barge 등이 있다. 이들 중 심해에서 시추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는 Drill-ship과 Drilling-Rig가 있다. Drill-ship은 선박 형태의 시추선으로 적재 공간이 크기 때문에 supply vessel의 도움없이 장기간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선박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동 성능이 좋지 못한 단점으로 인해 파도 등으로 인한 해상환경하중이 심한 해역에서는 투입이 제한적이다.
Drilling-Rig는 semi-submersible로도 불린다. Semi-submersible은 컬럼(column)과 폰툰(pontoon)으로 구성되며 수선 면적이 작아 운동 성능이 좋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해상환경하중이 심한 해역에서도 투입이 가능하며 심해 유전 개발을 위해 많이 투입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 및 실선 계측 결과에 따르면 작업 중 semi-submersible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 기울어지는 현상이나 장주기의 횡동요가 심하게 발생되어 시추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39371호(주식회사 지주) 2011. 05. 3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상 환경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장주기의 횡동요 발생을 방지하여 시추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 및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컬럼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횡동요는 상기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 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으로 인해 발생되는 2nd order 횡동요일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는,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상기 갑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에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격벽일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 바닥부를 기준으로 상기 갑판 방향으로 예각(銳角)의 범위내에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격벽일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사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형상 또는 상측부가 타원인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컬럼은 한 쌍이 이격 마련되며,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폰툰의 중앙부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횡동요 저감부재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갑판의 저면부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컬럼의 중앙부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며,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의 상측부 영역은 상기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자중 흘수를 기준으로 해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횡동요 저감부는, 상기 폰툰에 마련되어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폰툰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column)과 상기 복수의 컬럼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상기 갑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컬럼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폰툰에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에 의해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해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장주기의 횡동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추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공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모형 실험에서 모형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장주기 및 기울어짐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일어나는 2nd order 횡동요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일어나는 2nd order 횡동요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횡동요 저감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공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모형 실험에서 모형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장주기 및 기울어짐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일어나는 2nd order 횡동요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서 일어나는 2nd order 횡동요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횡동요 저감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1)은, 갑판(D)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column, 200)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 100)과, 폰툰(100)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복수의 컬럼(200)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해상 환경에서 파도의 중첩에 의해 2nd order 횡동요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의 설명과 2nd order 횡동요 현상의 의미를 정의한다.
해양에서 원유 시추 작업에 사용되는 반잠수식 구조물은 해수면에 잠기는 수평 형태의 폰툰(100)과 폰툰(100)의 상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컬럼(2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잠수식 구조물은 컬럼이 수선면(water plane)과 맞닿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선박에 비해 수선 면적(배의 흘수선을 따라 끊은 단면의 면적)이 작다.
이렇게 수선 면적이 작아지게 되면 수직 방향의 복원력과 횡동요 복원 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해당 방향으로의 공진 주기가 길어져 반잠수식 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0초 이상의 공진 주기를 갖게 된다.
일반적인 해상의 파도 주기가 20초를 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반잠수식 구조물의 수직 및 횡동요 공진 주기는 파도의 주기와 상당히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반잠수식 구조물의 자체 공진 주기와 파도의 주기가 겹침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진 현상에 의해 반잠수식 구조물에 큰 거동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어진다.
하지만 최근 실선 계측에 의하면 반잠수식 구조물이 일반적인 해상 환경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반잠수식 구조물에 장주기의 횡동요 현상이 발생하였다. 장주기는 일반적으로 50초 이상의 주기를 갖는 것을 말한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은 반잠수식 구조물의 2nd order 횡동요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반잠수식 구조물의 모형을 기초로 실험한 데이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반잠수식 구조물의 모형을 기초로 일정한 파도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잠수식 구조물의 모형에 실선 계측과 유사한 형태의 장주기 횡동요 및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반잠수식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으로 인해 발생되며, 본 실시예는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반잠수식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반잠수식 구조물에 장주기의 횡동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2nd order 횡동요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반잠수식 구조물의 수직 및 횡동요의 공전 주기가 50초 이상의 장주기를 갖는 점을 생각해볼 때 반잠수식 구조물과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되는 2nd order 파 성분(도 4 참조)과의 공진 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효율성은 실험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된 수치 계산 조건을 이용하여 수치 계산한 데이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 계산 결과 실험과 동일하게 반잠수식 구조물의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수치 계산을 통해 2nd order 횡동요 현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폰툰(100)에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30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짐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해 현저히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2nd order 횡동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1)의 폰툰(100) 및 컬럼(200)과 폰툰(100)에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폰툰(pontoon, 100)은, 해양구조물이 해상에서 이동중일 때에는 해수면에 약간 잠기지만, 일정한 위치에서 시추 작업 등을 실시할 때에는 폰툰(100) 전체가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폰툰(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폰툰(100)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주기관 장치, 발라스트, 연료탱크, 드릴워터 등의 각종 장비와 운용에 필요한 장비 및 화물이 적재될 수도 있다.
컬럼(column, 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폰툰(100)의 상측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갑판(D)의 저면부에 연결되어 갑판(D)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컬럼(200)은 하나의 폰툰(100)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횡동요 저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컬럼(200) 사이의 폰툰(10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2nd order 파 성분의 생성을 막을 뿐만 아니라 2nd order 파 성분에 의한 가진력을 상쇄시켜 2nd order 횡동요 현상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 즉, 도 8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달되는 2nd order 파 성분은 폰툰(100)의 좌측부에 마련된 횡동요 저감부(300)를 통과하면서 장주기의 사이클에 변동이 생겨 2nd order 파 성분을 유지하지 못한다.
그 결과 2nd order 파 성분의 생성은 억제되며, 2nd order 파 성분에 의한 가진력은 횡동요 저감부(300)에 부딪쳐 상쇄되므로 2nd order 횡동요 현상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폰툰(100)에 한 쌍이 한 쌍의 컬럼(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컬럼(200) 사이에 배치되는 횡동요 저감부(300)는 1개 또는 2 이상의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제 횡동요 저감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횡동요 저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100)의 상측부에 갑판(D)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재(310)와, 폰툰(100)에 마련되어 횡동요 저감부재(31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320)를 포함한다.
횡동요 저감부(300)의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컬럼(200)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일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도 8을 기준으로 컬럼(200)의 좌우측에서 전달되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을 컬럼(200)의 좌우측에서 상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컬럼(200) 사이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을 균등하게 상쇄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폰툰(100)의 중앙부로부터 각각의 컬럼(200) 방향으로 한 쌍이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장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의 효율적인 상쇄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200)의 중앙부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되 상측부 일부 영역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1)의 자중 흘수를 기준으로 해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컬럼(200)의 중앙부 높이는 폰툰(100)의 상면부로부터 갑판(D)의 저면부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을 갖되 폰툰(1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폭에 대응되는 가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는 본 실시 예를 해상에서 이동 시 해수면 영역의 해수와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폰툰(100)에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의 접힘 수단은 미 도시되었지만 폰툰(100)의 상면부에 회동축을 마련하고 회동축에 횡동요 저감부재(310)의 하측부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방식 등으로 행해질 수 있다.
횡동요 저감부(300)의 보강부재(32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10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횡동요 저감부재(310)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재(320)는 보강편(321) 또는 트러스(322)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재(320)는 전술한 횡동요 저감부재(310)와 같은 접힘 수단으로 폰툰(100)의 상측부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1a~1d)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횡동요 저감부재(310)가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었고, 폰툰(100)에 수직으로 마련되었다(도 7 참조). 하지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1a~1d)의 횡동요 저감부재(310a~310d)는 해상 환경 즉 파고(wave height)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a~310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 형상,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가 타원형 형상을 갖는 사각형 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횡동요 저감부재(310a~310d)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100)의 상면부 바닥부를 기준으로 갑판(D) 방향으로 예각(銳角)의 범위내에서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폰툰에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에 의해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해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장주기의 횡동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추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1d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00 : 폰툰(pontoon)
200 : 컬럼(column) 300 : 횡동요 저감부
310,310a~310d : 횡동요 저감부재 320 : 보강부재
D : 갑판

Claims (14)

  1.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column)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 및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컬럼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는 상기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 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으로 인해 발생되는 2nd order 횡동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는,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상기 갑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횡동요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에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 바닥부를 기준으로 상기 갑판 방향으로 예각(銳角)의 범위내에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7. 청구항 5항 또는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사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형상 또는 상측부가 타원인 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한 쌍이 이격 마련되며,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폰툰의 중앙부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횡동요 저감부재는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는 상기 폰툰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갑판의 저면부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컬럼의 중앙부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며,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의 상측부 영역은 상기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자중 흘수를 기준으로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부는,
    상기 폰툰에 마련되어 상기 횡동요 저감부재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폰툰에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3.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컬럼(column)과 상기 복수의 컬럼이 마련되는 폰툰(pontoon)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폰툰의 상측부에 상기 갑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컬럼 사이에 배치되어 파도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을 상쇄시켜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횡동요 저감부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는 상기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도들의 중첩으로 인해 생기는 장 주기의 2nd order 파 성분으로 인해 발생되는 2nd order 횡동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20120012451A 2012-02-07 2012-02-07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68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51A KR101681710B1 (ko) 2012-02-07 2012-02-07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51A KR101681710B1 (ko) 2012-02-07 2012-02-07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48A true KR20130091148A (ko) 2013-08-16
KR101681710B1 KR101681710B1 (ko) 2016-12-13

Family

ID=4921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51A KR101681710B1 (ko) 2012-02-07 2012-02-07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953A1 (ko) * 2014-12-01 2016-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동 감쇠 기능을 갖는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587A (ja) * 1986-06-10 1987-12-19 Sumitomo Heavy Ind Ltd 半潜水式海洋構造物の潜水浮力体
KR20020037926A (ko) * 2000-11-16 2002-05-23 김형벽ㅂ 고효율 빌지 킬
KR20050034601A (ko) * 2001-10-09 2005-04-14 씨호스 이퀴프먼트 코포레이션 밸러스트 중에 부유구조물의 유체정역학 안정성을 얻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39371B1 (ko) 2010-11-25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된 폰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587A (ja) * 1986-06-10 1987-12-19 Sumitomo Heavy Ind Ltd 半潜水式海洋構造物の潜水浮力体
KR20020037926A (ko) * 2000-11-16 2002-05-23 김형벽ㅂ 고효율 빌지 킬
KR20050034601A (ko) * 2001-10-09 2005-04-14 씨호스 이퀴프먼트 코포레이션 밸러스트 중에 부유구조물의 유체정역학 안정성을 얻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39371B1 (ko) 2010-11-25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스위블 가능하게 연결된 폰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953A1 (ko) * 2014-12-01 2016-06-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동 감쇠 기능을 갖는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갖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US10160516B2 (en) 2014-12-01 2018-12-25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Marine structure platform having movement damping function and submersible marine structur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710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724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с присоединенными к понтонам расширительными пластинами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ее вертикальной качки
US7281881B1 (en) Column-stabilized platform with water-entrapment plate
KR20190119034A (ko) 부유 해양 플랫폼(floating offshore platform)
CN104321247A (zh) 一种环翼式浮式平台
US20090151613A1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RU2532447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добывающая платформа
WO2005113329A1 (en) Offshore platform stabilizing strakes
CA2877104C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and centralized open keel plate
RU2534172C2 (ru) Система баржи со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ой вертикальной качкой для бескрановой установки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на морском основании
JP612406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建造・運搬方法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101681710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403619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NO332120B1 (no) Flytende understell
JP2011148511A (ja) スロッシング荷重軽減装置及びスロッシング荷重軽減装置付き船舶
KR101670867B1 (ko) 동적 안정화 구조를 갖는 해상부유구조물
KR20150021611A (ko) 버티컬폰툰 타입 세미 리그
KR2016000794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Mansour et al. Novel Dry-Tree Semisubmersible Solutions for Deepwater Marginal Field Development
KR101422469B1 (ko) 해양구조물용 완충장치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JP2005239157A (ja) 浮体の動揺低減装置
KR20150120731A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