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116A -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116A
KR20130091116A KR1020120012400A KR20120012400A KR20130091116A KR 20130091116 A KR20130091116 A KR 20130091116A KR 1020120012400 A KR1020120012400 A KR 1020120012400A KR 20120012400 A KR20120012400 A KR 20120012400A KR 20130091116 A KR20130091116 A KR 2013009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rea
contact
signal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232B1 (ko
Inventor
이동원
이호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1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2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조명을 제어하고자하는 공간을 표시하고, 도시된 공간 상에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스위치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점등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그에 의한 복수개의 스위치 선택 및 일괄 제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량을 터치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전력 소비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조명은 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일부 조명은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특별히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조명은 여전히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등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조명이 이용되는 환경이 다양해지고, 조명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불필요하게 다른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어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의 배치에 맵핑되는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상기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크린 영역 상의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압력에 따라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고, 상기 접촉 판별부는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가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면, 상기 접촉 위치 신호의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판정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명 제어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이 아니면, 상기 판정된 영역을 기준으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모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지정된 구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 중 다른 구역에 포함되는 스위치 아이콘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분된 구역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구역별 조절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들의 소비 전력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비전력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들 중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들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은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범위를 표시하는 조도 조절 바, 및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레벨을 표시하는 조도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상기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명 조절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상에 조명을 제어하고자하는 공간을 표시하고, 도시된 공간 상에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스위치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점등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그에 의한 복수개의 스위치 선택 및 일괄 제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량을 터치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전력 소비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이하, 조명 제어 장치)(10)는 스크린 영역(100)을 구비한다. 스크린 영역(100)은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며, 디스플레이된 공간의 평면도 상에서 실제 조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디스플레이 된다. 즉 평면도 상에 디스플레이 된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은 실제 공간에서 조명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한 스위치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 영역(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은 물리적인 스위치가 아닌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Icon)이다. 사용자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조작 여부는 조명 제어 장치(10)가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므로, 스크린 영역(100) 전체 범위 영역별로 개별적인 스위치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는 가변될 수 있다.
기존에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조명으로는 형광등(Fluorescent lamp)이나 백열등(incandescent lamp)을 들 수 있다. 백열등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단일 형태로 공급되고 있으나, 형광등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가게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램프나 할로겐등(halogen lamp)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등이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은 대응하는 조명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형태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스위치 아이콘(101)은 대응하는 조명이 할로겐 등임을 나타내며, 녹색으로 표시된 스위치 아이콘(102, 103)은 대응하는 조명이 형광등인 것을 나타낸다. 즉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색상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종류를 표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명이 온/오프 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아이콘(101, 102)이 정사각형 형태의 아이콘인데 반하여, 스위치 아이콘(103)의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있다. 이는 대응하는 조명이 바 타입(bar type) 형광등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1 에서 스위치 아이콘(101, 102)은 정사각형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조명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이나 다른 형태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색상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형태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형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이 서로 다른 종류 및 형태가 밀집되어 조합된 조명에 대해서는 대표 스위치 아이콘(104)을 추가할 수 있다. 도1 에서 거실에는 형광등 4개와 할로겐등 2개로 6개의 조명이 밀집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형광등 중 2개의 형광등은 바 타입 형광등이다. 이렇게 밀집 배치된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에 6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온/오프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밀집된 6개의 조명을 한 번에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104)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추가된 스위치 아이콘(104)은 개별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아이콘(101 ~ 103)과 구분될 수 있도록 다른 색상 및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및 형태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 영역(100)은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확대, 축소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크린 영역이 반드시 평면도 전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아도 된다. 조명 제어 장치(10)는 구동 초기에 평면도 전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평면도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면도의 확대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영역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확대된 평면도 전체가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대상이미지의 확대, 축소 및 이동에 대한 기법은 다양한 방식의 공지된 기술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확대, 축소 및 이동되는 경우에도 조명 제어 장치(1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는 평면도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의 영역을 맵핑(mapping) 작업을 통해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도가 확대, 축소 및 이동되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평면도로 디스플레이 될 때의 아이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 주변 영역을 확대함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명 제어 장치(10)의 터치스크린이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따라 선택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기능(dimming)을 추가할 수 있다. 디밍 기능은 일예로 압력에 응답하여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조절되도록 하여 조명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예일 뿐으로 다른 디밍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한 터치만으로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 상에서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터치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1 의 평면도 상에서 조명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지 않은 주방의 싱크대를 터치하면 근접한 주방의 스위치 아이콘(103)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실의 테이블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거실 가운데에 집중된 6개의 조명과 거실 벽면쪽에 배치된 3개의 조명이 동시에 제어되도록 설정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근접 터치에 의한 조명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순하게 거리적으로 최단거리를 적용하는 것보다, 거실, 주방, 방 등으로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 내에서 터치 위치로부터 지정된 소정 거리 내의 조명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평면도상에서 거실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였음에도 최단거리 조명이 방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방의 조명의 제어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2 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 의 조명 제어 장치는 터치스크린(110), 접촉 판별부(120), 화면 구성부(130), 제어부(140) 및 조명 조절부(150)를 구비한다. 터치스크린(110)은 도1 에서와 같이, 조명이 제어될 공간의 평면도와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접촉 판별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접촉 신호는 하나의 신호일 수 있으나, 복수개의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와 같은 동작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될 수 있다. 접촉 판별부(12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별하여 접촉 위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접촉 판별부(120)로부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상의 영역을 판정한다.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접촉 위치 신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린 영역(100)에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가 이동되도록 화면 구성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복수개의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접촉 위치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가 확대, 축소 또는 회전되도록 화면 구성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정된 영역 상에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매핑되어 있다면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조절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평면도 상에서 거실, 방, 주방 등과 같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판정된 영역 상에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매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분된 영역 내에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터치된 것으로 판별하여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구성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고, 영상 신호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하여 스크린 영역(100)에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조명 조절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인가되는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조명을 점등한다. 즉 조명 조절부(150)는 실질적으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조명에 전기를 공급하는 물리적인 스위치이다.
터치스크린(110)이 접촉 물체의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 신호를 생성하여 접촉 판별부(120)로 인가하는 경우에, 접촉 판별부(120)는 접촉 신호의 크기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10)에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접촉 위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접촉 위치 신호로부터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을 선택하고, 접촉 위치 신호 레벨로부터 선택된 조명을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조도로 조절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조절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조명 조절부는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조명을 점등할 뿐만 아니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명을 접촉 압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터치스크린(110)과 접촉 판별부(120)를 구분하였으나, 접촉 판별부(120)는 터치스크린(1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면 구성부(130) 및 조명 조절부(150)는 제어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1 에서 스크린 영역(100)은 단순히 스크린 영역(100) 전체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 하였으나, 도3 의 스크린 영역(200)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스크린 영역(200)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 구역별 조절 영역(230),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 및 조도 조절 영역(270)으로 구분된다.
구분된 영역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도1 에서는 스크린 영역(100) 전체에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도3 에서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에만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도1 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된 공간의 평면도 상에서 실제 조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디스플레이 된다. 평면도 및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확대, 축소 및 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역별 조절 영역(230)에는 조명이 배치된 공간 전체를 미리 정해진 구역별로 나누고, 나누어진 구역에 포함된 조명 전체를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 235)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3 에서는 전체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거실 구역 스위치 아이콘(232), 주방 구역 스위치 아이콘(233) 및 복수개의 방 구역 스위치 아이콘(234, 235)만을 도시하였으나, 구역별 조절 영역(230)에 한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구역 스위치 아이콘의 개수보다 더 많은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스크롤(scoll)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은 현재 제어되고 있는 조명들의 소비 전력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복수개의 조명 각각의 소비 전력은 조명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따라서 조명 제어 장치(20)는 현재 켜져 있는 조명 각각이 소모하는 전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이 소모하는 전력의 합으로 전체 소비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은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조명 전체에 대한 소비 전력을 표시하도록 하고, 특정 스위치 아이콘(211 ~ 214)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조명이 소모하는 소비 전력을 지정된 시간 또는 다른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이 선택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구역별 조절 영역(230)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 235)이 선택되면, 해당 구역 전체의 조명이 소비하는 소비 전력이 지정된 시간 또는 다른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이 선택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조도 조절 영역(270)은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이후,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도 조절 바(271)와 조도 조절 바(271)를 따라 이동하면서 현재 조명의 조도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조도 슬라이더(273)를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우선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도 슬라이더(273)의 위치를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한 터치 압력에 따라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였으나, 도3 에서는 스크린 영역(200)에 별도의 조도 조절 영역(270)이 구비되므로, 압력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도3 의 조명 제어 장치(20) 또한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을 감지하여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조도 제어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스크린 영역(200)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 구역별 조절 영역(230),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 및 조도 조절 영역(27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크린 영역(200)의 구성은 사용자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에서 조명 제어 장치(10)는 직접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조명 제어 장치(10)가 조명을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는 조명 제어 장치(10)가 직접 복수개의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대부분 벽면 등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나 도4 의 따른 조명 제어 장치(30)는 이러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고자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조명 조절부(420)를 조명 조절 장치(40)로 별도로 분리하고, 조명 제어 장치(30)와 조명 조절 장치(40)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조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도4 의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터치스크린(310), 접촉 판별부(320), 화면 구성부(330), 제어부(340)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10), 접촉 판별부(120), 화면 구성부(130), 제어부(14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4 의 조명 제어 장치(30)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고 송신부(350)를 구비한다. 송신부(350)는 제어부(340)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조명 조절 장치(40)의 수신부(410)로 무선으로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조명 조절 장치(40)는 수신부(410) 및 조명 조절부(420)를 구비하고, 수신부(410)는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인가된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조절부(420)로 조절한다. 조명 조절부(420)는 도1 의 조명 조절부(150)와 마찬가지로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조명을 점등하거나 조도를 조절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무선 송신 기능을 구비한 조명 제어 장치(30)을 이용하여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상기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크린 영역 상의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압력에 따라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고,
    상기 접촉 판별부는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가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면, 상기 접촉 위치 신호의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판정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명 제어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이 아니면, 상기 판정된 영역을 기준으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모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지정된 구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 중 다른 구역에 포함되는 스위치 아이콘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분된 구역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구역별 조절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들의 소비 전력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비전력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들 중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들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조절 영역은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범위를 표시하는 조도 조절 바; 및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레벨을 표시하는 조도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11.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상기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절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20012400A 2012-02-07 2012-02-07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36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ko) 2012-02-07 2012-02-07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ko) 2012-02-07 2012-02-07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16A true KR20130091116A (ko) 2013-08-16
KR101361232B1 KR101361232B1 (ko) 2014-02-12

Family

ID=4921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ko) 2012-02-07 2012-02-07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2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10A1 (ko) * 2014-11-28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KR20180071135A (ko) * 2016-12-19 2018-06-27 (주)댐코씨에스아이 체험 학습용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2660A (ko)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스마트 전원스위치
KR20180118122A (ko) * 2016-03-07 2018-10-30 하오 민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마킹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방법 및 시스템
CN109819104A (zh) * 2018-12-26 2019-05-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交互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191420A1 (ko) * 2021-03-10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15062A (zh) * 2003-11-04 2005-05-11 河村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控制照明的系统
KR100978062B1 (ko) * 2007-12-22 2010-08-25 세일전기 주식회사 통합 전등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0442B1 (ko) * 2008-07-11 2017-0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조명 기반 구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구현 장치
KR101161079B1 (ko) * 2010-06-11 2012-06-29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전력제어-우선순위 기법을 이용한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10A1 (ko) * 2014-11-28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KR20160064797A (ko) * 2014-11-28 201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US9980354B2 (en) 2014-11-2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lighting device
KR20180118122A (ko) * 2016-03-07 2018-10-30 하오 민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마킹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1135A (ko) * 2016-12-19 2018-06-27 (주)댐코씨에스아이 체험 학습용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2660A (ko)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스마트 전원스위치
CN109819104A (zh) * 2018-12-26 2019-05-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交互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191420A1 (ko) * 2021-03-10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232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657B2 (en) Touch-less switching
KR101361232B1 (ko)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
EP2454522B1 (en)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US9237632B2 (en)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JP6097963B2 (ja) 照明システム
JP6345702B2 (ja) 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20049759A1 (en) User interface with circular light guided ring with adaptive appearance depending on function
JP66558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CN101341462A (zh) 彩色照明控制器的按钮布置
EP1966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EP3261415A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automatic sensing control method for led lighting
CN103133916A (zh) 光源调整装置及其光源系统
JP2012527078A (ja) 明確な開始及び終了を伴う機能性を備える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円形の光ガイド付きリングにおける鋭い移行
KR101665559B1 (ko) Led 조명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22665A (ko) 소비자 부하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는 조명 시스템
JP6495294B2 (ja) 照明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9515431A (ja) 照明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7122983A (ja) 制御方法、及び、情報端末
WO2016206991A1 (en) Gesture based lighting control
JP6827460B2 (ja) 照明装置用コントローラ
JP2014120207A (ja) 壁取付用スイッチ
WO2014091689A1 (ja) 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壁スイッチ
US20120054621A1 (en) Audio feedback and dependency on light functionality and setting
KR101846495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무선네트워크 기반 led 조명 제어 및 운영 방법
US20210289608A1 (en) Illumina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