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067A -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067A
KR20130091067A KR1020120012309A KR20120012309A KR20130091067A KR 20130091067 A KR20130091067 A KR 20130091067A KR 1020120012309 A KR1020120012309 A KR 1020120012309A KR 20120012309 A KR20120012309 A KR 20120012309A KR 20130091067 A KR20130091067 A KR 2013009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ctive mater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030B1 (ko
Inventor
이찬호
김기운
안영주
이진호
박준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030B1/ko
Priority to US13/563,374 priority patent/US9147878B2/en
Publication of KR2013009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4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located inside the innermost case of the cells, e.g. mandrels, electrodes or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활물질층이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전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가,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전극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 고용량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기존의 소형 전자기기용 이차 전지와 달리 사이즈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각형 전지의 경우, 두께의 증가로 인해 셀 내/외부의 방열 차이가 발생하여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복수의 젤리-롤을 이용하여 셀을 형성하는 고용량 전기 자동차용 이차 전지의 경우, 셀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중심부에 배치된 셀과 외곽부에 배치된 셀 간의 온도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또한, 관통 또는 내부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중심부에 배치된 셀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서 발화 및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열폭주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관통 또는 내부 단락이 발생되더라도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을 낮춰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활물질층이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전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적은 권취 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FePO4 (0<x<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CoO2 (0<x<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는, 상기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각각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 중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가,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는 1mm이고,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는 1.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층이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형성된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적은 권취 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FePO4 (0<x<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CoO2 (0<x<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 또는 내부 단락이 발생되더라도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을 낮춰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집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집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와 제 2 전극 조립체에 각각 구성된 활물질의 발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10) 및 케이스(1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집전체(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집전체(1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10)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극 조립체(110)는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는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 사이에서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들(110B, 110C)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3a는 도 2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를 기준으로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 및 도 3c는 도 2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 각각을 기준으로 Ⅱ-Ⅱ’ 선과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 제 1 집전체(1120), 제 2 집전체(130), 케이스(140), 및 캡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하나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두 개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극 조립체의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중심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를 사이에 두고 외곽부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를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와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 1 전극판(111), 세퍼레이터(113), 제 2 전극판(1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전극판(111)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판(112)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1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며, 제 1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전극 무지부(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111a)는 제 1 전극판(111)과 외부 사이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전극판(1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112)은 니켈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며, 제 2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인 제 2 전극 무지부(1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112a)는 제 2 전극판(112)과 외부 사이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전극판(1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제 1 전극판(111) 및 제 2 전극판(1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제 1 전극판(111)과 제 2 전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와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는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상기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와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는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보다 더 많은 권취 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와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에 각각 포함된 제 1 전극판(111), 제 2 전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의 권취 수가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에 포함된 제 1 전극판(111), 제 2 전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의 권취 수보다 많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의 두께(D2)와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의 두께(D3)는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D1)의 두께(D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 조립체가 구성된 일반적인 이차 전지의 경우, 중심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가 외곽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보다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관통 또는 내부 단락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면, 중심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의 온도가 외곽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게 되면서, 발화 및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열폭주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10)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중심부에 배치된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권취 수를 외곽부에 배치된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권취 수보다 적게 구성함으로써,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열 전달 효율이 낮은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온도 상승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또는 내부 단락에 의한 열 발생 시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각 전극 활물질층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양측 단부는 제 1 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집전체(120), 및 제 2 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집전체(130)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 1 집전체(120)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일측 단부로 각각 돌출된 제 1 전극 무지부(111a, 111b, 111c)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각 제 1 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집전체(120)는 제 1 연결부(121) 및 제 1 연장부(123a, 123b, 123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21)는 소정의 연결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제 1 단자홀(124) 및 퓨즈홀(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홀(124)은 제 1 연결부(121)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퓨즈홀(125)은 제 1 연결부(121)의 타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퓨즈홀(125)은 상기 제 1 연결부(121)의 연결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홀(125)은 제 1 연결부(121)의 타측부가 상기 제 1 단자홀(124)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연장부(123a, 123b, 123c)는 상기 제 1 연결부(121)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타측 단부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고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23a, 123b, 123c)는 각각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제 1 전극 무지부(111a, 111b, 111c)와 나란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연장부(123a, 123b, 123c)를 제 1-1 연장부(123a), 제 1-2 연장부(123b) 및 제 1-3 연장부(123c)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1 연장부(123a)는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1 전극 무지부(111a)와 결합되고, 제 1-2 연장부(123b)는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의 제 1 전극 무지부(111b)와 결합되며, 제 1-3 연장부(123c)는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의 제 1 전극 무지부(111c)와 결합된다. 이때, 제 1-1 연장부(123a), 제 1-2 연장부(123b) 및 제 1-3 연장부(123c)의 일면과 제 1 전극 무지부(111a, 111b, 111c) 각각의 일면이 저항 용접 등을 통해 용접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는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보다 적은 권취 수로 구성됨에 따라,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1 전극 무지부(111a)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제 1 전극 무지부(111b, 111c)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 1-1 연장부(123a)의 두께(Wa)는 제 1-2 연장부(123b)와 제 1-3 연장부(123c)의 두께(Wb, Wc)보다 얇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1 연장부(123a)는 1mm의 두께(Wa)로 형성되며, 제 1-2 연장부(123b)와 제 1-3 연장부(123c)는 각각 1.5mm의 두께(Wb, Wc)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보다 적은 권취 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에서 각각 출력될 수 있는 전류량이 다르다. 이와 같이, 권취 수가 서로 다른 전극 조립체 간의 전류 불균일을 막기 위해,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연결된 제 1-1 연장부(123a)의 두께(Wa)를, 권취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와 연결된 제 1-2 및 제 1-3 연장부(123b, 123c)의 두께(Wb, Wc)보다 얇게 구성한다.상기 제 2 집전체(130)는 구리, 구리 합금, 니켈 및 니켈 합금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타측 단부로 각각 돌출된 제 2 전극 무지부(112a, 112b, 112c)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제 2 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집전체(130)는 제 2 연결부(131) 및 제 2 연장부(133a, 133b, 133c)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부(131)는 소정의 연결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제 2 단자홀(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자홀(134)은 제 2 연결부(131)의 일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133a, 133b, 133c)는 상기 제 2 연결부(131)의 타측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타측 단부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고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133a, 133b, 133c)는 각각 전극 조립체(110A, 110B, 110C)의 제 2 전극 무지부(112a, 112b, 112c)와 나란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 연장부(133a, 133b, 133c)를 제 2-1 연장부(133a), 제 2-2 연장부(133b) 및 제 2-3 연장부(133c)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2-1 연장부(133a)는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2 전극 무지부(112a)와 결합되고, 제 2-2 연장부(133b)는 제 2-1 서브 전극 조립체(110B)의 제 2 전극 무지부(112b)와 결합되며, 제 2-3 연장부(133c)는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C)의 제 2 전극 무지부(112c)와 결합된다. 이때, 제 2-1 연장부(133a), 제 2-2 연장부(133b) 및 제 2-3 연장부(133c)의 일면과 제 2 전극 무지부(112a, 112b, 112c) 각각의 일면이 저항 용접 등을 통해 용접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는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보다 적은 권취 수로 구성됨에 따라,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2 전극 무지부(112a)가 제 2-1 및 제 2-2 서브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제 2 전극 무지부(112b, 112c)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 2-1 연장부(133a)의 두께(Wa)는 제 2-2 연장부(133b)와 제 2-3 연장부(133c)의 두께(Wb, Wc)보다 얇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2-1 연장부(133a)는 1mm의 두께(Wa)로 형성되며, 제 2-2 연장부(133b)와 제 2-3 연장부(133c)는 각각 1.5mm의 두께(Wb, Wc)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10), 제 1 집전체(120) 및 제 2 집전체(130)가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는 케이스 개구부(141)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개구부(141)는 캡 조립체(150)의 둘레 부분이 실질적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한편, 케이스(140)의 내면은 절연 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10), 제 1 집전체(120), 제 2 집전체(130) 및 캡 조립체(150)와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40)는 하나의 극성, 예를 들어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캡 조립체(150)는 케이스(140)에 결합된다. 상기 캡 조립체(150)는 구체적으로 캡 플레이트(151), 제 1 전극 단자(152), 제 2 전극 단자(153), 가스켓(154), 너트(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150)는 마개(156), 벤트 플레이트(157), 연결판(158), 상부 절연 부재(159), 제 1 단락 플레이트(160), 제 2 단락 플레이트(161) 및 하부 절연 부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51)는 케이스 개구부(141)를 밀봉하며, 케이스(1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플레이트(151)는 케이스(140)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152)는 캡 플레이트(151)의 일측을 관통하여 제 1 집전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152)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며, 캡 플레이트(151)의 상부로 노출된 상부 기둥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15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기둥에는 제 1 전극 단자(152)가 캡 플레이트(15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플랜지(152a)가 형성되며, 제 1 전극 단자(152) 중 플랜지(152a) 하부에 위치하는 일부 기둥은 제 1 집전체(120)의 제 1 단자홀(12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 단자(152)는 캡 플레이트(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153)는 캡 플레이트(151)의 타측을 관통하여 제 2 집전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153)는 제 1 전극 단자(15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 2 전극 단자(153)는 캡 플레이트(151)와 절연된다.
상기 가스켓(154)은 절연성 재질로 제 1 전극 단자(152) 및 제 2 전극 단자(153)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전극 단자(152) 및 제 2 전극 단자(153)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를 밀봉시킨다. 이러한 가스켓(154)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 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너트(155)는 제 1 전극 단자(152) 및 제 2 전극 단자(153)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어 제 1 전극 단자(152) 및 제 2 전극 단자(153) 각각을 캡 플레이트(151)에 고정시킨다.
상기 마개(156)는 캡 플레이트(151)의 전해액 주입구(151a)를 밀봉하며, 벤트 플레이트(157)는 캡 플레이트(151)의 벤트홀(151b)에 설치되며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치(157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158)은 제 1 전극 단자(152)와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제 1 전극 단자(152)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너트(155)를 통해서 캡 플레이트(151)와 가스켓(1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연결판(158)은 제 1 전극 단자(152)와 캡 플레이트(1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상부 절연 부재(159)는 제 2 전극 단자(153)와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전극 단자(15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캡 플레이트(151)와 가스켓(154)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부 절연부재(159)는 제 2 전극 단자(153)와 캡 플레이트(151)를 절연시킨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160)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151c)에서 상부 절연부재(159)와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160)는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캡 플레이트(151)에 고정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반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160)는 이차 전지(100)에 과충전이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반전되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락 플레이트(160)는 캡 플레이트(15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상기 제 2 단락 플레이트(161)는 캡 플레이트(151)로부터 이격된 외측, 즉 상부 절연 부재(159) 위에 배치되고 제 2 전극 단자(153)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단락홀(151c)을 덮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 2 단락 플레이트(161)는 제 2 전극 단자(1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단락 플레이트(161)는 이차 전지(100)에 과충전이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제 1 단락 플레이트(160)와 접촉하여 단락을 유발시킨다. 상기 단락이 유발되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열이 발생하며, 이때 퓨즈홀(125)이 형성된 제 1 집전체(120)의 타측부가 퓨즈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절연 부재(12)는 제 1 집전체(120) 및 제 2 집전체(130) 각각과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단락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 제 2-1 및 2-2 전극 조립체(110B, 110C) 각각의 전극 활물질층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는, 제 2-1 및 2-2 전극 조립체(110B, 110C)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활물질은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1 및 2-2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제 1 전극판(111)에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 활물질층의 활물질을 지시하며, 예를 들어,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LiXFePO4 (0<x<1)를 포함하며, 제 2-1 및 2-2 전극 조립체(110B, 110C)의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LiXCoO2 (0<x<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와 제 2-1 및 2-2 전극 조립체(110B, 110C)에 각각 구성된 활물질의 발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제 1 전극 활물질층에 구성된 LiXFePO4는 충전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충전 상태에서 열을 가하더라도 구조적인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에 관통 또는 내부 단락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경우, 중심부에 배치된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110A)의 온도 상승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는, 외곽부에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비교하여 권취 수를 적게 구성하고,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로 구성함으로써,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열 전달 효율이 낮은 전극 조립체의 온도 상승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또는 내부 단락에 의한 열 발생 시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이차 전지
110A: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110B, 110C: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
120: 제 1 집전체
130: 제 2 집전체
140: 케이스
150: 캡 조립체

Claims (11)

  1. 활물질층이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형성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전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집전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적은 권취 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FePO4 (0<x<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CoO2 (0<x<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전체는,
    상기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각각 결합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중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가,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는 1mm이고,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와 결합된 연장부의 두께는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활물질층이 각각 코팅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되어 형성된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발열량이 작은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보다 적은 권취 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FePO4 (0<x<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전극 조립체의 활물질층은 LiXCoO2 (0<x<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KR1020120012309A 2012-02-07 2012-02-07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80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09A KR101800030B1 (ko) 2012-02-07 2012-02-07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3/563,374 US9147878B2 (en) 2012-02-07 2012-07-31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t least a first and second electrode each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09A KR101800030B1 (ko) 2012-02-07 2012-02-07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67A true KR20130091067A (ko) 2013-08-16
KR101800030B1 KR101800030B1 (ko) 2017-11-21

Family

ID=4890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309A KR101800030B1 (ko) 2012-02-07 2012-02-07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7878B2 (ko)
KR (1) KR101800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555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WO2023146069A1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2257B2 (ja) * 2012-08-09 2016-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428584B (zh) 2014-09-11 2020-05-01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元件
DE112017000745T5 (de) * 2016-02-10 2018-11-15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iespei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N108258180B (zh) * 2018-01-16 2020-09-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集流构件和电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440A (ja)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システム
JP2000012087A (ja) 1998-06-18 2000-01-14 Hitachi Maxell Ltd 有機電解液二次電池
JP3606265B2 (ja) 2002-03-01 2005-01-05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165503B1 (ko) 2009-09-30 2012-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232000B2 (en) 2010-01-12 2012-07-31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terminal junction and prong
WO2012077160A1 (ja) * 2010-12-08 2012-06-14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非水系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555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WO2023146069A1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7878B2 (en) 2015-09-29
US20130202931A1 (en) 2013-08-08
KR101800030B1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4176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490468B2 (en) Secondary battery
US8557430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plate with protrusion
US10312487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8828571B2 (en) Secondary battery
US962767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50221925A1 (en) Stacked type secondary battery
KR100973314B1 (ko)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N109428046B (zh) 二次电池
EP2793293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12627A (ko) 이차 전지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KR20110087566A (ko) 이차 전지
US8592082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0038172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0840498B2 (en) Secondary battery
KR101800030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236494B2 (en) Secondary battery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1664523B2 (en) Secondary battery
US9028999B2 (en) Secondary battery
KR20080016047A (ko) 이차 전지
US9698407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397329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lead tab
KR101373218B1 (ko) 적층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