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015A -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015A
KR20130091015A KR1020120012207A KR20120012207A KR20130091015A KR 20130091015 A KR20130091015 A KR 20130091015A KR 1020120012207 A KR1020120012207 A KR 1020120012207A KR 20120012207 A KR20120012207 A KR 20120012207A KR 20130091015 A KR20130091015 A KR 2013009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subject
photographing unit
distance
dep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469B1 (ko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광 패턴 두께 검출부와;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에서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하는 거리 추출부와; 상기 거리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image }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이때, 3차원 이미지는, 3차원 공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를 말한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는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 시차에 의한 3차원 입체 이미지를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3차원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간이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 시차를 들 수 있지만, 이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에도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입체 이미지는 상기 양안 시차 및 심리적, 기억적 요인을 활용한 다양한 원리에 의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앵글(angle) 오차가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제조상에 어려움이 있고, 최소화하더라도 앵글 오차에 의한 이미지 결함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촬영부로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에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광 패턴 두께 검출부와;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에서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하는 거리 추출부와;
상기 거리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광원은,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퍼지게 하는 발산(發散)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광 패턴은, 격자 무늬의 광 패턴일 수 있다.
또, 상기 깊이 정보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을 X,Y,Z의 좌표로 변환한 데이터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 광원과 상기 촬영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단계와;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상기 광 패턴은, 격자 무늬의 광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촬영부로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에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카메라의 앵글(angle) 오차에 의한 이미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광원 및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광원에서 피사체로 광 패턴이 출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은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광원(110)과;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120)와; 상기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광 패턴 두께 검출부(130)와;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120)의 거리를 추출하는 거리 추출부(140)와; 상기 거리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120)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160)와; 상기 제어부(160)에서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광원(110)에서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고, 상기 촬영부(120)는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130)는 상기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고, 상기 거리 추출부(140)는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120)의 거리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120)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며,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깊이 정보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을 X,Y,Z의 좌표로 변환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템은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120)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50)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일 촬영부로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에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카메라의 앵글(angle) 오차에 의한 이미지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광원 및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광원에서 피사체로 광 패턴이 출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다.
카메라 시스템의 광원(110)은 도 2와 같이, 피사체로 패턴된 광인 광 패턴(A)이 출사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 패턴(A)은 상기 피사체의 영역들에 조사되고,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의 이미지(B)를 촬영부(120)에서 촬영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패턴 '300'은 촬영된 피사체(200)의 이미지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에 나타나는 광 패턴은 상기 피사체의 영역들과 촬영부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광 패턴(A)의 두께는 달라진다.
즉, 상기 광 패턴의 두께가 두꺼우면 멀리 있는 사물이고, 두께가 얇으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물이다.
상기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 패턴(A)은 상기 피사체의 영역들에 조사되고, 상기 피사체의 영역들과 촬영부(120)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광 패턴(A)의 두께는 달라진다.
한편, 상기 광원(110)은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퍼지게 하는 발산(發散)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 패턴은 격자 무늬의 광 패턴일 수 있다.
또, 상기 광원(110)과 상기 촬영부(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시스템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은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한다.(S100단계)
이어서,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부에서 촬영한다.(S110단계)
그 후, 상기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한다.(S120단계)
연이어, 상기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한다.(S130단계)
그 다음,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한다.(S140단계)
여기서, 상기 'S140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계속, 상기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한다.(S150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광 패턴 두께 검출부와;
    상기 광 패턴 두께 검출부에서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하는 거리 추출부와;
    상기 거리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와;
    상기 레이저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퍼지게 하는 발산(發散)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인 카메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패턴은,
    격자 무늬의 광 패턴인 카메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을 X,Y,Z의 좌표로 변환한 데이터인 카메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카메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촬영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시스템.
  8. 피사체에 광 패턴을 출사하는 단계와;
    상기 광 패턴이 포함된 피사체를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광 패턴의 두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광 패턴의 두께로, 상기 광패턴에 대응되는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depth)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깊이 정보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로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한 깊이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상기 피사체 영역들과 상기 촬영부의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변환하는 단계인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 패턴은,
    격자 무늬의 광 패턴인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20120012207A 2012-02-07 2012-02-07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91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07A KR101914469B1 (ko) 2012-02-07 2012-02-07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07A KR101914469B1 (ko) 2012-02-07 2012-02-07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15A true KR20130091015A (ko) 2013-08-16
KR101914469B1 KR101914469B1 (ko) 2018-11-02

Family

ID=4921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207A KR101914469B1 (ko) 2012-02-07 2012-02-07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11B1 (ko) * 2019-07-30 2020-02-05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변형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50629B1 (ko) * 2021-05-07 2022-10-07 한국자동차연구원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16A (ja) * 1998-05-25 2003-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
JP2003269915A (ja) * 2002-03-13 2003-09-25 Omron Corp 三次元監視装置
JP2005091115A (ja) * 2003-09-16 2005-04-07 Sanyo Electric Co Ltd 奥行計測装置
KR20090006825A (ko) * 2006-03-14 2009-01-15 프라임 센스 엘티디. 삼차원 감지를 위한 깊이 가변 광 필드
KR20110006776A (ko) * 2009-07-15 2011-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3차원 영상정보 획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16A (ja) * 1998-05-25 2003-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
JP2003269915A (ja) * 2002-03-13 2003-09-25 Omron Corp 三次元監視装置
JP2005091115A (ja) * 2003-09-16 2005-04-07 Sanyo Electric Co Ltd 奥行計測装置
KR20090006825A (ko) * 2006-03-14 2009-01-15 프라임 센스 엘티디. 삼차원 감지를 위한 깊이 가변 광 필드
KR20110006776A (ko) * 2009-07-15 2011-01-21 현대로템 주식회사 3차원 영상정보 획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11B1 (ko) * 2019-07-30 2020-02-05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변형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50629B1 (ko) * 2021-05-07 2022-10-07 한국자동차연구원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69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42B (zh) 使用传感器融合的经优化对象扫描
KR102130187B1 (ko) 위성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을 갖는 능동 스테레오
JP5260705B2 (ja) 3次元拡張現実提供装置
KR100776649B1 (ko) 깊이 정보 기반 스테레오/다시점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1364874B1 (ko) 제 1 이미징 장치 및 제 2 이미징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장치
EP2239538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e-dimensional distance
KR20210090134A (ko) 깊이 정보 추출 장치 및 방법
IL308285A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ation and virtual reality
KR20140075163A (ko) 구조광 방식을 활용한 패턴 프로젝팅 방법 및 장치
US20130202191A1 (en) Multi-view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560683B2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project forward of or vertically above a display medium using a virtual 3D model made from the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depth-mapping of the physical features of real objects
KR102110459B1 (ko)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JP5929037B2 (ja) 撮像装置
JP2009047497A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06899A5 (ko)
CN108924408A (zh) 一种深度成像方法及系统
KR101914469B1 (ko)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TW201734708A (zh) 使用頻域為基礎之處理之三維成像
JP2009047498A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109695B1 (ko) 고속 오토 포커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42407A1 (en) Portable device that controls photography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10300B1 (ko)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카메라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321942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3009864A (ja) 3次元画像処理装置
KR101650009B1 (ko) 단일 기록 영상에 대한 산란 노이즈 제거 및 광자 검출을 통해 원영상을 복원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