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629B1 -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629B1
KR102450629B1 KR1020210059299A KR20210059299A KR102450629B1 KR 102450629 B1 KR102450629 B1 KR 102450629B1 KR 1020210059299 A KR1020210059299 A KR 1020210059299A KR 20210059299 A KR20210059299 A KR 20210059299A KR 102450629 B1 KR102450629 B1 KR 10245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ermal
real
unit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은
노형주
박성민
임동준
송광열
김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H04N5/2258
    • H04N5/232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학 카메라부;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부;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키는 레이저 포인팅부;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에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HERMAL IMAGE CAMERA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화상과 열화상을 합성(융합)하여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실화상과 열화상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화상 기술은 감지 대상의 표면에 있는 복사 에너지를 검출하고, 이를 온도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감지 대상의 표면 온도 변화를 비접촉, 비파괴 및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의 열적 특성 평가, 열화 진단, 결함 검사, 체열 측정을 통한 의료 진단, 화재나 가스누출 감시 또는 보안구역 침입 감시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화상 기술이 적용되는 열화상 카메라는 모든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복사 에너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파장을 받아들여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모터, 큰 부품이나 전기 패널 등을 단번에 측정할 수 있으며, 과열되거나 기타 위험한 부분이 아무리 작더라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수 천 개의 적외선 온도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적외선 온도계는 한 지점의 온도만 측정할 수 있는 반면에, 열화상 카메라는 대상 물체 전체의 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에서 적외선 파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센서의 종류로는 열형의 상온방식과 광자형의 저온방식이 있는데, 이 중에서 저온방식은 성능이 뛰어나지만 액체질소 냉각기가 필요하고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는 반면에, 상온방식은 복사 에너지를 저항이나 전류 또는 기전력 변화로 검출하는 방식으로, 저온방식에 비하여 성능은 떨어지지만 냉각기가 필요 없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온방식의 적외선 센서는 저온방식에 비해서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사물의 구분 성능이 매우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고해상도의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카메라(또는 실화상 카메라, 광학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례로, 열화상 카메라의 기능과 실화상 카메라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일반 카메라(또는 실화상 카메라, 광학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는 해상도가 서로 다르고, 또한 두 카메라(일반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즉, 스테레오 카메라 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합성(융합) 시 거리에 따른 정합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는 목적은 단순히 열감지 대상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열화상 카메라는 이미지를 촬영할 때마다 촬영 위치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화상과 열화상의 정합 오차를 감소시켜 실화상과 열화상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쉽게 체크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6576호(2020.03.27. 등록,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실화상과 열화상을 합성(융합)하여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실화상과 열화상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는,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학 카메라부;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부;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키는 레이저 포인팅부;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에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하여,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테두리 영상 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할 경우,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을 의미하고, 상기 테두리 강조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이 강조되어 표시된 영상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과 상기 현재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합성하여 출력되는 두 영상이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에서 수동 촬영 알람이나 자동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역 추적 모드는,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될 경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한 후, 현재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실화상 이미지,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 및 상기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의 열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복수 개의 이전 열화상 이미지가 로딩될 경우, 로딩된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영상에 먼저 촬영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추가하거나,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부가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거리 센서부를통해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레이저 포인팅부를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영상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출력부에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상기 제어부는,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하여,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테두리 영상 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과 상기 현재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합성하여 출력되는 두 영상이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에서 수동 촬영 알람이나 자동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한 후, 현재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실화상 이미지,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 및 상기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의 열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서 복수 개의 이전 열화상 이미지가 로딩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로딩된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영상에 먼저 촬영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추가하거나,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화상과 열화상을 합성(융합)하여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실화상과 열화상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거리에 따른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된 후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는, 광학 카메라부(110), 거리 센서부(120), 열화상 카메라부(130), 제어부(140), 레이저 포인팅부(150), 영상 출력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는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와 같이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거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와 같이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부(120)는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는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바디(body)에서 지정된 거리를 갖는 위치에 각기 배치된다.
상기 레이저 포인팅부(150)는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레이저 포인팅부(15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가리키는 방향의 열감지 대상을 향하여 열화상 카메라 장치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센서부(120)는 상기 레이저가 가리키는 방향의 열감지 대상가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때 테두리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edge)만 표시된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테두리 강조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을 강조하여 표시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때 테두리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테두리 강조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을 강조하여 표시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때 테두리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테두리 강조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을 강조하여 표시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때 테두리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테두리 강조 영상(즉,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을 강조하여 표시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이나 상기 저장부(170)에서 로딩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을 상기 영상 출력부(160)에 출력할 때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할 때,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을, 상기 열화상 카메라부(130)의 영상 사이즈(또는 상기 광학 카메라부(110)의 영상 사이즈)에 기준하여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X축이나 Y축으로 좌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감지 대상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이나 상기 저장부(170)에서 로딩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조절이나 좌표 이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예 : 거리에 따른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된다(도 2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촬영이 시작되면, 제어부(140)는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측정)한다(S101).
상기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예 : 거리에 따른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S102), 상기 검출된 거리에 대응하여 두 영상(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이미지 사이즈를 조절하고(S103), 또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 좌표를 이동시킨다(S104).
이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 위치와 이미지 해상도가 다른 두 카메라(즉, 광학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 영상(이미지)을 합성하여 출력할 때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이미지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좌표 이동을 통해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는 목적은 단순히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며, 이하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즉,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S201의 예), 제어부(140)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S202).
여기서 테두리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을 의미하고, 테두리 강조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이 강조되어 표시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광학 카메라부(110)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S203).
이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과 상기 현재 광학 카메라부(110)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S204).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합성된 두 영상(즉,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과 현재 광학 카메라부(110)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이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에서 수동으로 촬영을 수행(또는 수동으로 촬영하도록 알람을 출력)할 수도 있다(S205).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합성된 두 영상(즉,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과 현재 광학 카메라부(110)의 미리보기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을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이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가 되었을 때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한다(S205).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된 후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즉,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될 경우(S301의 예), 제어부(140)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S302).
이 때 상기 저장부(170)에서 로딩할 수 있는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은 복수 개 일 수 있으며, 만약 복수 개의 이전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이 로딩될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로딩된 각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에 먼저 촬영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추가하거나, 각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설정한다(S303).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한다(S304).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현재 광학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즉, 실화상 이미지),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을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 및 상기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130)의 영상(즉, 열화상 이미지)을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또는 테두리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한다(S305).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합성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광학 카메라부 120 : 거리 센서부
130 : 열화상 카메라부 140 : 제어부
150 : 레이저 포인팅부 160 : 영상 출력부
170 : 저장부

Claims (14)

  1.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학 카메라부;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부;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키는 레이저 포인팅부;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 출력부에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되, 상기 테두리 영상과 상기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후,
    상기 합성하여 출력되는 두 영상의 각 테두리가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에서 수동 촬영 알람을 출력하거나 자동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하여,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테두리 영상 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할 경우,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만 표시된 영상을 의미하고,
    상기 테두리 강조 영상은 열감지 대상의 외곽선이 강조되어 표시된 영상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역 추적 모드는,
    열감지 대상의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도록 촬영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될 경우,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한 후,
    현재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실화상 이미지,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 및 상기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의 열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복수 개의 이전 열화상 이미지가 로딩될 경우,
    로딩된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영상에 먼저 촬영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추가하거나,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
  9.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부가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실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거리 센서부를통해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열감지 대상을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레이저 포인팅부를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여 열감지 대상을 가리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영상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영상 출력부에 상기 실화상 이미지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광학 카메라부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는 실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되, 상기 테두리 영상과 상기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 후,
    상기 합성하여 출력되는 두 영상의 각 테두리가 일치되는 촬영 거리와 촬영 위치에서 수동 촬영 알람을 출력하거나 자동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상기 제어부는,
    열감지 대상에서 온도 영역의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체크하기 위하여,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테두리 영상 또는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출력할 때, 정합을 위하여 사이즈 조절과 좌표 이동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에서 열감지 대상까지의 거리에 따라, 실화상 이미지와 열화상 이미지의 사이즈, X축 좌표, Y축 좌표의 차이를 정리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 장치가 온도 영역 추적 모드에서 촬영이 완료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테두리 영상으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테두리 강조 영상으로 변환한 후,
    현재 광학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실화상 이미지,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열화상 이미지를 로딩하여 변환한 테두리 영상, 및 상기 현재 열화상 카메라부의 열화상 이미지를 변환한 테두리 강조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서 복수 개의 이전 열화상 이미지가 로딩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로딩된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영상에 먼저 촬영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를 추가하거나, 각 열화상 이미지의 테두리 컬러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화상 카메라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059299A 2021-05-07 2021-05-07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99A KR102450629B1 (ko) 2021-05-07 2021-05-07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99A KR102450629B1 (ko) 2021-05-07 2021-05-07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29B1 true KR102450629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299A KR102450629B1 (ko) 2021-05-07 2021-05-07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6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015A (ko) * 2012-02-07 2013-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656711B1 (ko) * 2015-08-31 2016-09-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발산 피사체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4815B1 (ko) * 2018-08-23 2019-01-03 (주)큐브이미징시스템즈 열영상 카메라와 가시광 카메라를 이용한 다기능 출력 시스템
KR20190044933A (ko) * 2017-10-23 2019-05-02 다빈치온 주식회사 실화상과 열화상을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8110A (ko) * 2018-06-04 2019-12-12 룩시어 유한회사 영상 블렌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015A (ko) * 2012-02-07 2013-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시스템 및 3차원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656711B1 (ko) * 2015-08-31 2016-09-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발산 피사체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4933A (ko) * 2017-10-23 2019-05-02 다빈치온 주식회사 실화상과 열화상을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8110A (ko) * 2018-06-04 2019-12-12 룩시어 유한회사 영상 블렌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934815B1 (ko) * 2018-08-23 2019-01-03 (주)큐브이미징시스템즈 열영상 카메라와 가시광 카메라를 이용한 다기능 출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9612B2 (en) Image fusion system and method
US7924312B2 (en) Infrared and visible-light image registration
US8599264B2 (en) Comparison of infrared images
KR101111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화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314259B1 (ko) 영상 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7667198B2 (en) IR camera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images
KR102003475B1 (ko) 영상 및 열화상을 이용한 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US20120320189A1 (en) Thermal imager that analyzes temperature measurement calculation accuracy
US11234074B2 (en) Sound pickup device, sound pickup system, sound pickup method, program, and calibration method
KR102144394B1 (ko) 영상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정합 방법
US20200296301A1 (en) Image processing arrangement
JP2018066712A (ja) 計測装置
JP2007510152A (ja) 凝結の危険度を決めるための赤外線カメラの方法、使用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050110A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촬영 시스템
US11197065B2 (en) Gas detec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1014609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083926B1 (ko) 영상 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0629B1 (ko) 열화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49723A (ja) 温度分布を含む画像の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14605B2 (ja) 撮像装置および監視装置
KR101625471B1 (ko) 보급형 열화상 카메라의 해상도 향상 방법 및 장치
KR20180113601A (ko)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09667A (ko) 영상 합성 장치 및 그의 영상 합성 방법
KR102195072B1 (ko) 열화상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09092409A (ja) 3次元形状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