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264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264A
KR20130090264A KR1020120011451A KR20120011451A KR20130090264A KR 20130090264 A KR20130090264 A KR 20130090264A KR 1020120011451 A KR1020120011451 A KR 1020120011451A KR 20120011451 A KR20120011451 A KR 20120011451A KR 20130090264 A KR20130090264 A KR 2013009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module
light source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264A/ko
Publication of KR2013009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7Organic material, e.g. filled polymer composites; Thermo-conductive additives or coa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광원 모듈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구형상을 갖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 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수 있는 제1 에어홀을 복수개 구비하고, 중심선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에어홀 보다 많은 개수의 제2 에어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는 GaAs, AlGaAs, GaN, InGa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 재료의 변경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우수한 단색성 피크 파장을 가지며 광 효율성이 우수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친환경, 저소비전력 등의 이유로 TV, 컴퓨터, 조명, 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활용분야를 넓혀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에너지 절감 운동으로 저효율 조명인 백열전구의 사용이 규제되고, 이를 발광소자와 같은 고효율 조명으로 교체하려는 움직임이 발광소자 제조업체 및 조명업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 장치의 경우 발광소자의 발광 특성 및 방열 구조상 백열전구의 배광 특성과 같이 방사형태로 조명을 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며, 최근 출시되는 발광소자 램프는 기존의 백열전구 모양을 유지하면서 방사형태의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로 반사부재를 구비해야 하므로 무게와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 백열등의 경우 공급된 전력의 일부(예를 들어 약 19%)만이 열로 전환되고, 형광등의 경우도 일부(예를 들어 약 42%)가 열로 전환되는데 반해, 발광소자의 경우 공급된 전력 중 많은 양(예를 들어 75~85%)이 열로 방출된다. 이러한 고 열방출 특성에 따라 발광소자 광원의 성능 향상과 수명유지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열 방출 방법이 요구된다.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 장치에서, 전방은 물론 측방 및 후방까지 조명이 가능하여 배광 특성 우수하고 배광 조절이 가능하며 광효율이 향상된 조명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열 방출 특성에 의하여 사용 수명 등 신뢰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광원 모듈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구형상을 갖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 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수 있는 제1 에어홀을 복수개 구비하고, 중심선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에어홀 보다 많은 개수의 제2 에어홀을 구비한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칩 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패키징 한 발광소자 패키지로 구비할 수는 조명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수지포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소재 내에 무기계 또는 유기계 필러(filler)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광원 모듈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캐비티를 가져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발광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수직 상부의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칩 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패키징 한 발광소자 패키지로 구비할 수하는 조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수지포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소재 내에 무기계 또는 유기계 필러(filler)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반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보다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더 많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광 특성이 개선되고 배광 조절이 가능하여 광 효율 및 발광 특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배광 조절에 의하여 균일한 강도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열 방출 특성에 의하여 사용 수명 등 신뢰성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커버부에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배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관한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광원 모듈(10), 광원 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부(20), 전원이 인가되는 본체부(30) 및 상기 광원 모듈(10)과 지지부(20)를 보호하며 상기 광원 모듈(10)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이 형성된 커버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모듈(10)은 기판(11)과, 상기 기판(11) 상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2)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모듈(1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인 발광소자(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발광소자(12) 자체를 칩 상태로 구비하거나 패키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12)가 장착된 발광소자 패키지 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발광소자(12)를 둘러싸도록 패키지 내에 형성된 수지포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의 수지포장부는 커버부(40)에 형성된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발광소자(1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소자(12)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은 인쇄회로기판(PCB)의 일종으로 에폭시, 트리아진, 실리콘, 폴리이미드 등을 함유하는 유기 수지 소재 및 기타 유기 수지 소재로 형성되거나, AlN, Al2O3 등의 세라믹 소재, 또는 금속 및 금속화합물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전도성을 갖는 메탈 PCB의 일종인 MCPC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광원 모듈(10)을 지지하는 하우징으로서의 기능과, 상기 광원 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히트 싱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2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Al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0)의 일면에는 상기 광원 모듈(10)이 장착된다.
상기 커버부(40)는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구형태을 갖고 지지부(30)의 상부를 덮는다. 즉 상기 커버부(40)는 정면에서 볼 때, 백열전구 형상의 구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형에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0)는 광투과성을 가져 상기 발광 소자(10)에서 발생하는 빛(L)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커버부(40)는 유리(glass)와 같은 광투과성의 무기계, 또는 PMMA, PS(polystyrene), COC(cyclic olefin copolymer),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등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광투과성의 유기계 소재의 경우 파손에 비교적 안전하고, 가벼우며, 나노파티클(nano particle)들과 쉽게 복합재료(composite)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커버부(40)의 소재 내에 유/무기계의 필러(filler)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0)는 이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은 발광소자(1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발광소자(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상기 커버부(40)의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을 통해 바로 방출되고, 커버부(40)의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커버부(40)를 통하여 투과되거나 커버부(40)에서 다시 반사된다. 그런데 상기 커버부(40)는 광투과성의 무기계 또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커버부(40)의 소재 내에 유/무기계의 필러(filler)가 첨가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12)에서 발생한 빛이 에어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기 커버부(40)를 통과할 때 휘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빛이 상기 커버부(4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소자(12)의 발광 특성에 의하여 조명 장치(1)의 후방으로는 빛의 휘도가 낮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40)의 전방 및 측방 일부에는 밀도가 낮은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40)의 측방 일부 및 후방에는 상기 제1 에어홀(42)보다 많은 개수의 조밀한 제2 에어홀(42)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에어홀(41)은 커버부(4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40)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제2 에어홀(42)은 커버부(40)의 하면에 상기 제1 에어홀(41)보다 많은 개수로 조밀하게 형성한다. 그러면 조명 장치(1)의 후방으로 보다 높은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어 조명장치(1)의 전체에서 보다 균일한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되어 배광 특성이 개선된다. 즉 전방은 물론 측방 및 후방까지 조명이 가능하여 배광 특성이 개선되고, 조명 장치(1)의 후방으로 보다 높은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광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배광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에 의하여 발광소자(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3은 커버부에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배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홀을 형성한 경우에는 넓은 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즉 커버부(40)에 복수개의 제1 에어홀(41) 및 제2 에어홀(42)을 형성하면 광손실이 감소하고 배광 특성이 개선되며 광 효율이 증대된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2)는 광원 모듈(100), 광원 모듈(100)을 지지하는 지지부(120), 전원이 인가되는 본체부(140), 상기 광원 모듈(100)과 지지부(120)를 보호하며 상기 본체부(140)부에 체결되어 광원 모듈(100)의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160), 상기 반사부(16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며 홀(201)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00) 및 상기 플레이트(200)를 상기 반사부(16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 모듈(100)은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모듈(10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인 발광소자(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발광소자(112) 자체를 칩 상태로 구비하거나 패키징 공정을 통해 상기 발광소자(112)가 장착된 발광소자 패키지 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발광소자(112)를 둘러싸도록 패키지 내에 형성된 수지포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의 수지포장부는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홀(201)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발광소자(11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소자(112)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광원 모듈(100)을 지지하는 하우징으로서의 기능과, 상기 광원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히트 싱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Al 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20)의 일면에는 상기 광원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빛(L)을 반사시키도록 캐비티를 가져 상기 광원 모듈(1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반사부(1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반사부(160)는 메탈 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탈과 세라믹이 고분자 소재에 분산된 메탈-폴리머 복합재료(metal-polymer composite) 또는 세라믹-폴리머 복합재료(ceramic-polymer composi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부(160)의 빛이 반사되는 내측 표면에는 빛(L)의 반사를 높이기 위해서 Ag 또는 Al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평면 형상으로 상기 반사부(160)의 캐비티 상부를 덮는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200)는 광투과성을 가져 상기 발광 소자(100)에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L)을 방출시킨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유리(glass)와 같은 광투과성의 무기계, 또는 PMMA, PS(polystyrene), COC(cyclic olefin copolymer),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등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광투과성의 유기계 소재의 경우 파손에 비교적 안전하고, 가벼우며, 나노파티클(nano particle)들과 쉽게 복합재료(composite)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플레이트(200)의 소재 내에 유/무기계의 필러(filler)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직접 플레이트(200)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고, 또한 반사부(160)를 통하여 반사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200)에는 복수의 홀(201)이 형성되어 있는데, 복수의 홀(201)은 상기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상기 플레이트(200)의 복수개의 홀(201)을 통해 바로 방출되고, 플레이트(200)의 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여 투과되거나 플레이트(200)에서 다시 반사된다. 그런데 상기 플레이트(200)는 광투과성의 무기계 또는 광투과성이 우수한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커버부(30)의 소재 내에 유/무기계의 필러(filler)가 첨가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112)에서 발생한 빛이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기 플레이트(200)를 통과할 때 휘도가 저하된다. 또한 복수개의 홀(201)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빛이 상기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휘도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홀(20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0)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발광소자(1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0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부위(H)는 더 많은 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의 외주면"은 수직 하부에 발광소자(112)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 중에서 발광소자(112)와 발광소자(112)의 사이가 아닌 상기 플레이트(200)의 둘레 부분을 말한다.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발광소자(112)의 발광특성에 의하여 발광소자(112)의 수직 상부에 집중되는데, 플레이트의(200)의 수직 하부에 발광소자(112)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플레이트(200)에 홀(201)을 형성하면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체에 균일한 휘도의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홀(201)이 형성된 위치에는 발광소자(112)로부터 발광되는 빛 이 상기 플레이트(2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플레이트(200)의 수직 하부에 발광소자(112)가 형성되지 않아 휘도가 낮은 빛이 홀(201)이 형성된 곳으로 방출되므로 휘도가 감소되지 않고, 발광소자(112) 수직 상부로 방출되는 빛은 상기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휘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플레이트(200)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00)의 외주면에 비하여 상기 플레이트(200)의 중심부에는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방출되는 빛이 중첩되므로 상기 플레이트(200)의 외주면 부위에 홀(201)을 많은 개수로 조밀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의 중심부"는 플레이트의 외주면이 아닌 부분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홀(201)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배광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수개의 홀(201)에 의하여 발광소자(11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1....... 조명 장치 10....... 광원 모듈
11...... 기판 12....... 발광소자
20...... 지지부 30....... 본체부
40...... 커버부 41....... 제1 에어홀
42...... 제2 에어홀
2....조명 장치 100.....광원모듈
110.....기판 112.....발광소자
120.....지지부 140......본체부
160.......반사부 180......결합부
200.....플레이트 201.....미세홀

Claims (18)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광원 모듈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구형상을 갖고,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산하는 빛을 투과 시켜 외부로 발산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수 있는 제1 에어홀을 복수개 구비하고, 중심선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에어홀 보다 많은 개수의 제2 에어홀을 구비한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칩 상태로 구비하는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패키징 한 발광소자 패키지로 구비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수지포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소재 내에 무기계 또는 유기계 필러(filler)가 첨가된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광원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부가 더 포함된 조명 장치.
  9.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이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광원 모듈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캐비티를 가져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발광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수직 상부의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칩 상태로 구비하는 조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발광소자를 패키징 한 발광소자 패키지로 구비하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수지포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조명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소재 내에 무기계 또는 유기계 필러(filler)가 첨가된 조명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본체부가 더 포함된 조명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반사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더 포함된 조명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보다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더 많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장치.
KR1020120011451A 2012-02-03 2012-02-03 조명 장치 KR2013009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51A KR20130090264A (ko) 2012-02-03 2012-02-03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51A KR20130090264A (ko) 2012-02-03 2012-02-03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64A true KR20130090264A (ko) 2013-08-13

Family

ID=4921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451A KR20130090264A (ko) 2012-02-03 2012-02-0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2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511B1 (ko) * 2014-12-30 2015-06-01 이슬기 광 확산 기능을 갖는 led 조명기구
CN106062473A (zh) * 2014-03-06 2016-10-26 京瓷连接器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9002392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측정 장치 및 소결 설비
KR20190023406A (ko)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측정 장치 및 소결 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2473A (zh) * 2014-03-06 2016-10-26 京瓷连接器株式会社 照明装置
KR101524511B1 (ko) * 2014-12-30 2015-06-01 이슬기 광 확산 기능을 갖는 led 조명기구
KR20190023406A (ko)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측정 장치 및 소결 설비
KR20190023928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포스코 통기성 측정 장치 및 소결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962B2 (en) LED illumination lamp bulb with internal reflector
US9447957B2 (en) LED lamp
JP4683013B2 (ja) 発光装置
US8502250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KR20130084884A (ko) 조명 장치
US20120281403A1 (en) Led lamp
US9739426B2 (en) Bulb for semiconductor luminous device, and semiconductor luminous device
US20170276335A1 (en) Illumination device
US20180163929A1 (en) Lighting device
KR20130090264A (ko) 조명 장치
US8764231B2 (en)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JP2011071354A (ja) 発光装置、電球形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11187296A (ja) 照明装置
US20160312961A1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20120026274A (ko) 조명 장치
KR101843505B1 (ko) 엘이디 램프
US11022296B2 (en) Operatory lights and replacement bulbs for operatory lights
JP2013186988A (ja) 発光装置
US20130135862A1 (en) Tubular Light Source with Light Emitting Diodes on End Portions and Light Reflecting Sheet
KR102093344B1 (ko) 조명 장치
KR20140063922A (ko) Led 조명장치
KR101428700B1 (ko) Led 조명장치
JP3190878U (ja) 照明装置
US20140211479A1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ng device
KR20120108623A (ko) 램프용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