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648A -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 Google Patents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648A
KR20130089648A KR1020137010169A KR20137010169A KR20130089648A KR 20130089648 A KR20130089648 A KR 20130089648A KR 1020137010169 A KR1020137010169 A KR 1020137010169A KR 20137010169 A KR20137010169 A KR 20137010169A KR 20130089648 A KR20130089648 A KR 2013008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container
canister
end wall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제이. 헐레이
카렌 에이치 칼라만
Original Assignee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8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15Beds i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4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ag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흡수제 용기는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 투과성 멤브레인 및 흡수제를 포함한다.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는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를 정한다. 투과성 멤브레인은 측벽에 용융되어 개구를 덮는다. 용융 접합부는 측벽과 투과성 멤브레인 사이에서 형성된다. 흡수제는 플라스틱 용기 안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UNITARY SORBENT CANISTER WITH THIN END WAL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제 용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더스팅(dusting)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시키고, 캐니스터(canister) 안에 보유된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흡수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 또는 의약품 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흡수제 용기는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하나의 문제점은 용기 안에 배치된 흡수제 재료가 매우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져 용기로부터 이탈하여 흡수제 용기가 보호하도록 설계된 제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일부의 종래 용기에서, 캡이 흡수제가 보관된 중공형(hollow) 컵 또는 용기에 스냅 끼움(snap fit) 또는 가압 끼움(press fit)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부품들은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스냅 끼움으로는 우수한 밀봉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서, 취급하거나 제공하는 동안 사용자가 캡을 만지면 캡이 터지고(pop off), 내용물이 흘러나와 용기와 함께 포장된 식품 또는 의약품을 오염시킨다.
종래 용기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이러한 용기의 투과성은 대체로 용기의 표면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구멍들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멍들은 대체로 더스팅이 발생할 정도, 즉, 식품 또는 의약품 및/또는 흡수제로부터의 미립자가 구멍들을 막을 수 있어서 투과를 방해하거나 먼지가 구멍을 완전히 통과할 수 있어서 식품/의약품을 오염시키거나 흡수제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하는 동안 밀봉을 유지하고, 취급하는 동안 분리될 위험이 없는, “일체형” 흡수제 용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는 용기에 보유된 흡수제 재료에 의해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식품과 의약품에 사용 가능한 흡수제 용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자가 캐니스터의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캐니스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제 용기의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용물로부터 포장된 제품의 오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수제 재료를 충전하기 쉬운 흡수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간단히 기술하면, 흡수제 용기는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 투과성 멤브레인(membrane) 및 흡수제를 포함한다.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는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를 정한다. 투과성 멤브레인은 측벽에 용융되어 개구를 덮는다. 용융 접합부는 측벽과 투과성 멤브레인 사이에서 형성된다. 흡수제는 플라스틱 용기 안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측벽은 단부벽과 상이한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부벽은 투명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용융 접합부는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은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는 다공성의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측벽은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를 정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개구를 통해 다공성 플라스틱 용기의 일부를 흡수제로 충전하는 단계와, 투과성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투과성 멤브레인을 측벽에 용융시켜 개구를 덮고 흡수제를 용기 안에 보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태양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하게 기재된다. 본 발명 그 자체, 그리고 그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흡수제 용기의 충전 방법과 조립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 캐니스터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제 캐니스터(2)는 용기(10)와, 일체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캡(20)을 포함한다.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형상이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용기(10)는 측벽(12)과 단부벽(14)을 포함한다. 측벽(12)은 단부벽(14)으로부터 연장되고,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16)를 정한다. 단부벽(14)은 비교적 평평하게 도시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제 캐니스터(2)가 흡수하도록 설계된 기체에 대하여 투과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용기(10)가 이러한 투과성 재료로 형성된다. 용기(10)를 형성하는 재료의 예로는 열가소성 재료가 포함되는데, 여기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테레프탈염산(terephtha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s), 하이드록시 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재료가 바람직할지라도, 중합체이든 아니든, 필요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용기가 적용된 용도에서 흡수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는데 필요한 투과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0)는 사출 성형된다. 사출 성형 과정은 비교적 빠른 처리량으로 치수 제어된 부품을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은 비교적 균일한 측벽을 생성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즉, 측벽(12)은 비교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단부벽(14)도 비교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측벽과 단부벽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이하다. 특히, 단부벽(14)은 측벽(12)보다 얇고, 투명하게 될 정도로 충분히 얇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벽(14)은 약 5밀(mil) 내지 15밀 정도이고, 측벽은 35밀 내지 60밀 정도이다.
단부벽(14)을 투명하게 만듦으로써, 사용자는 용기에 보유되는 흡수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흡수제가 여전히 작용하는지 여부를 볼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변환 작용제를 갖는 흡수제는 그들이 흡수하도록 설계된 재료에 의해 포화될 때, 색을 변화시키도록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투명한 단부벽은 흡수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 한다. 측벽(12)도 대안으로서 투명할 수 있고, 또는 측벽(12)과 단부벽(14) 모두가 투명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명성은 벽 두께가 최소화될 때 얻어진다. 대안으로서 더 나은 투명성을 갖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20)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제가 흡수하도록 설계된 기체에 대하여 투과성이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20)은 용기(10)의 개구(16) 위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밀봉된 용기(2)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20)은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캡(20)은 바람직하게는 투과성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멤브레인(membrane)으로 만들어진다. 멤브레인은 다공성일 수 있다. 투과성 있는 상단부(top)을 구성하는 재료는 용기(10)를 구성하는 재료와 양립 가능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즉, 두 재료는 일체형 몸체를 갖는 캐니스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 더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투과성 캡(20)은 용기(10)에 융착되고, 따라서 캡(20)과 용기(10)를 구성하는 재료는 서로 융착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과성 캡(20)은 개구(16) 위로 측벽(12)과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듯이, 캡(20)은 진동식 또는 열 공구 용접과 같은 용융 작업에 의해 용융 접합부(22)에서 용기(10)의 개구(16)를 덮도록 결합된다. 캡(20)을 적용하기 전, 용기(10)는 과잉수분, 산소, 냄새 또는 그 밖의 기체 운반성 물질(gas transportable material)을 흡수하거나 흡착할 수 있는 흡수제 재료(30)로 충전되고, 흡수제 재료는 인접 환경으로부터 이들을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도 2에 도시된 흡수제 캐니스터를 형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나머지 도면들을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들은 먼저 흡수제 재료(30)로 충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이 되면 사출 성형된 용기(10)들은 매우 작은 단부(62)가 개구(16) 부근에서 고정구(60)의 표면(66) 위로 돌출되도록 고정구(60)에 보유된다(예를 들어 20개가 그룹으로). 이는 후속의 용접 작업을 하는 동안 용기들이 견고하게 보유되도록 한다. 그 후에, 투과성 시트(sheet)(70)가 용기(10)의 개구(16)를 가로질러 놓인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트(70)는 투과성이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이다. 시트(70)는 바람직하게는 무광택면(matte surface)과 광택면(shiny surface)을 갖고, 시트(70)의 무광택면은 개구(16)들과 인접한 위치에 놓인다. 광택면이 용기(10)들에 맞닿아 놓일 수도 있다. 그 후, 가열된 용접 다이(76)는 충분한 열과 압력을 가하며 시트(70)에 작용되어, 용융 접합부(22)에서 시트(70)와 측벽(12)의 중첩부를 함께 용융시킨다. 용접 다이(76)는 바람직하게는 탄약 점화봉(cartridge fire rod)을 삽입하기 위해 종방향 축을 따라 형성되는 구멍을 갖는, 특수 강철(P20)의 직사각형 막대(bar)로부터 형성된다. 용접 다이(76)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기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열전대를 삽입하기 위해 또 다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분명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용접 다이(76)로부터의 열은 용융 접합부(22)의 부근에서 시트(70)를 일시적으로 연화시켜서, 시트(70)의 비압축 중심부(78)가 용기(10)들의 내부로 당겨지고 용융 접합부(22)에서 측벽(12)들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접 다이(76)는 500℉ 정도의 온도에서 약 0.5초 내지 2.5초 동안 200lb/in2과 1000lb/in2 사이의 압력을 용기(10)들에 대하여 화살표(82) 방향으로 시트(70)에 작용시킨다. 시트(70)는 압력이 작용될 때 찌그러지거나(buckle) 찢어지거나 분할(split)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70)의 부분들을 용기(10)들의 측벽(12)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용융 접합부(22)를 생성하는 것은 이러한 온도와 압력의 조합이다.
투과성 시트(70)가 복수의 용기(10)에 결합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듬질 다이(80)가 시트(70)에 적용되고, 용기(10)들의 주연부를 넘어서는 시트(70)의 과잉 재료가 다듬질되어 제거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듬질 다이(80)는 측벽(12)의 범주(footprint) 바깥에 놓인 시트(70)의 과잉 재료를 다듬질하여 제거하는, 복수의 원형 나이프(84)를 보유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트(70)는 바람직하게는 식품 또는 약품 포장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공성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다. 시트(70)는 바람직하게는 0.028in±약 0.005in의 두께이다. 다공성의 시트(70)는 1ft2당 40ft3/min 내지 120 ft3/min의 기류를 지지할 수 있고 또는 물 1.2in의 압력에서 직경이 1in인 디스크를 통하는 1400ml/min 내지 4200 ml/min의 기류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70)는 적어도 215lb/in2의 바람직한 인장 강도를 갖고, 정해진 용접 작업 동안 직면하는 힘이 가해질 때 시트(70)가 찌그러지거나 찢어지거나 분할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필요한 용도에 따라 인장 강도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시는 영국 렉스펨의 포르바이어르 테크놀로지(Porvair Technology)사의 포르바이어르 피알엘에프094230(Porvair PRLF094230) 또는 조지아주 페어번(Fairburn, Georgia)의 포렉스 테크놀로지스(Porex Technologies)사의 포렉스 포러스 프로덕트 그룹(Porex Porous Products Group) 엑스-8054(X-8054) 또는 엑스-9474(X-9474)로부터 롤 스톡(roll stock)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임의의 특정한 용도를 위한 구체적인 요구에 따라, 다른 공극률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70)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기류(airflow)는 투과될 수 없지만 기체 투과(gas transmission)는 가능한, 구멍이 없는(solid) 시트가 될 수 있다. 시트(70)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용기(10)와 양립 가능한 재료, 즉, 용기(10)에 고정 가능한 재료로 선택되어 일체형 흡수제 캡슐(2)을 형성한다.
상술된 열 용접 공정은 약 600lb/in2과 1000lb/in2 사이의 클램핑 힘 또는 압력을 이용하고, 대략 1초 내지 2초의 가열 시간을 포함한다. 전술한 열 용접 공정은 용융 접합부(22)에서 다공성 캡(20)들과 측벽(12) 사이의 용융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용융은 공극률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환경 하에서 캡(20)들과 중공 몸체(12)들 모두의 경계부 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용융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다른 결합 공정이 캡(20)을 용기(10)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본 출원인에게 허여된(co-assigned) 미국 특허 제 5,942,0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진동 용접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흡수제 재료(30)들 중 하나는 중화 인민 공화국 자오위엔 시의 자오위엔 후이위엔 실리카겔 코 엘티디(Zhaoyuan Huiyuan Silica Gel Co. Ltd.)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약 0.5mm 내지 1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며, 이러한 실리카겔을 보유하는 캐니스터(2)들은 의약품 용기, 식품 용기와 같은 다양한 환경 및 수분 흡착이 필요한 기타 다른 환경에서 수분을 흡착하는데 사용되도록 한다. 다른 종류의 입상 또는 비입상 기체 또는 증기 처리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 숯(activated charcoal), 분자체(molecular sieve), 활성 점토(activated clay),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황산 칼슘(calcium sulfate), 그리고 클린톨라이트(Clintolite)와 결정질 금속 알루미늄규산염(crystalline metal aluminosilicates)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니스터들은 다른 적절한 제품을 보유할 수도 있는데, 통상적인 산소 흡수 합성물과 통상적인 이산화탄소 흡수 합성물이 여기에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캐니스터(2)들은 카라기닌(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크림(cream) 또는 겔(gel) 형태의 흡수제 또는 용액 함유 흡수제를 보유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품들은 캐니스터(2)들이 위치한 환경으로부터 기체를 흡수하거나 흡착한다. 그러나, 캐니스터(2)는 또한 캐니스터가 위치한 환경으로 들어가는 증기를 생산하는 제품을 보유할 수도 있고, 이러한 증기는 예를 들어 향기, 에틸렌(ethylene)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캐니스터 몸체(12) 내의 재료는 “기체 또는 증기 처리”를 특징으로 할 것이다. 흡수제에 부가하거나 흡수제를 대신하여 향균성 재료, 항진균성 재료 등의 다른 구성품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제 용기는 매우 용도가 다양하고, 폭넓은 적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다듬질이 되고 나면, 완성된 흡수제 캐니스터(2)가 사용될 준비가 된다. 그러나, 베벨을 용융 접합부(22)에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다듬질 작업 이후에, 또는 다듬질 작업과 함께, 또는 다듬질 작업을 대신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떼기(chamfering) 공구(100)가 용융 접합부(22)에서 경사면(34)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경사면(34)을 형성함으로써, 용기(10)의 의도된 주연부를 넘어서 연장되고 완성된 캐니스터(2)들의 제공에 방해가 될 수도 있는 캐니스터(2) 단부의 다듬어지지 않은 에지부(38)를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모떼기 공구(100)는 바람직하게는 용기(10)들의 중심축(40)과 정렬되는 축(10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원통형 몸체(104)와, 회전축(102) 주위에서 각을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절삭 블레이드(106)들을 포함한다. 또한, 모떼기 공구(100)를 캐니스터(2)의 용융 접합부(22)와 맞물려 급송할 수 있도록, 모떼기 공구(100)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02)과 중심축(40)을 따라 캐니스터(2)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다. 경사면(34)을 대응되는 모떼기 각(α)으로 형성하기 위해, 절삭 블레이드의 절삭날(108)들은 바람직하게는 회전축(102)에 대하여 각(β)만큼 경사져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떼기 각(α)은 30°보다 작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34)은 대략 15°의 모떼기 각으로만 경사진다. 작은 모떼기 각(α)은, 모떼기 작업이 캐니스터(2)들의 높이 편차에도 불구하고 측벽(12)의 벽 두께 “t”에 위협을 가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예를 들어, 15°의 모떼기 각(α)은 더 통상적인 모떼기 각인 45°보다 거의 네 배의 높이 편차 “Δh”를 수용할 수 있다. 모떼기 공구(100)의 절삭 깊이를 설정하기 위해, 공구 정지부는 고정구(60)에 대하여 기준이 될 수 있다. 공구 당 두 개의 절삭 블레이드(106)가 바람직하다. 또한 700RPM와 1500RPM 사이의 회전 속도가 바람직하다. 회전축(102)을 따른 모떼기 공구(100)의 수직방향 급송은 빠른 접근(approach) 및 절삭 중의 느린 급송을 제공하도록 그 속도가 가변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떼기 공구(100) 각각은 캐니스터(2)들 사이에서 병진 운동할 수 있고, 또는 다중 모떼기 공구(100)들이 고정구(60) 내의 복수의 캐니스터(2)의 단부를 모떼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중 모떼기 공구(100)들은 캐니스터(10)들 사이에서 모떼기 공구들을 인덱스(index) 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병진 운동을 하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헤드를 갖는 스핀들(spindle)은 동시에 다섯 개의 캐니스터 단부를 모떼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 다섯 개의 헤드를 갖는 스핀들 전체가 동일한 고정구(60) 내에서 또 다른 세트의 다섯 개의 캐니스터 단부를 모떼기하기 위해 인덱스될 수 있다. 모떼기 공구(100)들은 다듬질 다이(80)에 부가하거나 다듬질 다이(8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떼기 공구(100)들은 (a) 캐니스터(2)를 시트(7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다공성 시트(70)를 통과하여 절단하고, (b) 절삭을 계속 하여(즉, 회전축(102)을 따라 상대적으로 병진 운동하여) 용융 접합부(22)에서 경사면(34)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용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와 캡(20)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투과성이 있다. 재료들은 다공성일 수 있으나, 캐니스터(2)가 의도된 용도에 따라서 흡수 또는 흡착을 할 수 있는 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더 자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용기(10)과 캡(20)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두 개가 서로 부착될 수 있는 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재료는 용기(10)와 캡(20) 모두가 유사한 투과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고, 또는 매우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흡착의 대부분이 캡을 통해 수행되고, 따라서 캡(20)이 용기(10)를 만드는 재료보다 훨씬 더 높은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은 바람직하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캡(20)이 용기(10)에 용융되면, 캐니스터(2)는 흡수제를 보유하는 일체형 구조가 되고, 캐니스터를 파괴하지 않는 한 흡수제에 접근할 수 없다. 이는 한 개 이상의 단부가 터져서 흡수제 유출을 일으키는 종래 기술의 캐니스터들과 대조된다.
도 3 내지 도 6이 흡수제 캐니스터(2)를 만드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방법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들은 개구(16)의 크기와 비슷한 멤브레인으로 개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다듬질이 필요한 과잉 재료가 없을 것이고, 따라서 폐기물을 최소화한다. 또한, 캡(20)은 융착되거나 아니면 측벽(12)에 의해 정해지는 개구(16) 위로 고정되는 얇은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다.
용기(10)가 사출 성형되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구조도 또한 금형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리브(rib)(24)가 용기에 제공되어, 중심으로부터 측벽(12)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리브는 부품의 생산을 도울 수 있는데, 즉 금형 안으로 또는 금형을 통하여 주입되는 재료의 흐름을 보조한다. 더욱이, 리브는 구조에 안정성을 더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4)가 단부벽(14)에 제공되는 경우, 단부벽은 리브(24)에서 더 두꺼워질 것이고, 따라서 균일한 두께를 갖지 못할 것이다. 더욱이, 리브(24)는 투명하지도 않을 것이다. 물론, 리브는 필수적으로 단부벽(14)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측벽(12)의 길이를 따라서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발명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흡수제 캐니스터이며,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는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로서, 측벽은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를 정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측벽에 용융되어 개구를 덮는 투과성 멤브레인과,
    투과성 멤브레인과 측벽 사이의 용융 접합부와,
    플라스틱 용기 안에 있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흡수제 캐니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는 사출 성형되는, 흡수제 캐니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단부벽은 투명한, 흡수제 캐니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측벽은 불투명한, 흡수제 캐니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단부벽은 측벽보다 얇은, 흡수제 캐니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접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흡수제 캐니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측벽으로 연장하는 한 개 이상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흡수제 캐니스터.
  8. 제1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입상 흡수제인, 흡수제 캐니스터.
  9. 제1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액상 흡수제인, 흡수제 캐니스터.
  10. 제1항에 있어서, 용기는 제1 투과성을 갖고, 투과성 멤브레인은 제1 투과성과 다른 제2 투과성을 갖는, 흡수제 캐니스터.
  11. 제1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크림과 겔 중 하나인, 흡수제 캐니스터.
  12.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하는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측벽은 단부벽에 대향하는 개구를 정하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개구를 통해 투과성 플라스틱 용기의 일부에 흡수제를 충전하는 단계와,
    투과성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와,
    개구를 덮어 용기 안에 흡수제가 보유되도록, 투과성 멤브레인을 측벽에 용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단계는 용융 접합부를 생성하고, 용융 접합부를 경사면으로 만드는(bevel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단부벽은 제1 두께를 갖고, 측벽은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갖는,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용기는 제1 투과성을 갖고, 투과성 멤브레인은 제1 투과성과 다른 제2 투과성을 갖는,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용기의 단부벽은 제1 두께를 갖고, 용기의 측벽은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갖는,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용기의 단부벽은 투명한,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입상 흡수제인,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액상 흡수제인,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흡수제는 크림과 겔 중 하나인, 흡수제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137010169A 2010-09-23 2011-09-22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KR20130089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9,057 2010-09-23
US12/889,057 US20120073443A1 (en) 2010-09-23 2010-09-23 Unitary sorbent canister with thin end wall
PCT/US2011/052694 WO2012040423A2 (en) 2010-09-23 2011-09-22 Unitary sorbent canister with thin end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648A true KR20130089648A (ko) 2013-08-12

Family

ID=4586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169A KR20130089648A (ko) 2010-09-23 2011-09-22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20073443A1 (ko)
EP (1) EP2618915A4 (ko)
JP (1) JP2013545004A (ko)
KR (1) KR20130089648A (ko)
CN (1) CN103209754A (ko)
AR (1) AR083082A1 (ko)
AU (1) AU2011305388A1 (ko)
BR (1) BR112013006723A2 (ko)
CA (1) CA2812339A1 (ko)
CL (1) CL2013000775A1 (ko)
IL (1) IL225394A0 (ko)
MA (1) MA34608B1 (ko)
MX (1) MX2013003329A (ko)
RU (1) RU2013118581A (ko)
SG (1) SG189031A1 (ko)
UY (1) UY33629A (ko)
WO (1) WO2012040423A2 (ko)
ZA (1) ZA201302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1939B2 (en) 2016-08-09 2021-07-27 Enverid Systems, Inc. Cartridge for airflow scrubbing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WO2018031679A1 (en) * 2016-08-09 2018-02-15 Enverid Systems, Inc. Cartridge for airflow scrubbing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10088542B (zh) * 2016-10-27 2021-06-01 可口可乐公司 用于真空冷却饮料的系统和方法
TW202132178A (zh) * 2020-01-03 2021-09-01 美商艾爾諾沃股份有限公司 用於容器之可透氣性元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2326A (en) * 1955-06-23 1958-09-16 Jr Edward B Westlake Desiccant container
US2994404A (en) * 1959-04-28 1961-08-01 Richard E Schifferly Moisture absorbing device
US5186775A (en) * 1988-10-05 1993-02-16 Cullen John S Method of fabrication of a container for bulk material
US5503662A (en) * 1994-03-29 1996-04-02 Multiform Desiccants, Inc. Canister with porous plastic ends
CA2160744A1 (en) * 1995-01-03 1996-07-04 George Klett Desiccant canister
US5743942A (en) * 1996-09-19 1998-04-28 United Catalysts Inc. Desiccant container
JP2000211073A (ja) * 1999-01-22 2000-08-02 Nitto Denko Corp 吸着剤内包容器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着剤内包容器
US20040251164A1 (en) * 2001-11-01 2004-12-16 Tetsurou Yasuike Atmosphere improving tape for package package with atmosphere improving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e package container with atmosphere improving tape engaging device an package with engaging device
CN2786014Y (zh) * 2005-02-24 2006-06-07 展翊丰科技有限公司 防潮罐结构
US7549272B2 (en) * 2007-04-16 2009-06-23 Multisorb Technologies, Inc. Sorbent canister with beveled edges
CN201125025Y (zh) * 2007-11-26 2008-10-01 展翊丰科技有限公司 改良型干燥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09754A (zh) 2013-07-17
RU2013118581A (ru) 2014-10-27
IL225394A0 (en) 2013-06-27
AR083082A1 (es) 2013-01-30
AU2011305388A1 (en) 2013-04-11
MX2013003329A (es) 2013-06-24
CL2013000775A1 (es) 2013-07-12
WO2012040423A2 (en) 2012-03-29
JP2013545004A (ja) 2013-12-19
EP2618915A4 (en) 2014-10-22
CA2812339A1 (en) 2012-03-29
MA34608B1 (fr) 2013-10-02
UY33629A (es) 2012-03-30
EP2618915A2 (en) 2013-07-31
BR112013006723A2 (pt) 2016-06-14
WO2012040423A3 (en) 2012-06-28
US20120073443A1 (en) 2012-03-29
ZA201302254B (en) 2014-06-25
SG189031A1 (en)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2841B2 (ja) 傾斜縁部を有する吸着剤缶
EP0752908B1 (en) Canister with porous plastic ends
EP2895254B1 (en) Canister for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KR20130089648A (ko) 얇은 단부벽을 갖는 일체형 흡수제 캐니스터
WO2016108869A1 (en) Sorbent container with permeable membrane
EP1334042B1 (en) Desiccant stopper
KR20110011568U (ko) 방사형 미로구조의 기능성 포장재
KR20110011555U (ko) 방사형 미로구조의 기능성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