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605A -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Google Patents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605A
KR20130089605A KR1020130011846A KR20130011846A KR20130089605A KR 20130089605 A KR20130089605 A KR 20130089605A KR 1020130011846 A KR1020130011846 A KR 1020130011846A KR 20130011846 A KR20130011846 A KR 20130011846A KR 20130089605 A KR20130089605 A KR 20130089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layer
polarizer protective
control layer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1147B1 (en
Inventor
케이이치 오사무라
아키라 후루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로 코포레토 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로 코포레토 프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로 코포레토 프란
Publication of KR2013008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 polarizer protection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e provided to suppress the change of a retardation value of the polarizer protection film. CONSTITUTION: A of the polarizer protection film (1) comprises a base layer (2), a first control layer (3), an adhesion convenience layer (4), and a second control layer (5). The base layer is formed of acrylic resin with a main component. The first control layer is laminated on one 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controls moisture permeability. The adhesion convenience layer is laminated on one face side of the first control layer. The second control layer is laminated on another 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controls the moisture permeability.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소자{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본 발명은 편광자 보호 필름,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is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provided with this polarizing plate.

액정 표시 장치(LCD)는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다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정보단말(PDA), 퍼스널컴퓨터,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widely used as a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features such as thin, light weight, low power consumption, and its use as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computers, and televisions. It is expanding year by year.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소자(41)는 액정층(44)이 양면의 투명매체층(43)(예를 들면 유리)로 협지된 액정 셀(42)과, 이 액정 셀(42)의 양면에 접착제층(48)에 의해 접착되는 편광판(45)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편광판(45)은 편광능을 가지는 편광자(47)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46)이 첩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광자(47)는 강도의 향상과 취급 용이화의 관점으로부터 편광자 보호 필름(46)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41 provi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42 in which the liquid crystal layer 44 is sandwiched by double-sided transparent medium layer 43 (for example, glass). And the polarizing plate 45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42 by the adhesive layer 48.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6 is bonded to this polarizing plate 45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47 which has polarizing ability, and is comprised. In this manner, the polarizer 47 is protected by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46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trength and facilitating handling.

편광자의 소재로서는 일반적으로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PVA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자는 PVA 필름을 1축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로 염색하거나, 또는 염색하고 나서 연신하고, 이어서 붕소 화합물로 가교함으로써 형성된다.Generally as a raw material of a polarizer, the PVA film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which is hydrophilic resin is used. A polarizer is form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VA film, dyeing with iodine or a dichroic dye, or stretching after dyeing, and then crosslinking with a boron compound.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는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리타데이션값이 작을 것, 표면이 평활할 것, PVA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할 것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는 알칼리에 의해 비누화 처리(에스테르기가 친수성기인 수산기로 변환)된 후,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되는 편광자에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된다. 그러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는 고가이기 때문에, 동등한 성질을 가지는 저렴한 대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t is generally triacetyl cellulose (TAC) from the point which requires an optically transparent and small retardation value, the surface is smooth,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polarizer which consists of PVA is excellent. What has a base material layer which consists of is used. The triacetyl cellulose is saponified by alkali (converted into a hydroxyl group in which the ester group is a hydrophilic group), and then adhered to the polarizer composed of polyvinyl alcohol, which is a hydrophilic resin, using a water-soluble adhesive. However, since triacetyl cellulose is expensive, development of inexpensive alternative materials having equivalent properties is required.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가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발안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1500호 참조). 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1500호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일방의 면에 프라이머층을 배열설치하고, 또한 프라이머층의 일방의 면에 친수성 수지층을 배열설치함으로써,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의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은 주로 액정 표시 소자의 외면측(액정 셀로부터 떨어진 측, 즉 도 5에 있어서의 최상층 및 최하층)에 배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 base layer made of acrylic resin or the like (see JP 2010-181500 A). Wh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i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0-181500 uses a water-soluble adhesive by arranging a primer layer in one surface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arranging a hydrophilic resin layer in one surface of a primer layer. The adhesiveness with the polarizer of is improved.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said publication is mainly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side (side away from a liquid crystal cell, ie,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st layer in FIG. 5)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한편, 액정 표시 소자의 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액정 표시 소자의 외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보다 리타데이션값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즉,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이 높으면, 편광자를 통과하여 직선편광이 된 광선이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의해 타원편광이 되어 액정층에 입사하거나, 액정층을 통과한 직선편광이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의해 타원편광이 되거나 함으로써, 광선을 표시를 위해서 충분히 이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소자의 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리타데이션값이 낮은 것이 요망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said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lower tha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rranged at the outer surface si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hat is, when the retardation value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high, the light ray which passed the polarizer and became linearly polarized light becomes an elliptical polarization by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enters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which passed the liquid crystal layer by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y becoming elliptical polariz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ght beam cannot be sufficiently used for display. For this reason, it is desired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s a low retardation value as mentioned above.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은 투습성 및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고습도 환경하에 있어서 치수 변화를 일으키기 쉽고, 이 때문에 이 기재층에 일체화된 다른 층(예를 들면 접착제층) 등도 기재층의 치수 변화에 따라 치수 변화를 일으키고, 이 다른 층 및 기재층의 치수 변화에 의한 광탄성 효과(변형에 의한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광원의 광이 표시를 위해서 충분히 이용되지 않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base layer made of the conventional triacetyl cellulose has high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 absorption, it is easy to cause a dimensional change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therefore, another layer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incorporated in the base layer is also a base layer. A change in the dimensionality is caused by a change in the size of the layer, and a photoelastic effect (change in the retardation value due to deforma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other layer and the base layer is generated, and as a resul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not sufficiently used for display. It may cause a situa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재층으로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수지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사용하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흡수성이나 광탄성 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을 채용한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의 흡수성을 지나치게 작게 하면 투습성도 지나치게 작아져버려,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편광자에 접착한 경우에 수용성 접착제가 함유하는 수분이 정확하게 증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기재층의 광탄성 계수만을 작게 해도, 투습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흡수성도 높아져, 습도에 의한 치수 변화에 의해 상기 서술한 광탄성 효과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of retardation value is suppressed by reducing a water absorptivity and a photoelastic coefficient by employ | adopting means using acrylic resin, cycloolefin resin, etc. as a base material layer as described in the said publication. do. However, 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means, if the absorbency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made too small, the moisture permeability is too small, and wh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the polarizer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moisture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adhesive does not evaporate correctly. There is no fear. Moreover, even if only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a base material layer is small, if moisture permeability is too high, water absorption will also become high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generating the photoelastic effect mentioned above by the dimensional change by humidity.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150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181500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습도에 의한 치수 변화를 작게 하여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편광자와의 접착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can carry out adhesion easily and reliably with a polarizer by a water-soluble adhesive, reducing the dimensional change by humidity, and suppressing the change of retardation value, This It aims at providing the polarizing plate using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this polarizing pl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The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액정 표시 패널의 편광자에 접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dhere | attached on the polariz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A base layer containing acrylic resin as a main component,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1 컨트롤층과,1st control layer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this base material layer, and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제1 컨트롤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접착용이층과,The adhesion easy layer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a 1st control layer,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2 컨트롤층2nd control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을 구비하고,And,

제1 컨트롤층과 제2 컨트롤층이 주성분으로서 동일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다.A 1st control layer and a 2nd control layer contain the same resin as a main component, It i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일방의 면측에 접착용이층이 배치되기 때문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이 접착용이층과 편광자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이 배열설치되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의 치수 변화가 더욱 억제되고,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Since the said adhesive layer is arrange | positioned at one surface sid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is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can be reliably adhere | attached by a water-soluble adhesive agent. Moreove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formed by being controlled by the 1st control layer and the 2nd control layer arrange | positioned on both surfaces of a base material layer to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and for this reason, the moisture of a water-soluble adhesive at the time of adhesion | attachment with the said water-soluble adhesive is precisely formed. It can evaporate and the said bo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easily and reliably. Moreov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n acrylic resin,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a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hardly arises.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small. In particular,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since the second control layer is arrang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and is controlled and formed with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bstrate layer is further suppressed and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bstrate layer is made smaller. The change in retardation value is small.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컨트롤층이 제2 컨트롤층과 실질적으로 동일 두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제조시 등에 있어서의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fo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aid 1st control layer should just be thickn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a 2nd control layer. Thereby,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url in the case of manufacture can be prevented.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제2 컨트롤층이 제1 컨트롤층보다 실질적으로 두꺼우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접착용이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둥그렇게 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컬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 전체적인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fo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aid 2nd control layer should just be substantially thicker than a 1st control layer. Thereby, the curl preven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force which tries to become round can be provided by making an adhesion | attachment easy layer side inside,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url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whole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improve dimensional stability.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가 -5×10-12/Pa 이상 5×10-12/Pa 이하이면 된다.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치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 치수 변화에 의한 기재층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said acrylic resin should just be -5 * 10 <-12> / Pa or more and 5 * 10 <-12> / Pa or less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By making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acrylic resin into the said range,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make small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base material layer by this dimensional change, even if a dimensional change generate | occur | produces.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접착용이층이 주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와 접착용이층의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성으로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접착용이층을 알칼리로 비누화함으로써 친수성기인 수산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As fo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aid easily bonding layer should just contain cellulose ester-type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reby, it can improve remarkably with the adhesiveness using the water-soluble adhesive of the polarizer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and an easily bonding layer. That is, since the hydroxyl group which is a hydrophilic group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saponifying an adhesive easy layer which contains a cellulose-ester type resin as a main component with alkali, a water-soluble adhesive can easily and reliably adhere | attach a cellulose resin and polyvinyl alcohol which is a hydrophilic resin. have.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접착용이층이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40000 이상 100000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접착용이층의 코팅성을 높이면서, 접착용이층을 알칼리로 비누화했을 때에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가 백화하여 투명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cellulose-ester type resin which the said easily bonding layer contains as a main component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should just be 40000-100000. This can prevent the cellulose-ester-based resin from whitening and lowering of transparency when the adhesive easy layer is saponified with alkali while increasing the coating property of the adhesive easy layer.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이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본래 가지는 투명성, 강인성, 내열성이나, 기재층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크릴 변성에 의해 접착용이층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As fo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aid 1st control layer and the 2nd control layer should just contain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s a main component. Thus, the adhesiveness to the adhesive easy layer is modified by acrylic modification while utilizing the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toughness, heat resistance, and adhesiveness to the acrylic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It can be given.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이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본래 가지는 투명성, 강인성, 내열성이나, 기재층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크릴 변성에 의해 접착용이층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우레탄계 수지의 블렌드에 의해 더욱 기재층 및 접착용이층에 대한 접착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fo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aid 1st control layer and the 2nd control layer should just contain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type resin and urethane-type resin. Thus, the adhesiveness to the adhesive easy layer is modified by acrylic modification while utilizing the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toughness, heat resistance, and adhesiveness to the acrylic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In addition, the urethane resin can be blended to further provide adhesion and flexibility to the substrate layer and the adhesive easy layer.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투습도가 1g/m2·24h 이상 250g/m2·24h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더욱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접착용이층과 편광자를 더욱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더욱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어, 기재층의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have a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1 g / m 2 · 24 h or more and 250 g / m 2 · 24 h or less. Thereby, the water of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evaporated more accurately at the time of adhesion with the water-soluble adhesive, and the bonding layer and the polarizer can be attached more easily and reliably. Moreove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suppress suitably the dimensional change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can make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of a base material layer further smaller.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층의 리타데이션값(Re)이 -15nm 이상 15nm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이 가지는 높은 치수 안정성과 더불어, 투과 광선의 변환 작용을 억제하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으로의 편광의 최적화 및 제어성에 대하여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이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said base material layer should just be -15 nm or more and 15 nm or less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reby, in addition to the high dimensional stability which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has, the influenc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be suppressed with respect to the optimization and controllability of the polarization of a polarized light towar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in addition to suppressing the conversion effect of a transmission light ray. have.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편광판은,Moreover, the polarizing plate made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과,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편광자Polarizer adhere | attached by the water-soluble adhesive to the easily bonding layer of this polarizer protective film

를 구비하는 편광판이다.It is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당해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과 편광자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확실하게 접착된다. 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기재층의 주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이 배열설치되고,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더욱 억제하여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easily bonded to the bonding layer and the polarizer by a water-soluble adhesive.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controlled and formed by the first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in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water of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evaporated accurately at the time of adhesion by the water-soluble adhesive, and thus the adhesion process can be performed. It can be performed easily and reliably. As a result, the said polarizing plate can reliably adhere | attach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er. Moreov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crylic resin,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hardly arises.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small. In particular,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since the second control layer is arrang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is controlled and formed with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layer can be further suppressed to make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layer smaller. Can be. Therefore, the said polarizing plate can make small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can exhibit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소자는,Moreov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ade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액정 셀과,With a liquid crystal cell,

이 액정 셀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당해 편광판The said polarizing plate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this liquid crystal cell

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이다.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provided with.

당해 액정 표시 소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과 편광자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확실하게 접착된다. 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액정 표시 소자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기재층의 주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이 배열설치되고,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더욱 억제하여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액정 표시 소자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액정 표시 소자는 광원의 광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정확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reliably adhere | attached with the water-soluble adhesive and the easily bonding layer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controlled and formed by the first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in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water of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evaporated accurately at the time of adhesion by the water-soluble adhesive, and thus the adhesion process can be performed. It can be done easily and accurately. As a result, the sai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reliably adhere | attach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er. Moreov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acrylic resin,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hardly arises.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small. In particular,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since the second control layer is arrang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layer and is controlled and formed with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layer can be further suppressed to make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layer smaller. Can be. Therefore, the sai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make small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can exhibit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Therefore, the sai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perform accurate display using the light of a light sourc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수지」는 구성하는 모노머가 동일한 화학종이며, 그 조성이 상이한 것이나 중합 형식이 상이한 것도 포함한다. 「광탄성 계수」는 외력에 의한 굴절율의 변화가 발생하기 쉬움을 나타내는 계수이며, CR[Pa-1]=Δn/σR로 구해지는 값이다. 여기서, σR은 신장응력 [Pa], Δn은 응력 부가시의 굴절율차이며, Δn은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same resin" includes the thing of the same chemical species in which the monomers which comprise are different, the composition differs, and the thing of which a polymerization form differs. "Photoelastic coefficient" is a coefficient which shows the tendency of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by external force to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is a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CR [Pa- 1 ] = (DELTA) n / (sigma) R. Here, sigma R is elongation stress [Pa], Δn is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at the time of stress addition, Δ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Δn=n1-n2 Δn = n 1 -n 2

(식 중, n1은 신장응력과 평행한 방향의 굴절율이며, n2는 신장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굴절율이다.)(Wherein n 1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etching stress and n 2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투습도」는 JIS Z0208의 투습도 시험(컵법)에 준하여, 온도 40℃, 습도 92%RH의 분위기 중, 면적 1m2의 시료를 24시간에 통과하는 수증기의 g수를 측정한 값이다. 또, 「리타데이션값(Re)」은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 표면의 평면상의 결정축 방향 중 직교하는 진상축 방향 및 지상축 방향을 x방향 및 y방향,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를 d, x방향 및 y방향의 굴절율을 nx 및 ny(nx≠ny)로 하고, Re=(ny-nx)d로 계산되는 값을 말한다."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is the value which measured the number of g of water vapor which passes the sample of 1 m <2> in 24 hours in the atmosphere of temperature 40 degreeC and 92% RH of humidity according to the moisture permeability test (Cup method) of JISZ0208. In addition, "retardation value (Re)" is the x-axis and y-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n the x-direction and y-direction, the orthogonal axis direction and the slow-axis direction orthogonal among the crystallographic directions on the plan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surface, d, x direction and 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direction is set to nx and ny (nx ≠ ny), and the value calculated by Re = (ny-nx) d is sai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는 습도에 의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의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작게 하여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와의 접착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is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is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this polarizing plate make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by humidity small, and the While suppressing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by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easily and reliab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 표시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ypical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typical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FIG.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of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of FIG. 2.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suitably.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의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2)과,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1 컨트롤층(3)과, 접착용이층(4)과,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2 컨트롤층(5)을 가지고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제2 컨트롤층(5), 기재층(2), 제1 컨트롤층(3) 및 접착용이층(4)이 이 순서대로 배열설치된 적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액정 표시 소자의 편광자에 접착용이층(4)측으로부터 접착되고, 이 편광자의 내충격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 필름이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 FIG. 1 has the base material layer 2 which has acrylic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1st control layer 3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the easily bonding layer 4, and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provide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formed as a laminated body in which the second control layer 5, the base material layer 2, the first control layer 3, and the adhesive easy layer 4 are arranged in this ord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adhered to the polarizer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from the side of the adhesive layer 4, and is a protective film for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and handleability of this polarizer.

(기재층(2))(Base layer (2))

기재층(2)의 주성분으로서는 액정 표시 소자의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또한 일정한 투습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인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다. 기재층(2)은 투명성 및 원하는 강도를 해치지 않는 한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해도 되지만, 아크릴계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포함한다. 여기서의 임의 성분의 예로서, 자외선흡수제, 안정제, 활제, 가공조제, 가소제, 내충격조제, 위상차저감제, 광택제거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acrylic resin which is a synthetic resin which maintains high transparency requir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has a constant moisture permeability is used. Although the base material layer 2 may also contain another arbitrary component unless it impairs transparency and desired intensity | strength, Preferably it contains 90 mass% or more of acrylic resin, More preferably, it contains 98 mass% or more. As an example of arbitrary components here, a ultraviolet absorber, a stabilizer, a lubricating agent, a processing aid, a plasticizer, an impact resistant agent, a phase difference reducing agent, a gloss remover, an antibacterial agent, an antifungal agent, etc. are mentioned.

기재층(2)의 주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가지는 수지이다. 아크릴 수지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C1-6 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Acrylic resin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resin which has frame | skeleton derived from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xamples of the acrylic resi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Meth) acrylic acid ester-methacrylic acid copolymer, a (meth) acrylic acid methyl-styrene copolymer, a polym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Among these acrylic resins, poly (meth) acrylic acid C1-6 alkyl such as methyl poly (meth) acrylate is preferable, and methyl methacrylate resin is more preferable.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10-12/Pa 이상 5×10-12/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의 상한값은 4×10-12/Pa가 보다 바람직하고, 3×10-12/Pa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의 하한값은 -4×10-12/Pa가 보다 바람직하고, -3×10-12/Pa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가 상기 범위 밖인 경우, 치수 변화가 생겼을 때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커질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said acrylic resin,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5 * 10 <-12> / Pa or more and 5 * 10 <-12> / Pa or les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acrylic resin is 4 × 10 -12 / Pa is more preferred, and more preferably 3 × 10 -12 / Pa.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acrylic resin is more preferably -4 x 10 -12 / Pa, and more preferably -3 x 10 -12 / Pa. When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said acrylic resin is out of the said rang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at the time of a dimensional change arises may become large.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흡수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흡수율이 상기 범위를 넘는 경우, 함유 수분이 증발할 때 등에 치수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흡수율은 JIS K7209에 준거하여, 가로세로 50mm, 두께 100μm의 필름 형상의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에 따른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water absorption of the said acrylic resin, 1.0% or less is preferable, 0.7% or less is more preferable, 0.5% or less is further more preferable. When the absorptivity of the said acrylic resin exceeds the said rang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dimensional chang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when containing moisture evaporates. In addition, water absorption is based on the value measured using the film-shaped sample of 50 mm in width and 100 micrometers in thickness based on JISK7209.

기재층(2)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μm 이상 20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의 상한값은 10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8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층(2)의 두께의 하한값은 20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는 경우, 제조시의 라인 속도, 생산성, 투습성이 저감하고, 또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강도, 강성이 작아져, 제조 라인 등에 있어서 취급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10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10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8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2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40 micrometers of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line spe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productivity, and moisture permeability may fall, and it may be against the request of thickness reduc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intensity | strength and rigidity become small,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handling may become difficult in a manufacturing line.

기재층(2)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R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2 이상 0.06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층(2)에는 필요에 따라서 매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처리를 시행한 기재층(2)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Ra)의 상한값은 2가 바람직하고, 1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매트 처리를 시행한 기재층(2)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Ra)의 하한값은 0.07이 바람직하고, 0.1이 보다 바람직하다. 매트 처리를 시행한 기재층(2)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이러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필름 원반 제조 후의 처리에 있어서의 상처 발생이 방지되어,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 일반적으로, 제조된 필름 원반의 권취를 행할 때에는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을 엠보스 가공(널링 처리)하여 블로킹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에 널링 처리를 행한 경우, 필름의 양단의 처리 개소는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은 재단·폐기해야 한다. 또, 필름의 권취 작업에 있어서는, 상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막에 의해 마스킹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기재층(2)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널링 처리를 행하지 않고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고, 필름 폭 방향의 양단 부분도 사용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필름의 고장을 발생시키지 않고, 길게 권취를 행할 수 있다. 또, 기재층(2)이 적당한 표면 거칠기를 가짐으로써, 권취시의 상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상기와 같은 마스킹도 불필요하게 된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Usually, what is 0.02 or more and 0.06 or less can be used. Moreover, the mat process can be performed to the base material layer 2 as needed. 2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which performed this mat process, 1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0.07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which performed the mat process, 0.1 is more preferable. By controlling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mat treatment in such a range, the occurrence of scratches in the treatment after film master fabrication is prevented and the handleability is improved. Moreover, generally, when winding up the produced film original fabric, it is preferable to prevent blocking by embossing (knurling process) th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a film. In the case where the film is knurled, the treated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ilm cannot be used, so the part must be cut and discarded. Moreover, in the winding operation of a film, masking may be performed by a protective film in order to prevent a wound generation. However, by making the arithmetic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nto the said range, blocking can be prevented without performing a knurling process, and a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both ends of a film width direction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it can wind up for a long time without generating the malfunction of a film. Moreover, since the base material layer 2 has a suitable surface roughness, the wound generation at the time of winding is suppressed effectively, and the above masking becomes unnecessary.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Re)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nm 이상 1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Re)의 상한값은 1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5n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Re)의 하한값은 -1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5nm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리타데이션값(Re)이 상기 범위 밖인 경우, 투과 광선의 편광 방향의 변환 작용에 의해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으로의 편광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retardation value R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5 nm or more and 15 nm or less. 10 nm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5 nm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10 nm is more preferable, and -5 nm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out of the said rang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optimization of the polarization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er may not be attained by the conversion action of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a transmission light ray.

기재층(2)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의 플레이크 원료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종래 공지의 혼합 방법으로 혼합하고,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고 나서,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옴니믹서 등의 혼합기로 프리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사용하는 혼련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단축압출기, 2축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니더 등의 종래 공지의 혼련기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dditives, such as a flake raw material of acrylic resin, a plasticizer, are mixed by a conventionally well-known mixing method, and it is made in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viously, and an optical film is manufactured. can do. Thi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s obtained by, for example, preblending with a mixer such as an omnimixer and then extrusion kneading the obtained mixture. In this case, the kneading machine used for extrusion knead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conventionally known kneading machine such as an extruder such as a single screw extruder or a twin screw extruder or a pressure kneader can be used.

기재층(2)의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성형법 등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이 때, 미리 압출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합성 수지와 가소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따로따로 용매에 용해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이나 용융 압출법의 필름 성형 공정에 제공해도 된다.As a film shaping | molding method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well-known methods, such as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flexible method), the melt extrusion method, the calender method, the compression molding method, are mentioned, for example. Among these,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softening method) and the melt extrusion method are preferable. At this time,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neaded in advance may be used, and other additives such as a synthetic resin and a plasticizer are dissolved separately in a solvent to form a uniform mixed solution, and then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softening method) or the melt extrusion method. You may provide to a film forming process.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트산에틸, 디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액 캐스트법(용액유연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As a solvent used for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flexible method), For example, Chlorine-type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Aromatic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benzene, and these mixed solvent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alcohol solvents such as n-butanol and 2-butanol;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dimethylformamide, dimethyl sulfoxide, dioxane, cyclohexanone, tetrahydrofuran,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K), ethyl acetate, diethyl ether; And the like.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softening method), a drum type casting machine, a band type casting machine, a spin coat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용융 압출법으로서는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압출시의 필름의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3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300℃ 이하이다. T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는 공지의 단축압출기나 2축압출기의 선단부에 T다이를 부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한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권취 롤의 온도를 적당히 조정하여, 압출 방향으로 연신을 가함으로써, 1축 연신 공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을 가함으로써, 축차 2축 연신, 동시 2축 연신 등의 공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Examples of the melt extrusion method include a T-die method and an inflation method. Preferably the shaping | molding temperature of the film at the time of melt extrusion is 150 degreeC or more and 350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200 degreeC or more and 300 degrees C or less. When film-forming by the T-die method, T-die is attached to the front-end | tip of a well-known single screw extruder or a twin screw extruder, the film extruded in film shape can be wound up, and a roll-shaped film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can be also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take-up roll and stretching in the extrusion direction.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add processes, such as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and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by adding the process of extending | stretching a film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an extrusion direction.

기재층(2)은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연신하는 경우는 1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2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2축 연신 필름으로 하는 경우는 동시 2축 연신한 것이어도 되고, 축차 2축 연신한 것이어도 된다. 2축 연신한 경우는, 기계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 성능이 향상된다.The base layer 2 may be an unstretched film or a stretched film. When extending | stretching, a uniaxial stretched film may be sufficient and a biaxially stretched film may be sufficient. When using a biaxially stretched film, it may be simultaneous biaxially stretched, and may be a biaxially stretched one by one. In the case of biaxial stretching, the mechanical strength is improved and the film performance is improved.

연신 공정을 행하는 경우의 연신 온도로서는 필름 원료의 열가소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부근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유리 전이 온도-30)℃~(유리 전이 온도+10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20)℃~(유리 전이 온도+80)℃이다. 연신 온도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수지의 유동(플로우)이 일어나 안정적인 연신을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온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충분한 연신 배율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As extending |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case of performing an extend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in the vicinity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a film raw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30) degreeC-(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00) degreeC specifically ,. More preferably, it i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20) degreeC-(glass transition temperature +80) degreeC. When extending | stretching temperature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flow (flow) of resin may arise and it may become impossible to perform stable extending | stretching. On the contrary, when extending | stretching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draw ratio may not be obtained.

면적비로 정의되는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배 이상 25배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 10배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이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연신 배율을 높이는 만큼의 효과가 확인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배율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연신에 따른 인성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The draw ratio defined by the area ratio is preferably 1.1 times or more and 25 time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 times or more and 10 times or less. When a draw ratio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raising draw ratio may not be confi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w ratio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lead to the improvement of toughness by extending | stretching.

연신 속도(일방향)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20000%/분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000%/분의 범위이다. 연신 속도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속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해서 시간이 걸려,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기재층(2)의 광학등방성이나 역학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연신 처리 후에 열처리(어닐링) 등을 행할 수도 있다.As a drawing speed (one direction),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20000% / min,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0-10000% / min. When the stretching speed exceeds the above upper limit, breakage of the stretched film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ing speed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takes time to obtain a sufficient stretching magnification, which ma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in order to stabilize the optical isotropy and the dynamics characteristic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you may perform heat processing (annealing) etc. after an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상기 가소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재층(2)에 헤이즈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기재층(2)으로부터 블리드 아웃 또는 휘발하지 않도록, 합성 수지와 수소 결합 등에 의해 상호작용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소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피로멜리트산계 가소제, 다가 알코올계 가소제, 글리콜레이트계 가소제, 구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카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plasticiz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interact with a synthetic resin and a hydrogen bond etc. so that a haze may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base material layer 2 or it does not bleed out or volatilizes from the base material layer 2. Do. Examples of such plasticizers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phosphate ester plasticizers, phthalate ester plasticizers, trimellitic acid ester plasticizers, pyromellitic acid plasticizers, polyhydric alcohol plasticizers, glycolate plasticizers, citric acid ester plasticizers, and fatty acid ester compounds. A plasticizer, a carboxylic acid ester plasticizer, a polyester plasticizer, etc. are mentioned.

(제1 컨트롤층(3))(First control layer 3)

제1 컨트롤층(3)은 기재층(2)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된다.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는 친수성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친수성 수지로서는 기재층(2) 및 접착용이층(4)과의 화학적 친화성을 가지는 수지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측쇄가 친수성을 가지는 기에 의해 변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수지의 친수화 변성의 방법으로서는, 미리 친수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공)중합시켜도 되고, 또는 주쇄가 되는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후, 친수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켜 측쇄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 친수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중합 또는 2종 이상을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친수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 3000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layer 3 is laminat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As a main component of the 1st control layer 3, hydrophilic resin is used suitably.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s hydrophilic resin as long as it is resin which has chemical affinity with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the easily bonding layer 4,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chain is modified by the group which has hydrophilicity. As a method of hydrophilic modification of hydrophilic resin, the monomer which has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may be previously (co) polymerized, or after (co) polymerizing the monomer used as a main chain, the monomer which has a hydrophilic group may be graft-polymerized, and a side chain may be formed. do.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is hydrophilic resin is formed from what i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polyester resin,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and epoxy resin. These resins may be a polymerization or a copolymerization of two or more kinds alone. As hydrophilic resin, what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 or more and 30000 or less can be used, for example.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에스테르화(에스테르 교환)하고,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린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나, 아디프산, 숙신산, 세바스산, 도데칸2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ester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is produced by esterifying (ester exchange) and dicondensing dicarboxylic acid and diol according to a known method. Examples of the dicarboxylic acid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or esters thereof such as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phthalic acid and naphthalinic dicarboxylic acid,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adipic acid, succinic acid, sebacic acid and dodecane diacid. Acids, hydroxycarboxylic acids such as hydroxybenzoic acid or esters thereof can be used. As the diol, for example,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1,4-butanediol, 1,6-hexanediol, neopentyl glycol, cyclohexanedimethanol, bisphenol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상기 서술한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에 더해, 친수성기를 가지는 성분을 공중합시켜,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친수성기를 가지는 성분의 예로서는,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기를 가지는 성분은 상기 서술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올에 대하여, 예를 들면 2몰% 이상 80몰% 이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aid polyester-type resin, in addition to the dicarboxylic acid and diol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the component which has a hydrophilic group, and to give hydrophilicity. As an example of the component which has such a hydrophilic group,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such as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and diol components, such as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are mentioned. The component which has these hydrophilic groups can be used in the ratio of 2 mol% or more and 80 mol% or less with respect to the dicarboxylic acid or diol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se polyester-based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에 유래하는 골격을 가지는 반응성 폴리머를 중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그러한 반응성 폴리머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것,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가지는 것,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것, 7-아미노-3,7-디메틸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것 등 이외에, p-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4-비닐피리딘, 비닐옥사졸린,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Acrylic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can be synthesized by polymerizing a reactive polymer having a skeleton derived from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xamples of such reactive polymers include those having carboxyl group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and carboxyphen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nd 3-hydroxybutyl (meth) acrylic. Having hydroxyl groups, such as the r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and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N-ethyl (meth ) Having amide groups, such as acrylamide, N, N-dimethyl (meth) acrylamide, and N-methylol (meth) acrylamide, Having glycidyl group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7- P-chlorostyrene, chloromethylstyrene, divinylbenzene, 4-vinylpyridine, in addition to having amino groups such as amino-3,7-dimethyloctyl (meth) acrylate and 2-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Vinyloxazoline, Number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maleic acid.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상기 이외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 프로필렌계, 염화비닐계, 셀룰로오스계, 에틸렌계, 에틸렌이민계, 비닐알코올계, 펩티드계, 비닐피리딘계, 디엔계, 불소계, 아크릴로니트릴계 등을 들 수 있는데, 범용성, 도공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polymer components other than those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include acrylic acid esters, methacrylic acid esters, propylene, vinyl chloride, cellulose, ethylene, ethyleneimine, vinyl alcohol, peptide, vinylpyridine, Although diene type, a fluorine type, an acrylonitrile type, etc.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n acrylic ester type and a methacrylic acid ester type from a viewpoint of versatility, coating property, etc.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se acrylic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우레탄계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폴리히드록실 화합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수소 원자를 적어도 2개 함유하는 저분자량의 쇄신장제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제 중에서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을 합성한 후, 물을 조금씩 가하여 전상 유화하고, 감압에 의해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폴리머 중에 친수성기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카르복실기 등을 도입시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후, 쇄신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The urethane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can be synthesized from a low molecular weight chain extender containing at least two hydrogen atoms reacting with a polyhydroxyl compound, diisocyanate and diisocyanate by a known method. have. For example, after synthesizing a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polyurethane in a solvent, a small amount of water is added to the phase to emulsify, and a solvent i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or a urethane prepolymer in which polyethylene glycol or a carboxyl group is introduced as a hydrophilic group in a polymer. After dissolving or dispersing in water, a chain extender is added and reacted.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예로서는 프탈산, 아디프산, 2량화 리놀레인산,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산류;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트리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부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수크로스, 스타치, 인산 등의 무기산을 개시제로 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아크릴폴리올, 피마자유의 유도체, 톨유 유도체, 기타 수산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hydroxyl compound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urethane-based resin include carboxylic acids such as phthalic acid, adipic acid, dimerized linoleic acid and maleic acid; glycols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Polyester polyols obtained by dehydration condensation from trimethylolpropane, hexanetriol, glycerin, trimethylolethane, pentaerythritol, and the like; polyoxypropylene glycol, polyoxybutylene glycol, 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oxy Polyether polyols, such as polyoxypropylene polyol and 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 polyol which used inorganic acids, such as propylene triol,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triol, sorbitol, pentaerythritol, sucrose, starch, and phosphoric acid as an initiator, Acryl polyols, derivatives of castor oil, tall oil derivatives, other hydroxyl group compounds, and the like. The can. These polyhydroxyl compound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클로로-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diisocyanate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urethane-based resins include 2,4-tolylene diisocyanate, 2,6-tolylene diisocyanate, m-phenylenedi isocyanate, p-phen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 Tetrameth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lidin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1,4-cyclohexylene diisocyanate, 4,4'-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3,3'-dimethyl-4,4'-biphenylene diisocyanate, 3,3'-dimethoxy-4,4'-biphenylenediisocyanate, 3,3'-dichloro-4,4'- Biphenylene diisocyanate, 1, 5- naphthalene diisocyanate, 1, 5- tetrahydro naphthalene diisocyanate, etc. are mentioned. These diisocyanat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쇄신장제의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N-비스(2-히드록시프로필)아닐린, 히드로퀴논-비스(β-히드록시에틸)에테르, 레조르시놀-비스(β-히드록시에틸)에테르 등의 폴리올류,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디페닐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피페라진, 이소포론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등의 폴리아민류, 히드라진류 및 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쇄신장제는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hain extender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urethane-based resin include ethylene glycol, 1,4-butanediol, trimethylolpropane, triisopropanolamine, N, N-bis (2-hydroxypropyl) aniline, hydroquinone-bis (β-hydride) Polyols such as oxyethyl) ether and resorcinol-bis (β-hydroxyethyl) ether, ethylenediamine, propylenediamine, hexamethylenediamine, phenylenediamine, tolylenediamine, diphenyldiamine, diaminodiphenylmethane And polyamines such as diaminodiphenylmethane, diaminodicyclohexylmethane, piperazine, isophoronediamine, diethylenetriamine and dipropylenetriamine, hydrazines and water. These chain extend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의 합성 반응은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비스무트, 아민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유기 주석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주석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트산 제1 주석, 옥탄산 제1 주석, 라우린산 제1 주석, 올레인산 제1 주석 등의 카르복실산 제1 주석;디부틸주석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말레에이트, 디부틸주석디-2-에틸헥소에이트, 디라우릴주석디아세테이트, 디옥틸주석디아세테이트 등의 카르복실산의 디알킬주석염;수산화트리메틸주석, 수산화트리부틸주석, 수산화트리옥틸주석 등의 수산화트리알킬주석;산화디부틸주석, 산화디옥틸주석, 산화디라우릴주석 등의 산화디알킬주석;2염화디부틸주석, 2염화디옥틸주석 등의 염화디알킬주석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synthesis reac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urethane-based resin can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such as an organic tin compound, organic bismuth, or an amine,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carry out in the presence of an organic tin compound. Specific examples of the organic tin compound include first tin carboxylic acids such as first tin acetate, first tin octanoate, first tin laurate, and first tin oleate; dibutyltin acetate, dibutyltin dilaurate, and di Dialkyl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such as butyltin maleate, dibutyltin di-2-ethylhexate, dilauryl tin diacetate, and dioctyl tin diacetate; trimethyl tin hydroxide, tributyl tin hydroxide and trioctyl hydroxide Trialkyl tin hydroxides such as tin; dialkyl tin oxides such as dibutyltin oxide, dioctyl tin oxide, and dilauryl tin oxide; dialkyl tin chlorides such as dibutyltin chloride and dioctyltin chloride; In addition,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에폭시계 수지는 에폭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비닐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불포화 니트릴, 알릴 화합물, 불포화 탄화수소 또는 비닐실란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프로피온산비닐,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부틸, 말레산부틸, 말레산옥틸, 푸말산부틸, 푸말산옥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부톡시메틸올아크릴아미드, 불포화 니트릴로서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알릴, 메타크릴산알릴, 아크릴산알릴, 이타콘산디알릴, 에틸렌, 프로필렌, 헥산, 옥텐, 스티렌, 비닐톨루엔, 부타디엔, 디메틸비닐메톡시실란, 디메틸에틸에톡시실란, 메틸비닐디메톡시실란, 메틸비닐디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계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poxy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can be synthesized by polymerizing a monomer having an epoxy group.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glycid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nd allyl glycidyl ether. As th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se monomers, vinyl esters,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s,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unsaturated nitriles, allyl compounds, unsaturated hydrocarbons or vinylsilane compounds ar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vinyl propionate, vinyl chloride, vinyl bromi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butyl maleate, octyl maleate and butyl fumarate , Octyl fumar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ster, ethylene glycol diacrylate ester,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ster , Polyethylene glycol diacrylic acid ester, acrylamide, methacrylamide, methylol acrylamide, butoxymethylol acrylamide, unsaturated nitrile acrylonitrile, allyl acetate, allyl methacrylate, allyl acrylate, diallyl itaconic acid, ethylene , Propylene, hexane, octene, styrene, vinyltoluene, butadiene, dimethylvinylmethoxysilane, dimeth Ethyl and the like silane, methyl vinyl dimethoxy silane, methyl vinyl diethoxy silane, γ-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trimethoxysilane, γ-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ethyl dimethoxysilane.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these epoxy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친수성 수지의 친수화 변성에 있어서, 주쇄가 되는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후, 친수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켜 친수성 측쇄를 형성할 경우에는, 친수성의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주쇄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10질량부 이상 50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In hydrophilic modification of hydrophilic resin, when (co) polymerizing the monomer used as a main chain, and graft-polymerizing a hydrophilic monomer to form a hydrophilic side chain, it is preferable to graft-polymerize a hydrophilic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 In this case, 10 mass parts or more and 500 mass parts or less of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can be used with respect to a total of 100 mass parts of a main chain component.

이러한 친수성의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예로서는 -CH2-CH(R)-OH(식 중, -R은 -H 또는 -CH3이다), -COOX(식 중, X는 H, 알칼리 금속 혹은 2급 또는 3급 아미노기이다), -O-(CH2-CH(R)-O)n-(식 중, -R은 -H 또는 -CH3, n은 양의 정수이다), -Y-N(R1)(R2)(-Y-는 -C(=O)- 또는 -CH2-이며, -R1, -R2는 -H, 혹은 히드록실기, 술포닐기, 아실기, 아미노기, 알칼리 금속염 또는 제4급 암모늄염을 가지고 있어도 되는 저급 알킬기이다), -N+-(R3)(R4)(R5)(식 중, -R3, -R4, -R5는 -CH3 또는 -C2H5이다), -CH2-CH(O)CH2(O는 양측의 탄소와 에폭시환을 형성) 등의 친수성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hydrophi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include -CH 2 -CH (R) -OH (wherein -R is -H or -CH 3 ), -COOX (wherein X is H, an alkali metal or 2). -O- (CH 2 -CH (R) -O) n- ( wherein -R is -H or -CH 3 , n is a positive integer), -YN (R 1 ) (R 2 ) (-Y- is -C (= O)-or -CH 2- , -R 1 , -R 2 is -H, or hydroxyl group, sulfonyl group, acyl group, amino group, alkali Is a lower alkyl group which may have a metal salt or a quaternary ammonium salt), -N + -(R 3 ) (R 4 ) (R 5 ) (wherein -R 3 , -R 4 , -R 5 is -CH 3 Or those having a hydrophilic group such as -C 2 H 5 ) and -CH 2 -CH (O) CH 2 (O forms an epoxy ring with carbon on both sides).

상기 친수성의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등의 히드록시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톡시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아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비닐피롤리돈 등의 함질소 비닐계 화합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산 및 그 염, 아크릴산아미노알킬, 메타크릴산아미노알킬에스테르 및 그 4급 암모늄염 등의 카티온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phi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include hydroxyacrylic acid esters such as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prop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acrylate and ethylene glycol methacryl. Glycol esters, such as the rate, polyethyleneglycol acrylate, and polyethyleneglycol methacrylate, acrylamide type compounds, such as acrylamide, methacrylamide, methylol acrylamide, and methoxymethylol acrylamide, glycidyl acrylate, methacrylic acid Glycidyl acrylate compounds such as glycidyl, vinyl-containing compounds such as vinylpyridine, vinylimidazole, vinylpyrrolidon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aleic anhydride, itaconic acid and crotonic acid Unsaturated acids and salts thereof, aminoalkyl acrylates, aminoalkyl methacrylates and their And cationic monomers such as quaternary ammonium salts.

상기 친수성 수지의 친수화 변성에 있어서는, 이들의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에 더해, 다른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의 예로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염화비닐, 브롬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디메틸비닐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부타디엔 등의 올레핀이나 디올레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In hydrophilic modification of the said hydrophilic resin, in addition to these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you may copolymerize another vinyl monomer.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ble vinyl monomers includ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 bromi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s; vinyl silanes such as dimethyl vinyl methoxysilane and γ-methacr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and olefins and diolefin compounds such as ethylene, propylene, styrene and butadiene.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친수성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유래의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이하,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라고 함)에 의해 측쇄가 변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하,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라고 함)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본래 가지는 투명성, 강인성, 내열성이나, 합성 수지(예를 들면, 기재층(2)의 주성분인 아크릴계 수지 등)에 대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살리면서, 상기 변성기에 의해 접착용이층(4)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1 컨트롤층(3)으로서는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함께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본래 가지는 투명성, 강인성, 내열성이나, 합성 수지에 대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살리면서, 상기 변성기에 의해 접착용이층(4)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우레탄계 수지의 블렌드에 의해 더욱 기재층(2) 및 접착용이층(4)에 대한 접착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polyester-based resin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as the polyester-based resin, a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derived from acrylic acid having a hydrophilic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polyester-based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rylic-modified polyester-based resin") in which side chains are modified. By using an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the transparency, toughness, heat resistance, and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n acrylic system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that the polyester resin originally has The adhesiveness to the adhesion bonding layer 4 can be provided by the said modifying machine, while utilizing characteristics, such as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resin etc.). Moreover, as the 1st control layer 3, the composition containing a urethane resin with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is the most preferable. By us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urethan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the 1st control layer 3,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parency, toughness, heat resistanc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a synthetic resin, which a polyester resin originally has, etc.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adhesiveness to the adhesive layer 4 by the modifying group, the adhesive and flexibility of the base layer 2 and the adhesive layer 4 can be further improved by the blend of the urethane resin. It becomes possible to give.

상기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 우레탄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는 1000 이상 15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10000 이하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aid acrylic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 and urethane type resin is typically 1000 or more and 15000 or less, Preferably it is 2000 or more and 10000 or less.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레탄계 수지의 질량은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질량에 대하여 10% 이상 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4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우레탄계 수지의 질량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1 컨트롤층(3)의 투명성, 내수성, 내열성 등의 층 물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기재층(2) 및 접착용이층(4)에 대한 접착력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ass of the urethane resin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10% or more and 7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or more and 4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mass of the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By setting the mass ratio of the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the urethane resin in such a range,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the adhesive easy layer (while maint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ransparency, wat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satisfactorily) It becomes possible to optimize the adhesion for 4).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변성 성분인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가 가지는 친수성기로서는, 상기한 친수성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친수성기로서 예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가 가지는 대표적인 친수성기로서는 -CH2-CH(R)-OH, -COOX, -O-(CH2-CH(R)-O)n-, -Y-N(R1)(R2), -N+-(R3)(R4)(R5), -CH2-CH(O)CH2(정의는 상기한 바와 같음)를 들 수 있다.As a hydrophilic group which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which is a modified component of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has, the thing illustrated as a hydrophilic group of said hydrophi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can be used. That is, the representative hydrophilic groups of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include -CH 2 -CH (R) -OH, -COOX, -O- (CH 2 -CH (R) -O) n- , and -YN (R 1 ). (R 2 ), -N + -(R 3 ) (R 4 ) (R 5 ), -CH 2 -CH (O) CH 2 (definition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로서는 상기한 친수성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구체예로서 들었던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메톡시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아미노알킬, 메타크릴산아미노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said acrylic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 the acrylic monomer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said hydrophilic radically polymerizable vinyl monomer can be used. That is, specific examples of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includ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acrylate, 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crylamide, methacrylamide, methylol acrylamide, methoxymethylol acrylamide, glycidyl acrylate, glycidyl acryl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minoalkyl acrylate, methacrylic Acid aminoalkyl ester etc. are mentioned. Thes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또,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에 더하여, 상기한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다른 비닐 모노머를 1질량부 이상 70질량부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what copolymerized the above-mentioned other copolymerizable vinyl monomer in addition to an acryl-type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can also be used for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When copolymerizing another vinyl monomer, 1 mass part or more and 70 mass parts of other vinyl monomers can be used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for example.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있어서, 주쇄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질량비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상 15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70질량부 이상 120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질량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1 컨트롤층(3)의 기재층(2)에 대한 화학적 친화성과, 제1 컨트롤층(3)의 접착용이층(4)에 대한 화학 친화성을 밸런스 좋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50 mass parts or more and 150 mass parts or less of the mass ratio of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with respect to the polyester resin which forms a main chain are preferable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olyester resins,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70 mass parts or more and 120 mass parts or less. By setting the mass ratio of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to the polyester resin in such a range, the chemical affinity for the base layer 2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and the layer for bonding the first control layer 3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emical affinity for (4) in a good balance.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를 들면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등의 친수성기를 가지는 성분을 공중합시킨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제작하고, 이어서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및 임의의 다른 공중합 가능한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is,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polyester resin copolymerized with a component having a hydrophilic group such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uch as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and a polyvinyl alcohol, or It can be prepared by preparing an aqueous dispersion and then copolymerizing an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and any other copolymerizable vinyl monomer).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10질량부 이상 500질량부 이하의 비율(고형분비)로 반응을 행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cryl-modified polyester-type resin using the said polyvinyl alcohol, For example, the ratio of 10 mass parts or more and 500 mass parts or less of polyvinyl alcohol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polyester (solid content ratio) Reaction).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합성하기 위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비닐알코올과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중에, 중합 개시제와 필요에 따라서 소량의 유화 분산제를 첨가하고, 70℃정도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아크릴계 래디컬 중합성 비닐 모노머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수시간 숙성시킴으로써 중합 반응을 완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polymerization method for synthesizing the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for example, a small amount of emulsifying dispersant may be used in an aqueous solution or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polyester and polyvinyl alcohol. A method of complet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added by gradually adding the acrylic radical polymerizable vinyl monomer while stirring and aging for several hour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t about 70 ° C.

상기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일반적인 래디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예로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의 수용성 과산화물, 과산화벤조일이나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용성 과산화물,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for manufacture of the said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 general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water-soluble peroxid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oil-soluble peroxides such as benzoyl peroxide and t-butyl hydroperoxide, and azo compounds such as azodiisobutyronitrile.

제1 컨트롤층(3)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두께의 상한값은 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컨트롤층(3)의 두께의 하한값은 0.0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두께가 두꺼워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컨트롤층(3)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1 컨트롤층(3)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4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3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0.04 micrometer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1 micrometer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may become thick and it may be against the request of thinning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formation of the 1st control layer 3 may become difficult.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g/m2·24h 이상 20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의 상한값은 130g/m2·24h가 보다 바람직하고, 8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의 하한값은 10g/m2·24h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의 비율이 커져 기재층(2) 등의 치수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킨 경우에 이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을 적합하게 증발시켜 접착용이층(4)의 건조를 촉진시키고,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control layer 3, preferably 1g / m 2 · 24h or more 200g / m 2 · 24h or less.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st control layer 3, 130 g / m <2> * 24h is more preferable, and 80 g / m <2> * 24h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st control layer 3, 10 g / m <2> * 24h is more preferable, and 20 g / m <2> * 24h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st control layer 3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ratio of the water which permeates from the outside becomes large,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etc. may ari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1st control layer 3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when the adhesive bonding layer 4 and a polarizer are adhere | attached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it may need a long time to evaporate the water contained in this water-soluble adhesive. There is. In contrast,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adhesive is suitably evaporated to promote drying of the easy-adhesive layer 4, and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adhesiveness,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can be improved.

제1 컨트롤층(3)은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계 유화물 또는 수용액(이하 「수계 유화물 등」이라고 함)을 기재층(2)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유화물 등의 고형분은 통상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이다. 수계 유화물 등의 주용매로서는 물이 사용되지만, 물과 혼화 가능한 유기 용매를 소량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유기 용매의 예로서, 저급 알코올류, 다가 알코올류 및 그 알킬에테르 또는 알킬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수계 유화물 등은 공지의 딥 코트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커텐 코트법, 롤러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익스트루젼 코트법(다이 코트법) 등을 사용하여, 기재층(2)에 도포할 수 있다. 다음에 도포된 수계 유화물 등을 건조함으로써, 제1 컨트롤층(3)을 형성할 수 있다.The 1st control layer 3 can be formed by apply | coating the aqueous emulsion or aqueous solution containing hydrophilic resin (henceforth "aqueous emulsion etc.") to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drying it. Solid content, such as aqueous emulsion, is 10 mass% or more and 50 mass% or less normally. Although water is used as main solvent, such as an aqueous emulsion, you may use a small amount of organic solvents miscible with water. Examples of such organic solvents include lower alcohols, polyhydric alcohols, alkyl ethers and alkyl esters thereof, and the like. Aqueous emulsion etc. are a base material layer (using the well-known dip coating method, the air knife coating method, the curtain coating method, the roller coating method, the wire bar coating method, the gravure coating method,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die coating method), etc. 2) can be applied. Next, the first control layer 3 can be formed by drying the applied aqueous emulsion or the like.

제1 컨트롤층(3)을 형성하기 위한 수계 유화물 등에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예로서 알데히드, N-메틸올 화합물, 디옥산 유도체, 활성 비닐 화합물, 활성 할로겐 화합물, 이소옥사졸, 디알데히드 전분,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실란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친수성 수지 전량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1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을 형성하기 위한 수계 유화물 등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아미노기 함유 수지 등의 다른 수지 성분, 계면활성제, 활제, 염료, UV 흡수제, 매트제, 방부제, 증점제, 조막 조제, 대전방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It is preferable to add a crosslinking agent as needed in an aqueous emulsion for forming the 1st control layer 3, etc.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ldehydes, N-methylol compounds, dioxane derivatives, active vinyl compounds, active halogen compounds, isoxazoles, dialdehyde starches, isocyanate compounds, and silane coupling agents. These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may use two or more types together. 0.1 mass% or more and 20 mass% or less are preferable with respect to hydrophilic resin whole quantity, and, as for the addition amount of a crosslinking agent, 0.5 mass% or more and 15 mas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The aqueous emulsion for forming the first control layer 3 may further contain other resin components such as amino group-containing resins, surfactants, lubricants, dyes, UV absorbers, matting agents, preservatives, thickeners, film preparations, and antistatic agents, if necessary. , Antioxidant and the like may be added.

(접착용이층(4))(Easy Bonding Layer 4)

접착용이층(4)은 제1 컨트롤층(3)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된다. 접착용이층(4)의 주성분으로서는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친수성 수지 및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과의 화학적 친화성을 가지는 수지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착용이층(4)이 주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가짐으로써,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와 접착용이층(4)과의 접착성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즉,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접착용이층(4)을 알칼리로 비누화함으로써 친수성기인 수산기가 생기고, 이것에 의해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과의 접착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The easily bonding layer 4 is laminat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The main component of the adhesive laye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having chemical affinity with the hydrophilic resin includ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and the polyvinyl alcohol constituting the polarizer. Resin is suitably used. When the adhesive easy layer 4 has cellulose ester type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adhesiveness of the polarizer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which is a hydrophilic resin, and the adhesive easy layer 4 improves remarkably. That is, by saponifying the easy-to-adhere layer (4) containing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with alkali, a hydrophilic group hydroxyl group is generated, whereby adhesion with polyvinyl alcohol as a hydrophilic resin is effectively improved. Therefore,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can easily and reliably adhere | attach the easily bonding layer 4 and a polarizer using a water-soluble adhesive.

접착용이층(4)에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알칼리로 비누화되어 수산기를 발생시키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알칼리로 비누화함으로써 친수성기인 수산기를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와의 친화성이 높아져,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d as the main component in the easy-to-adhesive layer 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saponified with alkali to generate hydroxyl groups. However,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cellulose acetate butyrate It is preferable to select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These cellulose esters generate a hydroxyl group which is a hydrophilic group by saponifying with alkali, whereby affinity with a polarizer made of polyvinyl alcohol which is a hydrophilic resin is increased, and can be reliably bonded.

접착용이층(4)에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Mn)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Mn)의 상한값은 9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Mn)의 하한값은 5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Mn)이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접착용이층(4)의 코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수 평균 분자량(Mn)이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착용이층(4)을 알칼리로 비누화 처리했을 때에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가 백화하여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cellulose-ester type resin contained in the easily bonding layer 4 as a main compon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40000 or more and 100000 or less. 90000 are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said cellulose ester-type resin, 80000 are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50000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said cellulose ester-type resin, 60000 are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sai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ating property of the adhesion easily bonding layer 4 may fall. On the contrary, when the sai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when the adhesive easy layer 4 saponifies with alkali, a cellulose ester-type resin may whiten and transparency may fall.

접착용이층(4)에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의 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4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의 상한값은 2.5가 보다 바람직하고, 2.1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의 하한값은 1.6이 보다 바람직하고, 1.8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상기 상한을 넘는 경우, 접착용이층(4)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가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원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제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value of ratio (Mw / Mn)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cellulose ester-type resin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in the easily bonding layer 4,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4 or more and 3 or less. Do.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Mw / Mn) of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2.5 is more preferable and 2.1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1.6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ratio (Mw / Mn) of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1.8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ratio (Mw / Mn) of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may fall. On the contrary, when the ratio (Mw / Mn)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said cellulose ester-type resin is less than the said minimum,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manufacture of a desired cellulose ester may become difficult.

접착용이층(4)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용이층(4)의 두께의 상한값은 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용이층(4)의 두께의 하한값은 0.0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용이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두께가 두꺼워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접착용이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접착용이층(4)의 투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접착용이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착용이층(4)과 제1 수지층(3)의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접착용이층(4)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착용이층(4)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가 비누화됨으로써 발생한 수산기와,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과의 접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4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3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0.04 micrometer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1 micrometer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may become thick and it may be against the request of thickness reduc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reo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may fall.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adhesive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and the 1st resin layer 3 may f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easily bonding layer 4 is in the said rang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can be kept thin, and the hydroxyl group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by saponifying the cellulose ester which comprises the easily bonding layer 4 is made. Bonding with the polyvinyl alcohol constituting the polarizer becomes more reliable.

접착용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도포액의 용매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충분히 용해하는 유기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옥산,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트리클로로에틸렌,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클로라이드, 테트라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이 사용된다. 또, 접착용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도포액에는 소망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활제, 매트제, 대전방지제, 가교제, 활성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특히 가교제는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과의 접착을 촉진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의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명반, 붕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the solvent of the coating liquid of cellulose ester for forming the easily bonding layer 4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if it is an organic solvent which melt | dissolves a cellulose ester sufficiently, For example, dioxane, acetone, methyl ethyl ketone, N, N-dimethyl Formami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trichloroethylene, methylene chloride, ethylene chloride, tetrachloroethane, trichloroethane, chloroform and the like are used. Moreover, you may add a ultraviolet absorber, a lubricating agent, a mat agent, an antistatic agent, a crosslinking agent, an activator, etc. to the coating liquid of the cellulose ester for forming the easily bonding layer 4 as needed. In particular, a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e in promoting adhesion | attachment with the polyvinyl alcohol which comprises a polarizer. As an example of such a crosslinking agent, a polyvalent epoxy compound, an aziridine compound, an isocyanate compound, an alum, a boron compoun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접착용이층(4)을 형성하기 위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도포액은 그라비어 코터, 딥 코터, 리버스롤 코터, 압출 코터 등 공지의 수법을 사용하여, 제1 컨트롤층(3)에 대하여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건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데, 건조 후의 잔류 용매량을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용매량이 많으면, 편광자 보호 필름(1)을 편광자에 대하여 적층한 후의 건조 과정에서 접착 계면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coating liquid of the cellulose ester for forming the easily bonding layer 4 can be apply | coated to the 1st control layer 3 using well-known methods, such as a gravure coater, a dip coater, a reverse roll coater, and an extrusion coater.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drying after apply | coating such a coating liquid, Although well-known means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sidual solvent amount after drying into 5 mass% or less. When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s large, bubbles may be generated at the adhesive interface in the drying process after laminat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o the polarizer, which is not preferable.

(제2 컨트롤층(5)) (2nd control layer 5)

제2 컨트롤층(5)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된다. 제2 컨트롤층(5)은 제1 컨트롤층(3)과 주성분으로서 동일한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제2 컨트롤층(5)의 주성분으로서는 제1 컨트롤층(3)과 동일한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과 동일한 형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컨트롤층(5)의 주성분의 형성 재료가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의 형성 재료와 동일한 경우, 제2 컨트롤층(5)과 제1 컨트롤층(3)의 투습도를 더욱 가깝게 할 수 있고, 편광자 보호 필름(1) 전체의 투습성을 보다 확실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 제2 컨트롤층(5)의 주성분의 형성 재료가 제1 컨트롤층(3)의 주성분의 형성 재료와 동일한 경우,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2. [ The second control layer 5 contains the same resin as the main component as the first control layer 3. The main component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the same resin as the first control layer 3, but is preferably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Whe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main component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the sam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and the first control layer 3 can be made clos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whol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more reliably. Moreover, when the formation material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2nd control layer 5 is the same as the formation material of the main component of the 1st control layer 3, the ease of manufactur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can be improved.

또, 제2 컨트롤층(5)의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컨트롤층(5)의 두께의 상한값은 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컨트롤층(5)의 두께의 하한값은 0.04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1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컨트롤층(5)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두께가 두꺼워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2 컨트롤층(5)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2 컨트롤층(5)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Moreover,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2nd control layer 5,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01 micrometer or more and 5 micrometers or less. 4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2nd control layer 5, 3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0.04 micrometer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2nd control layer 5, 1 micrometer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thickness of the 2nd control layer 5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may become thick and it may be against the request of thickness reduc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of the 2nd control layer 5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formation of the 2nd control layer 5 may become difficult.

또한, 제1 컨트롤층(3)과 제2 컨트롤층(5)의 합계 두께(평균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과 제2 컨트롤층(5)의 합계 두께의 상한값은 8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6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컨트롤층(3)과 제2 컨트롤층(5)의 합계 두께의 하한값은 2μm가 보다 바람직하고, 3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컨트롤층(3)과 제2 컨트롤층(5)의 합계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두께가 두꺼워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됨과 아울러, 투습성이 저하되어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제1 컨트롤층(3)과 제2 컨트롤층(5)의 합계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제1 컨트롤층(3) 및 제2 컨트롤층(5)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The total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8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6 micrometers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2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3 micrometers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becomes thick, and it goes against the request of thinning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is a risk that the moisture permeability decreases and a long time is required to evaporat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soluble adhesive. On the contrary,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formation of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may become difficult.

제2 컨트롤층(5)의 두께로서는 제1 컨트롤층(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제2 컨트롤층(5)의 두께가 제1 컨트롤층(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에 의해, 제1 컨트롤층(3) 및 제2 컨트롤층(5)을 기재층(2)에 적층한 상태에서의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preferably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trol layer 3, whereby the first control layer 3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5 are formed.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url in the state laminated | stacked on the base material layer 2 can be prevented, and also the ease of manufactur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can be improved.

제2 컨트롤층(5)의 투습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g/m2·24h 이상 20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컨트롤층(5)의 투습도의 상한값은 130g/m2·24h가 보다 바람직하고, 8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컨트롤층(5)의 투습도의 하한값은 10g/m2·24h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컨트롤층(5)의 투습도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외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침투 비율이 높아져 기재층(2) 등의 치수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한편, 제2 컨트롤층(5)의 투습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킨 경우에 이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 등,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이 함유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second control layer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g / m 2 · 24h or more and 200 g / m 2 · 24h or less.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2nd control layer 5, 130 g / m <2> * 24h is more preferable, and 80 g / m <2> * 24h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ow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control layer 5 is 10g / m 2 · 24h, and is more preferably, 20g / m 2 · 24h is more preferred.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2nd control layer 5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permeation rate of the moisture which exists outside becomes high,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hange of the dimension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etc. may ari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2nd control layer 5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such as water contained in this water-soluble adhesive, when the adhesive bond layer 4 and a polarizer are bonded by a water-soluble adhesive, e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ong time is required to evaporate the water contained therein.

제2 컨트롤층(5)은 제1 컨트롤층(3)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형성할 수 있다.The 2nd control layer 5 can be formed i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by the method similar to the 1st control layer 3.

<편광자 보호 필름(1)><Polarizer protective film 1>

편광자 보호 필름(1)의 투습도로서는 1g/m2·24h 이상 250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1)의 투습도의 상한값은 150g/m2·24h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 보호 필름(1)의 투습도의 하한값은 10g/m2·24h가 보다 바람직하고, 20g/m2·24h가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1)의 투습도가 상기 상한값을 넘는 경우,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의 비율이 높아져 기재층(2) 등의 치수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편광자 보호 필름(1)의 투습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킨 경우에 이 수용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As a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 g / m <2> * 24h or more and 250 g / m <2> * 24h or less. 150 g / m <2> * 24h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as for the upp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100 g / m <2> * 24h is still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lower limit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10 g / m <2> * 24h is more preferable, and 20 g / m <2> * 24h is still more preferable.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exceeds the said upper limit, the ratio of the water permeate | transmitted from the exterior will become high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etc. may arise.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less than the said lower limit, when the adhesive bonding layer 4 and a polarizer are adhere | attached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require a long time to evaporate the water contained in this water-soluble adhesive. .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일방의 면측에 접착용이층(4)이 배치되기 때문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이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기재층(2)의 양면에 배치된 제1 컨트롤층(3) 및 제2 컨트롤층(5)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기재층(2)의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2)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5)이 배열설치되고,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2)의 치수 변화가 더욱 억제되어, 기재층(2)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Since the adhesive layer 4 is arrange | positioned at one surface sid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his adhesive layer 4 and a polarizer can be reliably adhere | attached by a water-soluble adhesive. Moreove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in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by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arrange | positioned on both surfaces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For this reason, the said water-soluble At the time of adhesion by the adhesive, the water of the water-soluble adhesive can be evaporated accurately, and the above bonding process can be easily and reliab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an acrylic resin,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bstrate layer 2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that of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is unlikely to occur.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small. In particular, since the 2nd control layer 5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by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It is further suppressed and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can be made smaller, and the change of retardation value is small.

<편광판(11)><Polarizing plate 11>

도 2의 편광판(11)은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12)의 일방의 면에 도 1의 편광자 보호 필름(1)을 구비하고, 편광자(12)의 타방의 면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13)을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편광자(12)와 편광자 보호 필름(1) 사이, 및 편광자(12)와 편광자 보호 필름(13) 사이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The polarizing plate 11 of FIG. 2 is equipped wit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 FIG. 1 i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The cellulose ester conventionally used for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2 It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which consists of. Between the polarizer 1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between the polarizer 1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they are bonded by an adhesive agent (not shown).

편광자(12)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2색성 물질(예를 들면, 요오드나 2색성 염료)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것이 사용된다. 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은 공지의 방법(예로서,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유연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편광자(12)의 두께(평균 두께)는 편광판(11)이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전형적으로는 5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편광자(12)는 편광 기능 및 광학적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2색성 물질 이외의 임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polarizer 12 is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for example, iodine or dichroic dye). 500 or more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 which comprises this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1000 or more are more preferable.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can be shape | molded by a well-known method (for example, the casting method which casts the solution which melt | dissolved resin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the casting method, etc.). Although the thickness (averag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2 differs according to the objective and the u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11 is used, it is typically 5 micrometers or more and 100 micrometers or less. The polarizer 12 may contain arbitrary components other than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a dichroic substance, unless the polarizing function and optical transparency are impaired.

편광자(12)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조 공정이 채용된다. 건조 공정을 제외한 각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용액의 욕 중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처리를 행한다.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의 각 처리의 순서, 횟수 및 실시의 유무는 목적, 사용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앞에 행해도 되고, 팽윤 처리 등과 동시에 행해도 된다. 또, 가교 처리를 연신 처리의 전후에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다.As a typic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12,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which consist of a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extending | stretching, water washing, and drying process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re employ | adopted. In each treatment process except a drying process, a process is performed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the bath of the solution used for each process. The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washing with water, and the order of the treatments, the number of times, and the presence of drying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materials used and the conditions. For example, an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a swelling process, etc.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crosslinking process before and behind an extending | stretching process.

편광자(12)의 일련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물로 채운 처리욕 중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처리욕에는 글리세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이 적당히 첨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팽윤 공정의 처리욕의 온도는 20~60℃정도이며, 처리욕으로의 침지 시간은 0.1~10분정도이다. 염색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욕 중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처리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된다. 2색성 물질은 용매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는 염색 공정의 처리욕의 온도는 20~70℃정도이며, 침지 시간은 1~20분정도이다.The swelling process in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polarizer 12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in a process bath which filled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water. Glycerine, potassium iodide, or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added to the treatment bath. Typ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n the swelling step is about 20 to 60 ° C, and the immersion time in the treatment bath is about 0.1 to 10 minutes. A dye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 the process bath containing dichroic substances, such as iodine. As a solvent use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cess bath, water is generally used. A dichroic substance is used in the ratio of 0.1-1.0 mass part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olvents. Typ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n the dyeing step is about 20 to 70 ° C., and the dipping time is about 1 to 20 minutes.

가교 공정은 염색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처리욕 중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가교제의 예로서는 붕산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처리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된다. 전형적으로는 가교 공정의 처리욕의 온도는 20~70℃정도, 침지 시간은 1초~15분정도이다. 연신 공정은 어느 단계에서 행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의 연신 배율은 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습식 연신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처리욕의 용액으로서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중에 각종 금속염, 요오드, 붕소 또는 아연의 화합물을 첨가한 용액이 바람직하다.A crosslink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process bath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glyoxal, glutaraldehyde, and the like. As a solvent use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cess bath, water is generally used. Typ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bath of a crosslinking process is about 20-70 degreeC, and immersion time is about 1 second-about 15 minutes. The str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ny stage. It is preferable to make draw ratio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nto 5 times or more. As the stretching method, for example, a wet stretching method can be adopted. As a solution of the processing bath in this case, the solution which added the compound of various metal salts, iodine, boron, or zinc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is preferable.

수세 공정은 각종 처리를 시행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을 수세욕 중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수세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필름의 불필요한 잔존물을 씻어흘릴 수 있다. 수세욕은 순수여도 되고, 요오드화물(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등)의 수용액이어도 된다. 수세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전형적으로는 침지 시간은 1초~1분이다. 수세를 행하는 횟수는 1회만이어도 되고 복수회여도 된다. 건조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건조 온도는 20~80℃이며, 건조 시간은 1~10분이다. 상기한 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편광자(12)를 제조할 수 있다.A water wash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hich performed various processes in the water washing bath. By this water washing process, unnecessary residu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can be washed away. The water washing bath may be pure or an aqueous solution of iodide (potassium iodide, sodium iodide, etc.) may be us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ashing bath is preferably 10 to 60 ° C. Typically, the immersion time is 1 second to 1 minute.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with water may be only once, and may be multiple times. As a drying process, natural drying, ventilation drying, heat drying can be employ | adopted, for example. Typically drying temperature is 20-80 degreeC, and drying time is 1-10 minutes. By performing each of the above steps, the polarizer 12 can be manufactured.

편광자 보호 필름(13)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플레이크 원료 및 가소제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하여 점조액으로 하고, 이것에 가소제를 용해하여 도프로 하고, 용융 압출기로부터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벨트 상에 유연하고 건조시켜, 덜 마른 상태에서 벨트로부터 박리한 후, 건조시켜 권취하여 제조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melt | dissolves the flake raw material and plasticizer of a cellulose ester in methylene chloride, and makes it a viscous liquid, melt | dissolves a plasticizer in it, and dope it, and it casts on metal belts, such as stainless steel, which continuously rotates from a melt extruder And dried, stripped from the belt in a less dry state, dried and wound up. The cellulose est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cellulose acetate butyrate, and triacetyl cellulose is particularly preferred.

편광자 보호 필름(1)은 편광자(12)와의 접착을 행하기 전에, 접착용이층(4)을 알칼리에 의해 비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누화에 의해,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에스테르기가 친수성기인 수산기로 변환되어, 이것에 의해, 편광자 보호 필름(1)과, 친수성 수지인 폴리비닐알코올로 형성된 편광자(12)와의 화학적인 친화성이 높아져, 상호의 접착성이 현격히 향상된다.Befor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dheres to the polarizer 12, it is preferable to saponify the adhesive bonding layer 4 with an alkali. By this saponification, the ester group of a cellulose ester is converted into the hydroxyl group which is a hydrophilic group, and, thereby, chemical affinity wit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12 formed from polyvinyl alcohol which is a hydrophilic resin becomes high, and mutually The adhesiveness of is significantly improved.

비누화 처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알칼리 수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의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수산화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가 된다. 또, 비누화 처리의 온도는 1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수산화물의 농도가 5질량% 이하인 경우나 비누화 처리의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는, 비누화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비누화 처리는 상기와 같은 알칼리 수용액욕에 적당한 시간에 걸쳐 편광자 보호 필름(1)을 침적시킴으로써 행해진다.As an aqueous alkali solution used for saponification treatment,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the aqueous solution of lithium hydroxide, etc. can be used,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of these metal hydroxides is generally 5% by mass or more and 40% by mass or les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a saponification process is 10 degreeC or more and 80 degrees C or les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hydroxide is 5% by mass or less,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aponification treatment is 10 ° C or lower, the time required for the saponification treatment becomes long, which is not preferable. A sapon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n the above alkali aqueous solution bath over a suitable time.

비누화 처리에 제공된 편광자 보호 필름(1)과,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편광자(12)는 도 3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장치(21)에 의해 접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복수의 막을 접착하기 위한 장치(21)는 편광자(12)를 공급하기 위한 닙(22), 편광자 보호 필름(1)을 공급하기 위한 닙(23),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24), 및 편광자(12)와 편광자 보호 필름(1)을 접착제를 통하여 압압·접합하기 위한 닙(25)을 구비하고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provided in the saponification process and the polarizer 12 which consists of polyvinyl alcohol are adhere | attached by the apparatus 21 shown typically in FIG. The apparatus 21 for bonding the plurality of films shown in FIG. 3 includes a nip 22 for supplying the polarizer 12, a nip 23 for supply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a means for supplying an adhesive ( 24 and the nip 25 for pressing and bonding the polarizer 1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hrough an adhesive agent are provided.

장치(21)에 의해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12)를 첩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나, 부틸아크릴레이트 등 비닐계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이들 접착제는 수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접착제의 수지 용액 중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도공성이나 방치 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0.1~15질량%이다. 또, 접착제의 수지 용액의 점도로서는, 예를 들면 1~50mPa·s의 범위가 바람직하다.As an adhesive agent used for bonding together the easily bonding layer 4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12 by the apparatus 21, polyvinyl alcohol-type adhesive agents, such as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butyral, for example. And vinyl latexes such as butyl acrylate. Usually, these adhesive agents are used as aqueous solution. As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n the resin solution of an adhesive agent, when coating property, anti-rust stability, etc. are considered, it is preferably 0.1-15 mass%. Moreover, as a viscosity of the resin solution of an adhesive agent, the range of 1-50 mPa * s is preferable, for example.

장치(21)에 있어서, 닙(22)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형상의 편광자(12)와 닙(23)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누화 처리가 끝난 편광자 보호 필름(1)이 닙(25)을 향하는 방향으로 송출되고, 이들 필름 사이에 끼워넣어지도록 적량의 접착제가 공급되고, 이어서 닙(25)으로 압압함으로써, 편광자(12)와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접착용이층(4)이 접착되어, 편광자(12)의 일방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1)이 적층된 구조체가 얻어진다. 다음에, 편광자 보호 필름(1)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쪽의 편광자(12)의 면에도 마찬가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13)을 적층함으로써, 편광판(11)이 얻어진다.In the apparatus 21, the film-shaped polarizer 12 supplied from the nip 22 and the saponification-treate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supplied from the nip 23 are sent ou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nip 25. An appropriate amount of adhesive is suppli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se films, followed by pressing with a nip 25, thereby adhering the adhesive layer 4 of the polarizer 1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to the polarizer 12. The structure by whic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was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of is obtained. Next, the polarizing plate 11 is obtain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using the same means also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2 on which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not laminated.

당해 편광판(11)은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12)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확실하게 접착된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제1 컨트롤층(3) 및 제2 컨트롤층(5)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편광판(11)은 편광자 보호 필름(1)과 편광자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1)의 기재층(2)의 주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2)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1)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편광자 보호 필름(1)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5)이 배열설치되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2)의 치수 변화를 더욱 억제하여 기재층(2)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편광판(11)은 편광자 보호 필름(1)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As for the said polarizing plate 11, the easily bonding layer 4 and the polarizer 12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re reliably adhere | attached by a water-soluble adhesive agent. Moreover,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by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to a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water of a water-soluble adhesive at the time of adhesion | attachment with the said water-soluble adhesive accurately evaporates. The bonding step can be easily and reliably performed. As a result, the said polarizing plate 11 can adhere | attach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a polarizer reliably. Moreov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acrylic resin,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hardly arises.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small. In particular, since the 2nd control layer 5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by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further made. By suppress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can be made smaller. Therefor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11 can make small change of retardation value, and can exhibit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액정 표시 소자(31)><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도 4의 액정 표시 소자(31)는 액정층(34)이 투명매체층(33)(예를 들면 유리)으로 협지된 액정 셀(32)의 양면에 대하여, 접착제층(35)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편광판(11)을 첩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1)(기재층(2), 제1 컨트롤층(3), 접착용이층(4) 및 제2 컨트롤층(5))은 편광자(12)의 외면측(액정 셀(32)의 배열설치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13)이 편광자(12)의 내면측(액정 셀(32)의 배열설치 방향측)에 배치된다. 액정 셀(32)의 액정층(34), 투명매체층(33) 및 접착제층(35)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of FIG. 4 is view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35 with respect to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32 in which the liquid crystal layer 34 is sandwiched by the transparent medium layer 33 (for example, glass). It is comprised by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11 of FIG. 2 which concerns on inven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substrate layer 2, the first control layer 3, the bonding layer 4,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surface side (liquid crystal) of the polarizer 12.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12 (array mounting direction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32),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which consists of the cellulose ester conventionally used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ll mount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cell 32 is provided. Is placed. The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liquid crystal layer 34, the transparent medium layer 33, and the adhesive bond layer 35 of the liquid crystal cell 3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well-known thing can be used.

당해 액정 표시 소자(31)는 편광자 보호 필름(1)의 접착용이층(4)과 편광자(12)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확실하게 접착된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1)은 제1 컨트롤층(3) 및 제2 컨트롤층(5)에 의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시에 수용성 접착제의 수분을 정확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상기 접착 공정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액정 표시 소자(31)는 편광자 보호 필름(1)과 편광자(12)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1)의 기재층(2)의 주성분은 아크릴계 수지이므로,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기재층(2)의 치수 변화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적고, 광탄성 효과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1)은 리타데이션값의 변화가 작다. 특히, 편광자 보호 필름(1)은 기재층(2)의 타방의 면측에 제2 컨트롤층(5)이 배열설치되어, 원하는 투습성으로 컨트롤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재층(2)의 치수 변화를 더욱 억제하여 기재층(2)의 치수 변화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액정 표시 소자(31)는 편광자 보호 필름(1)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액정 표시 소자(31)는 광원의 광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정확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As for the sai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the easily bonding layer 4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12 are reliably adhere | attached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agent. Moreover, sinc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by the 1st control layer 3 and the 2nd control layer 5 to a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water of a water-soluble adhesive at the time of adhesion | attachment with the said water-soluble adhesive accurately evaporates. The adhesion step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As a result,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can reliably adher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the polarizer 12. In addition,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an acrylic resin,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under high humidity is less than that of triacetyl cellulose, and a photoelastic effect hardly occurs. For this reason, the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small. In particular, since the 2nd control layer 5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is controlled and formed by desired moisture permeability, the dimension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is further made. By suppress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2 can be made smaller. Therefore, the sai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can make small ch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 and can exhibit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1 can perform accurate display using the light of a light source effectively.

[기타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소자는 상기 태양 외에 각종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2 컨트롤층을 제1 컨트롤층보다 실질적으로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제2 컨트롤층을 제1 컨트롤층보다 실질적으로 두껍게함으로써, 접착용이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둥그렇게 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컬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 전체적인 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aspect which implemented various changes and improvement other than the said aspect. For example, you may form so that a 2nd control layer of a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come substantially thicker than a 1st control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be substantially thicker than the first control layer, thereby imparting a curl prevention function against a force to be rounded to the inn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thu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verall curl. As a resul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improve dimensional stability.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양면(내면측 및 외면측)에 배열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편광자의 내면측 및 외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의 내면측에 배열설치되고, 편광자의 외면측에는 다른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열설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d on both surfaces (inner surface side and out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Thereby,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and outer surface side of a polarizer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ner surface side of a polarizer, and the other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 arranged at the outer surface side of a polarizer.

또, 제2 컨트롤층의 타방의 면측(기재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측)에는 또 다른 층(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저굴절율층 등의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하드코트층(경화 수지층), 광학보상층 등)이 배열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컨트롤층의 타방의 면측에 방현층(반사 방지층)을 구비함으로써, 편광자에 대한 보호 기능에 더해, 방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제2 컨트롤층의 타방의 면측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함으로써, 편광자에 대한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trol layer (the side where the base layer is not laminated), another layer (antiglare layer, antireflection layer, antiglare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or the like, antireflection layer, antistatic layer, hard coat layer ( Cured resin layer),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etc.) may be arranged. For example, by providing an anti-glare layer (anti-reflect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a 2nd control layer, an anti-glare function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to the protection function to a polarizer. Moreover, the protec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olarizer can be strengthened by providing a hard-coat layer in the other surface side of a 2nd control layer.

당해 편광판은 액정 셀의 어느 하나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액정 셀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The said polarizing plate should just be laminated | stacked on any one surface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and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aminated | stacked on both surfaces of a liquid crystal cel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는 습도에 의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의 기재층의 치수 변화를 작게하여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의 리타데이션값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와의 접착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전자계산기나 시계 등의 소형품부터 자동차용 계량기, PC 모니터, 텔레비전과 같은 대형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is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is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this polarizing plate make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base material layer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by humidity small, and the rita of the said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le suppressing the change of the value of the dilu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can be easily and reliably adhered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and can be used for small products such as electronic calculators and watches, and for automobile meters, PC monitors, and televisions.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large products.

1…편광자 보호 필름
2…기재층
3…제1 컨트롤층
4…접착용이층
5…제2 컨트롤층
11…편광판
12…편광자
13…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
21…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22…닙
23…닙
24…접착제 공급 수단
25…닙
31…액정 표시 소자
32…액정 셀
33…투명매체층
34…액정층
35…접착제층
41…액정 표시 소자
42…액정 셀
43…투명매체층
44…액정층
45…편광판
46…편광자 보호 필름
47…편광자
48…접착제층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2… The substrate layer
3 ... First control layer
4… Adhesive layer
5 ... Second control layer
11 ... Polarizer
12... Polarizer
13 ... Polarizer protective film made of cellulose ester
21 ... Device for manufacturing polarizer
22... Nip
23 ... Nip
24 ... Glue supply means
25... Nip
3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32 ... Liquid crystal cell
33 ... Transparent media layer
34 ... Liquid crystal layer
35 ... Adhesive layer
4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42 ... Liquid crystal cell
43 ... Transparent media layer
44 ... Liquid crystal layer
45 ... Polarizer
46 ... Polarizer protective film
47 ... Polarizer
48 ... Adhesive layer

Claims (12)

액정 표시 패널의 편광자에 접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1 컨트롤층과,
제1 컨트롤층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접착용이층과,
기재층의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고, 투습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2 컨트롤층
을 구비하고,
제1 컨트롤층과 제2 컨트롤층이 주성분으로서 동일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dhere | attached on the polarizer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base layer containing acrylic resin as a main component,
1st control layer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this base material layer, and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The adhesion easy layer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a 1st control layer,
2nd control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a base material layer, and for controll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A 1st control layer and a 2nd control layer contain the same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층이 제2 컨트롤층과 실질적으로 동일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layer i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contro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트롤층이 제1 컨트롤층보다 실질적으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layer is substantially thicker than the first contro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광탄성 계수가 -5×10-12/Pa 이상 5×10-12/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hotoelastic coefficient of the said acrylic resin is -5 * 10 <-12> / Pa or more and 5 * 10 <-12> / Pa or les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이층이 주성분으로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sily bonding layer contains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Mn)이 40000 이상 10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said cellulose ester-type resin is 40000 or more and 100000 or les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laim 5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이 주성분으로서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contain an acrylic modified polyester resin as a main compon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층 및 제2 컨트롤층이 또한 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8.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control layer further contain a urethane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투습도가 1g/m2·24h 이상 250g/m2·24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is 1 g / m 2 · 24 h or more and 250 g / m 2 · 24 h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리타데이션값(Re)이 -15nm 이상 15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The retardation value Re of the said base material layer is -15 nm or more and 15 nm or les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Claim 1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과,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편광자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any one of Claims 1-10,
Polarizer adhere | attached by the water-soluble adhesive to the easily bonding layer of this polarizer protective film
It comprises a polarizing plate.
액정 셀과,
이 액정 셀의 일방의 면측에 적층되는 제 11 항에 기재된 편광판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
With a liquid crystal cell,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11 laminated | stacked on one surface side of this liquid crystal cel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KR1020130011846A 2012-02-02 2013-02-01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014611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1357A JP2013160863A (en) 2012-02-02 2012-02-02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JP-P-2012-021357 2012-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605A true KR20130089605A (en) 2013-08-12
KR101461147B1 KR101461147B1 (en) 2014-11-13

Family

ID=4892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846A KR101461147B1 (en) 2012-02-02 2013-02-01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60863A (en)
KR (1) KR101461147B1 (en)
CN (1) CN103246000B (en)
TW (1) TWI49861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61B1 (en) * 2022-08-05 2022-10-27 (주)재성글로벌 Adhesive tape comprising composition for forming a water-soluble adhesive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010A1 (en) * 2013-09-27 2015-04-02 Dic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500204B2 (en) * 2015-04-14 2019-04-17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Polarized light irradiation device
KR101960477B1 (en) 2016-09-20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FR3059675B1 (en) * 2016-12-02 2019-05-10 Axon Cable ANTIFUNGAL VARNISH FOR THERMORETRACTABLE SHEATH OF BUS HARNESS
JP7169160B2 (en) * 2018-10-26 2022-11-10 住友化学株式会社 Liquid crystal layer laminate
KR102531339B1 (en) * 2019-09-03 2023-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lamin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631A (en) * 2000-01-17 2001-07-27 Konica Corp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tilizing the same
JP4320933B2 (en) * 2000-07-21 2009-08-2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for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TW200712579A (en) * 2005-08-12 2007-04-01 Dainippon Printing Co Ltd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WO2007032304A1 (en) * 2005-09-14 2007-03-22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liquid crystal panel using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219110A (en) * 2006-02-16 2007-08-30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118029A (en) * 2006-06-09 2007-12-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JP2008269545A (en) * 2006-06-29 2008-1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Pattern-printed transparent sheet
JP5243343B2 (en) * 2009-02-03 2013-07-24 株式会社ジロオコーポレートプラン Polarizer outer surfac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5410770B2 (en) 2009-02-03 2014-02-05 株式会社ジロオコーポレートプラン Polarizer outer surfac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WI417582B (en) * 2009-02-03 2013-12-01 Jiro Corporate Plan Inc A polarizing element out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2011039363A (en) * 2009-08-14 2011-02-24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61B1 (en) * 2022-08-05 2022-10-27 (주)재성글로벌 Adhesive tape comprising composition for forming a water-soluble adhesive layer
WO2024029668A1 (en) * 2022-08-05 2024-02-08 (주)재성글로벌 Adhesive tape including composition for forming water-soluble adhesive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6000B (en) 2016-02-17
TW201333556A (en) 2013-08-16
TWI498610B (en) 2015-09-01
CN103246000A (en) 2013-08-14
JP2013160863A (en) 2013-08-19
KR101461147B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343B2 (en) Polarizer outer surfac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01461147B1 (en)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N107664788B (en) Optical laminate
JP5009690B2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TWI417582B (en) A polarizing element out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6644927B1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7033647A (en) Polarization plates comprising aqueous primer composition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optical film comprising primer layer
JP2014211578A (en)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1514017A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6033552A (en) Polarizer protection film and polarizing plate
TW201726420A (en) Protecting film for polarizing plate
TWI622816B (en) Polarizing element prote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5410771B2 (en) Polarizer outer surfac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W201730594A (en) Convex side polarizing plate for curved surface image display panel
TW201919874A (en) Polarizing plate
KR20100089779A (en) Polarizer outside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20160195641A1 (en) Substrate film
KR20130135768A (en) Acrylic optical film,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CN106468797B (en) 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KR101284026B1 (en) Polarizer outside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2012177900A (en) Laminate
WO2018221320A1 (en)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1513993A (en) Laminate
CN113165365B (en)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3032373A1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