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054A -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54A
KR20130089054A KR1020120010402A KR20120010402A KR20130089054A KR 20130089054 A KR20130089054 A KR 20130089054A KR 1020120010402 A KR1020120010402 A KR 1020120010402A KR 20120010402 A KR20120010402 A KR 20120010402A KR 20130089054 A KR20130089054 A KR 2013008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흠
Original Assignee
박주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흠 filed Critical 박주흠
Priority to KR102012001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054A/ko
Publication of KR2013008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USER-ORIENTED APPLICATION}
본 발명은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별로 유저에게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 인터넷 관련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란 모바일 플랫폼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서, 통상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운로드되어 유저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 제작 및 판매사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고, 일반 유저 또한 상업적 또는 비상업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기존의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관공서 등에서도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유저에게 배포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116460호(2011.10.26)의 '컨텐츠 수신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가 있다.
종래에는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받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이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찾아야했다.
즉, 일 예로 관광, 의료, 레저, 교육, 쇼핑 등을 위해 특정 지역을 방문할 경우, 해당 지역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유저에게 유리한 바, 이를 위해, 유저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관공서 등에 접속하거나, 앱스토어 등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다운로드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처음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익숙하지 못하는 유저 등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경우, 상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나 관공서도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없게 되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이 낮아지게 되고, 결국 어플리케이션이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업체나 관공서 등에서는 각 유저에게 자신들의 고유 업무와 관련된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나, 광고나 홍보 부족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저의 이해 부족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유저에게 제공하기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저에게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기 설정된 결정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결정 기준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목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제조사 정보, 소개 정보, 분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결정 기준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시간 및 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목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제조사 정보, 소개 정보, 분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을 방문한 유저가 방문 목적에 적합한 어플레이케이션을 직접 검색 및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고, 방문 목적에 적합한 어플레이케이션을 자동으로 제공하여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해당 서비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유저 지향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플레이케이션을 제작하는 업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관공서의 수익을 개선하고, 유저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함과 더불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후술한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를 결정하는 서비스 서버(20),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하는 디바이스(30) 및 디바이스(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휴대 단말기(4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는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는 애플닷컴이나 앱스토어, 티스토어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하는 제작 업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각종 관공서나 기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제목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제조사 정보, 소개 정보, 분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한 디바이스(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을 인지하고 휴대 단말기(4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서비스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로부터 수집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30)를 결정한다.
서비스 서버(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21), 결정부(22), 데이터베이스부(23) 및 통신부(24)를 포함한다.
수집부(2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한다. 이 경우, 수집부(21)는 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수정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집부(21)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관공서 등과 연계되어 해당 기업이나 관공서 등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별적으로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결정부(22)는 수집부(21)에서 수집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를 기 설정된 결정 기준에따라 결정한다.
여기서, 결정 기준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시간,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결정부(22)는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한 결정 기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30)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항 이용 예를 들어, 면세점 이용, 항공권 예약 및 비행 스케쥴 등과 관련된 것이고,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시간이 특정 항공사의 비행 스케쥴 및 면세점 이용 시간에 관련된 것이며,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지역이 공항일 경우, 이들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공항의 디바이스(30)를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로 결정한다.
데이터베이스부(23)는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디바이스(30)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30)의 식별정보, 디바이스(30)의 위치 등이 포함된다.
통신부(24)는 결정부(22)에서 결정된 디바이스(30)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24)는 디바이스(30)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유무선 통신 방식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3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4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바이스(30)에는 키오스크(kiosk), 스마트 TV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태블릿 PC, 모니터, 모바일 디바이스 등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디바이스가 모두 포함된다.
일 예로, 키오스크는 공항, 관공서, 교통 수단 등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키오스크는 그 위치에 따라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키오스크는 동일한 지역내에서도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는 공항 이용 서비스나, 입출국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관공서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는 관공서에서 제공하는 민원 서비스 등을 위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며, 교통 수단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는 교통 수단 예를 들어, 버스나 지하철의 운행 스케쥴 정보, 교통 수단 이용 요금 정보, 정류장 정보 등을 제공하고 이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는 특정 지역이나, 호텔 등에 설치되어 스마트 TV를 시청하는 유저에게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3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40)는 통신망을 통해 유저가 휴대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디바이스(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이 중 어플리케이션의 URL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한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40)에 URL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바이스(30)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40)가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20)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를 기 설정된 결정 기준에 따라 결정한다.
서비스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한 디바이스(30)를 결정하면, 결정된 디바이스(30)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디바이스(30)는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저가 디바이스(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유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기(40)를 디바이스(30)에 근접시키면, 디바이스(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40)를 인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40)는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URL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디바이스(30)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40)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여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수집부(2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여 결정부(22)에 입력한다(S110).
결정부(22)는 수집부(2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입력받으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3)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를 결정한다(S120).
이 경우, 결정부(22)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분석 결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시간,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지역,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디바이스(40)의 위치 등을 참고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40)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부(22)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휴대 단말기(40)로 전송할 디바이스(30)가 결정되면, 통신부(24)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결정된 디바이스(40)로 전송한다(S130).
디바이스(30)는 통신부(24)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으면, 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3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40)가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40)가 인식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40)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도 3 에서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디바이스(3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S210), 휴대 단말기(40)가 인식되는지를 확인한다(S220).
이때, 휴대 단말기(40)가 인식되면, 디바이스(30)는 휴대 단말기(40)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고(S230), 휴대 단말기(40)는 디바이스(30)로부터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어플리케이션의 URL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한다(S24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는 휴대 단말기(4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상기한 URL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휴대 단말기(40)로 다운로드한다(S250).
휴대 단말기(4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260).
이에 따라, 유저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40)에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40)에 손쉽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20: 서비스 서버
21: 수집부 22: 결정부
23: 데이터베이스부 24: 통신부
30: 디바이스 40: 휴대 단말기

Claims (8)

  1.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결정 기준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목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제조사 정보, 소개 정보, 분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기준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는 시간 및 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6.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분석하여 휴대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목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제조사 정보, 소개 정보, 분류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20010402A 2012-02-01 2012-02-01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130089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02A KR20130089054A (ko) 2012-02-01 2012-02-01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402A KR20130089054A (ko) 2012-02-01 2012-02-01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54A true KR20130089054A (ko) 2013-08-09

Family

ID=4921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402A KR20130089054A (ko) 2012-02-01 2012-02-01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24A (ko) 2015-11-27 2018-07-23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프리폼 및 용기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924A (ko) 2015-11-27 2018-07-23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프리폼 및 용기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7614B (zh) 信息推送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674852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관리
KR101497790B1 (ko)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Gavalas et al. A web-based pervasive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tourist guides
US2005005941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obil terminal, wireless access point and charging server used in the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0902544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targeted at passersby
CN105357232A (zh) 一种基于位置感知的信息推送系统、方法
US201600661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usage history of smartphone, recommending user fitting application, and providing research service based on reward using smartphone optimizing application
KR20160071828A (ko) 데이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5941198B1 (ja) 判定装置、端末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KR20170039535A (ko) 지역 특화 빅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시스템
JP2015162162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13115545A (ja) エリア別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エリア別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装置、中継サー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035215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advertising service
US10365623B2 (en) Server, user terminal, and program
US20180268466A1 (en) Beacon service method, device and server
KR20210070015A (ko) 지역 특화 빅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시스템
KR20160029896A (ko) 비콘 신호 인식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28088A (ko)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1680B1 (ko) 웹 페이지에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 삽입 시스템 및 광고 삽입 방법
JP2012243067A (ja) サーバ装置、ユーザ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23060A (ko) 관광지용 실시간 맞춤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376267A (zh) 一种移动终端无线感知信息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20200137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information at wireless routing device end
KR20130089054A (ko) 유저 지향적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