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568A -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568A
KR20130088568A KR1020120009886A KR20120009886A KR20130088568A KR 20130088568 A KR20130088568 A KR 20130088568A KR 1020120009886 A KR1020120009886 A KR 1020120009886A KR 20120009886 A KR20120009886 A KR 20120009886A KR 20130088568 A KR20130088568 A KR 2013008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
child
position signal
sig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9398B1 (en
Inventor
용석인
이정민
권기풍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98B1/en
Publication of KR2013008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PURPOSE: An access alarm device and an access alarm method are provided to sound the alarm considering whether risk factors are in a safe or dangerous state, thereby notifying the guardian of risks only if necessary. CONSTITUTION: 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is attached to the child to transmit wirelessly position signals. A position signal receiver (20) is attached to risk factors to receive the wireless signals of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to transmit a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A risk sensor (30) detects whether the risk factors are in a safe or dangerous state and transmits a risk detection signal. A server (50) receive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the child from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receives the risk detection signal from the risk sensor, and notifies the guardian of risks in case the distance value is getting closer to less than a set value and the risk factors are in the dangerous state. [Reference numerals] (10,20) Position signal transmitter; (30) Risk sensor; (40) Proximity sensor; (50) Server; (60) Protector terminal; (AA) Internet

Description

접근 경보 장치 및 접근 경보 방법{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어린이의 위치 인식을 통해 어린이를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와 선풍기, 히터 등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및 위험요소의 작동 여부를 인식하여 어린이를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tecting a child by recognizing a child's loc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recognize the distance between the child and the dangerous elements such as a fan, a heater and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hazard can protect the child from the hazard. Relates to a device.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열기구, 선풍기, 가스레인지 등의 전자제품 등은 편리한 장치이지만 어린이들이 근접하는 것이 위험한 장치이다. 또한, 베란다는 추락 위험이 있으므로, 어린이가 접근하는 것이 위험한 장소이다. Electric appliances such as electric heaters, fans, and gas stoves used in homes are convenient devices, but it is dangerous for children to be close. In addition, the veranda is at risk of falling, so it is a dangerous place for children to approach.

이와 같이 위험한 장치나 장소에 어린이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보호자의 잠깐의 부주위로 유아에게 큰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children from accessing such dangerous devices or places, caregivers should always pay atten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mall injury to the caregiver may cause a great injury to the infant.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개특허공보 제2006-99991호에는 무선신호 검출 장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발생하는 무선검출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무선정보 출력 장치와; 상기 무선정보 출력 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그 구동 전원에 의해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동작되어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와; 상기 경보 발생부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가정 내의 전열기나 전기 제품과 같이 위험한 가전제품에 접근하는 유아를 검출하여, 경보 신호 발생 및 보호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유아를 위험 장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경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99991 includes a wireless information output device driven by a wireless detection signal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signal detection device; A switching unit switched by the driving power source generated as the wireless information output device is driven; An alarm generating unit operable in accordance with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to generate an alarm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b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generation unit, and detecting an infant approaching a dangerous home appliance such as an electric heater or an electric appliance in the home, there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and notifying the guardian of a dangerous situation. Approach alarm devices are disclosed that allow infants to be protected from dangerous devices.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795110호에는 소정의 위험요소로 어린이가 접근하는 것을 미리 알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린이에게 부착되며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인식 태그;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위치인식 태그의 송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인식 태그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인식 수신기; 및 상기 각각의 위치인식 수신기로부터 거리 검출 값을 수신하여 상기 위치인식 태그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험요소의 위치와 비교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알리는 서버;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795110 discloses an indoor position recognition system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notifying in advance that a child approaches a predetermined risk factor, the position recognition tag attached to the child and transmitting a signal; At least three position recognition receivers disposed at different places and respectively detecting a distance to the position recognition tag by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sition recognition tag; And a server that receives a distance detection value from each of the location recognition receivers,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tag, and compares the location with the location of the risk factor to determine and inform of danger. .

공개특허공보 제2006-99991호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06-99991 등록특허공보 제795110호Patent Registration No. 795110

상술한 종래의 접근 경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roach alarm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접근 경보 장치는 위험요소와 어린이의 거리 만을 검출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위험요소의 종류에 따라서는 위험요소가 항상 위험한 상태가 아니라 동작하는 경우에만 위험한 상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아가 작동시키기 어려운 스위치로 작동시키는 전열기구나 가스레인지 등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유아가 접근하여도 크게 위험하지 않다. 또한, 베란다도 유아가 열 수 없도록 잠겨 있다면, 유아가 접근하여도 위험하지 않다. 종래의 접근 경보 장치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유아가 위험요소에 접근하면 무조건 경보가 울리므로, 실제로 위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보호자 알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approach warning device detects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hazard and the chil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anger.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hazard, the hazard may be dangerous only when it operates, not always. For example, an electric heater or a gas cooker operated by a switch that is difficult for an infant to operate is not very dangerous even when the infant is approached in a non-operating state. In addition, if the porch is locked so that the infant can not open, even if the infant is not dangerous to approach. The conventional approach warning device does not consider this point, and when the infant approaches the hazard, an alarm unconditionally soun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uardian is notified unnecessarily even in a situation that is not really dangerou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험요소가 안전한 상태인지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와 유아와 위험요소의 거리를 함께 고려하여 경보를 울림으로써 보호자에게 꼭 필요한 경우에만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접근 경보 장치 및 접근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ess alarms that can notify the danger only when the guardian is necessary by ringing an alarm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azard and the hazard and whether the hazard is a safe or dangerous state toge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n approach alarm meth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장치는 어린이에게 부착되며, 무선으로 위치 신호를 송신하는 위치 신호 송신기와, 상기 위험요소들에 부착되며,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 신호 수신기와,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위험 여부 신호를 송신하는 위험 여부 감지기와, 위치 신호 수신기로부터 거리 값을 수신하고, 상기 위험 여부 감지기로부터 상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요소와 상기 어린이의 거리가 설정된 값이 미만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 경우 위험 여부를 알리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An access w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a child, a location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location signal wirelessly, and attached to the risk factors, wireless of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 position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and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 danger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hazard is a dangerous state or a safe state, and transmitting a danger signal, and a distance value from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receiving the danger signal from the danger sensor to detect the dang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sk factor and the child is less than a set value, and includes a server for notifying the danger if the danger is a dangerous state.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장치는 어린이의 몸에 부착되며, 어린이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어린이의 몸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다. 몸이 뒤집혔는지 여부는 유아의 경우에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대 위에 아기를 눕혀놓은 경우나 유아의 몸이 뒤집혔다면 침대에서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목을 잘 가누지 못하는 유아의 경우에는 질식의 위험도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ximity ala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child,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that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child and the floor. Proximity sensors are a means of determining whether a child's body is upside down. Whether the body is upside down can affect safety in infants.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a baby to lie down on a bed or if the infant's body is upside down, it may fall out of bed. In addition, infants who do not have a good throat may be at risk of suffocation.

위치 신호 송신기와 위치 신호 수신기는 각각 초음파 송신기와 초음파 수신기일 수 있다.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may be ultrasonic transmitters and ultrasonic receivers, respective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방법은 어린이에게 부착된 위치 신호 송신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요소들에 부착된 위치 신호 수신기에서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위험 여부 감지기가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위험 여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위치 신호 수신기로부터 송신된 거리 값을 수신하고, 상기 위험 여부 감지기로부터 상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요소와 상기 어린이의 거리가 설정된 값이 미만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 경우 위험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warning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rom a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ttached to a child,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from a location signal receiver attached to the risk factors.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device and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detecting whether the danger sensor is in a dangerous state or a safe state; and transmitting a signal of danger; Receives the dista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receiver, receives the danger signal from the danger detector, the distance between the risk factor and the child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danger if the danger is a dangerous state It may include the step of notifying.

또한, 어린이의 몸에 부착된 근접 센서가 어린이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chil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hild and the floor surface, and transmitting to the server.

위치 신호 송신기와 위치 신호 수신기는 각각 초음파 송신기와 초음파 수신기일 수 있다.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may be ultrasonic transmitters and ultrasonic receiver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접근 경보 장치 및 접근 경보 방법은 위험요소가 안전한 상태인지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를 고려하여 경보를 울림으로써 보호자에게 꼭 필요한 경우에만 위험을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pproach alarm device and the approach alarm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alarm can be notified only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the guardian by sounding an alarm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danger is a safe state or a dangerous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근 경보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w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ion of the access alert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pproaching al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장치는 어린이에게 부착되는 위치 신호 송신기(10)와, 위험요소들에 부착되는 위치 신호 수신기(20)와,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위험 여부 감지기(30)와, 어린이에게 부착되는 근접 센서(40)와, 어린이가 위험한 경우에는 위험 여부를 알리는 서버(50)와, 서버(50)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는 보호자 단말기(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n access w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attached to a child, a position signal receiver 20 attached to dangerous elements, and whether a dangerous element is in a dangerous state. A risk detector 30 to detect the danger, a proximity sensor 40 attached to the child, the server 50 to inform the user of danger if the child is dangerous, and a guardian who can connect to the server 5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60 is provided.

위험요소들은 가정 내에 어린이가 손을 대면 위험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어린이가 접근하면 위험한 장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장치로는, 예를 들면, 다리미, 선풍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전기 난로, 전기 믹서, 세탁기 등이 있으며, 위험한 장소로는 베란다 등이 있다. Hazards are devices that can be dangerous if a child touches them in the home, or a dangerous place if a child approaches. Examples of the device include an iron, a fan, a microwave oven, a gas stove, an electric stove, an electric mixer, a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위치 신호 송신기(10)는 어린이에게 부착된다. 위치 신호 송신기(10)는 어린이가 착용하는 팔찌, 목걸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신호 송신기(10)는 초음파 송신기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송신기, RFID 태그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is attached to a child.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may be installed in a bracelet, a necklace, etc. worn by a chil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uses an ultrasonic transmit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ethods, such as an infrared transmitter and an RFID tag, can be used.

위치 신호 수신기(20)는 위험요소에 부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신호 수신기(20)는 초음파 수신기(21), 제어기(22), 무선 송신기(23)를 포함한다. 초음파 송신기의 임펄스 송신회로가 작동하면 초음파 송신기는 펄스를 송출하고, 초음파 수신기(21)는 이를 수신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초음파 수신기(21)에서 출력된 신호는 초음파 수신기(21)와 연결된 제어기(22)에 전달된다. 제어기(22)는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을 측정한다. 무선 송신기(23)는 제어기(22)에서 측정된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을 서버(50)에 송신한다. 무선 송신기(23)는 블루투스 통신기, 지그비 통신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is attached to the hazard. Referring to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includes an ultrasonic receiver 21, a controller 22, and a wireless transmitter 23. When the impulse transmitting circuit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operates, the ultrasonic transmitter transmits a pulse, and the ultrasonic receiver 21 receives the signal and outputs a sig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ultrasonic receiver 2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2 connected to the ultrasonic receiver 21. The controller 22 measure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hild and the hazard. The wireless transmitter 23 transmit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hild and the risk factor measured by the controller 22 to the server 50. The wireless transmitter 23 may use a Bluetooth communicator, a Zigbee communicator, or the like.

위험 여부 감지기(30)는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전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전기 난로, 전기 다리미, 가스레인지 등은 켜진 상태에서는 어린이가 접근할 경우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어서 매우 위험하다. 그러나 꺼져있는 경우에는 크게 위험하지 않다. 전자 제품의 경우 위험 여부 감지기(30)는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제품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전자 제품이 켜져 있다는 신호를 전자 제품에 설치된 블루투스 장치 등의 무선 송신기를 통해서 서버(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 제품의 블루투스 장치와 전자 제품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품의 제어부가 위험 여부 감지기(30)가 될 수 있다. The danger detector 30 is a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hazard is a dangerous state or a safe state. For example, electric stoves, electric irons, stoves, etc., when turned on is very dangerous because children may be burned when approaching. But if it's off, it's not very dangerous. In the case of electronic products, the danger detector 30 may be a device that detects whether power is turned on.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turned 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turned 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through a wireless transmitter such as a Bluetooth device installed in the electronic product. In this case, the risk controller 30 may be a controller of the electronic produc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Bluetooth device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are turned on.

베란다의 경우에는 베란다와 거실 사이의 창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안전한 상태이며, 열려있는 경우에는 매우 위험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베란다의 경우에는 창문이 닫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창문에 설치된 센서,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장치가 위험 여부 감지기(30)가 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eranda, it is safe if the window between the veranda and the living room is closed, and it is very dangerous if it is open. In the case of the veranda, a sensor installed in the window and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may be a danger detector 30 to determine whether the window is closed.

작동 여부 등에 따라서 위험 여부가 결정되는 위험요소에는 위험 여부 감지기(30)와 위치 신호 수신기(20)를 모두 설치하고, 항상 어린이에게 위험한 위험요소에는 위치 신호 수신기(20)만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위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risk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is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both the danger detector 30 and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and always installs only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for the danger that is dangerous to children. Can detect whether or not.

근접 센서(40)는 어린이가 착용한 상의의 앞이나 뒤쪽에 설치한다. 근접 센서(40)는 몸을 뒤집기 시작하는 단계의 유아에게 설치한다. 근접 센서(40)는 유아의 자세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40)를 유아의 상의 뒤쪽에 설치한 후 유아를 유아의 등이 바닥에 닿도록 눕혀놓은 상태에서, 유아가 몸을 뒤집은 경우에는 근접 센서(40)가 유아의 자세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유아의 자세를 확인하는 것은 유아의 질식 위험, 유아가 침대 등에서 떨어질 위험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근접 센서(40)는 이러한 자세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서버(50)에 전송한다. Proximity sensor 40 is installed in front of or behind the top worn by the child. Proximity sensor 40 is installed to the infant in the step of starting to turn over. The proximity sensor 40 is for determining a change in posture of the infant. For example, after the proximity sensor 40 is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infant's upper body and the infant is laid on the back of the infant, the proximity sensor 40 changes the posture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inverts the body. You can check. Checking the infant's posture can be used to detect the risk of choking of the infant and the risk of the infant falling off the bed. The proximity sensor 40 transmits this attitude information data to the server 5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서버(50)는 무선 송신기로부터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을 받아들이고 축적한다. 또한, 위험 여부 감지기(30)로부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며, 근접 센서(40)와 연결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자세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축적한다. 보호자 단말기(60)로부터의 요구가 있는 경우, 서버(50)는 저장되어 있는 거리 값과 위험 여부 신호, 자세 정보 데이터를 보호자 단말기(60)에 제공한다. The server 50 accepts and accumulates distance values between the child and the hazard from the radio transmitter. In addition, a dan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anger sensor 30, and the posture inform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ccumula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40.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guardian terminal 60, the server 50 provides the guardian terminal 60 with a stored distance value, a danger signal, and posture information data.

도 3을 참고하면,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51), 통신 인터페이스(52), 디코더(53), 제어부(54), 알람부(5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50 includes a database 51, a communication interface 52, a decoder 53, a controller 54, and an alarm unit 55.

데이터베이스(51)에 있어서, 거리 값 데이터 테이블은 무선 송신기(23)로부터 수신된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 데이터를 저장한다. 위험 여부 데이터 테이블은 위험 여부 감지기(30)로부터 수신된 위험 여부 신호 데이터를 저장한다. 자세 정보 데이터 테이블은 자세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In the database 51, the distance value data table stores distance value data between the child and the hazard receiv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23. The hazard data table stores hazard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hazard detector 30. The posture information data table stores posture information data.

통신 인터페이스(52)는 서버(5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며, 이에 따라 서버(50)가 보호자 단말기(6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준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2 allows the server 50 to access the Internet, thereby allowing the server 50 to send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guardian terminal 60.

디코더(53)는 통신 인터페이스(5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어부(54)에 제공한다.The decoder 53 decodes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2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54.

제어부(54)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한다. 디코딩된 데이터가 거리 값 데이터인 경우에는 거리 값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며, 디코딩된 데이터가 위험 여부 신호 데이터인 경우에는 위험 여부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한다. The controller 54 stores the decoded data in the database 51. If the decoded data is distance value data, the decoded data is stored in the distance value data table. If the decoded data is danger signal data, the decoded data is stored in the danger data table.

또한, 제어부(54)는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된 거리 값 데이터와 위험 여부 신호 데이터를 토대로, 어린이가 위험한 상태에 처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4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child is in a dangerous state, based on the distance value data and the danger signa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51.

제어부(54)가 어린이가 위험한 상태에 처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54)는 알람부(55)를 작동시킨다. 알람부(55)는 스피커를 통해서 위험을 알리는 음향을 반복적으로 재생하여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을 한다. 동시에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된 보호자 단말기(60)의 전화번호로 알람 메시지를 송신한다. When the controller 54 determines that the child is in a dangerous state, the controller 54 operates the alarm unit 55. The alarm unit 55 repeatedly plays a sound informing of danger through the speaker and makes a rescue request to the guardian. At the same time, an alarm message is sent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arental terminal 60 stored in the database 51.

보호자 단말기(60)는 어린이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60)를 통해서 서버(50)에 저장되어 있는 거리 값과 위험 여부 신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자는 어린이가 위험한 상황인 경우 서버(50)의 알람부(55)를 통해서 구조요청을 듣는 동시에 스마트폰의 알람 메시지를 통해서 구조요청을 들을 수 있다. 알람 메시지는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서 위험을 알리는 음향을 재생하고 스마트폰의 표시부에 위험한 상황을 나타내는 문자가 점멸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guardian terminal 60 may be a smartphone as a terminal used by a guardian of a child. The guardian can check the distance value and the danger signal data stored in the server 50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60. The guardian can listen to the rescue request through the alarm message of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listen to the rescue request through the alarm unit 55 of the server 50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alarm message may be in the form of playing a sound notifying the danger through the speaker of the smartphone and the character indicating a dangerous situ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flashes.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접근 경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pproach warn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위치 신호 송신기(10)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한다(S10). 송신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 위치 신호 수신기(20)는 제어기(22)에서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을 계산한다(S20). 위치 신호 수신기(20)는 무선 송신기(23)를 통해서 계산된 거리 값을 서버(50)에 송신한다(S21).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0 transmits an ultrasonic signal (S10).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receiving the transmitted ultrasound signal calculates a distance value between the child and the risk factor in the controller 22 (S20).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20 transmits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23 to the server 50 (S21).

위험 여부 감지기(30)는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 여부 신호를 서버(50)에 전송한다(S30). The danger detector 30 determines whether the hazard is a dangerous state, and transmits a danger signal to the server 50 (S30).

서버(50)는 무선 송신기(23)로부터 어린이와 위험요소 사이의 거리 값을 받아들이고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한다. 또한, 위험 여부 감지기(30)로부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유아의 경우에는 근접 센서(40)와 연결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서 자세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축적한다.The server 50 receives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child and the hazard from the radio transmitter 23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51. In addition, a dan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anger detector 30 and stored. In the case of an infant, the posture information signal is received and accumula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40.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된 거리 값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거리가 정해진 값 미만으로 가까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S40단계에서 거리가 정해진 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어린이가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계속해서 거리 값 및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한다. The server 50 compares the distance valu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51 with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is close to the predetermined value (S4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hild is determined to be safe and continue to receive the distance value and the danger signal.

S40단계에서 거리 값이 정해진 값 미만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리가 가까운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41). S41단계에서 거리가 가까운 위험요소가 안전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어린이가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계속해서 거리 값 및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distance valu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ngerous factor close to the distance is a dangerous state (S4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 that the hazard close to the distance is safe, the child determines that it is safe and continues to receive the distance value and the danger signal.

S41단계에서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어린이가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서버(50)의 알람부(55)를 작동시킨다. 알람부(55)는 스피커를 통해서 위험을 알리는 음향을 반복적으로 재생하여 보호자에게 구조요청을 한다. 동시에 서버(50)의 통신 인터페이스(52)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1)에 저장된 보호자 단말기(60)의 전화번호로 알람 메시지를 송신한다(S4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 that the dangerous element is a dangerous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ld is dangerous, and operates the alarm unit 55 of the server 50. The alarm unit 55 repeatedly plays a sound informing of danger through the speaker and makes a rescue request to the guardian. At the same time, the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arental terminal 60 stored in the database 51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52 of the server 50 (S42).

구조요청 상황에서 사용자가 서버(50)나 보호자 단말기(60)의 '취소'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이 계속해서 작동한다. 어린이를 위험한 상태에서 구조하고 '취소'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알람이 작동을 멈추고, 서버(50)는 다시 거리 값 및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cancel' button of the server 50 or the guardian terminal 60 in the rescue request situation, the alarm continues to operate. When the child is rescued from the dangerous state and the 'cancel' button is pressed, the alarm stops working, and the server 50 receives the distance value and the danger signal again and stores it.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위치 신호 송신기 20: 위치 신호 수신기
21: 초음파 수신기 22: 제어기
23: 무선 송신기 30: 위험 여부 감지기
40: 근접 센서 50: 서버
51: 데이터베이스 52: 통신 인터페이스
53: 디코더 54: 제어부
55: 알람부 60: 보호자 단말기
10: position signal transmitter 20: position signal receiver
21: ultrasonic receiver 22: controller
23: wireless transmitter 30: danger detector
40: proximity sensor 50: server
51: database 52: communication interface
53: decoder 54: control unit
55: alarm unit 60: parental terminal

Claims (6)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요소들로 어린이가 접근하는 것을 알리는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에게 부착되며, 무선으로 위치 신호를 송신하는 위치 신호 송신기와,
상기 위험요소들에 부착되며,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 신호 수신기와,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위험 여부 신호를 송신하는 위험 여부 감지기와,
상기 위치 신호 수신기로부터 거리 값을 수신하고, 상기 위험 여부 감지기로부터 상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요소와 상기 어린이의 거리 값이 설정된 값이 미만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 경우 위험 여부를 알리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장치.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n access warning device for notifying children of approaching hazards,
A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ttached to the child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location signal;
A location signal receiver attached to the hazards, the location signal receiver receiving a radio signal of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nd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 danger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hazard is a dangerous state or a safe state and transmitting a danger signal;
When the distance value is received from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the dan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anger detector,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risk factor and the child is closer to the set value, and the danger factor is in a dangerous state. Access warning device comprising a server for notifying of the d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의 몸에 부착되며, 상기 어린이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child, the proximity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child and the bottom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 상기 위치 신호 수신기는 각각 초음파 송신기와 초음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said position signal receiver comprise an ultrasonic transmitter and an ultrasonic receiver, respectively.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요소들로 어린이가 접근하는 것을 알리는 접근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에게 부착된 위치 신호 송신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요소들에 부착된 위치 신호 수신기에서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위험 여부 감지기가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지 안전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위험 여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위치 신호 수신기로부터 송신된 거리 값을 수신하고, 상기 위험 여부 감지기로부터 상기 위험 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요소와 상기 어린이의 거리 값이 설정된 값이 미만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위험요소가 위험한 상태인 경우 위험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방법.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 approach alarm method for notifying children of approaching hazards,
Transmitting a radio signal at 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ttached to the child;
Receiving a radio signal of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t a position signal receiver attached to the risk factors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 risk detector detecting whether the hazard is a dangerous state or a safe state, and transmitting a danger signal;
The server receives the dista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signal receiver and receives the danger signal from the danger detector so that the distance value between the risk factor and the child is closer to the set value, and the risk factor is reduced. Access war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forming if there is a dangerous state of dang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의 몸에 부착된 근접 센서가 상기 어린이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chil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child and the floor surface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신호 송신기와 상기 위치 신호 수신기는 각각 초음파 송신기와 초음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경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said position signal transmitter and said position signal receiver comprise an ultrasonic transmitter and an ultrasonic receiver, respectively.



KR1020120009886A 2012-01-31 2012-01-31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101339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86A KR101339398B1 (en) 2012-01-31 2012-01-31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86A KR101339398B1 (en) 2012-01-31 2012-01-31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568A true KR20130088568A (en) 2013-08-08
KR101339398B1 KR101339398B1 (en) 2013-12-09

Family

ID=492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886A KR101339398B1 (en) 2012-01-31 2012-01-31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9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55B1 (en) * 2013-08-29 2015-01-22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detecting moving object
KR20160092144A (en) * 2015-01-26 2016-08-0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hild alarm system for preventing fall
KR20180045873A (en) * 2016-10-25 2018-05-04 주식회사 닷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CN108765868A (en) * 2018-04-24 2018-11-06 蚌埠惠灵顿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lert intelligent report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3780255A (en) * 2021-11-12 2021-12-10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Danger assess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299700A (en) * 2021-12-10 2022-04-08 华帝股份有限公司 Kitchen alarm device and method and kitchen alarm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7406B1 (en) * 2016-11-01 2022-06-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517B1 (en) * 1995-04-29 1998-05-15 배순훈 Television with infant position alarming function
JP2002074560A (en) 2000-08-30 2002-03-15 Tamotsu Miyamoto Monitoring system
KR100756687B1 (en) * 2005-12-2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afety lock system using rfid
KR101021155B1 (en) 2009-01-15 2011-03-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Sudden Infant Death and Infant Monitoring System by Us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55B1 (en) * 2013-08-29 2015-01-22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detecting moving object
KR20160092144A (en) * 2015-01-26 2016-08-0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hild alarm system for preventing fall
KR20180045873A (en) * 2016-10-25 2018-05-04 주식회사 닷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CN108765868A (en) * 2018-04-24 2018-11-06 蚌埠惠灵顿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lert intelligent report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3780255A (en) * 2021-11-12 2021-12-10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Danger assess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780255B (en) * 2021-11-12 2022-02-22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Danger assess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299700A (en) * 2021-12-10 2022-04-08 华帝股份有限公司 Kitchen alarm device and method and kitchen alar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398B1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398B1 (en)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US9888452B2 (en) Methods and apparatus notifying a user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household appliance
US201801582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otifying a user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household appliance
US93861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notifying a user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remotely located household appliance
CN109398162B (en) Child car seat and method for detecting proximity of child car seat
US10157529B2 (en) Device and system for alerting caregivers to a child abandoned in a potentially dangerous environment
KR101409500B1 (en) Observing apparatus for baby
EP3446917B1 (en) Child abandonment monitor
WO2009138955A2 (en) Indoor child monitoring system
KR20170128483A (en) Microwave oven and microwave oven control method
JP2013068455A (en) Sensor control apparatus
KR20190003597A (en) Sensors and systems for monitoring
CN113192288A (en) Play by monitoring system and have its crib
ES2620989T3 (en) Equipment and procedure for adjusting the sound intensity of an acoustic signal to signal a state of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JP2008225610A (en) In-residence portable equipment
KR20160143205A (en) Wireless proximity war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 technology
KR20060099991A (en) Access alarm and safety apparatus and those control method
JP2018036883A (en) Bathroom monitoring system
JP2014026427A (en) Monitoring system
CN106895875A (en) A kind of infant's electronic monitoring equipment
EP3297598B1 (en) Pacifier
JP2009052846A (en) Abnormal state communication system and abnormal state communication method for electric kotatsu set in floor
KR101485238B1 (en) System for providing status of ward
KR20130002101U (en) Wireless fire sens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for the deaf
CN209132924U (en) A kind of kitchen range safety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