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311A -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311A
KR20130088311A KR1020120009468A KR20120009468A KR20130088311A KR 20130088311 A KR20130088311 A KR 20130088311A KR 1020120009468 A KR1020120009468 A KR 1020120009468A KR 20120009468 A KR20120009468 A KR 20120009468A KR 20130088311 A KR20130088311 A KR 2013008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eed extract
lotus seed
composition
lo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3274B1 (ko
Inventor
김선주
신보현
채병근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0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74B1/ko
Priority to CN201210120486.3A priority patent/CN103222936B/zh
Publication of KR2013008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Nelumbo nucifera seed extract}
본 발명은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효과가 탁월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피부 보습효과 등에 있어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연(蓮, Nelumbo nucifera)이 주목받고 있다. 연은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다양한 부위가 식품 또는 한약재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서 그 안전성이 상당히 입증된 식물이며 가격 또한 비교적 저렴하여 화장품 소재로는 이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연은 기력을 왕성하게 하고 모든 질병을 물리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약성본초에는 연은 오장육부의 기운부족, 특히 심, 비, 신의 기운부족과 속이 상한 것을 낫게 하며 12경맥의 기혈을 크게 보하고, 쌀과 연육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몸이 가볍고 든든하여지며 또 머리칼을 검게하고 장수하게 한다고 쓰여 있다. 연꽃은 주로 관상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나 용도는 크게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히 잎은 알칼로이드와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수렴 및 지혈제로 사용되거나 민간에서는 야뇨증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땅속 줄기는 연근이라 하며 아스파라진이 들어 있어 식용하며 자양 강장약으로 쓰인다. 열매 및 씨는 부인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연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연꽃씨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통상 연의 추출물은 연을 꽃, 줄기, 뿌리 등의 부위로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추출한 것으로서 추출 효과가 떨어지고, 연 이외의 다른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보충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 2011-0115047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반복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연꽃씨 추출물이 피부에 대하여 안전하면서 충분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나아가,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이 발아되지 않은 연꽃씨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보이고, 아임계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연꽃씨 추출물이 보습효과가 보다 탁월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연꽃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아 연꽃씨 추출물 또는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피부 산화, 피부 탄력 증대, 피부 주름 개선, 혈색 개선, 모공 수축, 피부 자극 완화, 항상성 향상, 탄력, 여드름, 재생, 피지, 노폐물, 각질 개선 효과, 피부 수렴 또는 정돈 효과에 있어도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 통해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꽃씨 추출물, 발아 연꽃씨 추출물,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및 아임계 발아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 중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과의 수분함량 증가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꽃씨 추출물, 발아 연꽃씨 추출물,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및 아임계 발아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 중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과의 TEWL(경표피 수분 손실)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연꽃씨(Nelumbo nucifera see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꽃씨 추출물은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써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감마 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우수한 보습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꽃씨 추출물은 연꽃의 씨앗에서 추출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발아된 연꽃씨에서 추출한 것이다. 발아 상태의 연꽃씨의 경우에는 발아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생명 현상에 필요한 효능 성분을 더욱 많이 포함하고 있어 보다 강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아 연꽃씨는 연꽃씨를 20℃~25℃ 온도의 깨끗한 물에 넣어 배양시킴으로써 발아시킬 수 있다. 이때, 연꽃씨는 껍질에 흠집을 내어 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에 넣어준 후 연꽃씨를 하루 1~2회 정도 물을 갈아주며 7~10일간 배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낮에는 자연채광이 드는 곳에 두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연꽃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연꽃씨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또는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및 추출액 중에 함유되고 있는 주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꽃씨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법(Subcritical Water Extraction)으로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에 사용된 초임계 추출법에서 초임계 유체의 밀도는 액체와 유사하고, 점도와 확산계수는 기체와 유사하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를 추출용매로 사용하면 식물체의 미세기공으로 쉽게 침투하고, 적절한 분자밀도를 갖게 됨으로써 원하는 물질의 분자를 에워싸서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원하는 물질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서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서는 우선 무독성이어야하고, 초임계 상태가 고온/고압이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야 하며, 추출용매로서 용해력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만 충족시키면 어떠한 물질도 초임계 유체로 만들어서 추출을 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임계 기술은 용매가 임계점을 넘지 못한 상태에서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으로, 용매를 무엇으로 선택하는가에 따라서 초임계 추출과 같은 성능을 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다.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극성물질은 추출을 하지 못하므로 유기용매를 보조용매로 함께 사용하여야 하지만, 아임계 물은 추출성능이 더 뛰어나고 조업조건의 변화 범위가 커서 비극성 물질 및 극성물질 모두 추출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아임계 물로 추출을 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반응도 진행할 수 있다.
이 추출법에 의하면 연꽃씨 추출물을 고체나 반고체 시료에서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e)의 변화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연꽃씨 추출물을 아임계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통상의 용매추출법에 의한 경우보다 추출 속도가 빠르고 물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므로 잔류 유기용매 또는 중금속이 없어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다. 한편, 저온공정으로 진행되므로 추출물의 활성이 유지되며 열변성 물질의 추출도 가능하고, 공정자체가 추출물의 분리회수가 용이하여 조업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용매의 재순환도 가능하다. 그리고 온도와 압력과 같은 추출조건에 따라 유용물질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임계 추출법에 의한 연꽃씨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연꽃씨를 준비한 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해서 50~200MPa, 바람직하게는 100MPa의 압력에서 연꽃씨를 분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50MPa 미만의 압력에서는 유효 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200MPa 초과 압력에서는 압력 대비 유효 성분 추출 증가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의 압력에서 추출한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연꽃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0중량%, 바람직하게는 5.0~9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9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성분이 갖고 있는 피부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95.0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그 원료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노화, 피부 산화, 피부 탄력 증대, 피부 주름 개선, 혈색 개선, 모공 수축, 피부 자극 완화, 항상성 향상, 탄력, 여드름, 재생, 피지, 노폐물, 피부 수렴 또는 정돈 등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어, 전반적인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일반 연꽃씨 추출물
발아 상태가 아닌 연꽃씨를 정제수 70%, 알코올 30% 용매에 넣고 25℃에서 6시간 방치하여 활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 3㎛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1㎛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제균 필터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일반 연꽃씨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발아 연꽃씨 추출물
발아 상태의 연꽃씨를 정제수 70%, 알코올 30% 용매에 넣고 25℃에서 6시간 방치하여 활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 3㎛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1㎛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제균 필터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아 연꽃씨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발아 상태가 아닌 연꽃씨를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 40℃에서 20MPa로 4시간 동안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발아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발아 상태의 연꽃씨를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 40℃에서 20MPa로 4시간 동안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아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피부 수분 지속력 측정
1회 도포시 피부 수분 변화량 및 지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의 수분 증가량을 수분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예(연꽃씨 추출물) - - - - 90
실시예 1(발아연꽃씨 추출물) 90 - - - -
실시예 2(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 90 - - -
실시예 3(발아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 - - 90 - -
정제수 0 0 0 90 0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글리세린 3 3 3 3 3
히알루론산 2 2 2 2 2
베타클루칸 1 1 1 1 1
펜틸렌글리콜 1 1 1 1 1
(단위: 중량%)
먼저, 30세 이상의 여성 25명을 선정하여 양쪽 전박을 흐르는 물에 세정하게 한 뒤, 손목으로부터 5cm 거리의 부위에 지름 1.5cm의 원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피험자들을 23±1℃ 및 45±5% RH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30분간 대기시킨 후 수분측정기(CM825, Courage & Khazaka, Germany)로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기 측정방법>
피부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부위에 수분측정기(corneometer)의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 전기 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었다.
3.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 1회 측정 후, 킴와이프와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재측정하였다.
그 후에 양쪽 전박에 각각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를 시험부위에 동일양 도포하여 흡수시킨 후, 항온-항습실에서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경과시 시험부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 증가율은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를 도포하기 전 상태대비 계산된 수치이며, 표 2 및 도 1에 평균결과를 나타내었다.
도포 전 30 분 1 시간 2 시간 4 시간 6 시간
대조군
(무도포)
26.2 26.11 26.21 26.15 26.19 26.17
제조예 1 26.34 51.99 44.63 43.39 41.13 40.58
제조예 2 26.12 51.85 44.72 43.27 41.59 39.98
제조예 3 26.08 53.77 50.48 49.64 46.21 45.69
비교제조예 1 26.05 48.13 43.17 39.53 38.52 33.63
비교제조예 2 25.92 49.95 43.54 42.87 40.25 36.14
상기 표 2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연꽃씨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1~3을 도포한 경우, 비교제조예 1의 처방을 1회 도포시보다 피부에 더 높은 수분량이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반 연꽃씨 추출물을 도포한 비교제조예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 1~3의 경우 수분량이 시간이 갈수록 더 오래 지속되었다. 특히 발아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을 사용한 제조예 3의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제조예 2의 효과의 합 이상의 우수한 피부 수분 지속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 보습효과 측정
장기적인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TEWL(경표피수분손실, Trans Epidermal Water Loss)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30세 이상 여성 30명에게 제조예 1~3과 비교제조예 1~2를 매일 2회 4주간 양쪽 뺨에 도포하도록 하고, 도포 전, 도포 후 2주, 도포 후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하기 방법으로 TEWL(경표피 수분 손실, Trans 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였다.
<TEWL 측정 방법>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 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도록 했다. 이때, 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였다.
2. TEWL 프로브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올려놓았다.
3. 측정부위에 프로브를 올려놓을 때 피부에 자국이 남을 정도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 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약 1~3분간 측정하였다.
5. 프로브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6. 면적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g/m2/h)을 계산하였다.
측정된 TEWL을 통하여 보습력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3의 경우 비교제조예 1~2에 비해 수분 증발량이 현저히 줄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2주 후에 일반 연꽃씨 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제조예 2의 경우 피부 수분량이 약 70%로 줄었으나, 본 발명의 제조예 1~3의 경우 모두 80% 이상 유지되고 있었다. 특히 발아 아임계 연꽃씨 추출물을 사용한 제조예 3의 경우 4주 경과 후에도 약 85%의 피부 수분을 유지하고 있어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주관적 효능 평가
상기 시험예 1 및 2를 종료한 시점에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피부의 건조함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피부당김, 가려움, 피부결 및 전반적인 개선효과에 대하여 답하도록 되어있고, 제조예 1~3과 비교제조예 1~2에 대해 1부터 10까지의 척도로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피부 당김 개선 가려움 개선 피부결 개선 종합적 개선
제조예 1 7 6 7 7
제조예 2 7 6 7 7
제조예 3 8 8 9 8
비교제조예 1 5 3 4 3
비교제조예 2 5 5 6 5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피험자들은 제조예 1~3을 도포한 부위에 대하여 피부 당김, 가려움, 피부결 등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비교제조예 1~2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큰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하였다고 답하였다.

Claims (6)

  1.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연꽃씨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씨 추출물은 감마 리놀레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9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0009468A 2012-01-31 2012-01-31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68A KR101833274B1 (ko) 2012-01-31 2012-01-31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201210120486.3A CN103222936B (zh) 2012-01-31 2012-04-23 含有莲子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68A KR101833274B1 (ko) 2012-01-31 2012-01-31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11A true KR20130088311A (ko) 2013-08-08
KR101833274B1 KR101833274B1 (ko) 2018-03-02

Family

ID=4883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68A KR101833274B1 (ko) 2012-01-31 2012-01-31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274B1 (ko)
CN (1) CN1032229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50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8449B (zh) * 2016-09-13 2021-09-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发芽半野生大豆提取物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CN108358772A (zh) * 2017-12-20 2018-08-03 湖北工业大学 一种螺旋藻γ-亚麻酸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607489A (zh) * 2022-10-09 2023-01-17 皓雨(广州)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含发芽分泌水的化妆品原料及该分泌水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5348A (en) * 1996-02-23 1999-07-20 Medical Doctor's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uti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cred lotus (methyltransferase) to treat aging skin
WO2005041996A1 (en) * 2003-10-03 2005-05-12 GREEN MEADOWS RESEARCH, LLC A & L Goodbody Lotus and methyl donors
CN101606980A (zh) * 2008-06-18 2009-12-23 湖北汇特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莲(荷)果实(莲子)中抗微生物和消炎活性成份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50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74B1 (ko) 2018-03-02
CN103222936A (zh) 2013-07-31
CN103222936B (zh)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362B1 (ko)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31166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947A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AU2002347271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human skin and hair care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311A (ko)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11063B1 (ko) 마사지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74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550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7138B1 (ko) 바위손, 사과, 오이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