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260A -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260A
KR20130088260A KR1020120009387A KR20120009387A KR20130088260A KR 20130088260 A KR20130088260 A KR 20130088260A KR 1020120009387 A KR1020120009387 A KR 1020120009387A KR 20120009387 A KR20120009387 A KR 20120009387A KR 20130088260 A KR20130088260 A KR 2013008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pring
fixing
moving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7410B1 (en
Inventor
이상주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4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8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Abstract

PURPOSE: A retractable table for vehicles is provided to enable passengers to conveniently use a table by taking the table out using buttons as necessary. CONSTITUTION: A retractable table for vehicles comprises a body part (100), a transfer rail part (200), a button part, and a table (500). The body part comprises a rear accepting body with a button hole, a front accepting body, and an internal body with a button opening. The transfer rail part is installed on the internal body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comprises a table joining part (260). The button part comprises a button with a pair of flanges. The fixing protrusion of an operating part is coming out through the button hole and the button opening. The table rotates around the table joining part to be spread. The table comprises a table lower plate and a table upper plate (590).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테이블을, 평상시에는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해 놓았다가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할 경우 버튼을 누르면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되어 있던 테이블이 수직으로 상승함으로써, 테이블이 필요할 경우에만 탑승자가 테이블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table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a tabl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is normally stored vertic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and then, when the passenger uses the table, When pressed, the table stored vertic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rises vertically, and thus relates to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in which a passenger can take out and use the table only when necessary.

최근 들어 차량이 대형화되면서 차량에 설치되는 편의시설 또한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이다.In recent years, as the vehicle becomes larger,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ed in the vehicle are also provided.

운전자를 위한 편의 시설들은 주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치들로써 운전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운전석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것이다.Amenities for the driver are mainly devices that help the driver drive the vehicle and are arranged around the driver's seat for the driver's convenience.

이렇게 운전자를 위한 편의시설들은 네비게이션이나 운전석 등받이 조절장치 등이 있다.Such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river include navigation or a driver's seat back adjustment device.

또한, 차량의 후열시트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위한 편의장치 또한 다양하게 설치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a variety of convenience devices for passengers boarding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s also installed.

후열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운전석에 탑승하는 운전자와는 달리 주로 휴식을 취하게나 사무를 보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Unlike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the passenger who rides the rear seat performs various tasks such as taking a break or watching office work.

이러한 후열시트의 탑승자를 위해 후열시트에 열선이나 안마장치, 접이식 테이블이나 햇빛 가리개 등이 설치되는 것이다.For passengers of such a rear seat, a heated wire or a massage device, a folding table, or a sun shade are installed on the rear seat.

특히, 차량의 후열시트에서 사무를 보게 되면 테이블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주로 전열시트의 후면에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평상시는 전열시트에 접어놓았다가 후열시트의 탑승자가 직접 테이블을 전열시트로부터 펼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you see office work on the rear seat of the car, you need a table. Such a table is mainly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sheet so that it is normally folded to the heat transfer sheet and the occupant of the heat transfer sheet will directly use the table from the heat transfer sheet.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ar storage tabl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접이식 테이블이 전열시트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후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후열시트로부터 몸을 일으켜 전면시트 방향으로 몸을 당긴 상태에서 테이블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because the folding tabl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eat, the occupant must lift the table from the seat and pull the body toward the front seat in order to use the 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use.

또한,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열시트 후면에 설치된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자가 직접 펼치거나 접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folding table, the user has to unfold or fold the folding tab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eat transfer shee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이 필요할 경우에만 탑승자가 후열시트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버튼의 조작으로 테이블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테이블을, 평상시에는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해 놓았다가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할 경우 버튼을 누르면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되어 있던 테이블이 수직으로 상승함으로써, 접이식 테이블이 전열시트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후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후열시트로부터 몸을 일으켜 전면시트 방향으로 몸을 당긴 상태에서 테이블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열시트 후면에 설치된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자가 직접 펼치거나 접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occupant can comfortably take out the table using a button operation while sitting comfortably on the rear seat, when a table is needed, When the passengers use the table when the passengers use the table, the table stored vertic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rises vertically. In order to use the table, the boarder must use the table with the body raised from the rear seat and pulled toward the front seat in order to use the table. Folding tabl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eat It is for the user to provide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to address effectively the problem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y expand or retract directl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수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버튼홀이 형성되는 후면 수납 몸체와 전면 수납 몸체로 이루어지며, 후면 수납 몸체 내측에는 버튼홀과 대응되는 곳에 버튼공이 형성되는 내부 몸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부 몸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이 스프링 고정 플랜지에 의해 고정 결합되되, 탄발스프링의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탄발스프링의 스프링 고정부 상부에는 가로로 핀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이 구비되는 테이블 결합부가 설치되는 이동 레일부;와 하부에 한 쌍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버튼이 버튼 몸체의 버튼 결합홀에 설치되며, 버튼을 누르면 한쌍의 플랜지가 버튼 하부의 작동부를 눌러 작동부의 레일이 작동부 하부의 고정부에 구비되는 고정 레일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작동부의 고정돌기가 후면 수납 몸체의 버튼홀과 내부 몸체의 버튼공을 통해 출몰되는 버튼부;와 이동 레일부의 테이블 결합부에 형성되는 핀공과 고정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홀을 구비하는 작동판이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판 하부에는 스프링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노브를 작동시키면 끝단의 걸림돌기가 테이블 결합부의 걸림홈에 끼워지거나 해제되는 테이블 고정부가 고정부 커버에 의해 구비되고, 작동판 상부에는 테이블 하판과 테이블 상판이 차례로 구비되는 테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ar storage body and a front storage body in which a butt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side in a storage tabl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and a butt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in the rear storage body.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on the inner body and the inner body of the body portion,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tan ball spring is fixed by the spring fixing flange, the spring fixed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n ball spring fixed to the upper side It is installed, the upper side of the spring fixed portion of the ball spring spring pin hole is formed horizontally, the movable rail portion is installed on the tabl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on one side; and a button having a pair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button body button It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and when a button is pressed, a pair of flanges press the operating part under the button to A button part in which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operating part is protruded through the button hole of the rear housing body and the button hole of the inner body while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fixing rail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ng part; and the table coupling part of the moving rail part The operation plate having a pin hole formed in the pin hole and the pin ho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late when operating the knob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installed in the spring pin is a locking projection of the end The table fixing part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is provided by the fixing part cover,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plate is configured as a table provided with a table lower plate and a table upper plate in turn.

그리고, 후면 수납 몸체와 전면 수납 몸체 상측에 상판을 설치하고, 테이블 상판의 상측에는 상판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마감판을 구비하여, 테이블을 몸체부에 깔끔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이동 레일부에 설치되는 테이블 결합부의 걸림홈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테이블을 펼쳤을 때 테이블을 테이블 결합부의 걸림홈에 고정시키는 테이블 고정부의 걸림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펼쳐진 테이블을 접을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테이블을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동 레일부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은 판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이동 레일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의 설치되는 탄발스프링이 버튼의 조작으로 인해 감기면서 이동 레일부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top plate is installed on the rear accommodating body and the upper accommodating body, and a top end of the tabl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plat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plate, so that the table can be neatly stored in the body portion, and a moving rail part. When the table is unfolded, the locking groove of the tabl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when the table is unfolded,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table fixing portion which fixes the table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table is inclin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old the table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It is formed so as to fold, and the spring mounted on the moving rail portion is formed of a leaf spring, the spring mounted flange of the spring fixed flang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portion is 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to move the moving rail portion It can be achiev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so that Will.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테이블을 평상시에는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해 놓았다가 탑승자가 테이블을 사용할 경우 버튼을 누르면 차량의 후열 시트 사이에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수납되어 있던 테이블이 수직으로 상승함으로써, 탑승자가 편리하게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s normally stored vertic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and when the passenger uses the table, the space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is push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the table stored vertically rises vertically, the passenger can use the table conveniently.

그리고, 수납식 테이블이 차량의 후열시트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후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tractable table is installed between the rear seats of the vehicle,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may also use the table while sitting comfortably.

또한, 테이블이 필요할 경우에만 탑승자가 테이블을 꺼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평상시 차량의 실내에 테이블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assenger can take out the table only when the table is needed,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able from being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t all times and improving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이동 레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버튼의 구조를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
도 8, 도 9, 도 10,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ving rail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button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9, 10, 11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이동 레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테이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버튼의 구조를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 사시도, 도 8, 도 9, 도 10,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의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That is,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r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ar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rail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cars,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utt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10, and 11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수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버튼홀(110)이 형성되는 후면 수납 몸체(120)와 전면 수납 몸체(150)로 이루어지며, 후면 수납 몸체(120) 내측에는 버튼홀(110)과 대응되는 곳에 버튼공(160)이 형성되는 내부 몸체(17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내부 몸체(170)에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탄발스프링(210)이 스프링 고정 플랜지(220)에 의해 고정 결합되되, 탄발스프링(210)의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부(230)가 구비되어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탄발스프링(210)의 스프링 고정부(230) 상부에는 가로로 핀공(250)이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270)이 구비되는 테이블 결합부(260)가 설치되는 이동 레일부(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table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onsisting of a rear housing body 120 and the front housing body 150 is formed with a button hole 110 on the upper side, the rear housing body 120 ) The inner body portion 100 consisting of an inner body 170 in which the button hole 160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110; and movable up and down on the inner body 170 of the body portion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side is fixed to the tan ball spring 210 is fixed by the spring fixing flange 220, one side of the tan spring (210) is provided with a spring fixing portion 230, the tan spring Pin rail 250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spring fixing portion 230 of the 210, the movable rail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table coupling portion 260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70 on one side; It is characterized by.

그리고, 하부에 한 쌍의 플랜지(310)를 구비하는 버튼(320)이 버튼 몸체(330)의 버튼 결합홀(340)에 설치되며, 버튼(320)을 누르면 한쌍의 플랜지(310)가 버튼(320) 하부의 작동부(350)를 눌러 작동부(350)의 레일(355)이 작동부(350) 하부의 고정부(360)에 구비되는 고정 레일(36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작동부(350)의 고정돌기(380)가 후면 수납 몸체(120)의 버튼홀(110)과 내부 몸체(170)의 버튼공(160)을 통해 출몰되는 버튼부(300);와 이동 레일부(200)의 테이블 결합부(260)에 형성되는 핀공(250)과 고정핀(400)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홀(510)을 구비하는 작동판(520)이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판(520) 하부에는 스프링핀(530)에 설치되는 스프링(540)의 탄발력에 의해 노브(565)를 작동시키면 끝단의 걸림돌기(550)가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에 끼워지거나 해제되는 테이블 고정부(560)가 고정부 커버(570)에 의해 구비되고, 작동판(520) 상부에는 테이블 하판(580)과 테이블 상판(590)이 차례로 구비되는 테이블(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button 320 having a pair of flanges 3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talled in the button coupling hole 340 of the button body 330, and when the button 320 is pressed, a pair of flanges 310 is pressed by a button ( 320 by pressing the operating unit 35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unit 350, the operating unit 350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fixed rail 365 provided in the fixing unit 36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unit 350. The fixing protrusion 380 of the 350 is projected through the button hole 110 of the rear housing body 120 and the button hole 160 of the inner body 170; and the moving rail unit 200 The operation plate 520 having a pin hole 250 formed in the table coupling portion 260 and a pinhole 510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4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able coupling portion 260, and the operation plate 520 is provided. When the knob 565 is ope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40 installed on the spring pin 530, the locking projection 550 at the end is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part 260. Tei The fixed part 560 is provided by the fixing part cover 570, the table 500 is provided with a table lower plate 580 and the table upper plate 590 in turn on the operation plate 520; It is.

또한, 후면 수납 몸체(120)와 전면 수납 몸체(150) 상측에 상판(195)을 설치하고, 테이블 상판(590)의 상측에는 상판(195)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마감판(595)을 구비하여, 테이블(500)을 몸체부(100)에 깔끔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동 레일부(200)에 설치되는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테이블(500)을 펼쳤을 때 테이블(500)을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에 고정시키는 테이블 고정부(560)의 걸림돌기(550)를 경사지게 형성하여,펼쳐진 테이블(500)을 접을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테이블(500)을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op plate 195 is installed on the rear accommodating body 120 and the front accommodating body 150, and a finishing plate 595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plate 19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top plate 590. To form the table 500 so as to be neatly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0, and to form a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portion 260 to be installed in the moving rail 200, the table 500 is inclined ) When the table 500 is folded to form an oblique protrusion 550 of the table fixing part 560 that fixes the table 500 to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part 260, and when folding the table 500 separat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easily fold the table 500 without the operation of.

특히, 이동 레일부(200)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210)은 판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이동 레일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20)의 설치되는 탄발스프링(210)이 버튼(320)의 조작으로 인해 감기면서 이동 레일부(200)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ball spring 210 is installed in the moving rail unit 200 is formed of a leaf spring, the ball spring spring 210 of the spring fixing flange 2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unit 200 is a button Due to the manipulation of the 320, the moving rail unit 200 is lifted up.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90),(395)는 버튼(320)의 조작에 의해 작동부(350)를 작동시키는 수직스프링과 수평스프링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390 and 395 denote vertical springs and horizontal springs fo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350 by manipulation of the button 320.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s.

즉, 탑승자가 버튼 몸체(330)에 구비되는 버튼(320)을 누르면 버튼(320) 하부의 플랜지(310)가 작동부(350)를 누르게 되고, 작동부(350)가 버튼(320)에 의해 고정부(360) 방향으로 눌리면 작동부(350)의 레일(355)이 고정부(360)의 고정레일(36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부(350)의 고정돌기(38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button 320 provided in the button body 330, the flange 310 under the button 320 presses the operating part 350, and the operating part 350 is driven by the button 320. When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360, the rail 355 of the operating part 350 moves rearward along the fixing rail 365 of the fixing part 360 while the fixing protrusion 380 of the operating part 350 moves backward. It will move.

이렇게, 작동부(350)의 고정돌기(38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고정돌기(380)가 후면 수납 몸체(120)의 버튼홀(110)과 내부 몸체(170)의 버튼공(160)을 통해 지지하고 있던 탄발스프링(210)의 스프링 고정부(230)가 해제되면서 탄발스프링(210)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 레일부(20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fixing protrusion 380 of the operation unit 350 moves to the rear, the fixing protrusion 380 passes through the button hole 110 of the rear accommodating body 120 and the button hole 160 of the inner body 170. As the spring fixing part 230 of the ball spring 210 that is being supported is released, the moving rail 200 is lifted by the force of the ball spring 210.

이동 레일부(200)가 일정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면 이동 레일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테이블 결합부(26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테이블(500)도 이동 레일부(200)와 함께 일정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oving rail unit 200 rises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table 500 coupled to the table coupling unit 260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unit 200 may also be fixed together with the moving rail unit 200. It will rise by height.

이와 같이 차량의 후열시트 중앙으로 상승한 테이블(500)의 끝단인 마감판(595)을 탑승자가 탑승자의 신체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테이블(500)이 이동 레일부(200)의 테이블 결합부(26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occupant pulls the finishing plate 595, which is the end of the table 500, which rises toward the center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oward the occupant's body, the table 500 is the table coupling part 260 of the moving rail part 200. Rotate around the will be unfolded.

즉, 테이블(500)의 테이블 하판(580)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판(520)의 핀홀(510)이 이동 레일부(200) 상부에 구비되는 테이블 결합부(260)의 핀공(250)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핀(400)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테이블(500)이 이동 레일부(200)의 테이블 결합부(260)를 기점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inhole 510 of the operation plate 520 provided below the table lower plate 580 of the table 500 rotates with the pin hole 250 of the table coupling unit 260 provided above the moving rail unit 200. It is fixed by the fixing pin 400 so that the table 500 is to rotate the table coupling portion 260 of the moving rail unit 200 as a starting point.

특히, 테이블 결합부(260)의 일측에는 경사진 형태의 걸림홈(270)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판(520) 하부에 구비되는 테이블 고정부(560)의 걸림돌기(550)는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같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이동 레일부(200)로부터 테이블(500)을 당겨 펼칠 경우 테이블(500)이 수평인 상태에서 걸림돌기(550)가 걸림홈(27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table coupling portion 260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270 of the inclined shape, the locking projection 550 of the table fixing portion 560 provided below the operation plate 520 is a table coupling portion It is formed in the same inclined shap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260, when the occupant pulls out the table 500 from the moving rail unit 200 in a state where the table 500 is horizontal The locking protrusion 55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70 to be fixed.

이때, 테이블 고정부(560)는 작동판(520)과 고정부 커버(570) 사이에 구비되되, 스프링핀(530)과 스프링(540)으로 유동 탄발력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별도의 장지 없이도 탄발적으로 걸림돌기(550)가 걸림홈(27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able fixing part 560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plate 520 and the fixing part cover 570, and is coupled to have a spring force pulverizing force to the spring pin 530 and the spring 540, a separate device Without it, the locking protrusion 55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70 and fixed.

이렇게, 펼쳐진 테이블(500)을 다시 접어 수납하기 위해서 후열시트의 탑승자가 테이블 고정부(560) 하부에 구비되는 노브(565)를 당기게 되면, 테이블 고정부(560)의 걸림돌기(550)가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과 분리되면서 테이블(500)이 이동 레일부(200)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is pulled by the knob 565 provided below the table fixing part 560 in order to fold and receive the unfolded table 500 again, the locking protrusion 550 of the table fixing part 560 becomes a table. The table 500 is erected vertically as the moving rail unit 20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270 of the coupling unit 260.

수직으로 세워진 테이블(500)과 이동 레일부(200)를 탑승자가 하부로 누르게 되면 이동 레일부(200)와 테이블(500)이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탄발스프링(210)의 스프링 고정부(230)가 버튼(320)의 작동부(350) 고정돌기(380)에 걸려 고정되면서 테이블(500)이 수납되는 것이다.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table 500 and the moving rail unit 200 which are vertically erected downward, the moving rail unit 200 and the table 500 are lowered to the lower side, and the spring fixing unit 230 of the ball spring 210 is mounted. The table 500 is accommodated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unit 380 of the operation unit 350 of the button 320.

특히, 테이블(500)을 후열시트의 탑승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후열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의 마감재와 동일한 소재의 마감재로 상판(195)을 형성하고, 콘솔 내부로 수납되는 테이블(500)의 끝단에도 상판(19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마감판(595)을 구비하여 탑승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is not used by the occupant of the table 500, an upper plate 195 is formed of a finishing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onsole installed between the rear seats, and an end of the table 500 accommodated in the console. Edo is also provided with a closing plate 595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plate 190 to improv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occupant.

또한, 차량의 후열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사용하기 위해 설치되는 테이블(500)을 후열시트 사이에 수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테이블이 전열시트 후면에 설치되었을 경우 차량의 사고 발생시 전열시트 후면의 테이블이 펼쳐지면서 후열시트의 탑승자에게 입힐 수 있는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table 500 that is installed for use by the occupant seated o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between the rear seat seats, if the table is installed in the rear seat, when the accident of the vehicle occurs, As it unfolds, it prevents injuries that may occur to the occupants of the rear seat.

100 : 몸체부 110 : 버튼홀
120 : 후면 수납 몸체 150 : 전면 수납 몸체
170 : 내부 몸체 200 : 이동 레일부
210 : 탄발스프링 220 : 고정 플랜지
230 : 스프링 고정부 250 : 핀공
260 : 테이블 결합부 270 : 걸림홈
300 : 버튼부 310 : 플랜지
320 : 버튼 350 : 작동부
360 : 고정부 380 : 고정돌기
400 : 고정핀 500 : 테이블
510 : 핀홀 520 : 작동판
550 : 걸림돌기 560 : 테이블 고정부
570 : 고정부 커버 590 : 테이블 상판
100: body 110: buttonhole
120: rear storage body 150: front storage body
170: inner body 200: moving rail portion
210: bullet spring 220: fixed flange
230: spring fixing part 250: pin ball
260: table coupling portion 270: locking groove
300: button portion 310: flange
320 button 350: operating part
360: fixing part 380: fixing protrusion
400: fixed pin 500: table
510: pinhole 520: operating plate
550: locking projection 560: table fixing part
570: fixing part cover 590: table top plate

Claims (4)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수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부 일측에 버튼홀(110)이 형성되는 후면 수납 몸체(120)와 전면 수납 몸체(150)로 이루어지며, 후면 수납 몸체(120) 내측에는 버튼홀(110)과 대응되는 곳에 버튼공(160)이 형성되는 내부 몸체(17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내부 몸체(170)에 상하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탄발스프링(210)이 스프링 고정 플랜지(220)에 의해 고정 결합되되, 탄발스프링(210)의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부(230)가 구비되어 상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탄발스프링(210)의 스프링 고정부(230) 상부에는 가로로 핀공(250)이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홈(270)이 구비되는 테이블 결합부(260)가 설치되는 이동 레일부(200);와
하부에 한 쌍의 플랜지(310)를 구비하는 버튼(320)이 버튼 몸체(330)의 버튼 결합홀(340)에 설치되며, 버튼(320)을 누르면 한쌍의 플랜지(310)가 버튼(320) 하부의 작동부(350)를 눌러 작동부(350)의 레일(355)이 작동부(350) 하부의 고정부(360)에 구비되는 고정 레일(365)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작동부(350)의 고정돌기(380)가 후면 수납 몸체(120)의 버튼홀(110)과 내부 몸체(170)의 버튼공(160)을 통해 출몰되는 버튼부(300);와
이동 레일부(200)의 테이블 결합부(260)에 형성되는 핀공(250)과 고정핀(400)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홀(510)을 구비하는 작동판(520)이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판(520) 하부에는 스프링핀(530)에 설치되는 스프링(540)의 탄발력에 의해 노브(565)를 작동시키면 끝단의 걸림돌기(550)가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에 끼워지거나 해제되는 테이블 고정부(560)가 고정부 커버(570)에 의해 구비되고, 작동판(520) 상부에는 테이블 하판(580)과 테이블 상판(590)이 차례로 구비되는 테이블(5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In the storage table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It consists of a rear housing body 120 and the front housing body 150 is formed with a button hole 110 on the upper side, the button hole 160 in th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le 110 inside the rear housing body 120 Body portion 100 consisting of an inner body 170 is formed; And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inner body 170 of the body portion 100, the lower side of the tantalum spring 210 is fixedly coupled by a spring fixing flange 220, a spring high on one side of the tanval spring 210 The government 230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pper side, the spring fixing portion 230 of the tan spring (210), the upper pin hole 250 is formed horizontally, the engaging table 270 is provided on one side A moving rail unit 200 in which the unit 260 is installed; and
A button 320 having a pair of flanges 310 at the bottom thereof is installed in the button coupling hole 340 of the button body 330, and when the button 320 is pressed, a pair of flanges 310 are pressed to the button 320. By pressing the lower operating part 350, the rail 355 of the operating part 35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ixing rail 365 provided in the fixing part 360 below the operating part 350. The fixing projections 380 of the button portion 300 is projected through the button hole 110 of the rear housing body 120 and the button hole 160 of the inner body 170; and
An operating plate 520 having a pin hole 250 formed in the table coupling part 260 of the moving rail part 200 and a pin hole 510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4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en the knob 565 is ope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40 installed on the spring pin 53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plate 520, the locking protrusion 550 at the end is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part 260. Table fixing portion 560 that is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table is provided by the fixing portion cover 570, the table 500 is provided with a table lower plate 580 and the table upper plate 590 in turn on the operation plate 520 ;
Car storag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 수납 몸체(120)와 전면 수납 몸체(150) 상측에 상판(195)을 설치하고, 테이블 상판(590)의 상측에는 상판(195)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마감판(595)을 구비하여,
테이블(500)을 몸체부(100)에 깔끔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plate 195 is installed on the rear accommodating body 120 and the front accommodating body 150, and a top plate 19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top plate 590 and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op plate 195.
Car storag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500 can be stored neatly in the body portion (10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레일부(200)에 설치되는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테이블(500)을 펼쳤을 때 테이블(500)을 테이블 결합부(260)의 걸림홈(270)에 고정시키는 테이블 고정부(560)의 걸림돌기(550)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펼쳐진 테이블(500)을 접을 경우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테이블(500)을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unit 260 installed in the moving rail unit 200 is inclined, and the table 500 is the locking groove 270 of the table coupling unit 260 when the table 500 is opened. To form the oblique protrusion 550 of the table fixing portion 560 to be fixed to,
When folding the table 500, the car retractabl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easily fold the table 500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레일부(200)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210)은 판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이동 레일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플랜지(220)의 설치되는 탄발스프링(210)이 버튼(320)의 조작으로 인해 감기면서 이동 레일부(200)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an ball spring 210 is installed in the moving rail 200 is formed of a leaf spring,
The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spring (210) installed in the spring fixing flange 2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unit 200 is rai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320 to raise the moving rail unit 200. Retractable table.
KR1020120009387A 2012-01-31 2012-01-31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KR101357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87A KR101357410B1 (en) 2012-01-31 2012-01-31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87A KR101357410B1 (en) 2012-01-31 2012-01-31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260A true KR20130088260A (en) 2013-08-08
KR101357410B1 KR101357410B1 (en) 2014-02-03

Family

ID=4921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387A KR101357410B1 (en) 2012-01-31 2012-01-31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4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096A (en) * 2018-11-04 2019-02-26 王占峰 A kind of vehicle-mounted folding toilet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017B1 (en) 2015-06-26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oldable table assembly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86U (en) * 1993-06-18 1995-01-20 アラコ株式会社 Vehicle storage tray
KR200160390Y1 (en) 1997-07-25 1999-11-01 김태구 A height-adjustable footrest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1096A (en) * 2018-11-04 2019-02-26 王占峰 A kind of vehicle-mounted folding toilet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410B1 (en)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017B1 (en) Foldable table assembly for vehicle
US8602495B2 (en) Fold-and dive structure for vehicle seat
US7967375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CN104512349B (en) For the display device fixing device of sunshading board
WO2010081144A1 (en) Seat with integral retaining wall
US9248760B2 (en) Locking and inclination-adjust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backrest lock
US20080007091A1 (en) Stowable ottoman for a vehicle passenger cabin
KR20100022547A (en) Side bolster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KR101428389B1 (en) A headrest apparatus for a multi purpose vehicle
CN107298041B (en)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JP2005313867A (en) Vehicular seat folding apparatus
US9358929B1 (en) Interior trim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1357410B1 (en) retractable table for automobile
KR102492999B1 (en) Moving console box for van
KR20140057763A (en) Seat linkage typed folding headrest device
KR20160067346A (en) Apparatus for folding headrest in vehicles
CN211335684U (en) Vehicle seat and vehicle
JP2008037237A (en) Automobile
KR20060091755A (en) Striker of the seat back folding
US8979187B2 (en) Seat or bench for a motor vehicle
JPS6322107Y2 (en)
KR102563591B1 (en) car storage table
CN109334525A (en) Seat headrest for car
CN218054954U (en) Table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JP2012250682A (en) Sliding arm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