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172A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172A
KR20130087172A KR1020120008252A KR20120008252A KR20130087172A KR 20130087172 A KR20130087172 A KR 20130087172A KR 1020120008252 A KR1020120008252 A KR 1020120008252A KR 20120008252 A KR20120008252 A KR 20120008252A KR 20130087172 A KR20130087172 A KR 2013008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110B1 (ko
Inventor
김호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일측에 상기 광원부가 실장되는 실장부와 타측에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실장부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실시 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소자로,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 기기 등에 사용되고, 점차 LED의 사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된 백라이트 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여타 광범위한 분야의 조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라이트 장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와, 발광소자 패키지의 광을 확산시키는 도광판과,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 또는 집광하는 기능을 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장치의 발광소자 패키지에 포함되는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는 고효율 저전압 구동을 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갈륨아세나이드(GaAs), 갈륨나이트라이드(GaN), 및 인듐갈륨나이트라이드(InGaN) 등의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를 포함하는 2 단자 다이오드 소자이다. 발광다이오드의 캐소드단자와 애노드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면, 발광다이오드는 전자와 정공이 결합할 때 발생하는 빛에너지로 가시광을 방출한다.
백라이트 장치는 발광소자 패키지의 위치에 따라 에지방식과 직하방식으로 구분된다.
공개번호 10-2007-0120482 에서는 에지방식의 백라이트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며, 에지방식의 백라이트 장치는 주로 랩탑형 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발광소자 패키지가 적용된 백라이트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발생한 빛을 일정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아울러 백라이트 장치의 표시 영역에 걸쳐서 균일한 발광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 백라이트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는 중요한 과제이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은 조립 시에 일정 확률로 발광소자가 손상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실시 예는 조립이 용이하면서, 회로기판과 도광판의 결합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일측에 상기 광원부가 실장되는 실장부와 타측에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실장부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백라이트 유닛의 조립 시에 도광판에 의해 광원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백라이트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 전체의 휘도를 일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광판과 회로기판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발광소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발광소자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백라이트 유닛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도광판과 회로기판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은 크게 광원부(25)와 광원부(25)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13) 및 일측에 광원부(25)가 실장되는 실장부(22)와 타측에 도광판(13)이 안착되는 안착부(24)를 포함하는 회로기판(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3) 상에는 도광판(13)에서 입사된 면광을 집광 및 광확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시트(14)를 포함할 수 있고, 도광판(13)의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시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의 아래에는 도광판(13)과 회로기판(21)을 수용하는 버텀커버(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25)는 발광소자 또는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광원부(25)가 발광소자 패키지인 경우 발광소자는 한 캐비티(c)에 한 개 이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5)는 복수 개가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광판(13)은 광원부(25)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광학시트(14)로 제공할 수 있다. 도광판(13)은 예를 들면,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광판(13)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빛이 백라이트 유닛(10)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투과되지 않고 가장자리가 더 밝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시트(12)는 도광판(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시트(12)는 광원부(25)에서 발생한 빛을 도광판(13)의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켜 광 전달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광학시트(14))는 도광판(13)에서 입사되는 면광을 집광 및 광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학시트(14)는 예를 들면, 도광판(13)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비드(bead) 등의 확산입자를 포함하여 액정 표시 패널(미도시)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필름(14a), 확산필름(14a)의 상부에서 광을 집중시키기 위해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필름(14b) 및 프리즘필름(14b)을 보호하기 위해 상면에 적층되는 보호필름(14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시트(14)는 광원부(25)로부터 출사되어 도광판(13)에 의해 가이드 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휘도 및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확산필름(14a)은 광원부(25)로부터의 광이나 프리즘필름(14b)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산란 및 집광하여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확산필름(14a)은 얇은 시트모양을 가질 수 있고, 투명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필름(14a)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광 산란용 및 광 집광용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리즘필름(14b)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프리즘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서 확산필름(14a)에서 출력되는 광을 집광한다.
프리즘필름(14b)의 프리즘패턴은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꼭지각이 90°인 직각프리즘을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한 휘도가 얻어질 수 있다.
보호필름(14c)은 프리즘필름(14b)를 보호하기 위해 프리즘필름(14b)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백라이트 유닛(10)에 강성을 유지하고, 부품들을 안착,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로기판(21)은 예를 들면, 전기 전도성을 갖는 전극패턴(미도시) 및 절연성을 가지며 전극패턴을 감싸고, 전극패턴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오프닝부(미도시)를 가지는 몸체(2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패턴에 광원부(25)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21)의 몸체(22,24)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R-4로 형성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LCP(리퀴드 크리스탈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로기판(21)은 일측에 광원부(25)가 실장되는 실장부(22)와 타측에 도광판(13)이 안착되는 안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22)와 안착부(24)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21)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실장부(22)와 안착부(24)는 회로기판(21)을 두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실장부(22)의 폭은 제한이 없지만, 지나치게 큰 경우 광원부(25)에서 발생한 광의 손실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작은 경우 조립 시에 광원부(25)에 손상을 주므로, 광원부(2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실장부(22)의 상면과 안착부(24)의 상면은 단차를 가질 수 있고, 실장부(22) 의 상면은 안착부(24)의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21)이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가지면, 백라이트 유닛(10)의 조립 시에 도광판(13)에 의해 광원부(2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백라이트 유닛(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10) 전체의 휘도를 일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실장부(22)의 상면과 안착부(24)의 상면의 단차(h)는 너무 큰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백라이트 유닛(10) 전체의 두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너무 작은 경우 도광판(13)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0.2mm 내지 0.5mm 일 수 있다.
실장부(22)와 안착부(24)의 하면은 동일 면상에 배치되어서 버텀커버(11)에 결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착부(24)의 두께는 제한이 없지만, 백라이트 유닛(10)의 조립의 용이성 및 반사시트(12)와 결합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반사시트(12)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광원부(25)와 도광판(13)의 이격거리는 너무 멀 경우 광원부(25)에서 발생한 광의 손실이 발생하고, 너무 가까운 경우 백라이트 유닛(10)의 조립 시에 광원부(25)에 손상이 발생하므로, 광원부(25)와 도광판(13)의 이격거리(d)는 0.4mm 내지 0.6mm일 수 있다. 즉, 실장부(22)에 광원부(25)가 위치되는 영역을 조절하여서 광원부(25)와 도광판(13)의 이격거리(d)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광판(13)은 결합의 신뢰성을 위해서 실장부(22)와 안착부(24)의 경계면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광판(13)의 일측면은 실장부(22)와 안착부(24)의 경계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부(24)와 실장부(22)의 경계면은 플랫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21)을 위에서 봤을 때, 안착부(24)와 실장부(22)의 경계면은 1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광판(13)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서, 도광판(13)과 회로기판(21)의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안착부(24)와 실장부(22)의 경계면은 예를 들면, 도광판(13)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a)와 상기 광원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a)와 함몰부(23b)애 개수는 제한이 없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a)의 피치 및 함몰부(23b)의 피치는 제한이 없지만,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23a)의 피치 및 함몰부(23b)의 피치는 광원부(25)와의 배치를 고려하여서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광원부(25)는 함몰부(23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도광판(13)에 광의 손실 없이 광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광원부(25)는 복수 개가 1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광판(13) 의 일측면은 돌출부(23a) 와 함몰부(23b)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광판(13)과 회로기판(21)의 결합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23a) 및 함몰부(23b)의 형상은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및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둘 이상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10) 및 액정표시패널(1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1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10)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12)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 기판(112)은 액정표시패널(1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은 구동 필름(117)을 통해 다수의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 기판(1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4)은 인쇄회로 기판(7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인쇄회로 기판(7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액정에 인가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14)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다른 기판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10) 상에는 탑커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커버(120)는 프레임(11)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탑커버(120)는 프레임(11)의 내측면과도 결합될 수 있다.
탑커버(120)와 프레임(11)은 볼트 결합, 접착제 결합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100)는 더욱 얇은 두께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일측에 상기 광원부가 위치되는 실장부와 타측에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의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실장부와 안착부의 하면은 동일 면상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의 상면과 상기 안착부의 상면의 단차는 0.2mm 내지 0.5mm 인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의 이격거리는 0.4mm 내지 0.6mm인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실장부의 경계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실장부의 경계면은 상기 도광판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광원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및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은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함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가 1열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에서 입사된 면광을 집광 및 광확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버텀커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텀커버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된 벽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가 교대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17.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일측에 상기 광원부가 실장되는 실장부와 타측에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도광판을 수용하는 버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상면은 상기 실장부의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상에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는 상기 버텀커버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와 상기 버텀커버는 볼트 결합, 접착제 결합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008252A 2012-01-27 2012-01-27 백라이트 유닛 KR10195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52A KR101956110B1 (ko) 2012-01-27 2012-01-27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252A KR101956110B1 (ko) 2012-01-27 2012-01-27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172A true KR20130087172A (ko) 2013-08-06
KR101956110B1 KR101956110B1 (ko) 2019-03-08

Family

ID=4921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252A KR101956110B1 (ko) 2012-01-27 2012-01-27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931A (zh) * 2016-07-25 2019-06-07 富特姆1有限公司 具有照明顶端的电子香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889A (ko) * 2006-01-11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82638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N100376958C (zh) * 2004-02-19 2008-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KR20110018233A (ko) * 2009-08-17 2011-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698477B2 (ja) * 2009-08-12 2015-04-0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6958C (zh) * 2004-02-19 2008-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KR20070074889A (ko) * 2006-01-11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82638A (ko) * 2006-02-17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5698477B2 (ja) * 2009-08-12 2015-04-0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表示装置
KR20110018233A (ko) * 2009-08-17 2011-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931A (zh) * 2016-07-25 2019-06-07 富特姆1有限公司 具有照明顶端的电子香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110B1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38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 emitting module
US7316496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KR1016936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070258247A1 (en) Light-emitting module capable of increasing dispersion diameter
KR101824884B1 (ko) 백라이트 유닛
JP5133459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6680311B2 (ja) 発光装置および面発光光源
JP2012004119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8882322B2 (en) Backlight unit
US9397274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116385B2 (en) Light source unit base material,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31736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124882A (ko) 렌즈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US2012009902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10797452B (zh) 发光装置
KR101848861B1 (ko) 백라이트 장치
WO201203299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956110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150051120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120014418A (ko) 발광 장치
KR10170757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608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130052199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8247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83347B1 (ko)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