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430A -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430A
KR20130086430A KR1020120007184A KR20120007184A KR20130086430A KR 20130086430 A KR20130086430 A KR 20130086430A KR 1020120007184 A KR1020120007184 A KR 1020120007184A KR 20120007184 A KR20120007184 A KR 20120007184A KR 20130086430 A KR20130086430 A KR 20130086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ump
measured
coolant
heat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744B1 (ko
Inventor
오해철
김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7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력발전소의 부분충수 운전중 원자로 고온관의 유량이 기준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거나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자동으로 보충수를 원자로 냉각재 계통으로 공급하여 보충함으로써 정상 운전 유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는 보충수가 저장되는 탱크;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원자로의 입구에 연결된 저온관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 공급 라인에서 분기되어 원자로의 출구에 연결된 고온관에 연결되고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고온관으로 공급하는 분기 라인;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어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공급라인 및 분기 라인을 통하여 저온관 및 고온관에 각각 펌핑하는 충수 펌프;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고온관에 설치되어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제1 측정부로부터의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제2 측정부로부터의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의 저온관 및 고온관으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upplying reactor coo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자로를 냉각하는 냉각 계통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계획 예방 정비 기간 동안 원자로 냉각재 계통 고온관(80)으로부터 원자로 냉각재를 흡입하여 잔열 제거 교환기(40)를 통하여 냉각한 후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90)으로 주입하는 폐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원자로 용기(20) 내의 핵 원료에서 발생하는 붕괴열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운전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계획 예방 정비 기간 동안 증기 발생기(10)의 내부 배관의 정기 검사 또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장비를 위해서는 반드시 원자로 냉각재를 고온판(80)의 상부 이하까지 배수하고 노즐 댐(70)을 이용하여 증기 발생기(10)를 임시 격리하는 부분층수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 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부분 층수 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원자로 냉각재를 부분층수 운전 수위까지 배수하는 동안 과도한 배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부분 층수 운전 기간 동안 원자로 냉각재의 누설 또는 상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저수위로 인하여 운전 중인 잔열 제거 펌프(30)에서 기포나 공기가 들어가는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잔열 제거 펌프(30)의 기능을 상실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붕괴열 제거 불가능으로 원자로(20)를 비등 또는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실제로 전 세계 원자력 발전소에서 이와 같이 저 수위에 따른 잔열 제거 펌프 상실 사례가 가끔 발생하기도 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부분 층수 운전 기간 동안 과도한 배수 또는 저수위 발생시 운전원이 경보 발생을 확인한 후 수동으로 대기 중인 고압 안전 주입 펌프나 충전 펌프와 같은 충수 펌프(50)를 가동하여 보충하는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정상 출력 운전과는 달리 계획 예방 정비 기간 중에는 가압기 저 압력에 따른 안전 주입수의 자동 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주입 신호 들을 원천적으로 우회시켜 놓고 정비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충수 펌프 기동 지연이나 기동 실패와 같은 인적 오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특허 등록번호 0121554에는 펌프에 흐르는 유량을 유지하여 펌프의 럼블링 현상을 방지하고 부분 충수 운전시 잔열 제거 계통 흡입구 측의 수두를 높여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는 원자력 발전소 부분 충수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분 충수 운전에 있어 잔열제거펌프의 흡입구와 출구측배관사이에 우회배관을 추가설치하고 이 배관에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펌프자체를 통과하는 유량을 정상운전유량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등록번호 0121554는 비록 부분충수 운전시 위해 잔열제거펌프에 흐르는 원자로냉각재의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점이 있지만, 자동 보충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 과 배수 또는 누설 발생시 보충할 수 없어 정상 운전 유량을 유지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자력발전소의 부분충수 운전중 원자로 고온관의 유량이 기준 수위 미만으로 낮아지거나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으로 낮아지는 경우 자동으로 보충수를 원자로 냉각재 계통으로 공급하여 보충함으로써 정상 운전 유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는 보충수가 저장되는 탱크;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원자로의 입구에 연결된 저온관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 상기 공급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원자로의 출구에 연결된 고온관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고온관으로 공급하는 분기 라인; 상기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공급라인 및 상기 분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에 각각 펌핑하는 충수 펌프; 상기 고온관으로부터의 원자로 냉각재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상기 고온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상기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측정부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으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은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 및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거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상기 충수 펌프를 기동하여 보충수가 상기 고온관 및 저온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계획예방 정비기간 동안만 사용하는 고온관의 유량 또는 잔열 제거 펌프 흡입구 압력을 연속 측정하고 원자로 냉각재 상실시 즉각적으로 대기중인 충수 펌프를 자동 기동시킴으로써 잔열 제거 펌프 보호 및 원자로 노심 비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원자력 발전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면 부분 충수 운전 중 원자로 냉각재 상실시 즉각적인 자동 보충기능을 통해서 잔열 제거 펌프 공동화 가능성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고, 원자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는 탱크(60), 공급 라인(140), 분기 라인(150), 충수 펌프(50), 제1 측정부(110), 제2 측정부(114),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원자로(20)는 핵 연료를 수용한다. 증기 발생기(10)는 상기 원자로(2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킨다. 잔열 제거 열교환기(40)는 라인(130) 상 상기 잔열 제거 펌프(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잔열 제거 펌프(30)로부터의 상기 펌핑된 원자로 냉각재를 열교환 처리하여 잔열을 제거한다. 라인(130)은 일단이 상기 저온관(90)에서 분기되고 타단이 상기 고온관(80)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
탱크(60)는 보충수가 저장된다. 공급 라인(140)은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원자로(20)의 입구에 연결된 저온관(90)으로 공급한다. 분기 라인(150)은 상기 공급 라인(140)에서 분기되어 상기 원자로(20)의 출구에 연결된 고온관(80)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제1 공급관(140)의 일부를 통하여 공급받아 상기 고온관(80)으로 공급한다. 충수 펌프(50)는 상기 공급 라인(14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공급 라인(140) 및 상기 분기 라인(150)을 통하여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에 각각 펌핑한다.
제1 측정부(110)는 상기 고온관(80)으로부터의 원자로 냉각재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잔열 제거 펌프(30)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잔열 제거 펌프(30)의 흡입구 압력을 측정한다. 제2 측정부(114)는 상기 고온관(80)에 설치되어 상기 고온관(80)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한다.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110)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상기 잔열 제거 펌프(30)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측정부(114)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고온관(80)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으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 신호 발생부(115), 펌프 제어부(111), 제1 밸브(100), 제2 밸브(101), 및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상기 제1 측정부(110)와 상기 제2 측정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30)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80)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연동 신호선(112)을 통하여 펌프 제어부(111)로 출력하고 제2 연동 신호를 통하여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로 각각 출력한다. 펌프 제어부(111)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15)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수 펌프(50)의 기동을 제어한다.
제1 밸브(100)는 상기 공급 라인(140) 상, 상기 분기 라인(150)의 상기 공급 라인(140)으로부터의 분기점과 상기 저온관(9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90)으로의 공급 유로를 개폐한다. 제2 밸브(101)는 상기 분기 라인(15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고온관(80)으로의 공급 유로를 개폐한다.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는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15)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밸브(100) 및 상기 2 밸브(101)의 개폐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115)에 의한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거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상기 펌프 제어부(111)는 상기 충수 펌프(50)를 기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를 각각 개방하여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가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115)에 의한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의 유량이 상기 기준 유량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 제어부(111)는 상기 충수 펌프(50)의 기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를 각각 폐쇄하여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으로의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에서, 제1 측정부(110)는 잔열 제거 펌프(30)의 흡입구 압력을 측정하고 제2 측정부(114)는 고온관(80)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한다.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한다. 즉,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기준 압력이상 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2).
단계 S22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기준 압력이상인 경우,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한다. 즉,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상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S24).
단계 S24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상인 경우,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제어 신호로서 정상 신호를 발생하여 펌프 제어부(111) 및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로 출력한다(S55). 그에 따라, 펌프 제어부(111)는 상기 정상 신호에 따라 충수 펌프(50)의 기동을 정지하고,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를 각각 폐쇄하여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으로의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단계 S60).
한편, 계획 예방정비기간 부분 충수 운전을 위해 원자로냉각재를 고온관 상부(Mid-loop)까지 배수하는 배수 운전시 과도한 배수가 발생하거나, 부분 충수 운전중 원자로냉각재 상실이 발생하여 단계 S22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기준 압력 보다 작거나 단계 S24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발생부(115)는 제어 신호로서 연동 신호를 발생하여 펌프 제어부(111) 및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로 출력한다(S30). 그에 따라, 펌프 제어부(111)는 상기 연동 신호에 따라 충수 펌프(50)를 기동하고,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116 및 117)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를 각각 개방하여(S40), 상기 탱크(60)에 저장된 보충수가 상기 저온관(90) 및 상기 고온관(80)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50). 충분한 충수가 이루어지고 난 후 고온관 저유량 또는 잔열제거펌프 흡입구 저압력 설정치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단계 S22, S24), 제어 신호 발생부(115)를 통해 충수 펌프(50)의 정지 및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 격리신호인 정상 신호가 전달되어(S55), 충수 펌프(50)가 정지하고 제1 및 제2 밸브(100 및 101)가 닫혀서 충수가 중지된다(S6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증기 발생기
20: 원자로
30: 잔열 제거 펌프
40: 잔열 제거 열교환기
50: 충수 펌프
60: 탱크
70: 노즐 댐
80: 고온관
90: 저온관
100: 제1 밸브
101: 제2 밸브
110: 제1 측정부
111: 펌프 제어부
114: 제2 측정부
115: 제어 신호 발생부
116: 제1 밸브 제어부
117: 제2 밸브 제어부

Claims (6)

  1. 보충수가 저장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원자로의 입구에 연결된 저온관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
    상기 공급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원자로의 출구에 연결된 고온관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고온관으로 공급하는 분기 라인;
    상기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를 상기 공급라인 및 상기 분기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에 각각 펌핑하는 충수 펌프;
    상기 고온관으로부터의 원자로 냉각재를 흡입하여 펌핑하는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상기 고온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상기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측정부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으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와 상기 제2 측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된 상기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측정부로부터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충수 펌프의 기동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부;
    상기 공급 라인 상, 상기 분기 라인의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분기점과 상기 저온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안전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으로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상기 분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안전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으로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2 밸브의 개폐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에 의한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거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상기 펌프 제어부는 상기 충수 펌프를 기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를 각각 개방하여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가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에 의한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의 유량이 상기 기준 유량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 제어부는 상기 충수 펌프의 기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밸브를 각각 폐쇄하여 상기 탱크에 저장된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로의 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5.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 및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을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을 기준 유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보다 작거나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기준 유량이 작은 경우, 상기 충수 펌프를 기동하여 보충수가 상기 고온관 및 저온관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잔열 제거 펌프의 흡입구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고온관의 냉각재 유량이 상기 기준 유량이상인 경우, 상기 충수 펌프의 기동을 정지하여 상기 보충수의 상기 저온관 및 상기 고온관으로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방법.
KR1020120007184A 2012-01-25 2012-01-25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KR10130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184A KR101307744B1 (ko) 2012-01-25 2012-01-25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184A KR101307744B1 (ko) 2012-01-25 2012-01-25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430A true KR20130086430A (ko) 2013-08-02
KR101307744B1 KR101307744B1 (ko) 2013-09-11

Family

ID=4921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184A KR101307744B1 (ko) 2012-01-25 2012-01-25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7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50B1 (ko) * 2013-04-30 2014-10-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냉각재에 아연수용액을 주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9530B1 (ko) * 2013-12-31 2015-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의 냉각수 계통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
CN109166638A (zh) * 2018-08-23 2019-01-08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用于小型堆的冷却剂加氢系统及方法
KR20220090109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정지 기간 중 부분 충수 운전을 제거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7080A (en) * 1982-02-05 1986-05-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artmentalized safety coolant injection system
US5268943A (en) * 1992-06-24 1993-12-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with makeup water assist from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KR0121554B1 (ko) * 1993-11-29 1997-11-22 임용규 원자력발전소 부분충수 장치와 그 운전방법
KR100942194B1 (ko) * 2007-12-18 2010-02-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배수장치 및 배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50B1 (ko) * 2013-04-30 2014-10-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냉각재에 아연수용액을 주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9530B1 (ko) * 2013-12-31 2015-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의 냉각수 계통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
CN109166638A (zh) * 2018-08-23 2019-01-08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用于小型堆的冷却剂加氢系统及方法
CN109166638B (zh) * 2018-08-23 2024-02-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用于小型堆的冷却剂加氢系统及方法
KR20220090109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정지 기간 중 부분 충수 운전을 제거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744B1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76B1 (ko) 원자로의 피동안전계통
KR101307744B1 (ko) 원자로 냉각재의 자동 보충 장치 및 방법
KR101234570B1 (ko) 냉각재 상실사고 완화가 가능한 일체형 원자로 및 그 완화방법
US20160125965A1 (en) Power Plant
KR101214692B1 (ko) 원자로 보조급수 시스템
US9478321B2 (en) Method for filling water into a main circuit of a nuclear rea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09799142B (zh) 核电站水压试验循环加热系统及循环加热方法
Nematollahi et al. A simulation of a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in a VVER-1000 plant
CN110246597B (zh) 百万千瓦级核电站辅助给水系统贮水箱的降温系统和方法
KR101840677B1 (ko) 원자로 격납건물의 격리밸브 누설률 시험장비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KR101224023B1 (ko) 피동보조 급수계통을 이용한 경수로의 응급잔열제거 및 격납용기 냉각계통
CN115451342A (zh) 一种火电厂动力设备充氮保护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44621A (ko) 증기압을 이용하는 안전계통을 가지는 원자로 및 그 동작 방법
JP2009180526A (ja) 燃料プール水補給システム
JP2015132483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の取水設備及び方法
KR20130131757A (ko) 증기구동펌프를 이용한 피동안전주입계통
KR0121554B1 (ko) 원자력발전소 부분충수 장치와 그 운전방법
JP2005172482A (ja) 原子炉注水設備
KR101224026B1 (ko) 피동보조 급수계통을 이용한 경수로의 피동 잔열제거계통
JP7223173B2 (ja) 加圧水型原子炉用の水素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応じた方法
KR102557539B1 (ko) 원자로격납건물의 냉각수 직접충수시스템
CN108688112A (zh) 水式模温机及其水压控制方法
KR101060317B1 (ko) 가압 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의 공학적 안전계통 배수장치
CN108766600B (zh) 一种一回路注水系统
KR101450450B1 (ko) 원자로냉각재에 아연수용액을 주입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