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582A - 다기능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582A
KR20130084582A KR1020120005707A KR20120005707A KR20130084582A KR 20130084582 A KR20130084582 A KR 20130084582A KR 1020120005707 A KR1020120005707 A KR 1020120005707A KR 20120005707 A KR20120005707 A KR 20120005707A KR 20130084582 A KR20130084582 A KR 2013008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dustpan
garba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093B1 (ko
Inventor
이승열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승열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열,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승열
Priority to KR10201200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0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의 임시보관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쓸어담을 때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며,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전면덮개를 구비하고, 전면덮개의 일단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며, 돌기가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빗자루를 깨끗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쓰레받기의 후면에 별도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배출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전면덮개에 가압대가 설치되어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다기능 쓰레받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쓰레받기{Multifunctional Dustpan}
본 발명은 쓰레기의 임시보관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쓸어담을 때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며,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받기는 쓰레기를 모아 담기 위한 도구로서 종래의 쓰레받기는 쓰레기가 담기는 쓰레기수납부가 얕고 전면이 완전 개방되어 사용중 쓰레기가 바람에 흩어지기 쉽다. 물기를 포함하는 쓰레기를 담을 경우 별도의 분리기능이 없어 쓰레기수납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쓰레받기 내부에 악취가 발생하며 쓰레기의 무게도 증가하여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종래의 쓰레받기는 양단부의 외측면에 고정핀(12)이 형성된 'U'자 형상의 손잡이(10)가 하향관통되는 뚜껑(30)과 상기 고정핀(12)은 개구부를 갖는 함체상의 수납부(20)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30)은 상기 수납부(20)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회동구(22)에 결합 되어 상기 손잡이(10)의 회동에 의해 뚜껑(30)이 개폐가 되는 쓰레받기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쓰레받기는 소량의 쓰레기를 담은 상태에서 잠시 보관하였다가 다시 청소를 해야 하는 작업장 같은 장소의 경우 보관중 쓰레기가 외부로 흘러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뭇잎이나 신문지 등을 담을 경우 쓰레기의 부피로 인해 쓰레받기를 자주 비워야 하고 많은 양의 쓰레기를 담은 상태에서 이동을 하면서 청소를 하여야 할 경우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청소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쓰레기를 수납부(20)에 담을 경우 쓰레기의 부피로 인해 쓰레기의 수납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고 손잡이(10)에 많은 연결수단을 갖게 되므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48790 (쓰레받기)
본 발명은 손잡이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전면덮개를 구비하고, 전면덮개의 일단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며, 돌기가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빗자루를 깨끗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쓰레받기의 후면에 별도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배출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전면덮개에 가압대가 설치되어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120)를 갖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에 형성된 제1회전축(111)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2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손잡이(300); 상기 제2 개구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배출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2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하여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제1 배출구 덮개(4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내측에는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를 패쇄할 때 상기 수용공간(S)에 보관된 쓰레기를 가압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가압대(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에는 수용공간(S)에 보관된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대(13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에 삽입되는 바닥판(421)과 상기 바닥판(4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422) 및 상기 바닥판(421)과 측판(422)을 고정하고 상기 제2 개구부(120)를 덮는 제2 배출구 덮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와 인접하는 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홈(431)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며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제3 배출구 덮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덮개에 가압대를 설치하여 쓰레받기 내부에 쓰레기를 가압대를 통해 압박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쓰레받기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받기의 바닥면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쓰레받기 내부로 이동된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덮개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사용하여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쓰레받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쓰레받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몸체(100)를 갖는다. 몸체(100)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120)가 몸체(100)의 양측에 형성된다. 제1 개구부(110)의 일측에는 제1회전축(111)이 형성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몸체(100)에는 제1 개구부(110)를 덮는 덮개(200)가 형성된다. 덮개(200)는 제1회전축(111)과 연결된다. 제1회전축(111)의 내부에는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덮개(200)는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200)는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덮개(200)의 중앙에는 손잡이(300)가 형성된다.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0)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 지지대(320)로 형성된다. 손잡이 지지대(320)의 끝단에는 회전봉(도면부호 미부여)이 설치되고 덮개(200)에 연결된 손잡이(30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300)는 덮개(2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 을 참조하면 손잡이(3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덮개(200)에 연결된 손잡이 지지대(320)가 덮개(200)를 개방하여 쓰레기 등을 몸체(100) 내부로 쓸어 담을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2 개구부(120)에는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배출수단(400)이 설치된다. 배출수단(400)은 제1 배출구 덮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 덮개(410)는 제2 개구부(12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21)과 연결된다. 제2 회전축(121)은 제1회전축(111)과 동일하게 내부에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덮개(410)는 제2 회전축(121)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몸체(100) 내부에 보관된 쓰레기를 제1 배출구 덮개(410)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120)에 쓰레기봉투나 별도의 쓰레기 자루 등을 부착하면 몸체(100) 내부의 쓰레기를 자주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상부에는 제1 배출구 덮개(410)와 체결되는 체결수단(4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쓰레받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배출구 덮개(410)는 체결수단(411)에 의해 체결되어 제2 개구부(1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몸체(100) 내부에 쓰레기가 일정량에 도달했을 경우 제1 배출구 덮개(410)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체결수단(411)은 제1 배출구 덮개(410)를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 어떠한 방법을 써도 무관하다.
도 3 을 참조하면 덮개(200)의 내측에는 가압대(210)가 설치된다. 가압대(210)는 덮개(200) 내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대 연결봉(21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가압대 연결봉(211)은 덮개(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대(210)는 덮개(200)에 돌출 형성된 가압대 연결봉(211)에 연결되어 덮개(200) 내측면과 가압대 연결봉(211)의 돌출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가압대 연결봉(211)의 돌출되는 길이는 사용자의 설계변경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가압대(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바닥면에는 이탈방지대(130)가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대(130)는 몸체(10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외부에서 쓰레기가 이탈방지대(130)의 경사면을 타고 수용공간(S)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탈방지대(130)는 몸체(100)를 일정각도 기울일 때 수용공간(S)의 작은 쓰레기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대(130)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의 (a)를 참조하면 손잡이(300)에 의해 덮개(200)가 개방된다. 이때 빗자루를 사용하여 외부에 나뭇잎이나 쓰레기 등을 수용공간(S)으로 쓸어 담는다.
도 4 의 (b)를 참조하면 쓰레기는 이탈방지대(130)에 걸려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쓰레기는 수용공간(S)에 위치한다. 이때 덮개(200)가 서서히 닫히면서 가압대(210)가 수용공간(S)에 일측에 위치한 쓰레기를 가압한다. 쓰레기는 가압대(210)에 의해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몸체(100) 내부에 부피가 큰 쓰레기나 나뭇잎 등으로 인해 수용공간(S)이 차게 되면 덮개(200)를 닫음과 동시에 가압대(210)가 쓰레기를 가압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4 의 (c)를 참조하면 수용공간(S)에 쓰레기가 일정량 차게 되면 몸체(100)를 일정각도 기울이고 체결수단(411)을 해제하여 제1 배출구 덮개(410)를 개방한다. 쓰레기의 하중에 의해 제1 배출구 덮개(410)가 개방되면서 수용공간(S)의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2 회전축(121)에 설치된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제1 배출구 덮개(410)는 서서히 닫히면서 체결수단(411)에 의해 제1 배출구 덮개(410)가 고정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덮개(200)의 끝단에는 다수개의 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돌기(220)는 덮개(200) 끝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돌기(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빗자루의 정전기나 빗자루의 빗살에 끼인 오물이나 쓰레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이탈방지대(130)도 그 형상이 다수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의 (a)를 참조하여 빗자루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몸체(100)의 바닥면과 돌기(220) 사이에 빗자루를 위치시킨다. 덮개(200)를 닫으면 다수개의 돌기(220)들이 빗자루의 빗살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빗자루는 최대한 몸체(100) 내부로 밀착시킨다.
도 5 의 (b)를 참조하면 끼워진 빗자루를 서서히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다수개의 돌기(220)에 오물이나 쓰레기 등이 돌기(220)에 걸려 빗자루에 끼인 오물이나 쓰레기가 몸체(100)의 수용공간(S)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게 되면 빗자루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자루에 붙어 있던 쓰레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기가 있는 쓰레기 등을 수용공간(S)에 보관할 경우 수용공간(S)에 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때 몸체(100)를 기울이면 돌기(220)의 틈사이로 수분은 배출되고 쓰레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여 쓰레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배출수단(400)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의 (a)를 참조하면 배출수단(400)은 제2 개구부(120)에 삽입되는 바닥판(421)을 포함한다. 바닥판(421)의 양측에는 측판(422)이 각각 설치된다. 바닥판(421)과 측판(422)은 제2 개구부(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끼워진다. 바닥판(421)과 측판(422)을 각각 고정하고 제2 개구부(120)를 덮는 제2 배출구 덮개(420)가 형성된다. 즉, 제2 배출구 덮개(420)에 고정된 바닥판(421) 및 측판(422)은 제2 개구부(120)에 끼워져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배출구 덮개(420)는 제2 개구부(120)의 차단과 개방을 제어하여 수용공간(S)에 보관된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의 (b)를 참조하면 제2 개구부(120)의 내주면에는 체결홈(431)이 형성된다. 체결홈(431)은 제2 개구부(120)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수단(400)은 체결홈(431)에 슬라이딩 되도록 끼워져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제3 배출구 덮개(430)를 포함한다. 제3 배출구 덮개(430)가 체결홈(431)에 안내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개구부(120)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수용공간(S) 내부의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 제3 배출구 덮개(430)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몸체 110 : 제1 개구부
111 : 제1회전축 120 : 제2 개구부
121 : 제2회전축 130 : 이탈방지대
200 : 덮개 210 : 가압대
211 : 가압대 연결봉 220 : 돌기
300 : 손잡이 400 : 배출수단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120)를 갖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에 형성된 제1회전축(111)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2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손잡이(300);
    상기 제2 개구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배출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에 형성된 제2 회전축(12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하여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제1 배출구 덮개(4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내측에는,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제1 개구부(110)를 패쇄할 때 상기 수용공간(S)에 보관된 쓰레기를 가압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가압대(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끝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에는 수용공간(S)에 보관된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대(13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에 삽입되는 바닥판(421)과 상기 바닥판(4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422) 및 상기 바닥판(421)과 측판(422)을 고정하고 상기 제2 개구부(120)를 덮는 제2 배출구 덮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제2 개구부(120)와 인접하는 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홈(431)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며 제2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제3 배출구 덮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쓰레받기.
KR1020120005707A 2012-01-17 2012-01-17 다기능 쓰레받기 KR10138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07A KR101381093B1 (ko) 2012-01-17 2012-01-17 다기능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707A KR101381093B1 (ko) 2012-01-17 2012-01-17 다기능 쓰레받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582A true KR20130084582A (ko) 2013-07-25
KR101381093B1 KR101381093B1 (ko) 2014-04-04

Family

ID=4899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707A KR101381093B1 (ko) 2012-01-17 2012-01-17 다기능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20230115671A (ko) * 2022-01-27 2023-08-03 박예솔 장애우용 쓰레받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10B1 (ko) 2018-10-17 2019-04-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 손 작업이 가능한 청소도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790Y1 (ko) * 2001-03-13 2001-10-31 송석순 쓰레받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KR20230115671A (ko) * 2022-01-27 2023-08-03 박예솔 장애우용 쓰레받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093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5882C1 (ru) Пылесос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20060162117A1 (en) Vacuum cleaner and floor dustpan system
EP3323336A1 (en) Vacuum cleaner
KR101381093B1 (ko) 다기능 쓰레받기
KR100894685B1 (ko) 쓰레받기가 구비된 쓰레기 저장통
US5924162A (en) Waste receptacle with a sweeping ramp having protruding teeth
JP2008154801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6320455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2086648B1 (ko) 빗자루가 탈부착되는 쓰레받기
KR101171887B1 (ko) 전동브러쉬를 구비한 쓰레기통.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255988B1 (ko)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KR20110025280A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TWI417077B (zh) vacuum cleaner
KR20140035188A (ko)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CN116261415A (zh) 吸尘器基站
KR102088225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의 쓰레받기 승강장치
CN115108199A (zh) 一种垃圾桶
KR20170064347A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JP2006256749A (ja) 廃油回収容器
KR20180054048A (ko) 흘림방지커버와 개구부가 있는 쓰레받기
KR102406189B1 (ko) 청소기 시스템
CN218559952U (zh) 一种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