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730A -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730A
KR20130083730A KR1020120004517A KR20120004517A KR20130083730A KR 20130083730 A KR20130083730 A KR 20130083730A KR 1020120004517 A KR1020120004517 A KR 1020120004517A KR 20120004517 A KR20120004517 A KR 20120004517A KR 20130083730 A KR20130083730 A KR 2013008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output
frequency band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128B1 (ko
Inventor
최종민
김동욱
손준일
구윤서
김종진
배상욱
엄준훤
이흔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28B1/ko
Priority to US13/740,798 priority patent/US9420381B2/en
Publication of KR2013008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고,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 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Multimedia playing apparatus for outputting modulated sound according to hearing characteristic of a user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reof}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고,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향 기기의 사용, 소음 환경의 증대와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난청에는 청력이 상실되어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경우 보다, 청력의 일부가 저하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듣는 데 불편함이 있거나, 한쪽 귀에만 청력의 손실이 있는 경우가 더 많다.
이와 같이 청력의 일부가 손실된 경우, 일반인들은 생활에 큰 불편함을 느낄 정도로 난청이 진행된 이후에 병원을 방문하거나, 일상 생활에서 큰 불편함이 없는 경우 별다른 조치없이 생활한다. 또는, 병원을 방문하여 청력의 손실을 진단받더라도, 보청기 등의 청력 보조 장치에의 거부감이나 착용의 불편함 등으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고,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고,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상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 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음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함으로써 편리하고 빠르게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청력의 검사 시, 손쉽고 빠르게 보정(calibration)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로 멀티미디어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청력 보조 장치 등의 도움없이 집에서 편안하게 멀티미디어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채널들 각각에 대해서 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양쪽 귀의 청력 특성의 차이가 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청력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 및 양 이간 시간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영어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Phonetically Balanced Wor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는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을 검사하는 일례를 나타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소리출력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텍스트, 그래픽, 영상, 음성 등이 혼합된 다양한 매체를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TV, PC(Personal Computer), 프로젝터(projecto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리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최소의 강도(이하, 최소가청치라 한다)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소리출력부(110)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하고, 각 주파수 대역의 소리에 대해서 이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110)는 단일한 주파수로 구성된 클릭(click), 톤핍(tone pip, '삐-'하는 소리), 톤 버스트(tone burst) 등과 같은 음을 출력할 수 있다.
클릭음을 출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소리출력부(110)는 1kHz의 일정한 주파수로 구성된 클릭음을 소리의 강도를 점차로 증가하거나 점차로 감소하여 반복해서 출력한다. 소리출력부(110)는 1kHz 이외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클릭음의 소리의 강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소(phoneme)는 말의 의미를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로, /ㄱ/, /ㄲ/, /ㅋ/, /ㅏ/, /ㅗ/ (영어로는 /g/, /k/, /a/, /o/)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때, 음소들은 각 음소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음소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음소를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복수 개의 음소들을 출력하여 음소들 각각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리출력부(110)는 하나의 음소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하고, 다른 음소들에 대해서도 이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소리출력부(110)는 음소 /ㄴ/에 대해서 소리의 강도를 점차로 증가하거나 점차로 감소하여 반복해서 출력한다. 소리출력부(110)는 /ㄴ/ 이외의 다른 음소들에 대해서도 소리의 강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음소 /ㄴ/은 그 주파수 특성에 따라 250Hz ~ 5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음소 /ㄴ/에 대한 최소가청치는 음소 /ㄴ/을 구성하는 250Hz ~ 5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의 최소가청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음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음절 또는 어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음소는 결합하여 음절 또는 어음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ㅎ/, /l/과 /ㅁ/의 음소들이 결합하여 /힘/이라는 음절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소리출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음절 또는 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소들은 각 음소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음절 또는 어음을 출력하고 출력된 음절 또는 어음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서, 출력된 음절 또는 어음을 구성하는 음소들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소리출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음소들로 구성된 음절 또는 어음을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하고, 다른 음소들로 구성된 음절 또는 어음에 대해서도 이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익숙한 어음을 이용하여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이용하는 경우,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음을 반복하여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이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소리출력부(110)가 출력하는 음절 또는 어음은 발음할 때 발생하는 음압이 유사한 음소들로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이를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Phonetically Balanced Word)라 한다.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는 음절을 구성하는 음소들의 음압이 유사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게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로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를 이용하는 경우, 더욱 쉽고 빠르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
소리출력부(110)가 출력하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는 앞에서 실시예로서 설명한 소리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소리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리출력부(110)는 스피커 등의 음향 기기 또는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사운드 카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소리출력부(11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리출력부(110)에서 출력된 소리를 듣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가청 여부를 사용자 응답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출력부(110)는 1kHz의 클릭음을 20dB의 강도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출력된 20dB의 클릭음을 들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20dB의 강도로 출력된 1kHz의 클릭음에 대하여 사용자의 가청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출력된 소리에 대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인식한 소리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리출력부(110)는 음소 /ㄴ/을 20dB의 강도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인식한 소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20dB의 강도로 출력된 음소 /ㄴ/에 대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인식한 소리를 나타내는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드, 리모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는 등에 의해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고,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소리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를 결정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threshold of audibility)를 나타낸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소리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음으로써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한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소리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에 이상이 있는지, 어느 주파수 대역의 소리에 청력의 손실이 있는지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청력 손실(hearing loss)이 어느 정도인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최소가청치가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청력 손실의 레벨을 산출한다. 이때, 소정의 허용 범위는 의학적으로 청력이 정상으로 판별되는 기준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서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청력의 손실이 있음을 결정하고, 청력의 손실이 있다고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청력 손실의 레벨을 산출한다. 이때, 청력 손실의 레벨은 사용자의 청력의 최소가청치와 정상 청력의 최소가청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청력 손실이 있다고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청력 손실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력 손실 레벨에 기초하여 소리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에 따라 조정된(modulated) 소리를 소리출력부(110)를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의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게 청력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듣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레벨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의 소리가 증폭되는 레벨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증폭되는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력 특성으로부터 고주파 대역에서 청력 손실이 있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서(130)는 고주파 대역의 소리만 증폭되어 출력되도록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소리의 출력 레벨만 조절하여 멀티미디어의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노화 등으로 인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만 잘 들을 수 없는 사용자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소리가 출력되는 출력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는 조절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의 재생시 소리의 전체 볼륨만을 키움으로써 큰 소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청력 손실이 더욱 악화되며 청력 손실이 없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도 청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장치(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대역을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고,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등의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소리를 복잡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압축비(compression ratio), 압축 지점(knee point), 압축 시간(attack time)과 해제 시간(release time)을 각각 조절하여 비선형으로 소리의 크기를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30)가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상에서 논의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의 레벨을 보상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이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각 주파수별 출력 레벨을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은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고, 각 주파수 대역별 최소가청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140)는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별 출력 레벨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140)는 이와 같이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소리를 재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메모리(14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독출하여, 그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별 청력 특성의 이력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이미 청력 특성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다시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청력 특성의 이력을 참조하여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독출하여, 독출된 청력 특성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청력 손실이 있는지 여부,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손실의 레벨의 정도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고주파 대역에서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소리출력부(110)는 고주파 대역의 소리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소리에 대한 청력 특성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소리출력부(110)는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사용자의 손실 레벨에 기초하여 손실 레벨 근처의 강도부터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또한, 사용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 이력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이 악화되는지 여부, 청각 기관의 수술 후 청력의 회복 여부, 노화에 의한 청력 손실의 진행 정도, 갑작스런 소음에 의한 돌발성 난청의 진행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기적인 청력 검사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저장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로는 단일한 주파수로 구성된 클릭, 톤핍, 톤 버스트 등과 같은 음이 있다. 이 외에 소리출력부(11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음소를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에는 음소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 그룹들 또는 음소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음소들로 구성된 음절들의 그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음소들의 그룹 또는 음절들의 그룹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음소 또는 음절들을 포함한다. 가청 주파수 범위란 사람의 귀가 소리로 느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 영역으로, 약 15Hz 이상 20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즉, 가청 주파수 범위 내를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음소들로 구성된 음절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과 음소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목록에 포함된 음절들의 그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와 메모리카드(Memory Car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Memory)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전송받거나,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소리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와 연결된 또 다른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와 또 다른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헤드셋(head set) 또는 이어폰(earphone)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소리출력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방향성 검사는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사로 사용자를 둘러싼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소리가 들리는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사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소리출력부(110)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채널들 각각의 소리는 사용자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방향에서 출력된 소리를 듣고, 소리가 출력된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한 소리의 방향을 선택하거나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소리를 인식한 방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방향 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번호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소리의 출력 방향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된 번호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리를 인식한 방향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가 소리를 인식한 방향을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출력된 소리의 방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소리의 방향을 비교한다. 즉, 프로세서(130)는 소리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된 소리의 방향과 사용자가 인식한 소리의 방향을 비교한다. 프로세서(130)는 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을 검사한다.
방향성은 소리의 시간차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방향성의 검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가 출력된 방향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소리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시간차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하는 능력를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방향성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소리출력부(110)의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시간차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제 1 소리출력부(210), 제 2 소리출력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50)와 동일하며,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유닛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두 개 이상의 채널들은 채널수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소리출력부(11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 두 개의 채널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채널로 구성된 소리가 각각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고,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우측과 좌측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한다.
제 1 소리출력부(210)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소리출력부(210)는 단일한 주파수로 구성된 클릭, 톤핍, 톤 버스트 등과 같은 음을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제 1 소리출력부(210)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도 음의 강도를 변경하여 반복해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제 1 소리출력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소리출력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소들에 대해서도 소리의 강도를 변경하여 반복해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제 1 소리출력부(210)를 통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우측 귀의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 1 소리출력부(210)가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는 음소, 음절, 어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소리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제 2 소리출력부(220)는 앞에서 설명한 제 1 소리출력부(210)와 동일하게 단일한 주파수로 구성된 음을 다양한 강도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반복해서 출력하거나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소들, 음절들, 어음들의 소리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한쪽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동안에 나머지 귀는 차폐하여 한쪽 귀에 대한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동안 사용자의 좌측 귀는 차폐하여, 사용자가 제 1 소리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된 소리는 사용자의 우측 귀를 통해서만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차폐는 사용자의 양쪽 귀의 청력이 차이가 있는 경우, 한쪽 귀의 청력 특성의 측정에 나머지 귀의 청력 특성이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양쪽 귀 각각의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청력 손실이 큰 쪽의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때 사용자가 청력 손실이 없거나 적은 나머지 귀로 제 1 소리출력부(210))(또는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된 소리를 들어 청력 손실이 큰 쪽 귀의 청력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130)에서 획득된 청력 손실이 큰 쪽의 귀의 청력 특성이 실제 귀의 청력 특성보다 청력 손실이 크지 않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도가 떨어지는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의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 손실이 제대로 보상된 소리를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양쪽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한쪽 귀를 차폐하고 나머지 귀에 대해서만 제 1 소리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된 소리를 듣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쪽 귀 각각에 대한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한쪽 귀를 차폐하기 위한 방법으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거나, 청력 손실이 없거나 적은 귀에 잡음을 출력함으로써 차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차폐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의 소리 강도를 다르게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양쪽 귀의 상대적인 소리 강도를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동일한 강도의 소리에 대해서 한쪽 귀에서 더 큰 소리가 들린다고 응답을 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를 다르게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양쪽 귀의 상대적인 소리의 강도를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를 각각 조절하여 사용자로부터 양쪽 귀의 상대적인 소리의 강도를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양쪽 귀의 상대적인 최소가청치를 획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사용자의 양쪽 귀의 상대적인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한 상대적인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이전에 측정된 사용자의 좌측 귀 또는 우측 귀 각각에 대한 청력 특성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있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하였다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위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한 상대적인 청력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좌측 귀 또는 으측 귀 각각에 대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쪽 귀의 상대적인 청력 특성을 이용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의 상대적인 출력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양쪽 귀의 청력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별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제 2 소리출력부(220)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좌측 귀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별 최소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부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가청 여부나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로부터 출력된 소리에 대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인식한 소리를 선택받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소리와 제 2 소리출력부(22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소리출력부(210) 또는 제 2 소리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압을 측정하는 사운드레벨 미터(sound level me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설정된 소리의 강도와 실제로 제 1 소리출력부(210) 또는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서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보정(calibration)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운드 레벨 미터(sound level meter)를 포함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 또는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서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고 출력되는 소리의 강도를 보정한다.
이에 따라, 시간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는 시스템의 출력 강도가 변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사운드 레벨 미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는 시스템의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사운드 레벨 미터를 이용하여 청력 특성을 검사하는 시스엠의 주기적인 보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양쪽 귀의 청력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채널의 출력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양쪽 귀의 청력 손실이 다른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청력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참조하여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 1 소리출력부(210)를 통해서 소리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30)는 회득된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최소가청치가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즉, 사용자의 우측 귀의 최소가청치가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 대역은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의 최소가청치와 정상 청력의 최소가청치 차이를 나타내는 청력 손실의 레벨을 산출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2 소리출력부(220)를 통해서 소리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좌측 귀에 대해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손실의 레벨을 산출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우측 귀와 좌측 귀의 청력 특성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별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손실의 레벨을 비교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청력 손실이 있다고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 대역인 경우, 채널들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함으로써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채널들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음압을 증가함으로써 채널들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청력 손실이 있다고 결정된 고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인 경우, 채널들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차를 증가함으로써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채널들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되는 시간차를 증가함으로써 채널들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차를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으로부터 사용자가 저주파 대역에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저주파 대역의 청력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이 1 dBSPL의 출력 레벨차를 가지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청력의 손실 레벨을 참조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의 출력 레벨차가 2 dBSPL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으로부터 사용자가 고주파 대역에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의 시간차를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고주파 대역의 청력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이 1 msec의 시간차를 가지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청력의 손실 레벨을 참조하여 제 1 소리출력부(21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과 제 2 소리출력부(220)로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의 시간차가 2 msec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성분이 저주파 대역인지 고주파 대역인지에 따라, 프로세서(130)가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할지와 출력 시간차를 증가할지가 달리진다. 이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양 이간 출력 레벨차(ILD)와 양 이간 출력 시간차(ITD)의 주파수 의존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는 고주파 대역에서는 높게 나타나지만, 저주파 대역에서는 의존도가 높지 않다. 또한, 양 이간 시간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는 저주파 대역에서는 높게 나타나지만, 고주파 대역에서는 의존도가 높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양 이간 출력 시간차의 주파수 대역별 의존도 및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의 주파수 대역별 의존도를 참조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와 출력 시간차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 및 출력 시간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함으로써 양 쪽 귀의 청력 손실의 레벨 차이가 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청력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청력 손실이 보상된 적절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다른 쪽 귀에 비하여 청력 손실이 없거나 청력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귀에 대하여 청력 손실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와 출력 시간차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별로 결정된 출력 레벨차와 출력 시간치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음 번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메모리(140)로부터 사용자에 해당하는 결정된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독출함으로써 각 사용자별로 적합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사용자별로 결정된 사용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의 이력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음 번에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청력 특성을 검사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에 해당하는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의 이력을 독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독출하고, 독출된 청력 특성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청력 손실이 있는지 여부,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손실의 레벨의 정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정보를 참조하여,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만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 손실의 경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청력 손실의 레벨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 레벨 근처의 강도부터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특성의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50)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를 전송받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청력 손실이 있거나, 양쪽 귀의 청력 손실의 정도가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청력 손실에 대해서도 쉽고 빠르게 보상이 가능하다.
도 3은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 및 양 이간 시간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양 이간 출력 레벨차(ILD, Interaural Level Difference)의 주파수 의존도와 양 이간 출력 시간차(ITD, Interaural Time Difference)의 주파수 의존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주파수(Hz)를 나타낸다.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이하, ILD라 한다)의 주파수 의존도는 점선(310)으로 표시되어 있고, 양 이간 출력 시간차(이하, ITD라 한다)의 주파수 의존도는 실선(3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ITD의 주파수 의존도(300)는 고주파 대역에서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점점 감소한다, 이에 따라, ITD는 약 1.5 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는 주파수 의존도가 높지만, 1.5 k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의존도가 점점 감소한다. 이는, 1.5 k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채널들 사이의 위상(phase)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ILD의 주파수 의존도(310)는 저주파 대역에서 낮은 주파수 의존도를 가지며,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점점 증가한다. 이와 같이, ILD는 약 3.5 k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의존도가 높지 않다가, 3.5 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의존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에 따라 양 이간 출력 레벨차(ILD)와 양 이간 출력 시간차(ITD)의 주파수 의존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사용자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의 성분이 저주파 대역인지 고주파 대역인지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가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ILD)를 증가할지와 출력 시간차(ITD)를 증가할지가 달리진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 이간의 청력 손실의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사용자는 양측 귀의 청력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쪽 귀의 청력의 손실이 적절하게 보상된 소리를 들음으로써 청력이 상대적으로 좋은 한쪽 귀만 이용하여 소리를 듣을 때 보다 더 적은 음량의 소리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듣더라도, 양쪽 귀의 청력이 균형을 이룬 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신호대 잡음비(S/N ratio)가 향상되어 어음인지도와 어음판별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잘 듣기위해 음량을 지나치게 높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청력이 좋은 쪽 귀의 청력의 손실을 야기하거나 청력 손실이 큰 쪽 귀의 청력의 손실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국어 음소들에 대하여 음소들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하여 자음들과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고, 피크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각 자음들과 모음들이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음들의 목록(401)은 자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위 주파수 범위에 따라 자음들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룹 1(4011)은 약 250Hz 이상 5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4012)는 약 65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3(4013)은 약 300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한다.
그룹 1(4011)에 속하는 자음은 /ㄴ/, /ㅁ/, /ㄹ/ 등이 있고, 그룹 2(4012)에 속하는 자음은 /ㄱ/, /ㄲ/, /ㅋ/, /ㅂ/, /ㅃ/, /ㅍ/, /ㅎ/ 등이 있고, 그룹 3(4013)에 속하는 자음은 /ㄷ/, /ㄸ/, /ㅌ/, /ㅈ/, /ㅉ/, /ㅊ/, /ㅅ/, /ㅆ/ 등이 있다.
또한, 모음들의 목록(402)은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모음들의 목록(4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은 3개의 포먼트 주파수(formant frequency)로 구성된다. 이때, 포먼트 주파수란 모음을 나타내는 시간(time) 대비 소리의 크기(dB)를 주파수 축으로 적분 변환하여 나타나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높게 나타내는 피크(peak) 주파수들을 의미한다. 모음들의 목록(4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는 3개의 포먼트 주파수를 각각 저주파 대역부터 순서대로 제 1 포먼트, 제 2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로 나타낼 수 있다. 모음들의 목록(4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의 주파수 대역은 대부분의 모음이 유사하기에, 제 2 포먼트 대역을 중심으로 모음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른 그룹 2-1(4021)은 제 2 포먼트가 약 600Hz 이상 8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2(4022)는 제 2 포먼트가 약 1000Hz 이상 13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3(4023)은 제 2 포먼트가 약 200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한다.
그룹 2-1(4021)에 속하는 모음은 /우/, /오/ 등이 있고, 그룹 2-2(4022)에 속하는 모음은 /아/, /으/ 등이 있고, 그룹 2-3(4023)에 속하는 모음은 /이/, /예/ 등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음소들을 출력한 결과 그룹 3(4013)의 자음들에 대한 가청 정도가 낮고, 또한, 모음 /우/와 /아/ (또는, 모음 /오/와 /으/)를 잘 구별하지 못한다면, 사용자는 그룹 2-2(4022)의 주파수 범위인 약 1000Hz 이상 13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과 그룹 3(4013)의 주파수 범위인 약 200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청력 손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한국어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영어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어 음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고,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각 음소들이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소들의 목록(501)은 음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위 주파수 범위에 따라 음소들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룹 1(5011)은 약 300Hz 이상 12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하고, 그룹 2(5012)는 약 1200Hz 이상 4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하고, 그룹 3(5013)은 약 4000Hz 이상 8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한다.
그룹 1(5011)에 속하는 음소는 /m/, /d/, /b/, /i/, /o/, /a/, /n/, /e/, /l/. /u/, /r/ 등이 있고, 그룹 2(5012)에 속하는 음소는 /p/, /h/, /g/, /k/, /ch/, /sh/ 등이 있고, 그룹 3(5013)에 속하는 음소는 /f/, /s/, /th/ 등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한국어 및 영어의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에는 음절을 구성하는 음소가 나타내는 피크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음소들의 그룹 또는 음절들의 그룹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그룹들을 구성하는 음소들 또는 음절들은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Phonetically Balanced Word)"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Phonetically Balanced Word)"란 음절을 발음할 때 발생하는 음압이 유사하여 전체적으로 음소가 균형을 이루는 음절들의 그룹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Phonetically Balanced Wor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601)이 나타나있고,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601)은 4개의 그룹을 포함하고, 그룹들 각각은 대등한 명료도를 가지는 음절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601)은 그룹 1(6011), 그룹 2(6012), 그룹 3(6013), 그룹 4(6014)로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는 위 그룹들에 포함된 단음절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601)은 음절을 발음할 때 발생하는 음압이 유사하여 전체적으로 음소가 균형을 이루는 음절들의 그룹에 대한 일례에 해당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발성학적 동일 음압 단어 목록(601)에 한정되지 않고, 음절을 발음할 때 발생하는 음압이 유사하여 전체적으로 음소가 균형을 이루는 음절의 다른 목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701 단계에서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각각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제 1 소리출력부(210)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제 2 소리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단일한 주파수로 구성된 음을 다양한 강도로 주파수를 변경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 즉, 음소들, 음절들, 어음들의 소리를 다양한 강도로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다.
702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701 단계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제 1 소리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은 것으로부터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이 획득되고, 제 2 소리출력부(22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은 것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이 획득된다.
703 단계에서 프로세서(130)는 702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최소 가청치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30)는 제 1 소리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 2 소리출력부(210)에서 출력된 소리에 대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입력된 사용자의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좌측 귀의 청력 특성을 획득한다.
704 단계에서 프로세서(130)는 703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참조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최소가청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우측 귀의 청력 특성과 좌측 귀의 청력 특성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최소가청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이때, 소정의 허용 범위는 의학적으로 청력이 정상으로 판별되는 기준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서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 대역은 청력의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에 대하여 청력의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705 단계에서 프로세서(130)는 704 단계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비교한다.
프로세서(130)는 우측 귀와 좌측 귀 각각의 청력의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의 특성, 즉, 최소가청치를 비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청력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우측 귀와 좌측 귀에 대한 청력 손실의 레벨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한 청력 손실의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청력 손실의 레벨은 사용자의 청력의 최소가청치와 정상 청력의 최소가청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706 단계에서 프로세서(130)는 705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양 이간 출력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와 양 이간 시간 레벨차의 주파수 의존도를 참조하여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하여 청력의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 대역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채널들 각각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하여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청력의 손실이 있는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채널들 각각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차를 증가하여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할 수 있다.
707 단계에서 제 1 소리출력부(210)와 제 2 소리출력부(220)는 706 단계에서 결정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손실이 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청력 보조 장치없이도 소리의 청취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청력의 손실이 보상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별 사용자의 청력 특성과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저장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맞게 조정된 소리를 들려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측 귀의 청력의 손실이 차이나는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조절함으써, 사용자의 양측 귀의 청력의 손실이 적절하게 보상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을 검사하는 일례를 나타난 참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800)를 중심으로 8개의 위치(810 - 880)에서 소리가 출력된다. 각 번호는 소리가 출력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소리출력부(110)의 각각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채널들은 사용자(800)로부터 일정한 위치에서 위치하여 일정한 크기의 소리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채널들은 사용자(800)로부터 1 m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정확한 방향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채널들은 일정한 각도로 떨어져 위치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채널은 45도의 일정한 각도로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번 채널(810)을 0도로 기준 위치로 두면, 2번 채널(820), 3번 채널(830), 4번 채널(840), 5번 채널(850), 6번 채널(860), 7번 채널(870), 8번 채널(880)은 1번 채널(810)로부터 각각 45도, 90도, 135도, 180도, 225도, 270도, 315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위 8개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소리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채널에서 소리가 출력되면, 그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를 인식한 소리의 방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에서 4 번 채널(840)을 통하여 소리를 출력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하여 출력된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들리는지에 대하여 1번~8번의 위치 중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출력된 소리의 방향과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을 비교한다. 프로세서(130)는 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을 검사한다.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위의 방향성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출력 시간차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하는 능력를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방향성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소리출력부(110)의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시간차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소리출력부(110)에서 각 채널별로 출력된 소리를 이용하여 소리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사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청력의 방향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방향성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 시간차를 조정하고, 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가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훨씬 적은 음량으로 출력된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잔존 청력이 더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리의 방향성을 인지함으로써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소리를 더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10 ... 소리출력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 프로세서
140 ... 메모리
150 ... 통신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출력부;
    상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채널들 각각의 소리는 상기 사용자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를 향하여 출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출력된 소리의 방향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소리의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소리의 방향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향성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 사이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출력부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고,
    상기 소리출력부는 상기 결정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참조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최소가청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 대역인 경우, 상기 채널들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함으로써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인 경우, 상기 채널들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차를 증가함으로써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소리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압을 측정하는 사운드 레벨 미터(sound level me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음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소리의 음압을 보정(calibr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 및 상기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별 청력 특성의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사용자의 청력 특성의 이력을 참조하여 상기 해당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음소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음소를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소가청치로 구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음소가 나타내는 피크 주파수를 기준으로 각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그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14. 멀티미디어(multimedia)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소리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결정된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 또는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출력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결정된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 귀 및 좌측 귀 각각의 청력 특성을 참조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최소가청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저주파 대역인 경우, 상기 채널들의 고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레벨차를 증가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인 경우, 상기 채널들의 저주파 대역 성분의 출력 시간차를 증가함으로써 상기 채널들 사이의 출력 레벨차 및 출력 시간차를 결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음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되는 소리의 음압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음압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 소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음소에 대한 최소가청치를 획득함으로써 음소를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소가청치로 구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04517A 2012-01-13 2012-01-13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10190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17A KR101909128B1 (ko) 2012-01-13 2012-01-13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US13/740,798 US9420381B2 (en) 2012-01-13 2013-01-14 Multimedia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modulated sound according to hearing characteristic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17A KR101909128B1 (ko) 2012-01-13 2012-01-13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30A true KR20130083730A (ko) 2013-07-23
KR101909128B1 KR101909128B1 (ko) 2018-10-17

Family

ID=4877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517A KR101909128B1 (ko) 2012-01-13 2012-01-13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20381B2 (ko)
KR (1) KR101909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30B1 (ko) * 2019-10-16 2019-12-12 (주)소리대장간 청각 치료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4013B2 (ja) * 2011-08-02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933990B1 (en) * 2013-03-15 2018-04-03 Sonitum Inc. Topological mapping of control parameters
JP6111955B2 (ja) * 2013-09-27 2017-04-12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接近通報装置
TWI633871B (zh) * 2017-06-22 2018-09-01 國立清華大學 聽力診斷裝置與聽力資訊偵測方法
US11277689B2 (en) * 2020-02-24 2022-03-15 Logitech Europ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sound quality of a generated audible signal
GB2599742A (en) * 2020-12-18 2022-04-13 Hears Tech Limited Personalised audio outp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829A (ko) * 2009-08-18 201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953A (ja) 1992-10-27 1994-05-17 Sony Corp 聴覚機能検査装置
US5420930A (en) * 1992-03-09 1995-05-30 Shugart, Iii; M. Wilbert Hearing aid device
JP2597459B2 (ja) 1992-10-08 1997-04-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マルチメディア聴力試験および補償
JPH0938069A (ja) 1995-08-02 1997-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語音聴力検査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970020054A (ko) 1995-10-31 1997-05-28 배순훈 멀티미디어 피씨를 이용한 자가 진단 시청각 검사 방법
KR19980039701A (ko) 1996-11-28 1998-08-17 배순훈 청력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
KR20000004049A (ko) 1998-06-30 2000-01-25 전주범 텔레비전의 청각측정장치
US6511324B1 (en) 1998-10-07 2003-01-28 Cognitive Concepts, Inc.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skill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4794785B2 (ja) 2001-09-28 2011-10-19 株式会社ニデック 聴力検査装置
KR100707339B1 (ko) 2004-12-23 2007-04-13 권대훈 청력도 기반 이퀄라이제이션 방법 및 장치
KR20070099749A (ko) 2006-04-05 2007-10-1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정확한 재택 청력 검사를 위한 자동 사운드 캘리브레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6726B1 (ko) 2008-01-28 2009-09-14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청력 역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오디오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3274B1 (ko) * 2008-04-25 2015-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청력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600080B1 (ko) 2008-08-20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력 검사 방법 및 장치
US9131876B2 (en) * 2009-08-18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US20110087130A1 (en) 2009-10-08 2011-04-14 Systems N' Solu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US8538049B2 (en) * 2010-02-12 2013-09-17 Audiotoniq, Inc. Hearing aid,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hearing aid profile
KR101702561B1 (ko) 2010-08-30 2017-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원출력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94822B1 (ko) 2010-09-20 201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출력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716595B2 (ja) * 2011-01-28 2015-05-13 富士通株式会社 音声補正装置、音声補正方法及び音声補正プログラム
KR20120131778A (ko) 2011-05-26 201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과 이것을 이용한 청력 보조 장치
JP5717574B2 (ja) * 2011-07-27 2015-05-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185501B2 (en) * 2012-06-20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Container-located information transfer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829A (ko) * 2009-08-18 201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30B1 (ko) * 2019-10-16 2019-12-12 (주)소리대장간 청각 치료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방법 및 장치
WO2021075795A1 (ko) * 2019-10-16 2021-04-22 사운드백신 주식회사 청각 치료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28B1 (ko) 2018-10-17
US9420381B2 (en) 2016-08-16
US20130182855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128B1 (ko)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Li et al. Factors influencing intelligibility of ideal binary-masked speech: Implications for noise reduction
Brons et al. Effects of noise reduction on speech intelligibility, perceived listening effort, and personal preference in hearing-impaired listeners
Stelmachowicz et al. Effect of stimulus bandwidth on the perception of/s/in normal-and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adults
Chasin et al. Hearing aids and music
KR20110090066A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Chen et al. Contributions of cochlea-scaled entropy and consonant-vowel boundaries to predic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Kates et al. Using objective metrics to measure hearing aid performance
Picou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nonlinear frequency compression on speech recognition and sound quality for adults with mild to moderate hearing loss
US9131876B2 (en)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Kortekaas et al. Bandwidth Effects on Children's Perception of the Inflectional Morpheme/s/ Acoustical Measurements, Auditory Detection, and Clarity Rating
Li et al. The contribution of obstruent consonants and acoustic landmarks to speech recognition in noise
JPWO2010146825A1 (ja) 補聴適合度判定装置、補聴処理調整システム及び補聴適合度判定方法
Polspoel et al. The importance of extended high-frequency speech information in the recognition of digits, words, and sentences in quiet and noise
Monson et al. Detection of high-frequency energy level changes in speech and singing
Hockley et al. Analog-to-digital conversion to accommodate the dynamics of live music in hearing instruments
Mandel et al. Measuring time-frequency importance functions of speech with bubble noise
Souza et al. Effect of single-channel compression on temporal speech information
Awan et al. Smartphone recordings are comparable to “gold standard” recordings for acoustic measurements of voice
Van Eeckhoutte et al. Perceptual benefits of extended bandwidth hearing aids with children: A within-subject design using clinically available hearing aids
Chen et al. Can dual compression offer better mandarin speech intelligibility and sound quality than fast-acting compression?
KR101783959B1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101676018B1 (ko)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Monson et al. On the use of the TIMIT, QuickSIN, NU-6, and other widely used bandlimited speech materials for speech perception experiments
JP6639857B2 (ja) 聴力検査装置、聴力検査方法および聴力検査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