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018B1 -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018B1
KR101676018B1 KR1020090076392A KR20090076392A KR101676018B1 KR 101676018 B1 KR101676018 B1 KR 101676018B1 KR 1020090076392 A KR1020090076392 A KR 1020090076392A KR 20090076392 A KR20090076392 A KR 20090076392A KR 101676018 B1 KR101676018 B1 KR 10167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ignal
output
subjec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766A (ko
Inventor
손준일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018B1/ko
Priority to US12/858,077 priority patent/US8938077B2/en
Publication of KR2011001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0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means for indicating when used correctly or incorrectly; means for alarming
    • A61B5/150809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means for indicating when used correctly or incorrectly; means for alarming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emat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따르면,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선택된 보정 방식을 저장한다.

Description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sound source signal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향 기기의 사용, 노인 인구 비중의 증가, 및 소음 환경의 증대로 인하여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청력 검사는 순음(pure tone)의 주파수 및 크기를 변화시키며 피검자에게 들려주고, 피검자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기초하여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방법 및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기초하여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장치는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에 대한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음원재생장치에 마련된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하고, 청력 검사 결과에 따라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보정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함으로써 청력을 검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음원재생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음원재생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재생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출력부(120), 메모리(130), 프로세서(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로 구성된다. 도 1의 음원재생장치(100)는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장치(100)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음원재생장치(100)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에 의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음원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때, 휴대가 가능하다고 함은 음원재생장치(100)를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음원재생장치(100)의 예를 들면, 휴대폰(mobile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MPEG Audio layer-3 Player),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등이 있고, 음원재생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재생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출력되는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보정 방식을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기능이 부가된 장치이다. 이때, 출력되는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음원재생장치(100)의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수행된다. 피검자의 청각 특성이란 주파수 대역 별 소리에 대한 피검자의 가청 정도를 의미하고, 피검자의 청각 특성은 청력 검사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청력(hearing ability)이란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청력 검사(hearing test)란 귀가 들리는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즉, 음원재생장치(100)는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음원에 해당하는 검사 음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원 신호에 해당하는 검사 신호를 출력하고, 음원재생장치(100)에 의하여 재생된 검사 음, 또는 출력된 검사 신호에 의하여 재생된 검사 음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참조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신호라 함은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즉, 출력부(120)는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신호는 진폭, 주파수 위상을 가지는 파형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호는 증폭기(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된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의 일 종인 이어폰 등에 의하여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다. 음원재생장치(100)는 이러한 방법으로 발생된 소리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도를 참조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이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의 사용자가 어떠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청 정도가 낮은 경우,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한 청취 만족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음원재생장치(100)의 사용자, 즉,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보정 방식으로 보정함으로써 피검자의 청취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음원재생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참조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하고,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원재생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입력 버튼, 터치 화면, LCD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한다. 이때, 복수 개의 영역들 각각은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나타낸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영역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영역이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마련된 터치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이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피검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피검자에게 출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의미한다.
구획이 표시된 표시영역(20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을 구획별로 숫자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때, 복수 개의 영역들은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증폭 이득을 나타내고,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의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들이 매핑되어 있다. 이때, 분류된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숫자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문자, 기호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된 영역을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구획으로 표시된 표시영역(201)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저장하고, 저장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영역에 난청 유형을 표시한다. 이때, 난청 유형이라 함은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피검자의 난청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들의 형태를 의미한다.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2)에 도시된 그래프들의 x축은 주파수(Hz)를 의미하고, y축은 난청 정도(dB)를 나타낸다.
난청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난청 유형을 나타낸 그래프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가청 정도가 일정한 정상 형태의 그래프(2021)에 대하여 저주파 대역에 대한 청취 능력이 떨어지는 저주파 대역 난청 유형 그래프(2022), 고주파 대역에 대한 청취 능력이 떨어지는 고주파 대역 난청 유형 그래프(2023),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 대한 청취 능력이 떨어지는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 난청 유형 그래프(2024), 및 중대역에 대한 청취 능력이 떨어지는 중대역 난청 유형 그래프(2025)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난청 유형 그래프가 존재할 수 있고,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2)은 다양한 형태의 난청 유형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고, 출력부(120)는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이 적용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고주파 대역 난청 유형 그래프(2025)가 표시된 영역이 피검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출력부(120)는 고주파 대역에 증폭 이득이 부가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고주파 대역의 난청 유형 그래프에 따라 약 300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가청 정도가 약 -30dB 이하 -40dB 초과인 경우, 출력부(120)는 약 300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약 30dB 이상 40dB 미만의 증폭 이득이 적용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 이득이 표시된 표시영역(20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각의 영역에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그래프를 표시한다. 이때,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은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1)에서 설명한 난청 유형 그래프를 이용한 보상 이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증폭 이득을 나타낸 그래프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이 일정한 정상 형태의 그래프(2031)에 대하여 저주파 대역에 대한 증폭 이득을 부가하는 저주파 대역 증폭 이득 그래프(2032), 고주파 대역에 대한 증폭 이득을 부가하는 고주파 대역 증폭 이득 그래프(2033),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 대한 증폭 이득을 부가하는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 증폭 이득 그래프(2034), 및 중 대역에 대한 증폭 이득을 부가하는 중대역 증폭 이득 그래프(2035)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증폭 이득 그래프가 존재할 수 있고, 증폭 이득이 표시된 표시영역(203)은 다양한 형태의 주파수별 증폭 이득을 표시할 수 있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증폭 이득이 표시된 표시영역(203)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고, 출력부(120)는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이 적용된 신호를 출력한다.
구획의 특징이 표시된 표시영역(2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에 대한 난청 유형을 표시한다. 즉, 분류된 구획에 따라 정상(2041), 저주파 난청(2042), 고주파 난청(2043), 저고대역 난청(2044), 중대역 난청(2045)를 나타내는 원, 또는 화살표 등을 표시함으로써 분류된 구획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화살표는 화살표의 진행 방향으로 나아갈수록 난청의 정도가 심해짐, 즉, 정상에서 멀어짐을 의미한다. 피검자는 구획의 특징이 표시된 표시영역(204)을 참조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하나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피검자가 선호하는 주파수별 증폭 이득이 적용된 보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은 음원재생장치(100)에 표시되는 예시에 불가하고, 다양한 형태로 표시영역이 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는 표시영역을 2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표시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의 영역, 5개의 영역, 9개의 영역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영역에 표시된 복수개의 영역들 각각에 난청 유형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이 표시되어 있다고 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표시영역을 정상, 저주파 대역 난청, 고주파 대역 난청으로 구성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거나, 표시영역을 정상, 저주파 대역 난청, 고주파 대역 난청, 저고대역 난청, 중대역 난청으로 구성된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3개의 영역, 5개의 영역, 25개의 영역은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피검자로부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한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음원재생장치(100)에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터치는 피검자의 신체(예를 들면, 손가락 등)를 이용한 터치, 또는 터치 부재(예들 들면, 터치 펜 등)를 이용한 터치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피검자는 신체 또는 터치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터치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피검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신호에 따른 터치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때, 보정 방식은 터치된 영역이 나타내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이 적용된 신호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획득한다. 이때, 피검자의 반응이라 함은 출력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의 소리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 행동 등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피검자의 반응은 출력되는 검사 신호가 재생된 소리를 청취한 피검자의 선호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즉, 출력되는 검사 신호가 재생되는 검사 음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도가 높아, 피검자가 출력되는 검사 신호에 적용된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길 원하거나, 또는 현재 출력되는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 다른 보정 방식이 적용된 검사 신호를 더 듣기 원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피검자의 선호도에 따른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는 출력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의 소리를 듣고 재생된 소리가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지 않을 경우, 즉, 다른 형태의 보정 방식이 적용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의 소리를 청취하길 원할 경우, 피검자는 터치된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피검자가 터치된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을 터치하는 응답을 획득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피검자로부터 터치된 영역인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을 터치하는 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상태를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터치 상태를 이동시킬 수 있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 스부(110)의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 터치하는 피검자의 신체, 또는 터치 부재 등을 드래그(drag)하여 터치된 영역인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터치 상태가 중단되는 경우,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터치된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으로 터치된 영역을 피검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피검자의 터치 상태가 중단되면, 상기 터치 상태가 중단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 상태가 중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터치된 상태가 이동되는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피검자가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이 적용된 검사 신호를 청취하길 원한다는 피검자의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제 2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신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을 재차 획득한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가 선호하는 검사 음이 재생되어 터치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피검자가 선호하는 보정 방식이 음 원재생장치(10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되는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도가 높아, 피검자가 출력되는 검사 신호에 적용된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길 원하는 경우, 피검자는 선호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출력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상태를 중단한다. 즉, 피검자는 표시영역에 표시된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고,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경우,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하여 터치된 영역에서 피검자의 신체 부위 또는 터치 부재를 뗀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영역에 대한 터치 상태가 중단되는 반응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획득되는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피검자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대한 터치 상태가 중단되었음을 판단하고, 터치 상태가 중단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msec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50msec 동안 표시영역에 대한 어떠한 입력 신호도 획득되지 않을 경우, 터치 상태가 중단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터치된 영역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에서 기재한 피검자의 청각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인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주파 대역(약 3000Hz 이상 4000Hz 미만)에 대한 증폭 이득이 약 30dB 이상 40dB 미만으로 설정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도 2의 난청 유형이 표시된 표시영역(202) 또는 증폭 이득이 표시된 표시영역(20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난청 유형 그래프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에 관한 그래프를 표시하여 피검자로 하여금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에 대하여 피검자는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는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소리가 선호되지 않는 경우, 다른 영역으로 커서, 터치된 피검자의 신체 부위 또는 터치 부재를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편리하게 다른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을 청취할 수 있다. 이처럼 음원재생장치(100)에 마련된 터치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피검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고, 청력 검사 결과를 음원재생장치(100)에 직접 적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 를 출력한다. 이때, 검사 신호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문장을 의미하고, 문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음(sound of word)으로 구성된다. 어음(말소리)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구성되고, 구성되는 음절의 수에 따라 하나의 음절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단음절, 두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어음은 이음절, 세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음절은 삼음절이라 호칭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어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음절(syllable)은 음성학(phonetics)상의 용어로서, 발음(pronounciation)의 최소 단위를 말한다. 음절은 자음-모음-자음(예를 들면, "ㅎ-l-ㅁ"으로 구성된 힘)으로 구성되거나, 자음-모음(예를 들면, "키-l"으로 구성된 키)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모음(예를 들면, 아)으로 구성된다. 음절은 발음의 최소 단위를 말하고, 하나의 음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다. 음소(phoneme)는 음운론(音韻論)에서 음운의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를 의미한다. 즉, 음소는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도 3은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국어 음소들에 대하여 음소들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하여 각 자음들과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고,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각 자음들과 모음들이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음들의 목록(301)은 자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 범위에 따라 자음들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룹 1(3011)은 약 250Hz 이상 5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3012)는 약 65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3(3013)은 약 300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한다.
그룹 1(3011)에 속하는 자음은 /ㄴ/, /ㅁ/, /ㄹ/ 등이 있고, 그룹 2(3012)에 속하는 자음은 /ㄱ/, /ㄲ/, /ㅋ/, /ㅂ/, /ㅃ/, /ㅍ/, /ㅎ/ 등이 있고, 그룹 3(3013)에 속하는 자음은 /ㄷ/, /ㄸ/, /ㅌ/, /ㅈ/, /ㅉ/, /ㅊ/, /ㅅ/, /ㅆ/ 등이 있다.
또한, 모음들의 목록(302)은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모음들의 목록(3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은 3개의 포먼트 주파수(formant frequency)로 구성된다. 이때, 포먼트 주파수란 모음을 나타내는 시간(time) 대비 소리의 크기(dB)를 주파수 축으로 적분 변환하여 나타나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높게 나타나는 피크(peak) 주파수들을 의미한다. 모음들의 목록(2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는 3개의 포먼트 주파수를 각각 저주파 대역부터 순서대로 제 1 포먼트, 제 2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로 나타낼 수 있다. 모음들의 목록(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의 주파수 대역은 대부분의 모음이 유사하기에, 제 2 포먼트 대역을 중심으로 모음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른 그룹 2-1(3021)은 제 2 포먼트가 약 600Hz 이상 8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2(3022)는 제 2 포먼트가 약 1000Hz 이상 13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3(3023)은 제 2 포먼트가 약 200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한다.
그룹 2-1(3021)에 속하는 모음은 /우/, /오/ 등이 있고, 그룹 2-2(3022)에 속하는 모음은 /아/, /으/ 등이 있고, 그룹 2-3(3023)에 속하는 모음은 /이/, /예/ 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문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들로 구성되고, 음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들로 구성된다. 프로세서(14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문장을 나타내는 검사 신호가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되어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문장을 나타내는 검사 신호는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130)에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문장을 나타내는 검사 신호, 또는 상기 검사 신호에 대하여 다양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검사 신호들이 저장되어 있고,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로부터 저장된 검사 신호를 독출하여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검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문장에 있어서,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은 가청 주파수 범위에 해당한다. 가청 주파수 범위란 사람의 귀가 소리로 느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 영역으로, 약 15Hz 이상 20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다만, 음원재생장치(100)는 모든 가청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이 나타내는 다양한 보정 방식들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별 증폭 이득들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이때, 출력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의 문장에 대하여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문장을 나타내는 검사 신호를 출력한다. 피검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상기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다른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다른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문장을 나타내는 다른 검사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검사하길 원하는 경우, 상기 검사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를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들로 분류한다. 분류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그룹에 포함된 음소들을 참조하여 상기 음소들로 구성된 문장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다. 즉, 음원재생장치(100)는 약 2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들로 분류하고, 분류된 영역들 각각에 속하는 음소들로 구성되고, 상기 분류된 영역들 모두를 포함하는 음소들로 구성된 문장이 메모리(130)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모리(130)에 저장된 문장은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들 모두에 해당하는 음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출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획득된 입력 신호에 따른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이 상기 문장에 적용된 검사 신호를 출력한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터치된 영역을 이동시키면, 출력부(120)는 이동되어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다른 보정 방식이 상기 문장에 적용된 검사 신호를 다시 출 력한다.
예를 들어, "청력 검사용 문장 입니다"라는 문장이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메모리(130)에는 "청력 검사용 문장 입니다"가 저장된다.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제 1 영역을 터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제 1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청력 검사용 문장 입니다"가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피검자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출력된 검사 신호에 따라 재생된 문장에 대한 가청 정도가 높지 않을 경우, 즉,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출력된 검사 신호에 따라 재생된 문장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도가 높지 않을 경우, 피검자는 터치된 제 1 영역과 다른 제 2 영역을 터치한다. 프로세서(140)는 제 2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이 상기 "청력 검사용 문장 입니다"에 적용되어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피검자는 동일한 문장에 대하여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이 적용된 문장을 청취하고, 가장 가청 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문장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상태를 중단함으로써, 상기 가청 정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문장에 적용된 보정 방식이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순음(pure tone)이 아닌 어음, 즉, 피검자에게 친숙한 음절, 문장 등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하고, 또한, 보정 방식이 실제 어음에 반영되기에 피검자의 어음에 대한 선호도를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원재생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에 대한 피검자의 선호도가 보장된다.
도 3은 한국어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는 영어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어 음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고,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각 음소들이 복수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소들의 목록(401)은 음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주파수 범위에 따라 음소들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룹 1(4011)은 약 300Hz 이상 12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하고, 그룹 2(4012)는 약 1200Hz 이상 4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하고, 그룹 3(4013)은 약 4000Hz 이상 8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음소들을 의미한다.
그룹 1(4011)에 속하는 음소는 /m/, /d/, /b/, /i/, /o/, /a/, /n/, /e/, /l/. /u/, /r/ 등이 있고, 그룹 2(4012)에 속하는 음소는 /p/, /h/, /g/, /k/, /ch/, /sh/ 등이 있고, 그룹 3(4013)에 속하는 음소는 /f/, /s/, /th/ 등이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한국어 및 영어의 음소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참조하여, 다양한 언어에 대한 피검자의 청력 검사 결과에 따른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출력부(120)는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음원 신호를 출력한다. 즉, 피검자에 의하여 가장 선호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보정 방식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출력부(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음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된 검사 신호가 재생되어 생성된 검사 음은 피검자의 청각 기관을 자극하여 피검자로 하여금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출력부(120)는 소리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예를 들면, 스피커 등)는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직접적으로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소리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된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예를 들면, 이어폰, 블루투스 이어폰, 스피커 등)에서 소리가 생성될 수 있도록 오디오 신호를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된 상기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에 의하여 상기 출력된 신호가 나타내는 소리가 생성된다.
따라서, 출력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직접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된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에서 소리가 생성되도록 한다. 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검사 신호는 메모리(13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4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프로세서(140)에 포함되거나, 또는 독자적인 칩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에 대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 검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음, 및 다양한 보정 방식들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메모리(12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청력을 검사하는 음원재생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메모리(12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13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의 표시영역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들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130)에는 보정 방식의 일 예인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신호에 따라 피검자에 의하여 터치된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메모리(130)로부터 독출하고, 출력부(120)는 독출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이 적용된 검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검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음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어음은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검사하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된 문장일 수 있다.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어음은 적어도 하나 이상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피검자가 복수 회 검사를 수 행하는 경우, 각기 서로 다른 어음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선입견을 배제하도록 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다양한 보정 방식들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터치 상태가 중단되기 직전에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에 적용하기 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하여 저장한다 함은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된 코덱 등에 상기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반영하여 음원재생장치(100)를 통하여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음원재생장치(100)가 휴대폰이라고 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원 재생에 적용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휴대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모든 음원 신호에 적용한다. 따라서, 피검자는 음원재생장치(100)인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 피검자에 의하여 선택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이 적용된 음원 신호가 재생된 소리를 듣기에 피검자의 청각 특성이 반영된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재생되는 음원에 대한 가청 정도가 높아진다.
이때, 음원 재생에 적용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터치 상태가 중단되기 직전에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주파 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하나의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선택하고, 메모리(130)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저장하여 음원재생장치(100)를 통한 음원 재생에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음원재생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출력부(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160)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획득한 신호에 따라 터치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을 메모리(13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검사 신호가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하여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응답을 참조하여 상기 보정 방식을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상기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출력부(120)로부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한다. 프로세서(140)는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피검자가 청취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이득을 증가시킴으로써,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 호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된 신호는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되어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보정 방식을 반영하여 음원을 재생하는 알고리즘을 연산한다. 이때, 알고리즘이란 전기적 신호와 소리 간의 변환에 사용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며, 코덱 등이 이러한 알고리즘에 해당한다. 메모리(130)는 연산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음원재생장치(100)는 저장된 알고리즘을 독출하여 음원을 재생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보정 방식이 반영된 알고리즘을 메모리(130)에 저장시키고, 음원재생장치(100)를 통하여 재생되는 모든 음원에 상기 보정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를 이용한 기존의 검사 방법들을 이용하는 경우, 검사 결과를 음원재생장치(100)에 반영하는 것이 힘들지만,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결과를 직접 음원재생장치(100)에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청력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 수행 결과를 직접 반영하여 추후에 음원재생장치(100)를 통하여 재생되는 모든 음원에 대하여 상기 검사 수행 결과가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소리로 재생된다. 도 1에 도시된 음원재생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기에 순음(pure tone)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비하여 측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순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기에 검사의 신뢰도가 감소 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피검자에게 익숙한 어음을 이용하여 어음청력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어음청력검사는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검사를 수행하는 곳을 방문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지만,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어음을 이용한 검사를 수행하여 빠르고 신뢰도 높은 검사 결과를 획득하고, 이에 따른 피검자의 청각 특성이 반영된 보정 방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출력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된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에 의하여 재생되도록, 음원재생장치(100)와 상기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음원재생장치(100)에 해당하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에 마련된 헤드셋 잭(head set jack), USB 모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청력을 검사하는 경우, 우 이(right ear)와 좌 이(left ear) 모두에 대한 청력 검사가 수행되어야 함이 일반적이기에 양 이에서 동시에 청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어폰 등의 또 다른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음원재생장치(100)와 연결되어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생성하는 신호를 소리로 재생시키기 위한 모든 악세서리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음원재생장치(100)와 외부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원재생장치(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음원재생장치(10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가 휴대폰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데이터 를 송수신함으로 써 휴대폰의 통화, 문자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등과 같은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는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에 따라 청각 특성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음원재생장치(100)에 즉시 적용함으로써, 청력 검사 수행 결과를 바로 이용하여 피검자의 어음청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원재생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피검자로부터 음량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한다. 즉, 음원재생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음량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한다. 이때,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 정보란 피검자가 가장 편안하다고 느끼는 음압인 최저안정역치(Most Comfortable Level)의 크기로,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이용하여 휴대용 음원재생장치(100)의 음량을 설정한다.
다만, 휴대용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가 휴대하여 다니며 음원을 수시로 재생하기에 음원재생장치(100)에는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음원재생장치(100)는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의 크기를 파악함으로써,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을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이 설정된 상태에서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표시영역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고, 프로세서(140)는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매핑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피검자에 의하여 선호되는 음량이 설정된 상태에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검사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되는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음원재생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501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음원재생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다양한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502 단계에서 출력부(120)는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한다. 즉, 피검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 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입력하고,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입력 신호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가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503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프로세서(140)는 피검자의 터치가 중단되거나, 또는 피검자에 의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마지막으로 터치 상태가 중단되거나, 또는 피검자에 의하여 선택된 영역을 선택한다.
504 단계에서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추후 음원재생장치(100)를 통하여 출력되는 모든 음원 신호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음원재생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재생장치(100)의 각 구성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140)에 해당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라,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검사할 수 있고, 또한 검사 결과를 표시하거나 음원재생장치(100)에 반영할 수 있다. 터치 기능을 가진 음원재생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고, 한 화면에서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에 측정 방법이 단순하고 측정 시간이 짧다.
또한, 한 번의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어음에 대하여 검사가 수행되기에 학습효과에 따른 검사 신뢰도 하락을 방지할 수 있고, 순음이 아닌 문장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별 증폭 이득을 이용하기에 피검자가 느끼는 검사 결과와 음원재생장치(100)의 적용 간에 차이가 크지 않다. 터치 기능을 이용하고, 피검자에게 익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하기에 검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음원재생장치(100)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음원재생장치(100)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음원재생 장치(100)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음원재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영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원재생장치의 화면이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들에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난청 형태들을 각각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복수의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은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나타내며, 상기 증폭 이득은 상기 매핑된 난청 형태를 보상하기 위한 것인,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검사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문장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터치(touch)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피검자의 터치 상태가 중단되면, 상기 터치 상태가 중단된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를 상기 음원재생장치와 연결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검사 신호가 재생(playing)된 검사 음을 청취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장치의 화면이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들에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난청 형태를 각각 매핑시키며,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복수의 보정 방식들 각각을 나타내는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표시된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은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한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보정 방식을 나타내며, 상기 증폭 이득은 상기 매핑된 난청 형태를 보상하기 위한 것인,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검사 신호는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하는 문장에 대하여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증폭 이득을 이용하여 보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재생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보정된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피검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복수개의 영역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획득된 신호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으로 보정된 검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에 대하여 상기 표시된 복수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피검자의 터치 상태가 중단되면, 상기 터치 상태가 중단된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검사 신호를 상기 음원재생장치와 연결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된 검사 신호가 재생된 검사 음을 청취한 상기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76392A 2009-08-18 2009-08-18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10167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92A KR101676018B1 (ko) 2009-08-18 2009-08-18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US12/858,077 US8938077B2 (en) 2009-08-18 2010-08-17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sound source signal and method of compensating sound source signal output from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92A KR101676018B1 (ko) 2009-08-18 2009-08-18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66A KR20110018766A (ko) 2011-02-24
KR101676018B1 true KR101676018B1 (ko) 2016-11-14

Family

ID=4360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392A KR101676018B1 (ko) 2009-08-18 2009-08-18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38077B2 (ko)
KR (1) KR101676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7574B2 (ja) * 2011-07-27 2015-05-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933990B1 (en) * 2013-03-15 2018-04-03 Sonitum Inc. Topological mapping of control parameters
KR101704927B1 (ko) * 2015-10-26 2017-02-09 최정원 마이크를 이용한 음원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장치
US11991502B2 (en) 2021-08-01 2024-05-21 Tuned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hearing aid adjustment
US11218817B1 (en) * 2021-08-01 2022-01-04 Audiocar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hearing aid adjus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0391A (ja) 2002-05-23 2006-03-30 ティ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診断用聴力検査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664A1 (en) * 2000-03-13 2001-10-25 Songbird Hearing, Inc. Hearing aid format selector
US7288072B2 (en) * 2002-05-23 2007-10-30 Tympany, Inc. User interface for automated diagnostic hearing test
JP4516371B2 (ja) 2004-07-29 2010-08-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再生装置、カメラおよび再生装置の音量制御方法
KR100707339B1 (ko) 2004-12-23 2007-04-13 권대훈 청력도 기반 이퀄라이제이션 방법 및 장치
US20080049946A1 (en) * 2006-08-22 2008-02-28 Phonak Ag Self-paced in-situ audiometry
JP2009027280A (ja) 2007-07-17 2009-02-05 Pioneer Electronic Corp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90065749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
US20090167702A1 (en) 2008-01-02 2009-07-02 Nokia Corporation Pointing device detection
KR101600080B1 (ko) 2008-08-20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청력 검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0391A (ja) 2002-05-23 2006-03-30 ティ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診断用聴力検査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8077B2 (en) 2015-01-20
US20110044473A1 (en) 2011-02-24
KR20110018766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0066A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US9131876B2 (en)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Monson et al. The perceptual significance of high-frequency energy in the human voice
Liberman et al. The role of selected stimulus-variables in the perception of the unvoiced stop consonants
JP6673828B2 (ja) 自閉症における言語処理向上のための装置
US10303436B2 (en) Assistive apparatus having accelerometer-based accessibility
KR101909128B1 (ko)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조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101676018B1 (ko)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보정하는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JPWO2011001693A1 (ja) 語音明瞭度評価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astellana et al. Intra-speaker and inter-speaker variability in speech sound pressure level across repeated readings
Schlueter et al. Intelligibility of time-compressed speech: The effect of uniform versus non-uniform time-compression algorithms
KR101783959B1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US10463281B2 (en) Hearing test method and system, readable record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353771B1 (ko) 청력 역치를 고려한 어음 청력 검사음 생성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riedrichs et al. The phonological function of vowels is maintained at fundamental frequencies up to 880 Hz
KR102310542B1 (ko)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TWM620913U (zh) 聽力設備
WO2021152786A1 (ja) 訓練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70370A (ja) 聴力検査装置、聴力検査方法および聴力検査プログラム
Hsu et al. The effects of intensive voice treatment in Mandarin speakers with Parkinson's disease: Acoustic and perceptual findings
Monson High-frequency energy in singing and speech
KR20220102974A (ko) 음성 장애 환자를 위한 음성 자가 훈련 방법 및 사용자 단말 장치
Sugiyama et al. The effect of fo fall, downstep, and secondary cues in perceiving Japanese lexical accent
KR102350890B1 (ko) 휴대용 청력검사장치
JP2006208820A (ja) 音声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