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616A - 설진기의 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설진기의 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616A
KR20130083616A KR1020120004320A KR20120004320A KR20130083616A KR 20130083616 A KR20130083616 A KR 20130083616A KR 1020120004320 A KR1020120004320 A KR 1020120004320A KR 20120004320 A KR20120004320 A KR 20120004320A KR 20130083616 A KR20130083616 A KR 2013008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piece
nose
snow
shield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066B1 (ko
Inventor
남동현
이상석
이우범
노재혁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0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25Ergonomically shaped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부가 사람마다 그 생김새와 돌출 모양과 돌출 정도가 다르고 혀를 촬영하기 위하여 턱이 열리는 정도와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효과적인 외부 광 차폐가 가능한 설진기의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설진기의 차폐 장치는 설진기에서 접안부로 조사하는 광을 차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얼굴의 안면부가 밀착하도록 안면부의 굴곡과 상응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접안(11); 상기 접안면(11)의 반대면으로 혀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된 설진기의 접안부에 탈부착하도록 된 고정면(12)이 구비된 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안면과 고정면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진기의 차폐 장치{Apparatus for shielding photographing image of tongue}
본 발명은 설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부가 사람마다 그 생김새와 돌출 모양과 돌출 정도가 다르고 혀를 촬영하기 위하여 턱이 열리는 정도와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효과적인 외부 광 차폐가 가능한 설진기의 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설진(舌診)이란 피검사자의 혀와 태(苔)의 색상과 형태 등을 관찰하고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한의학의 건강 진단방법이다.
설진은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건강진단 방법으로서, 혀의 색상과 형태를 이용해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므로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피검사자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정확한 설진을 위해 먼저 일관된 조명에서 일정한 형태로 피검사자의 혀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피검사자(1)를 설진하기 위해 검사자는 피검사자(1)의 입을 벌리고 혀를 내놓도록 한다.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혀를 잘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서 혀로 빛을 비추어 혀와 태의 색상과 형태 등을 검사한다.
이와 같이 설진은 피검사자의 혀와 태의 색상과 형태 등을 관찰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피검사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설진은 맥진과 함께 한의학의 대표적인 진단 방법으로 지금까지는 숙련된 한의사들의 육안 관찰에 의존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설진은 수천 년 이상 전해져 내려온 한의학의 진단 방법으로 서양에서도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설진은 한의사들의 경험으로 진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찰자의 눈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설진은 관찰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설진과 설태의 색에 대하여 진단하는 것이므로 객관적인 진단기준 및 진단의 표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중국의 연구진은 1990년대 중의설진 자동식별 시스템을 완성한 바 있고, 이후 디지털 중의 설상 분석기를 제작하여 혀와 설태의 색깔, 두께 및 습윤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한편, 대만의 연구진도 전산화 중의 설진 시스템을 완성한바 있고, 영상을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하여 설태의 두께에 대한 간접적 추정 값을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출한바 있다. 국내 역시 여러 연구기관에서 설진 시스템의 외형 디자인과 조명 기구 설계, 설색의 전산 분석 등이 이루어진바 있고, 이에 따라 설진기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설진기 본체의 정면 사진이고, 도 3은 설진기 본체의 접안부 덮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접안부 덮개를 도 2에 나타낸 설진기 본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일반적인 설진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진기 본체의 정면부분으로 사람의 입주변 안면부가 접안되고, 내부의 가시광선, 근자외선, 근적외선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혀를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가시광선 LED 광원 하에서 촬영된 혀 영상을 통해 혀와 설태의 관심부위 색을 분석하고, 근자외선 LED 광원 하에서 촬영된 혀 영상을 통해 혀의 설태 분포를 분석하며, 근적외선 LED 광원 하에서 촬영된 혀 영상을 통해 의료인이 혀의 모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혀의 배면상에 이끼처럼 끼어있는 설태는 혀의 상피세포와 음식물 찌꺼기, 그리고 이들을 분해하기 위한 각종 세균과 그 대사물질의 혼합체이다. 이 중 세균과 그 대사물질 등은 근자외선 광원을 조사했을 때, 형광현상이 일어나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 형광현상을 이용하여 설태의 분포를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안면이 접안되는 부분을 접안부라 하는 경우 외부 광이 주로 들어오는 틈은 주로 콧등과 비익(鼻翼; 코끝의 좌우 양쪽 끝 부분) 주변, 뺨 아래부위 주변, 안면윤곽을 형성하는 턱 주변에서 발생한다.
우선,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콧등과 비익 주변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조명조건은 자외선이고, 비익 주변과 뺨 아래 부위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조명조건은 자외선이며, 비익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7은 조명조건은 자외선이고 양측 비익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의 도 8 내지 도 10은 접안부와 뺨 아래부위 주변에 틈이 있어 외부 광이 들어오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8은 조명조건은 가시광선이고, 뺨 아래 부위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9는 조명조건은 자외선이며, 뺨 아래 부위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다음의 도 10은 조명조건은 적외선이고, 뺨 아래 부위 주변에서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작은 턱을 가진 피검자에서 턱 주편의 틈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도 11은 조명조건은 가시광선이며, 작은 턱으로 인해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다음 도 12는 조명조건은 자외선이고, 작은 턱으로 인해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3은 조명조건은 자외선이며, 작은 턱으로 인해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4는 조명조건은 적외선이고, 작은 턱으로 인해 차폐불량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설진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설진기 접안부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 광대뼈, 턱처럼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안면부는 사람마다 그 생김새와 돌출모양과 정도가 다르고, 혀를 촬영하기 위해 턱이 열리는 정도와 형태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효과적인 외부 광 차폐를 위한 접안부의 구현하기 어려워 외부 광에 의해 정확한 촬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이는 결국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없어 진단 오류를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잘못된 처방을 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설진기의 접안부에 여러 사람의 안면부가 접촉되므로 접안부에 위생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안면부가 사람마다 그 생김새와 돌출 모양과 돌출 정도가 다르고 혀를 촬영하기 위하여 턱이 열리는 정도와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효과적인 외부 광 차폐가 가능한 설진기의 차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설진기의 차폐 장치는 설진기에서 접안부로 조사하는 광을 차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얼굴의 안면부가 밀착하도록 안면부의 굴곡과 상응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접안면(11); 상기 접안면(11)의 반대면으로 혀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된 설진기의 접안부에 탈부착하도록 된 고정면(12)이 구비된 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안면과 고정면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설진기 접안부에 유연성이 있는 별도의 설진기의 차폐 장치를 장착하므로 사람마다 그 생김새와 돌출모양과 정도가 다르고, 혀를 촬영하기 위해 턱이 열리는 정도와 형태도 사람마다 다르더라도 효과적인 외부 광 차폐가 가능하므로,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고, 이는 결국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어 진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확한 처방을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설진기의 차폐 장치를 1회용 또는 교환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설진기 이용 후의 위생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설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 내지 도 4는 일반적인 설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5 내지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설진기 이용한 다양한 조명조건에서의 촬영 시 차폐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 차폐장치를 도 2에 나타낸 설진기에 적용하고 별도의 접안부 덮개를 이용하여 차폐를 보완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9에 나타낸 설진기 차폐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조명조건에서의 촬영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 후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 배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의 차폐 장치는 얼굴의 안면부가 밀착하도록 안면부의 굴곡과 상응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접안면(11)과, 접안면(11)의 반대면으로 혀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된 설진기의 접안부에 탈부착하도록 된 고정면(12)이 구비된 몸체(10)로 이루어지며, 접안면(11)과 고정면(12)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안면(11)은, 콧등과 비익이 밀착되도록 콧등과 비익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측밀착면(14)과, 뺨 및 구각이 밀착되도록 뺨과 구각의 형상에 맞춤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우측밀착면(15,16)과, 아랫입술이 밀착되도록 아랫입술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측밀착면(1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측밀착면(14)은 콧등이 위치하는 부위(14-1)와 콧등과 비익이 위치하는 부위(14-2)로 구성되어, 콧등이 위치하는 부위(14-1)는 콧등의 위치를 잡아주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안면부가 편위되지 않도록 가이드해 준다. 또한, 콧등과 비익이 위치하는 부위(14-2)가 깊은 유선형의 홈 구조로 되어 있어서 코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콧등과 비익 주변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좌우측밀착면(15,16) 중 내부 좌우밀착면(15-1, 16-1)은 뺨과 구각(口角, 입꼬리) 사이가 위치하는 부위의 피검자의 얼굴크기에 상관없이 뺨과 입꼬리 사이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외부 좌우밀착면(15-2)(16-2)는 안면부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얼굴크기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외부광을 차단한다.
그리고, 하측밀착면(17)에는, 내부 하측밀착면(17-1)은 입술아래 턱 및 아랫입술이 밀착되도록 턱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되, 피검자의 작은 턱으로 인한 차폐불량으로 들어오는 외부 광을 한 번 더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부 하측밀착면(17-2)은 턱의 위치를 잡아주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안면부가 편위되지 않도록 가이드(guide)해 주며, 턱의 크기에 상관없이 턱 주변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몸체(10)는 검은색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체로 이루어져 안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면(12)은 그 속이 설진기의 접안부에 끼울 수 있도록 홈을 갖도록 제작하여 피검자의 다양한 안면의 형태에 맞추어 충분히 변형되도록 하여, 안면부와 접안부 사이에 작은 틈도 생기지 않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몸체(10)의 고정면(12)이 설진기의 결합홈(12a)에 지지됨에 따라, 몸체(10)는 설진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진기 차폐 장치를 도 2에 나타낸 설진기에 적용하고 별도의 접안부 덮개를 이용하여 차폐를 보완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러한 접안부 덮개(20)는 어린 아이나 턱이 매우 작은 사람의 경우, 인체공학적인 접안부 설계를 하더라도 충분한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접안부 덮개(20)를 이용하여 차폐를 보완한다.
이러한 접안부 덮개(20)로는 신축성이 있으며 구김 없는 보드레 공단(polyester 100%)을 여러 겹으로 하여 접안부 덮개(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보드레공단은 신축성 있는 소재라 얼굴에 맞게 늘어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촬영 시 피검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또한, 얼굴이 작은 사람에게는 최적의 차폐 조건을 만들어준다. 한편 접안부 덮개(20)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접안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9에 나타낸 설진기 차폐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조명조건에서의 촬영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설진기 차폐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조명조건에서의 촬영결과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조건은 가시광선이며, 차폐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조명조건은 자외선이며, 차폐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의 조명조건은 적외선이며, 차폐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 11 : 접안면
12 : 고정면 13 : 관통공
14 : 상측밀착면 15,16 : 좌우측밀착면
17 : 하측밀착면

Claims (9)

  1. 설진기에서 접안부로 조사하는 광을 차폐하는 장치에 있어서,
    얼굴의 안면부가 밀착하도록 안면부의 굴곡과 상응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진 접안면(11);
    상기 접안면(11)의 반대면으로 혀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촬영하도록 된 설진기의 접안부에 탈부착하도록 된 고정면(12)이 구비된 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안면과 고정면은 광이 통과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면(11)은,
    콧등과 비익이 밀착되도록 콧등과 비익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측밀착면(14)과,
    뺨 및 구각이 밀착되도록 뺨과 구각의 형상에 맞춤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좌우측밀착면(15)(16)과,
    아랫입술이 밀착되도록 아랫입술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측밀착면(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밀착면(14)은 콧등이 위치하는 부위(14-1)와 콧등과 비익이 위치하는 부위(14-2)로 구성되어, 콧등이 위치하는 부위(14-1)는 콧등의 위치를 잡아주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안면부가 편위되지 않도록 가이드해 주고, 상기 콧등과 비익이 위치하는 부위(14-2)가 깊은 유선형의 홈 구조로 되어 있어서 코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콧등과 비익 주변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밀착면(15,16)은 내부 좌우밀착면(15-1, 16-1)과 외부 좌우밀착면(15-2)(16-2)으로 구성되어 내부 좌우밀착면(15-1, 16-1)은 뺨과 구각(口角, 입꼬리) 사이가 위치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피검자의 얼굴크기에 상관없이 뺨과 입꼬리 사이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좌우밀착면(15-2)(16-2)은 안면부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얼굴크기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외부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밀착면(17)에는, 내부 하측밀착면(17-1)과 외부 하측밀착면(17-2)으로 구성되어 내부 하측밀착면(17-1)은 입술아래 턱 및 아랫입술이 밀착되도록 턱의 형상에 맞춤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되, 피검자의 작은 턱으로 인한 차폐불량으로 들어오는 외부 광을 한 번 더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하측밀착면(17-2)은 턱의 위치를 잡아주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안면부가 편위되지 않도록 가이드(guide)해 주며, 턱의 크기에 상관없이 턱 주변에서 외부 광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안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상기 설진기 접안부 사이에 어린 아이나 턱이 매우 작은 사람의 경우, 인체공학적인 접안부 설계를 하더라도 충분한 차폐가 이루어지기 위한 접안부 덮개(20)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 덮개(20)로는 신축성이 있으며 구김 없는 보드레 공단(polyester 100%)을 여러 겹으로 하여 제작하고,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접안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기의 차폐 장치.
KR1020120004320A 2012-01-13 2012-01-13 설진기의 차폐 장치 KR10134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20A KR101341066B1 (ko) 2012-01-13 2012-01-13 설진기의 차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20A KR101341066B1 (ko) 2012-01-13 2012-01-13 설진기의 차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16A true KR20130083616A (ko) 2013-07-23
KR101341066B1 KR101341066B1 (ko) 2013-12-11

Family

ID=4899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20A KR101341066B1 (ko) 2012-01-13 2012-01-13 설진기의 차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45B1 (ko) * 2013-10-28 2015-06-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50109628A (ko) * 2014-03-20 2015-10-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진단기의 안면 밀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207A (ja) 2004-01-28 2005-08-11 Yokohama Rubber Co Ltd:The 人工呼吸用マスク
KR20070018951A (ko) * 2004-04-14 2007-02-14 엘이디 메디칼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 구강 스코프 및 주변 광 관리 시스템(alms)을 포함하는질병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971541B1 (ko) * 2008-09-02 2010-07-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영상 촬영 시스템
KR101046670B1 (ko) * 2009-03-17 2011-07-05 대승의료기기(주) 설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845B1 (ko) * 2013-10-28 2015-06-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50109628A (ko) * 2014-03-20 2015-10-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진단기의 안면 밀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066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886B2 (en) Artery visualization device and artery imaging device
KR101245330B1 (ko) 개인용 컴퓨터 기반 시야 자가진단 시스템 및 시선 고정방법
US111229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upil size in a subject having closed eyelids
CN203314943U (zh) 一种双光源静脉血管显像装置
US20140221843A1 (en) Near-infrared imaging for diagnosis of sinusitis
CN206526029U (zh) 多光谱面部皮肤图像采集装置
KR101341066B1 (ko) 설진기의 차폐 장치
JP5147949B2 (ja) 生体光計測装置
CN204636299U (zh) 一种便携式红外血管显像仪
CN200994790Y (zh) 心理状态参数测试系统
RU167673U1 (ru) Маска для видеонистагмоскопии
CN112206008A (zh) 一种非接触式鼻咽检测机器人
Zheng et al. An automatic stimulus and synchronous tracking system for strabismus assessment based on cover test
CN100427033C (zh) 心理状态参数测试系统
CN104622431A (zh) 一种眼镜式红外血管显像仪及其显像方法
CN211355392U (zh) 佩戴式眼睛检测仪
Lancer et al. The flexible fibreoptic rhinolaryngoscope
CN208319187U (zh) 一种眼科用电脑视野计
CN204995504U (zh) 一种防止电离辐射的头盔
KR101775534B1 (ko) 설진시스템을 동반한 날숨 폐 기능 체크와 맥진 시스템
KR101046670B1 (ko) 설진기
CN217186091U (zh) 一种乳腺检测装置
CN216984869U (zh) 一种瞳孔测量装置
RU993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ьной фотометрии головы
KR102398657B1 (ko) 안저 카메라용 위생 필름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