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537A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537A
KR20130083537A KR1020120004171A KR20120004171A KR20130083537A KR 20130083537 A KR20130083537 A KR 20130083537A KR 1020120004171 A KR1020120004171 A KR 1020120004171A KR 20120004171 A KR20120004171 A KR 20120004171A KR 20130083537 A KR20130083537 A KR 2013008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power
power suppl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이병희
문건우
조규민
이동욱
최영운
이선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537A/ko
Publication of KR2013008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안정화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고,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외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특히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갖는 LLC 공진 컨버터 방식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자 기긱 관련 제품이 발전하면서 휴대용 전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특히 어댑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어댑터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는 밀폐형 구조로 발열을 저감시키기 어렵기 대문에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요구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작은 사이즈의 제품을 선호함에 따라 높은 전력 밀도의 제품이 선호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시장 상황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 변환 효율 향상과 전력 밀도 향상에 개발이 집중되고 있으며, 고효율 고전력밀도의 AC/DC 어댑터가 경쟁적으로 출시되고있다.
일반적으로, 60W 급 미만의 AC/DC 어댑터는 그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력 병환 방식으로 플라이 백(fly-back)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플라이 백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압 모드 제어 기법 또는 전류 모드 제어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력 밀도 향상을 위해서는 전체 크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동 소자의 크기를 줄여야하며, 특히 수동 소자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줄여야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높은 구동 주파수로 스위치를 구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플라이 백 방식은 하드 스위칭을 하기 때문에 높은 구동 주파수로 동작할 경우 스위칭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전력 변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넓은 전압 게인 특성과 영전압 스위칭 특성을 갖는 LLC 공진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선행기술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LLC 공진 방식은 넓은 입력 전압 변화에 적합하며 높은 전력 변환 효율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력 교류 전원이 대략 90VAC~265VAC의 전압 범위를 가질 경우 입력 캐패시터의 용량이 부피 저감으로 인해 제한받으므로 입력 전압의 리플이 증가하게 되어 100VDC~375VDC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고려하여야 하나 이를 위해서는 스위칭을 위한 구동 주파수의 변화폭이 커지게 되며, 넓은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순환 에너지(circulating energy)가 증가하게 되어 트랜스포머의 설계가 어려워지고 이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 고효율, 고전력 밀도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35017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비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트랜스포머의 부피 증가 없이 낮은 게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안정화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고,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상기 기준 범위 이외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된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원의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오차를 적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기;
상기 PI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 및 스위칭 듀티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교번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변압부의 인덕턴스 성분과 LLC 공진 탱크를 형성하는 공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비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트랜스포머의 부피 증가 없이 낮은 게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동작 파형도.
도 3은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스위칭 제어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정류부(110), 스위칭부(120), 공진부(130), 변압부(140), 안정화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10)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입력 교류 전원(Vs)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VI)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부(120)는 교번 스위칭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Q1,Q2)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스위치(Q1,Q2)는 하프 브리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직류 전원(VI)를 스위칭할 수 있다.
공진부(130)는 공진 캐패시터(Cr)와 공진 인덕터(Lr)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변압부(140)의 인덕턴스 성분과 LLC 공진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변압부(140)는 일차 권선(Np)과 이차 권선(Ns)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일차 권선(Np)는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고, 이차 권선(Ns)은 일차 권선(Np)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일차 권선(Np)에 입력된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안정화부(150)는 변압부(140)에 의해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D1,D2)와, 정류된 전원을 안정화시커는 출력 캐패시터(Co)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안정화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원(Vo)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 전원(Vo)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이면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출력 전원(Vo)의 상태가 상기 기준 범위 이외이면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 전원(Vo)의 상태가 상기 기준 범위 이외이면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된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부(12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PI제어기(161), 전달부(162) 및 스위칭 제어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PI(proportional-integral)제어기(161)는 출력 전원(Vo)의 전압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o_ref)을 비교하여, 그 비교 오차를 적분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달부(162)는 PI제어기(161)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스위칭 제어기(163)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정류부(110), 스위칭부(120), 공진부(130) 및 변압부(140)의 일차 권선(Np)은 일차측에 형성되고, 변압부(140)의 이차 권선(Ns), 안정화부(150)는 일차측과 다른 그라운드를 갖는 이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60)의 PI 제어기(161)는 이차측에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칭 제어기(163)는 일차측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달부(162)는 이차측의 PI 제어기(161)의 제어 신호를 일차측의 스위칭 제어기(1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달부(162)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일 수 있다.
스위칭 제어기(163)는 전달부(16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20)의 제1 및 제2 스위치(Q1,Q2)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Q1,Q2)의 스위칭 주파수 및 스위칭 듀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동작 파형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스위칭 제어 그래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상단의 그래프는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100%부하 및 10% 부하시의 주요 동작 파형도이고, 도 2의 하단의 그래프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100% 부하 및 10% 부하시의 주요 동작 파형도이며, 도 3의 (a)는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스위칭 제어 그래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스위칭 제어 그래프이다.
일반적인 LLC 방식 전원 공급 장치의 경우 100% 부하에 대비하여 10% 부하시에는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반면에,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100% 부하에 대비하여 10% 부하시에는 일정 이득까지는 주파수를 증가시키고, 일정 이득 이하에서는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시키고 듀티를 저감시켜 스위칭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비율 이하이면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듀티를 가변하여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트랜스포머의 부피 증가 없이 낮은 게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전원 공급 장치.
110...정류부
120...스위칭부
130...공진부
140...변압부
150...안정화부
160...제어부
161...PI제어기
162...전달부
163...스위칭 제어기

Claims (6)

  1.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안정화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고,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가 상기 기준 범위 이외이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된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시키고, 스위칭 듀티를 가변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원의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오차를 적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기;
    상기 PI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주파수 및 스위칭 듀티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기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교번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의 인덕턴스 성분과 LLC 공진 탱크를 형성하는 공진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공급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20004171A 2012-01-13 2012-01-13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83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71A KR20130083537A (ko) 2012-01-13 2012-01-13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71A KR20130083537A (ko) 2012-01-13 2012-01-13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37A true KR20130083537A (ko) 2013-07-23

Family

ID=4899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171A KR20130083537A (ko) 2012-01-13 2012-01-13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5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582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솔루엠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원 변환 장치
WO2021132908A1 (ko) * 2019-12-24 2021-07-01 한국전기연구원 Ccm 공진형 컨버터의 커패시터 전압 제어 시스템, 및 커패시터 전압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ccm 공진형 컨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582A (ko) * 2015-06-08 2016-12-19 주식회사 솔루엠 제어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원 변환 장치
WO2021132908A1 (ko) * 2019-12-24 2021-07-01 한국전기연구원 Ccm 공진형 컨버터의 커패시터 전압 제어 시스템, 및 커패시터 전압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ccm 공진형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1787B1 (en)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switchable reflected output voltage
US8339813B2 (en) Burst mode resonant power converter with high conversion efficiency
JP580407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506939B (zh) Ac/dc功率轉換器、電力供應器及將ac輸入電壓轉換成dc輸出電壓之系統
JP484467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52542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cklight system
JP581783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05087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516988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JP563377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935499B2 (ja) 直流変換装置
US9318945B2 (en) Resonant-mode power supply with a multi-winding inductor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10340808B2 (en) Redundant power supply apparatus
JP2007020391A (ja) 高効率ハーフブリッジ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CA2856221A1 (en) Led power source with over-voltage protection
JP2015144554A (ja) 電力変換装置
KR20180004655A (ko) 하이브리드 풀브릿지 ll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06554A (ko) 고효율 하프-브리지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4675A (ko) 보조 lc 공진 회로를 갖는 양방향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Shih et al. Adaptive DC-link voltage control of LLC resonant converter
US9768702B2 (en)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KR20130083537A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94064A (ko)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JP200517653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