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322A -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322A
KR20130083322A KR1020120004041A KR20120004041A KR20130083322A KR 20130083322 A KR20130083322 A KR 20130083322A KR 1020120004041 A KR1020120004041 A KR 1020120004041A KR 20120004041 A KR20120004041 A KR 20120004041A KR 20130083322 A KR20130083322 A KR 2013008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onstant voltage
resistor
pow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0692B1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692B1/en
Priority to CN201210577229.2A priority patent/CN103204115B/en
Publication of KR2013008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7Disposition of hand control with electrical power as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supplying apparatus is provided to use cheap device instead of a constant voltage integrated circuit (IC), thereby saving costs. CONSTITUTION: A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outputs a preset specific voltage by receiving ignition power. An enable signal input unit (202) enables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A peripheral circuit unit (203) eliminates noises from power outputted from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or monitors the power. A first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cathode side of a first diode in order to be applied with the ignition power in a collector side and output the ignition power to an emitter side. A Zener-diode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cond resistor and includes a cathode side connected to a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Power supply unit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의 클러치 센서와 같이 소량의 전류를 소모하는 장치에 적합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suitable for a device that consumes a small amount of current, such as a clutch sensor of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n automobile includ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클러치 센서용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러치 센서용 전원 공급 장치는 정전압 IC(또는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클러치 센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였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a clutch sensor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upply device for a conventional clutch sensor supplied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lutch sensor using a constant voltage IC (or a regulator).

상기 정전압 IC(100)는 이그니션(IGN; Ignition) 전원을 입력받아서 기 설정된 특정 전압(예 : 5[V])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정전압 IC(100)에서 출력된 전압은 클러치 센서(미도시)에 공급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정전압 IC(100)의 출력단에는 잡음(노이즈)을 제거하기 위한 주변 회로가 부가되어 있다. The constant voltage IC 100 receives an ignition (IGN) power and converts it into a predetermined specific voltage (eg, 5 [V]) and outputs the same. The voltage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IC 100 is supplied to a clutch sensor (not shown) and controlled by a microcontroller (not shown). In addition, a peripheral circuit for removing noise (noise) is add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IC 100.

일반적으로 클러치 센서용 전원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정전압 IC는 센서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작기 때문에 보통 전류 공급량이 50[mA] 정도를 갖는 최소용량의 정전압 IC를 사용한다. 하지만 클러치 센서에서 필요로 하는 전류량(Max. 5[mA])과 비교하면 매우 큰 고용량이다. In general, the constant voltage IC used in the power supply for the clutch sensor uses a small capacity constant voltage IC having a current supply of about 50 [mA] because the current consumed by the sensor is small. However, compared to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by the clutch sensor (Max. 5 [mA]), it is a very high capacity.

더욱이 상기 정전류 IC는 전류 용량이 클수록 가격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센서와 같이 전류 소모량이 극히 적은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에 정전압 IC를 사용하기에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stant current IC is more expensive as the current capacity is larg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ostly to use the constant voltage IC in the power supply of the device having a very low current consumption, such as the clutch senso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9-0003659호 (2009.04.21)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3659 (2009.04.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센서와 같은 소량의 전류를 소모하는 장치에 적합한 소전력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mall power supply device suitable for a device consuming a small amount of current such as a sensor.

또한 본 발명은 정전압 IC의 전류 공급량보다 수배 또는 수십배 적은 용량의전류를 소모하는 소자나 장치의 전원 공급에 적합한 소전력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 power supply device suitable for power supply of a device or device that consumes a current several times or tens of times smaller than the current supply of a constant voltage IC.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이그니션 전원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 출력부; 정전압 출력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 및 정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된 전원의 잡음을 제거하거나 전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변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정전압 출력부는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이그니션 전원을 컬렉터측에 인가받아 에미터측으로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측 접속되는 제1 저항;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에 접속되는 제2 저항; 제2 저항과 병렬 연결되고 그 캐소드측이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제너 다이오드; 애노드측이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와; 일측이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다른 일측으로 클러치 센서에 공급할 전원을 출력하는 제3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gnition power and output a predetermined specific voltage; An enable signal input unit to enable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And a peripheral circuit unit configured to remove noise or monitor power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wherein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first diode to receive the ignition power from the collector side A first transistor for outputting to the terminal side; A first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first diode; A second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A zener diod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econd resistor and whose cathod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 second diode whose anode side is connect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second di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resistor for outputt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clutch sensor to the other side.

본 발명에서 제1 트랜지스터는 NPN 타입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istor is an NPN type transistor.

본 발명에서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는 일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제4 저항의 다른 일측이 베이스측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이 접지되고,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측이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includes a second transistor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resistor to which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side, the emitte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being grounded, and the collecto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is 2nd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제2 트랜지스터는 NPN 타입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ansistor is an NPN type transistor.

본 발명에서 제3 저항은 제2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정전압과 제3 저항을 통해 출력될 정전압의 차이값을 부하 전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resistor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onstan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diode and the constant voltage output through the third resistor by the load current.

본 발명은 센서와 같은 소량의 전류를 소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전압 IC 대신에 저렴한 가격의 소자들을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by configuring a power supply using a low-cost device in place of the constant voltage IC in the device that consumes a small amount of current, such as a sensor.

또한, 본 발명은 정전압 IC의 전류 공급량보다 수배 또는 수십배 적은 용량의 전류를 소모하는 소자나 장치의 전원 공급게 적합한 소전력 전원 공급 장치를 디스크릿(Discrete) 소자들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by constructing a small power supply using discrete elements suitable for power supply of devices or devices that consume a current several times or tens of times smaller than the current supply of the constant voltage IC. Can be.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 전자 제어 장치(ECU)의 클러치 센서용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의 범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그래프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의 범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테이블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a clutch sensor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electronic control unit (ECU).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simulating a range of an output voltage versus an input voltage in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able illustrating a result of simulating a range of an output voltage to an input voltage in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일반적으로 디스크릿(Discrete) 소자를 이용하여 정전압 공급 회로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회로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주로 정전압 IC를 사용한다.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a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using a discrete device, and since the circuit becomes complicated, a constant voltage IC is mainly used.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10[mA] 이하의 소용량 전류를 소모할 경우에는 디스크릿 소자를 이용한 정전압 공급 회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와 같이 10[mA] 이하의 소용량 전류를 소모하는 장치에 적합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However, when consuming a small current of 10 [mA] or les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using a discrete elemen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suitable for a device that consumes a small current of 10 [mA] or less, such as a sens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이그니션 전원을 입력받아 마라 설정된 특정 전압(예 : 5[V])을 출력하는 정전압 출력부(201), 정전압 출력부(201)를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202)와, 정전압 출력부(201)에서 출력된 전원에서 잡음을 제거하거나 모니터링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주변 회로부(20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and a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pecific voltage (eg, 5 [V]) set to receive ignition power.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202 for enabling the 201 and the peripheral circuit unit 203 for removing noise from the power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or detecting the monitoring voltage.

여기서, 주변 회로부(203)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 구성된 회로와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since the peripheral circuit unit 203 is not different from the circuit configured in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이그니션 전원(IGN)은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정전압 출력부(201)에 입력된다.First, the ignition power IGN is input to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through the first diode D1.

정전압 출력부(201)는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된 이그니션 전원(IGN)을 컬렉터측에 인가받아 에미터측으로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Q1),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제1 다이오드(D1)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 저항(R1),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202)에 접속되는 제2 저항(R2), 제2 저항(R2)과 병렬 연결되고 그 캐소드측이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 애노드측이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D2), 일측이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다른 일측으로 클러치 센서에 공급할 전원을 출력하는 제3 저항(R3)을 포함한다.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is appli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first transistor Q1 that receive the ignition power IGN output through the first diode D1 to the collector side and output it to the emitter sid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transistor Q1,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nd the other side of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202. The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cathod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zener diode ZD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anode side emitter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Q1. And a third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second diode D2 and outputt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clutch sensor to the other side.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202)는 일측으로 제어신호(CTRL)를 인가받는 제4 저항(R4)의 다른 일측이 베이스측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한다.The enable signal input unit 202 includes a second transistor Q2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resistor R4, to which the control signal CTRL is applied, is connected to the base side.

이때,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측은 접지되고,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측이 제2 저항(R2)의 일측에 접속되며, 제어신호(CTRL)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미도시)에서 출력된다. At this time, the emitte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is grounded, the collecto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control signal CTRL is connected to a microcontroller (not shown). Is output.

여기서 제1,2 트랜지스터(Q1, Q2)는 NPN 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제1,2 트랜지스터(Q1, Q2) 및 제1,2 다이오드(D1, D2)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은 0.7[V]일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1 and Q2 may be NPN type transistors, and the threshold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Q1 and Q2 and the first and second diodes D1 and D2 are 0.7 [ V].

한편, 정전압 출력부(201)에서 제1 트랜지스터(Q1)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거나, 제3 저항(R3)에 의한 전압 강하 및 전력 소모가 증가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가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transistor Q1 increases in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or the voltage drop and power consumption by the third resistor R3 increas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device may not supply enough current.

하지만, 클러치 센서와 같이 10[mA] 이하의 적은 전류를 소모하는 장치에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고가의 정전압 IC 대신에 저렴한 소자들을 이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However, sufficient current can be supplied to devices that consume less than 10 [mA], such as clutch sensors, and cost can be saved by using inexpensive devices instead of expensive constant voltage IC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는 총 4단계를 거쳐 정전압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device shown in FIG. 2 supplies a constant voltage through a total of four steps.

먼저, 6.8[V]의 제너 전압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ZD)에 의한 1차 정전압(6.8[V])이 생성되고, 제1 트랜지스터(Q1)의 PN 접합에 의하여 0.7[V]가 소모된 2차 정전압(6.1[V])이 생성된다. 이후,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할 때 0.7[V]가 소모된 3차 정전압(5.4[V])이 생성되며, 마지막으로 제3 저항(R3)을 통하여 0.4[V]가 소모된 4차 정전압(5[V])이 생성된다.First, a primary constant voltage 6.8 [V] is generated by a zener diode ZD having a zener voltage of 6.8 [V], and 0.7 [V] is consumed by PN junction of the first transistor Q1. A differential constant voltage 6.1 [V] is generated. Thereafter,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ode D2, a third constant voltage (5.4 [V]) having consumed 0.7 [V] is generated, and finally, 4 having consumed 0.4 [V] through the third resistor (R3). A differential constant voltage 5 [V] is generated.

여기서, 3차 정전압(5.4[V]) 생성에 사용되는 제2 다이오드(D2)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와 같이 부하가 전자 제어 장치(ECU)의 외부에 있는 경우, 부하 전원 공급단에 배터리 쇼트가 발생했을 때 전류가 역류하여 제1 트랜지스터(Q1)의 소손 또는 이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다.Here, the second diode D2 used to generate the tertiary constant voltage 5.4 [V] has a battery in the load power supply terminal when the load is outsid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such as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When a short occurs, the current flows backward to prevent the burnout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first transistor Q1.

또한, 4차 정전압(5[V]) 생성에 사용된 제3 저항(R3)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와 같이 부하가 전자 제어 장치(ECU)의 외부에 있는 경우, 부하 전원 공급단에 접지 쇼트(GND Short)가 발생했을 때 전류가 과도하게 흘러 제1 트랜지스터(Q1) 또는 제2 다이오드(D2)의 소손이나 이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resistor R3 used to generate the fourth constant voltage 5 [V] is grounded to the load power supply terminal when the load is outsid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such as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When a short (GND Short) occurs, the current flows excessively and is 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burnout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first transistor Q1 or the second diode D2.

이와 같은 정전압 공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4차 정전압(5[V])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4차 정전압(5[V])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하 전류의 사양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만 최적화된 값의 선정이 가능하다. In this constant voltage supply process, the most important is to generate the fourth constant voltage (5 [V]). In order to generate the 4th constant voltage (5 [V]), it is necessary to know the specification of the load current to select the optimal value.

즉, 3차 정전압(5.4[V])와 4차 정전압(5[V])의 차이값인 0.4[V]를 부하 전류로 나눈 값이 제3 저항(R3)의 저항값으로 선정되어야 한다.That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0.4 [V],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constant voltage 5.4 [V] and the fourth constant voltage 5 [V], by the load current, should be selected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R3.

여기서, 부하 전류는 클러치 센서의 공급 전류로서 클러치 스트로크(Clutch Stroke)에 의해 달라지는 값이다. Here, the load current is a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lutch stroke as the supply current of the clutch sensor.

일반적으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에 적용된 클러치 센서는 클러치 스트로크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컨대, 클러치를 밟지 않은 상태(Idle, Stroke=0[mm])일 때의 저항값이 가장 크고, 클러치를 한계까지 밟은 상태(Full, Stroke=130[mm])일 때의 저항값이 가장 작다. In general, the clutch sensor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lutch stroke. For example,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clutch is not pressed (Idle, Stroke = 0 [mm]) is the largest and the resistance value when the clutch is pressed down to the limit (Full, Stroke = 130 [mm]) is the smallest. .

따라서, 부하전류는 클러치를 밟지 않은 상태일 때, 최대값을 가지며, 클러치를 한계까지 밟은 상태일 때 최소값을 가진다. Therefore, the load current has a maximum value when the clutch is not pressed, and has a minimum value when the clutch is pressed to the limit.

또한, 차량에서 기본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change in the voltage basically supplied in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의 전자 제어 장치(ECU)의 구동 전압 범위(Operating Voltage Range)는 9[V] ~ 16[V] 이므로, 상한치와 하한치에 각 1[V]의 마진(Margin)을 설정하여, 차량 공급 전압 범위가 8[V] ~ 17[V] 상황에서 클러치 스트로크 변화에 따른 클러치 센서 공급 전압의 편차가 일반적인 정전압 IC의 공급 전압 범위인 4.9[V] ~ 5.1[V] 범위 내에 존재하여야 한다.In general, since the driving voltage rang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is 9 [V] to 16 [V], a margin of 1 [V] is set at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 The deviation of the clutch sensor supply voltage according to the clutch stroke change in the vehicle supply voltage range of 8 [V] to 17 [V] is 4.9 [V] to 5.1 [V], which is the supply voltage range of the general constant voltage IC. Must be in rang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의 범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그래프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서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의 범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테이블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simulating a range of an output voltage versus an input voltage in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shows the results of simulating the range of input voltage to output voltage.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 전압(IGN)이 8[V] ~ 17[V] 범위로 입력될 경우 정전압 출력부(201)의 출력 전압은 4.9109[V] ~ 5.0561[V] 범위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 and 4, when the ignition voltage IGN is input in the range of 8 [V] to 17 [V],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1 is 4.9109 [V] to 5.0561 [V]. It can be seen that it exists in the range.

도 3과 도 4는 두 개의 클러치 센서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두 개의 전원 공급 장치가 모두 4.9[V] ~ 5.1[V] 범위의 안정적인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and 4 show simulated results of two power supplies, each supplying power to two clutch sensors, wherein both power supplies are stable in the range of 4.9 [V] to 5.1 [V]. You can see that it outputs a constant voltag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201 : 정전압 출력부 202 :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
203 : 주변 회로부 Q1, Q2 : 제1, 제2 트랜지스터
D1, D2 : 제1, 제2 다이오드 R1~R4 : 제1~제4 저항
201: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202: enable signal input unit
203: Peripheral circuit section Q1, Q2: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D1, D2: first and second diodes R1 to R4: first to fourth resistors

Claims (5)

이그니션 전원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특정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 출력부; 상기 정전압 출력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정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잡음을 제거하거나 상기 전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주변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 출력부는,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상기 이그니션 전원을 컬렉터측에 인가받아 에미터측으로 출력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접속되는 제1 저항;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에 접속되는 제2 저항;
상기 제2 저항과 병렬 연결되고 그 캐소드측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제너 다이오드;
애노드측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및
일측이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다른 일측으로 클러치 센서에 공급할 전원을 출력하는 제3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A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gnition power and output a predetermined specific voltage; An enable signal input unit to enable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And a peripheral circuit to remove nois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or monitor the power.
The constant voltage output unit,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to a cathode side of a first diode to receive the ignition power from a collector side and output the ignition power to an emitter side;
A first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first diode;
A second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A Zener diod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sistor and whose cathod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A second diode having an anode side connect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And a third re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second diode and outputting power to be supplied to the clutch sensor to the oth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NPN 타입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power supp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istor is an NPN type transis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부는,
일측으로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제4 저항의 다른 일측이 베이스측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측이 접지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측이 상기 제2 저항의 일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able signal input unit,
A second transistor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resistor to which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one side;
And the emitte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is grounded, and the collecto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esis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NPN 타입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The power supply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transistor is an NPN type transis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저항은
상기 제2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정전압과 상기 제3 저항을 통해 출력될 정전압의 차이값을 부하 전류로 나눈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resistor is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constant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diode and a constant voltage output through the third resistor is divided by a load current.
KR1020120004041A 2012-01-12 2012-01-1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KR101930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041A KR101930692B1 (en) 2012-01-12 2012-01-1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CN201210577229.2A CN103204115B (en) 2012-01-12 2012-12-27 Electric supply instal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041A KR101930692B1 (en) 2012-01-12 2012-01-1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22A true KR20130083322A (en) 2013-07-22
KR101930692B1 KR101930692B1 (en) 2018-12-19

Family

ID=4875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041A KR101930692B1 (en) 2012-01-12 2012-01-12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0692B1 (en)
CN (1) CN10320411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99A (en) * 2014-09-18 2016-03-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Circuit for protecting short state of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5598A (en) * 2013-09-13 2015-03-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Voltage detector
CN115220510B (en) * 2021-12-06 2023-12-2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Constant-voltage current-limiting driving circuit,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138B2 (en) 2005-03-01 2011-02-09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ower circuit
CN100375367C (en) * 2005-11-07 2008-03-12 周明明 Storage battery converting interval constant voltag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US7339357B2 (en) 2006-04-25 2008-03-04 Agere Systems, Inc. Power supply regulation using kelvin tap for voltage sense feedback from point within integrated circuit load
FR2958090B1 (en) * 2010-03-26 2012-10-12 Valeo Equip Electr Moteur DEVICE FOR CONTROLLING A ROTATING ELECTRIC MACHINE OF A MOTOR VEHICLE, AND MACHINE COMPRISING SAID REGULATION DEVICE
CN101969221B (en) * 2010-09-29 2013-06-12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Storage battery charger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CN101976744A (en) * 2010-10-14 2011-02-16 林道勇 Charging and discharg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99A (en) * 2014-09-18 2016-03-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Circuit for protecting short state of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692B1 (en) 2018-12-19
CN103204115A (en) 2013-07-17
CN103204115B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9087B (en) Vehicle-mounted low differential voltage linear voltage stabilizer circuit and low-voltage compensation circuit thereof
US20090309510A1 (en) Led driver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output current
KR20130083322A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US20120068652A1 (en) Fan drive circuit for electronic device
US9635746B2 (en) Detecting circuit for open of LED array and LED driver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6025617A (en) Schmidt trigger circuit and power supply monitor device
JP2006027364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102034966B1 (en) Detecting ciurcuit for open of led array and led driver apparatus having the same in
US20120281326A1 (en) Efficient input voltage sensing technique
EP2733564B1 (en) Two-wire transmitter starter circuit and two-wire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JP562617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KR101685704B1 (en) Swiching circuit for vehicles
JP2008098495A (en) Led fault detection apparatus
JP5989171B1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ELECTR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CIRCUIT
US20120274308A1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JP4888343B2 (en) LED drive circuit
KR20120006700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signal of sensor
CN102122495B (en) Contrast regulat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US8692583B2 (en) Differential integrated input circuit
JP6386782B2 (en) Alarm
KR1015338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leakage current
CN218998330U (en) LED constant current drive circuit, LED system and vehicle
CN214314522U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JPH1013205A (en) Dc two-wire type detection switch
CN209821782U (en) Power supply circuit of vehicle-mounted process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