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993A -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993A
KR20130082993A KR1020110142830A KR20110142830A KR20130082993A KR 20130082993 A KR20130082993 A KR 20130082993A KR 1020110142830 A KR1020110142830 A KR 1020110142830A KR 20110142830 A KR20110142830 A KR 20110142830A KR 20130082993 A KR20130082993 A KR 2013008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information
support
welfare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문
권혁숙
Original Assignee
권혁문
권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문, 권혁숙 filed Critical 권혁문
Priority to KR102011014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993A/ko
Publication of KR2013008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의 방문 상담 또는 온라인 상담 등을 통하여 노인의 생애 직무능력에 대한 평가와 명확한 기록과 주기적인 상담 건강정보 등을 기반으로 노인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들을 맞춤식으로 용이하게 해결 및 예방적 치료를 통한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노년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일 수 있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과, 노인문제에 대해 상기 노인에게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가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와; 상기 노인의 생애 직무에 관한 직무능력정보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와, 노인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정보와, 상기 노인에 대한 취업 및 복지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관련 모든 복잡한 문제를 맞춤식 노후 생애 컨설턴트의 주기적인 방문 상담 또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통하여 노인의 생애 직무능력에 대한 평가와 명확한 기록과 건강 정보 등을 기반으로 한 원스톱으로 처리하여 민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노인문제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실현을 위해 많은 노후 생애 컨설턴트를 필요로 하므로 서비스를 위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초로인 노인(55세 ~ 64세 미만)을 노후 생애 컨설턴트 및 지원전문가로 활용하여 노인(55세 이상)의 각종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유휴 노동력의 활용을 통한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시키고 노년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일 수 있는 생산적 복지를 실현시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One stop service system for solving problems of the aged}
본 발명은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의 방문 상담 또는 온라인 상담 등을 통하여 노인의 생애 직무능력에 대한 평가와 명확한 기록과 주기적인 상담 건강정보 등을 기반으로 노인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들을 맞춤식으로 용이하게 해결 및 예방적 치료를 통한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노년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일 수 있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 제도의 형태가 점차 핵가족화 되어 가고 있고 현대과학의 발전과 전문화된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 연장에 의한 고령화 인구가 증대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2010년 통계청의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는 5,357천명으로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1.0%인 ‘고령화사회’이며, 향후 2018년에는 이 비율이 14.3%가 되어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8%가 되어 '초(超)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노년기엔 직업생활에 향유했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기능들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스트레스를 가져올 수 있는데, 수입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정체감을 상실하거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상실로 인한 자존심과 사기의 저하, 사회적 유대관계의 상실로 인한 외로움과 소외감 은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의 악화로 불면증, 우울증, 공포, 불안 강박증의 증가 등 정신건강의 문제를 겪게 되며, 노년기에 접어들면서부터 경제적 자립을 못하거나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상실과 여가 선용의 어려움 등 다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사회적 부적응을 겪게 되는 노인들의 다양한 노인문제 특히, 배우자의 죽음 같은 스트레스에 대처해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은퇴 후 노후생활 적응이 더 힘이 들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한, 노년기에는 아름다운 삶과 아름다운 마무리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죽음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나 준비가 미약하거나 없어 불필요한 막대한 수술 또는 중환자실에서의 무의미한 연명치료로 인해 잔존가족에게 정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황폐케 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아울러, 노인의 수명연장과 노인인구증가 및 노인사고(四苦 : 병고, 빈고, 고독고, 무위고)에 따라 노인자살, 노인 우울증, 치매, 노인 성범죄 등 노인 문제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인생 100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고령화를 바라보는 시각에 변화가 필요하며,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인식 변화는 물론 가족관계, 고용정책, 여가문화 등 다각적인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한편, 오랜 기간에 걸쳐 인구고령화에 대처해 온 선진국과 달리 지구상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짧은 기간인 18년 만에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은퇴 전후 준비교육을 받지 못하고 노후생활을 해야 하는 고령자에게 은퇴 후 노후 삶과 지역사회에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건강, 가정, 여가, 재무, 일자리 등 노후 생애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컨설팅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다양하고도 전문화된 사회보장제도나 물리적 환경 구축 및 복지서비스 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려 맞이하게 될 100세 시대의 인구구조 변화는 노동시장은 물론, 자본시장, 재정수지 등 사회전반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이며, 노동인력인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심각한 상황에서 결혼과 출산, 양육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 특히, 고학력 여성인력이나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충분히 노동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법적인 정년퇴직으로 발생되는 초로(初老, 55-65세)의 고급 노동력이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인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를 맞춤식 노후 생애 컨설턴트의 방문 상담 또는 온라인 상담 등을 통하여 노인의 생애 직무능력에 대한 평가와 명확한 기록과 주기적인 상담 건강정보 등을 기반으로 원스톱 처리하여 민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노인의 각종 문제를 노인 자체적으로 유휴 노동력을 활용하여 해결하여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노년 삶의 질과 행복을 높일 수 있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돕고, 노후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수입을 위해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인생 2막을 위한 노후에 맞는 재취업준비를 통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인 자살, 노인 우울증, 노인 성범죄 등의 노인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인에 대해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여 일을 통한 복지와 생산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국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인과, 노인문제에 대해 상기 노인에게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가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와; 상기 노인의 생애 직무에 관한 직무능력정보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와, 노인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정보와, 상기 노인에 대한 취업 및 복지 지원과 상담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노후 생애 컨설턴트는 초로(55세 ~ 64세)의 인력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노인의 생애주기 동안의 직무능력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직무능력정보DB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노인복지정보DB와, 노인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에 관한 지원전문가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전문가정보DB와, 상기 노인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노후 생애 컨설턴트에 대한 상담 요청 및 그 요청에 대한 자문 및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정보D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관련 모든 복잡한 문제를 맞춤식 노후 생애 컨설턴트의 주기적인 방문 상담 또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통하여 노인의 생애 직무능력에 대한 평가와 명확한 기록과 건강 정보 등을 기반으로 한 원스톱으로 처리하여 민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노인문제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실현을 위해 많은 노후 생애 컨설턴트를 필요로 하므로 서비스를 위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초로인 노인(55세 ~ 64세 미만)을 노후 생애 컨설턴트 및 지원전문가로 활용하여 노인(55세 이상)의 각종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유휴 노동력의 활용을 통한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노후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수입을 위해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인생 2막을 위한 노후에 맞는 재취업준비를 통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과 더불어 사장되고 있는 경력단절여성과 초로의 고급 노동력을 재활용하여, 노후생활을 맞이하거나 기 직면해있는 노인들에게 노후생애설계를 컨설팅 함으로써 노후 삶의 질과 행복을 향상시켜 생산적 복지를 실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로의 고급 노동력을 노후 생애 컨설턴트로 재활용할 뿐만 아니라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돕고, 노후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 개인뿐 아니라 지역사회 나아가 사회의 고령사회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과 예방적 치료 및 생산적 복지 실현을 위해 운영자(20)는 운영 서버(100)를 운영하며, 홈페이지(110)를 구비하여 취업 및 복지 등에 관한 노인문제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생애 설계를 위한 노인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관리하여 인적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복지 또는 취업 등에 체계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자(20)는 정부와 지자체 및 관련기관(25)과의 협의 및 협조를 통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양성 및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정부와 지자체 및 관련기관(25)으로부터 지원되는 자금으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급여를 지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 서버(100)의 홈페이지(110)를 통해 자신이 갖고 있는 노인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인(10)을 대상으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방문 및 전화상담을 통하여 원스톱(One Stop)으로 노인 문제에 대한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며, 상기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노인의 취업 및 복지 등의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는 지원전문가(40)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노인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인 관련 전문적 식견을 갖춘 노인상담사 및 사회복지사 등의 능력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노인관련문제에 관한 다방면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습득한 자이며, 주로 PC를 다룰 능력이 없는 노인(10)을 대상으로 방문 및 전화상담을 통하여 원스톱(One Stop)으로 노인 문제에 대한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 자이며 운영자(20)의 지휘에 따르는 자이다.
이러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방대한 지식과 경험이 하루아침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므로 꾸준한 OJT 및 OJT 프로그램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도록 심화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테면 상세한 노인교실정보(노년에 유익한 컴퓨터, 레크리에이션, 취미, 기타 삶 등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정보), 노인관련법(노인복지법, 고령자 고용촉진법,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사회복지 사업법, 대한노인회 지원에 관한 법률, 기초노령 연금법,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 급여법 등에 대한 상당한 이해, 취업 및 직무분석에 대한 상당한 경험과 이해 등 모든 노인과 관련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여 컨설팅하다 모르는 부분은 지원전문가(40)의 도움을 받아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편,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와 노인(10)의 상담내용은 노후의 생애 동안 각각의 노인에 대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력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지원전문가(40)는 노인상담사, 사회복지사, 금융전문가, 기술전문가, 영업전문가, 경영전문가, 인사 및 노무 전문가, 회계전문가, 법률전문가 등과 같이 해당분야에 대한 깊은 식견을 가진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를 포함한다.
한편, 노인(10)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최대한 많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들은 고령자 중에 예를 들어 초로(55세 ~ 64세)의 연령대가 주축이 되어, 노인(10)의 문제를 광범위하게 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들은 노인(10) 고유의 정밀한 직무 및 업무난이도 분석을 통해 절대빈곤상태의 노인(10)을 검색하고 찾아가서 직무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즉석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을 하거나 복지 지원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은 노인(10)과, 운영 서버(100)의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자(20)와, 상기 노인(10)을 지원하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가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110)와; 회원으로 가입한 노인(10)에 관한 회원정보와, 상기 노인(10)의 생애 직무에 관한 직무능력정보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와,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 정보와, 상기 노인(10)에 대한 취업 및 복지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인(10)과 운영자(20)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는 각각의 사용자컴퓨터(11,21,31,41)로 인터넷을 통해 운영 서버(100)의 홈페이지(11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자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노인(10)과 운영자(20)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사용자컴퓨터(11,21,31,41)는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인터넷 등 상호 정보(데이터 등)를 교환할 수 있는 모든 통신매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사용자 컴퓨터(11,21,31,41)는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 가능한 입출력장치로서,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통신 전화기, 웹폰(WEB Phone), 퍼스널컴퓨터(PC), 휴대정보단말기(PDA), 스마트폰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100)는 홈페이지(110)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형 애플리케이션인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접속하는 방법 이외에도, 클라이언트/서버 온라인프로그램을 이용한 온라인 접속, 이동통신을 이용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 단문메시지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포함한 가용한 모든 정보통신수단을 이용한 접속방법을 통해 노인(10)과 운영자(20)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가 각각의 사용자컴퓨터(11,21,31,41)를 통해 운영 서버(100)로 정보를 입출력하게 구성함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운영 서버(100)로의 접속방법은 인터넷과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온라인프로그램을 이용한 온라인 접속시, 통신 프로토콜(Protocol)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을 이용하고, 시스템 운영체제로는 MS Windows98/XP, Win CE 등의 다양한 운영체계(OS)상에서 구동되는 원격지 자료저장소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인(10)과 운영자(20)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는 운영 서버(100)로의 정보를 입력시에 하이퍼텍스트마크업언어(Hyper Text Markup Language)와 컴퓨터그래픽 인터페이스(CGI : Computer Graphic Interface)가 사용된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등록, 클라인언트/서버 온라인프로그램을 사용한 정보등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Database)(120)는 운영 서버(100)의 홈페이지(110)를 통해 회원으로 가입한 노인(10)과 지원전문가(40)에 관한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DB(121)와, 상기 노인(10)의 생애주기 동안의 직무능력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직무능력정보DB(122)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노인복지정보DB(123)와,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40)에 관한 지원전문가 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전문가 정보DB(124)와, 상기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요청 및 그 요청에 대한 자문 및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정보DB(125)로 구성된다.
이 경우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노인(10)에 대한 상담은 인터넷을 통한 상담 이외에도 노인(10)과 직접 대면을 통한 오프라인 상담(방문상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문상담은 인터넷을 할 수 없는 노인(10)을 대상으로 하되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개별노인에게 아이디(ID)를 부여하고 상담진행은 개별, 가족 및 집단 상담을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상담대상 노인(10)의 요청(needs)에 실시간으로 반응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120)를 구축한다. 예를 들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상담결과 요청(needs)에 고유부호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송부하면 데이터베이스(120)는 요청된 부호를 가지고 각종 서비스 공급자(예를 들어, 각종 일자리 제공기관 포함)의 부호를 검색하여 일치하가나 유사한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즉, 노인(10)의 노후생애 설계를 코치하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노인(10)과의 상담 내용을 메뉴얼에 따라 사용자컴퓨터(31)를 통해 입력하면 그 입력된 요청 정보가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고, 데이터베이스(120)의 자문 및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정보DB(125)에 고유부호를 생성하고 그 고유부호를 갖는 지원정보를 생성하고, 관련 직무능력정보DB(122)의 직무능력정보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상담을 요청한 노인(10)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노인 복지시설에 있는 노인의료시설의 경우 노인 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있다. 우선 상담대상자인 노인(10)이 이 시설의 대상자인지에 대한 검색 매뉴얼을 만들고, 이 메뉴얼에 따라 대상 상담자인 노인(1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어떤 시설에 해당되는지를 검색할 수 있고, 만약 상담대상자가 노인 요양시설에 해당된다면 상담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각 종류에 따라 해당시설들의 지도상의 위치, 수용능력, 부대시설, 시설의 품질, 연락처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현재 및 미래 수용능력별로, 위치별로, 품질별로 검색하여 정보를 전달하여 후보시설을 선택하게 한 다음 후보시설에 상담 대상 노인의 정보를 발송하여 후보시설과 상담대상 노인과 직접 계약조건을 결정케 한다. 당연히 후보시설에 입소 후 상담대상자와 정기적인 유무선 상담을 진행하며 그 후보시설로부터 상담대상자의 생활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Database)(120)에 접속권한을 갖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사용자컴퓨터(31) 이외에 홈페이지에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노인(10)에 대한 One Stop 서비스 노후생애 설계 코치를 위한 전용 유무선 단말기(Terminal)(32)를 사용하여 상담 및 지원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업무 중 업무에 관련 없는 일반 포털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고 지정된 사이트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운영한다.
특히 상기 전용 유무선 단말기(Terminal)(32)에는 각종 다양한 직무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모든 업무를 모바일 상태서도 원스톱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직무능력정보DB(122)는 노인(10)의 생애주기 동안의 직무능력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직무능력정보는 노인(10)이 경험한 업종/관리분야/경력기간/자격/직위/학력/나이/성별 등과 같이 경력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직무능력정보는 노인(10)이 상기 홈페이지(11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업종/관리분야/경력기간/자격/직위/학력/나이/성별 등을 구체적으로 입력하여 직무능력정보DB(122)로 관리하거나,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노인(10)을 직접 방문면접 및 상담을 하거나 전화면접 등의 방식을 통해 취득한 직무능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직무능력정보의 절대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무능력정보의 입력자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함께 기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 가능한 노인(10)이 직접 직무능력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확인을 통한 직무능력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참조사항을 넣도록 한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운영 서버(100)에 접속한 노인(10)이 직접 직무능력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를 통해 다시 이를 검토하여 승인하도록 하고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고유번호를 추가입력 하도록 하여 공신력(公信力)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때,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직무능력정보DB(122)를 분석하여 상담 대상 노인(10)의 심리적생리적사회적 노화(老化)의 정도를 판단하는 메뉴얼을 만들고 노화의 상태에 따라 알맞은 직업을 제안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지원전문가 정보DB(124)를 검색하여 적합한 지원전문가(40)를 선택하여 조언을 구할 수 있다. 더불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상담 대상 노인(10)의 생애 직업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직무분석을 한 후 노화의 정도를 참조하여 제공되는 직업도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제공한다.
한편, 상기 노인복지정보DB(123)는 노인의 주거의료여가보호교육 등의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노인복지시설정보와 노인교실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노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인 관련법으로는 노인복지법, 고령자 고용촉진법,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사회복지 사업법, 대한노인회 지원에 관한 법률, 기초노령 연금법,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법 등이 있다.
사회복지 사업법 내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를 살펴보면 노인주거복지시설(老人住居福祉施設), 노인의료복지시설(老人醫療福祉施設), 노인여가복지시설(老人餘暇福祉施設), 재가노인복지시설(在家老人福祉施設), 노인보호전문기관 등이 있다.
여기서 일례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는 노인요양시설(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요양과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 제공)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요양,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 있다. 또한,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방문요양서비스(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노인인 재가노인으로서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에게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와, 주야간보호서비스(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노인을 주간 또는 야간 동안 보호시설에 입소시켜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 그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와, 단기보호서비스(부득이한 사유로 가족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일시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노인을 보호시설에 단기입소)와, 방문 목욕서비스(목욕장비를 갖추고 재가노인을 방문하여 목욕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노인복지에 관한 관계법령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노후 생애 코칭 스텝을 양성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노인교실정보는 노년에 유익한 컴퓨터, 레크리에이션, 취미, 삶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정보를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상담 노인(10)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상담 노인(10) 요청하는 경우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관련 정보를 노인교실정보에서 검색하여 상담중인 노인(10)에게 즉시 제안하여 교육받을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죽음 준비 교육의 경우에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삶과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이해,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윤리, 법률적인 죽음에 대한 이해, 바람직한 장례 문화, 임종체험, 아름다운 삶, 아름다운 마무리 등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원전문가정보DB(124)는 노인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인 관련 전문적 식견을 갖춘 노인상담사, 사회복지사, 금융전문가, 기술전문가, 영업전문가, 경영전문가, 인사 및 노무 전문가, 회계전문가, 법률전문가 등과 같은 다양한 직종의 전문가를 포함하며, 이 경우 지원전문가(40) 역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와 동일하게 노인 취업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초로(55세 ~ 64)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노인(10)으로 지원전문가 그룹을 형성함으로서, 노인 취업 문제나 고급 인력 활용 등 사회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 및 지원을 하게 된다.
따라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직무능력정보DB(122)를 참고해 상담 대상 노인(10)의 심리적생리적사회적 노화(老化)의 정도를 판단하고, 지원전문가정보DB(124)를 참고해 적합한 지원전문가(40)의 조언을 얻을 수 있으며, 해당 지원전문가(40)와 상담 대상 노인(10)을 연계해주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원정보DB(125)는 상기 상담을 요청한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요청과, 그 요청에 대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자문 및 지원에 관한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체계적으로 지원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즉, 인터넷을 통해 상담하고자 하는 노인(10)은 자신의 사용자컴퓨터(11)를 통해 취업 및 복지에 관한 노인문제에 대한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노인(10)이 구직을 원하는 경우 운영 서버(100)와 연동운영되는 워크넷, 한국 고용정보원, 고용보험 등의 정부 및 관계기관의 구인구직 외부망(200)과의 정보 공유를 통한 필요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운영 서버(100)와 연계 운영되는 외부망(200)을 검색하여 일자리 등의 취업을 알선할 수 있다.
이상의 일련의 노인(10) 및 지원전문가(40)의 정보 요청 및 자료 제공 등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0)의 지원정보DB(125)에 이력 관리를 위해 기록되고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한편, 상기 상담을 요청하는 노인(10)은 운영 서버(100)의 홈페이지(11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적합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에 질의 및 조언을 구할 수 있으며, 해당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인터넷 대화창이나 휴대폰을 통한 실시간 대화 또는 이메일을 통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노인이 취업을 요청하는 경우 상담 노인(10)의 직무와 작업의 난이도에 적합한 일자리를 선정하여 리스트 업(list up)된 상세 구인구직 정보 등을 전화문자 및 이메일 등을 통해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인터넷이 불가능한 고령의 노인(10)에게는 음성메시지를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구인 정보를 배포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초로(55세 ~ 64세 미만)에 해당되는 유휴인력을 채용하여 66세 이상의 노인들을 주대상으로 노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초로인 노인의 일자리 확보 등을 통해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각종 지원 사업과 상담활동에 대한 적정한 급여 지급 등의 일련의 금융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금융정보DB(126)를 데이터베이스(120)에 더 포함하여, 정부와 지자체 및 관련기관(25)과 연계 운영한다. 특히 운영자(20)와 운영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20)의 운영비와,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에 대한 급여 등은 정부와 지자체 및 관련기관(25)으로부터 노인복지 지원사업의 자금지원 또는 각종 기부금 및 이익 사업 등과 자금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노인(10)으로부터 취업이나 복지에 관한 자문이나 자금지원 요청이 있으면, 취업 요청의 경우에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직무능력정보DB(122)를 검색하여 노인(10)의 생애주기 동안의 직무분석을 한 후 노화의 정도를 참조하여 외부망(200) 등을 조사하여 적합한 직업을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제공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노인에게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상담 노인(10)이 복지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세분화된 요구사항을 파악한 후 노인복지정보DB(123)를 검색하여 적합한 종류의 노인의 주거의료여가보호교육 등의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담 요청을 한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요청과 그 요청에 대한 지원전문가(40)의 자문 및 지원,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의 컨설팅 이력에 관한 일련의 지원정보는 이력 관리를 위해 지원정보DB(125)에 등록 및 관리된다.
이와 같은 노인관련 모든 복잡한 문제를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처리하여 민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노인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분야의 노후 생애 컨설턴트(30) 및 지원전문가(40)를 필요로 하므로 서비스를 위한 고부가 가치의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즉, 노인(55세 이상)의 각종 문제에 대해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를 초로인 노인(55세 ~ 64세 미만)으로 하도록 하여 초로인 노인의 일자리 확보 등을 통해 노령화 지수 및 노년 부양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노후대비가 충분하지 않아 수입을 위해 일을 계속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인생 2막을 위한 노후에 맞는 재취업준비를 통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노인 20: 운영자
25: 정부와 지자체 및 관련기관 30: 노후 생애 컨설턴트
40: 지원전문가 100: 운영 서버
110: 홈페이지 120: 데이터베이스
121: 회원정보DB 122: 직무능력정보DB
123: 노인복지정보DB 124: 지원전문가정보DB
125: 지원정보DB 126: 금융정보DB
200: 구인 및 구직 외부망

Claims (2)

  1. 노인(10)과, 노인문제에 관해 상기 노인(10)에게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하는 노후 생애 컨설턴트(30)가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110)와;
    상기 노인(10)의 생애 직무에 관한 직무능력정보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와,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하는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정보와, 상기 노인(10)에 대한 취업 및 복지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 생애 컨설턴트(30)는 초로(55세 ~ 64세)의 인력이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노인(10)의 생애주기 동안의 직무능력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직무능력정보DB(122)와, 노인 복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노인복지정보DB(123)와,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자문 및 지원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지원전문가(40)에 관한 지원전문가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전문가정보DB(124)와, 상기 노인(10)의 취업 및 복지에 관한 노후 생애 컨설턴트(30)에 대한 상담 요청 및 그 요청에 대한 자문 및 지원에 관한 지원정보를 관리하는 지원정보DB(1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142830A 2011-12-26 2011-12-2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KR20130082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830A KR20130082993A (ko) 2011-12-26 2011-12-2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830A KR20130082993A (ko) 2011-12-26 2011-12-2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93A true KR20130082993A (ko) 2013-07-22

Family

ID=4899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830A KR20130082993A (ko) 2011-12-26 2011-12-2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9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2158A (zh) * 2018-07-12 2018-12-28 杨浩锋 一种互联网养老商业模式
KR102154616B1 (ko) 2020-01-22 2020-09-10 김석중 블록체인을 이용한 노인 생애 관리 장치
KR102424413B1 (ko) * 2021-02-15 2022-07-22 주식회사 상진개발 노인 일자리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
CN117011004A (zh) * 2023-10-07 2023-11-07 苏州元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知识图谱的个性化服务推荐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2158A (zh) * 2018-07-12 2018-12-28 杨浩锋 一种互联网养老商业模式
KR102154616B1 (ko) 2020-01-22 2020-09-10 김석중 블록체인을 이용한 노인 생애 관리 장치
KR102424413B1 (ko) * 2021-02-15 2022-07-22 주식회사 상진개발 노인 일자리 지원 네트워크 시스템
CN117011004A (zh) * 2023-10-07 2023-11-07 苏州元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知识图谱的个性化服务推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Using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to understand the factors impacting patient acceptance and use of consumer e-health innovations: a case study in a primary care clinic
Stergiou-Kita et al. The provision of workplace accommodations following cancer: survivor, provider, and employer perspectives
Franzosa et al. Home health aides' perceptions of quality care: goal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a rapidly changing industry
Boyer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antiretroviral treatment initiation amongst HIV-positive individuals linked to care within a universal test and treat programme: early findings of the ANRS 12249 TasP trial in rural South Africa
Topor et al. Going beyond: Users’ experiences of helping professionals
Wood et al.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exual assault workforce
McKean et al. Racial differences in graduation rates from adult drug treatment courts
Craven et al. Methods for development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indicators for prioritized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domains: SCI-High Project
JP6132639B2 (ja) 健康情報利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O’Leary et al. Perspectives of healthcare workers about the delivery and evaluation of harm reduction services for people living with HIV who use substances
Beck et al.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content and delivery style of an exercise intervention
Evans et al. The impact of different liaison psychiatry models o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national evidence
Greibe Andersen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cervical cancer screening uptake among women in Nepal–a qualitative study
Kafka “What is sexual addiction?” A response to Stephen Levine
Johnson et al. Service user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 ingredients in supported employment
Sun et al. Does trust in citizen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rocedural justice: a comparison between China and Taiwan police
Plys et al.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assisted living
Scallan et al. The “problem” of health: an analysis of health care provision in Canada’s federal prisons
Elliott et al.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sexual health indicators to advance the quality of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SCI-high project
Schuster et al. How culturally competent are hospitals in Israel?
KR20130082993A (ko)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Gall et al. The role of forgiveness as a coping response to intimate partner stress
Nam et al. Social work services at Dakto district health center, Kon Tum Province, Vietnam: Challeng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Elinson et al. Evaluation of customized employment in building the capacity of the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Schantz et al. Workplace social stressors, drug-alcohol-tobacco use, and coping strate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14

Effective date: 201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