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370A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370A
KR20130082370A KR1020120003555A KR20120003555A KR20130082370A KR 20130082370 A KR20130082370 A KR 20130082370A KR 1020120003555 A KR1020120003555 A KR 1020120003555A KR 20120003555 A KR20120003555 A KR 20120003555A KR 20130082370 A KR20130082370 A KR 2013008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pacity
mobile terminal
video edi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722B1 (ko
Inventor
김종성
김효숙
고계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7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방법에 대한 것으로, 전송할 동영상 편집시 수신측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제한 용량을 예측하여 용량 예측 가이드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용량 만큼 잘라내기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처럼 얼마만큼 잘라내야 전송 가능한 용량으로 편집되는지 걱정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없이 적절한 포맷으로 바로 전송이 가능하며, 특히 종래처럼 용량에 맞추기 위해 여러 번의 잘라내기를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MOBILE TERMINAL AND VIDEO FILE EDITING MW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전송시 수신 디바이스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영상의 용량을 예측 및 편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촬영시 전송 용량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전송용량의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촬영된 영상은 이미 소정 용량으로 촬영되어 저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동영상을 편집할 경우에는 전송 환경별 제한된 용량에 대한 비디오 요약정보를 나타내는 별도의 용량 예측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디오 파일에 대하여 잘라내기 기능을 적용할 때 제한된 용량으로 만들기 위해 얼마만큼을 비디오 파일을 잘라 내야 하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제한된 특정 사이즈(MMS, email, SNS로 변환하기 위하여 잘라내기 동작 후 비디오 파일의 용량을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동영상 전송시 수신측의 디바이스 정보(포멧 및 해상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동영상의 포멧(2D/3D) 및 해상도를 선택하여 전송하였다. 따라서, 수신측 디바이스가 3D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3D영상을 전송하거나 수신측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최대 해상도보다 높은 동영상을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수신된 동영상이 송신자가 원하지 않는 형태로 수신측 기기에 표시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영상 전송은 재 전송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데이타 전송으로 사용자에게 번거러운 일일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자원을 낭비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을 편집할 때 용량 예측 가이드를 제공하여 동영상 편집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을 편집할 때 수신측 디바이스의 정보를 고려하여 동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은, 전송할 동영상 및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수신자에 관련된 디바이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정보를 고려하여 전송 가능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 예측된 전송 가능 용량을 나타내는 예측 가이드를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가이드에서 선택된 동영상 부분을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자의 디바이스 정보는 3D지원여부 및 해상도를 포함한다.
상기 예측 가이드는 원도우, 박스 및 막대 형태로 프레임 표시부 또는 재생바 상에 표시된다.
상기 예측 가이드는 좌우 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축소만 가능하다.
상기 동영상은 상기 전송 가능한 용량이 예측될 때 일차로 잘려지고 상기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 2차로 잘려지거나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만 잘려진다.
상기 예측된 전송 가능한 용량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된다.
전송 가능 용량 = 전송방법에 의해 제한된 파일 사이즈/(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출력 샘플링 레이트×출력 프레임 레이트×시스템 압축률)
상기 예측 가이드내에서 선택된 동영상 부분은 전송방법에 따라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해상도를 최소화하고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로 변환된다.
상기 동영상은 MMS, email 및 SNS중의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 및 수신자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동영상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편집 모드에서 전송할 동영상이 전송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를 근거로 전송 가능한 용량을 예측하고, 상기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으로 잘라 내기를 수행할 수 있는 용량 예측 가이드를 표시하여,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잘려진 동영상 부분을 디바이스의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자의 디바이스 정보는 3D지원여부 및 해상도를 포함한다.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는 원도우, 박스 및 막대 형태로 프레임 표시부 또는 재생바 상에 표시된다.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는 좌우 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축소만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만 동영상을 자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가능한 용량이 예측될 때 일차로 자르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 2차로 자른다.
상기 제어부는 다음 식에 의해 전송 가능한 용량을 예측한다.
전송 가능 용량 = 전송방법에 의해 제한된 파일 사이즈/(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출력 샘플링 레이트×출력 프레임 레이트×시스템 압축률)
상기 제어부는 전송방법에 따라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최소화하고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로 변하며, MMS, email 및 SNS중의 하나를 통해 동영상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편집방법은 전송할 동영상 편집시 수신측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제한 용량을 예측하여 용량 예측 가이드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용량 만큼 잘라내기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처럼 얼마만큼 잘라내야 전송 가능한 용량으로 편집되는지 걱정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없이 적절한 포맷으로 바로 전송 가능하기 때문에 용량에 맞추기 위해 여러번의 잘라 내기를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되어 이동 단말기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윈도우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윈도우의 다른 예.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예측 윈도우가 포함된 실제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 예.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 및 휴대 영상 취득 장치의 저장 용량이 커짐에 따라 취득된 영상물에 대해 사용자가 관리가 점점 어렵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에서 제한 용량 및 수신측 디바이스의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용량에 대한 예측할 수 있는 용량 예측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적절히 잘라내고 원하는 사이즈로 변환할 수 있는 잘라내기(trim)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기기 및 인터넷 등에 존재하는 방대한 영상물에 대해서 영상물 관리를 효과적이고 편리하도록 한다.
즉, 전송할 동영상의 제한 용량에 맞게 편집할 때 동영상/이미지 포맷 및 해상도 변경을 사용자 선택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수신측의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포맷 및 해상도로 전송하도록 해준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고 적절한 포맷으로 바로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영상에 대한 잘라내기 수행 후 동영상의 용량 예측은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만큼 즉시 잘라내기(Trim)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용량에 맞추기 위해 여러번의 잘라내기를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전송할 동영상의 최적화된 용량 예측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는 전송 대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수신측 디바이스의 정보(3D지원 여부 및 해상도)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측 디바이스의 정보에 따라 소정의 프레임 전송률 (Frame rate), 압축율 및 해상도로 동영상(비디오 파일)을 편집한 후 (잘라낸 후) 용량 예측값을 UI를 통해 가시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동영상 편집 모드에 진입한 후 전송할 동영상(비디오 파일), 전송 방법 및 수신측 디바이스를 선택한다(S10). 상기 전송방법은 MMS, email 및 SNS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전송은 다른 디바이스로의 전송 및 SNS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서버 업로드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측 디바이스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다.
전송할 동영상과 수신측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160)로부터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정보를 검색한다(S11). 상기 수신측 디바이스 정보는 수신자의 기기의 3D지원여부 및 해상도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검색된 수신자의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의 포멧(3D/2D)을 결정하고, 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해상도를 결정한다(S12). 만약 전송방법(MMS, email 및 SNS)에 따라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해상도를 최소화하고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다비이스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변환한다.
상기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포멧(3D/2D) 및 해상도가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아래 [수학식1]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용량(=사이즈)에 대한 시간을 예측한 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예측된 시간을 예측 윈도우에 표시한다(S13).
[수학식1]
잘라내기 시간(Trim duration)(전송 가능 용량) = 제한된 파일 사이즈(byte)/출력 영상(전송방법에 의해 제한된 파일 사이즈/(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출력 샘플링 레이트×출력 프레임 레이트×시스템 압축률)
일 예로 상기 해상도는 176*144 또는 240*320일 수 있으며, 상기 샘플링 레이트는 1.5(YUV 4:2:0) 또는 2(YUV 4:2:2)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예측 윈도우에 표시되는 잘라내기 시간은 수신 디바이스 및 제한된 용량을 고려한 전송 가능한 용량(사이즈)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의도한 용량에 대한 잘라내기(trim) 영역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예측 윈도우는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며 잘라내기 영역길이는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강조(highlight)되어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잘라내기 시간을 예측 윈도우 형태가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들면 박스 및 막대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모양 및 색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측 윈도우를 이동시키거나 축소시키면서 원하는 용량에 맞는 도영상을 편집하고(S14), 제어부(180)는 상기 편집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의 비디오 프레이어에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한다(S15).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동영상 편집이 모두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편집된 동영상을 수신측 디바이스의 포멧(e.g.,3D) 및 해상도에 맞게 변환한 후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측 또는 인테넛을 통하여 웹페이지로 전송한다(S1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윈도우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영상 편집 화면은 프레임 표시부(50), 예측 윈도우 (51) 및 비디오 플레이어(5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표시부(50)는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프레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의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표시부(50)의 최좌측 프레음은 영상의 시작 프레임이고, 최우측 프레임은 영상의 종료 프레임이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동영상 편집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영역을 잘라내는 기능이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동영상 편집 화면의 상하좌우중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용량에 대한 시간을 [수학식1]으로 예측하여 그 예측된 시간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UI로 제공하는 윈도우이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및 그에 관련된 정보(e.g.시간 를 포함한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이동이 가능하다. 일 예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좌우로 배열된 경우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로 배열된 경우에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예측 윈도우(51)를 이동시켜 특정 프레임에 대한 시간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예측 윈도우(51)는 제한된 용량을 지시하기 때문에 축소는 가능하지만 확대는 불가능하다. 만약 제한된 용량을 초과하여 확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에게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통보한다.
상기 비디오 플레이어(52)는 예측 윈도우(51)내에 있는 동영상를 미리보기 할 수 있는 부분으로, 예측 윈도우(51)에 포함된 프레임을 표시한다. 복수의 프레임이 예측 윈도우(51)에 포함된 경우 연속적으로 표시(재생)하며, 사용자가 특정 프레임을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부터 재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 윈도우의 다른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영상 편집화면은 4에 도시된 동영상 편집 화면에서 프레임 표시부(50) 대신에 재생 바(53)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용량 예측 가이드인 예측 윈도우(51)는 배생 바(53)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예측 윈도우(51)를 이동시키거나 축소하여 원하는 용량의 동영상을 편집하고, 편집된 동영상은 미리보기 형태로 비디오 플레이어(52)에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예측 윈도우가 포함된 실제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 예이다.
먼저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의 총 재생시간(길이)은 306sec이고, 파일 사이즈는 44.7MB이며, 해상도는 960*720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한 용량 즉, 전송방법(MMS, e-mail, SNS)에 따른 제한된 출력 파일 사이즈는 1MB이고, 수신측 디바이스의 해상도는 QCIF(176*144)이며, 출력 비디오 샘플링 레이트는 1.5byte/pixcel (YUV 4:2:0)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출력 비디오 프레임 레이트는 30 frame/sec이고, 시스템 압축 상수는 0.05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를 [수학식1]에 대입하여 전송 가능한 동영상의 예측 용량(길이 또는 시간)(Trim duration)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예측 윈도우(51)에 표시함과 함께 비디오 플레이어(52)는 예측 윈도우(51)내에 있는 동영상를 미리보기형태로 재생한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총 306초의 비디오 파일중에서 최대 18초에 해당하는 비디오 파일이 예측 윈도우(51)내에 표시되며, 상기 18초에 해당하는 비디오 파일이 비디오 플레이어(52)에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18초에 해당하는 비디오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비디오 파일은 총 시간(길이)은 18sec, 파일 사이즈는 1MB, 해상도는 176*144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예측 윈도우(51)를 축소시킨 경우에는 비디오 파일의 총 시간은 감소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촬영된 동영상을 편집할 때 수신측 디바이스의 정보를 근거로 전송환경별 제한된 용량에 대한 용량 예측시간(길이)을 계산하여 예측 윈도우와 같은 용량 예측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영역을 잘나내함으로써 동영상 편집을 최적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동영상의 잘라내기는 [수학식1]에 의해 전송 가능한 용량을 계산한 후 수행하고, 사용자가 예측 윈도우를 이용하여 전송 용량을 조정할 때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서 동영상의 잘라내기는 사용자가 예측 윈도우를 이용하여 전송 용량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때만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할 동영상의 제한용량에 맞게 편집시 동영상/이미지 포맷 및 해상도 변경을 사용자가 포맷을 선택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수신측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포맷 및 해상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대 전송 용량을 제시하는 예측 윈도우내에 원하는 용량 만큼 잘라내기를 수행함으로서 종래처럼 얼마만큼 잘라내야 전송 가능한 용량으로 편집되는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은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없이 적절한 포맷으로 바로 전송이 가능하며, 종래 처럼 사용자는 용량에 맞추기 위해 여러 번의 잘라내기를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50 : 패턴 영역 51 : 스크린 설정 메뉴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8)

  1. 전송할 동영상 및 수신자를 선택하는 단계;
    수신자에 관련된 디바이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수신자의 디바이스의 정보를 근거로 전송 가능 용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전송 가능 용량을 나타내는 예측 가이드를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가이드에서 선택된 동영상을 상기 디바이스의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디바이스 정보는
    3D지원여부 및 해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가이드는
    원도우, 박스 및 막대 형태로 프레임 표시부 또는 재생바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가이드는
    좌우 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축소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전송 가능한 용량이 예측될 때 일차로 잘려지고 상기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 2차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만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전송 가능한 용량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전송 가능 용량 = 전송방법에 의해 제한된 파일 사이즈/(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출력 샘플링 레이트×출력 프레임 레이트×시스템 압축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가이드내에서 선택된 동영상 부분은
    전송방법에 따라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해상도를 최소화하고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로 변환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MMS, email 및 SNS중의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편집방법.
  10. 동영상 및 수신자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동영상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편집 모드에서 전송할 동영상이 전송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를 근거로 전송 가능한 용량을 예측하여, 상기 동영상 편집 화면의 일측에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으로 잘라 내기를 수행할 수 있는 용량 예측 가이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의 디바이스 정보는
    3D지원여부 및 해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는
    원도우, 박스 및 막대 형태로 프레임 표시부 또는 재생바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는
    좌우 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축소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잘려진 동영상 부분을 디바이스의 정보에 따라 변환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만 동영상을 자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가능한 용량이 예측될 때 일차로 자르고 상기 용량 예측 가이드내에서 특정 부분이 선택될 때 2차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음 식에 의해 전송 가능한 용량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전송 가능 용량 = 전송방법에 의해 제한된 파일 사이즈/(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출력 샘플링 레이트×출력 프레임 레이트×시스템 압축률)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방법에 따라 용량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최소화하고 용량이 제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자 디바이스의 해상도로 변환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MS, email 및 SNS중의 하나를 통해 동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03555A 2012-01-11 2012-01-11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KR10134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55A KR101348722B1 (ko) 2012-01-11 2012-01-11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55A KR101348722B1 (ko) 2012-01-11 2012-01-11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370A true KR20130082370A (ko) 2013-07-19
KR101348722B1 KR101348722B1 (ko) 2014-01-09

Family

ID=4899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55A KR101348722B1 (ko) 2012-01-11 2012-01-11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72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4A1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4394A1 (en) * 2015-07-23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11934A (ko) *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7277393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生成运动员经过终点的视频的方法
CN107277409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277410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277392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360382A (zh) * 2017-07-11 2017-11-1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生成运动员经过终点的视频的方法
KR20200070457A (ko) * 2018-12-07 2020-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
WO2022231378A1 (ko) * 2021-04-29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더미 미디어를 이용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641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편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98934A (ko) * 2007-05-08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영상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624A1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4394A1 (en) * 2015-07-23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11934A (ko) * 2015-07-23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792953B2 (en) 2015-07-2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7277393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生成运动员经过终点的视频的方法
CN107277409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277410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277392A (zh) * 2017-07-11 2017-10-2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计时类运动项目中冲刺视频切割系统及方法
CN107360382A (zh) * 2017-07-11 2017-11-17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生成运动员经过终点的视频的方法
KR20200070457A (ko) * 2018-12-07 2020-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압축 장치 및 방법
WO2022231378A1 (ko) * 2021-04-29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더미 미디어를 이용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722B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72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영상 편집 방법
KR1015619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nfc 서비스 제공 방법
CN106507173B (zh) 移动终端和分屏显示控制方法
KR1017083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 이미지 합성방법
CN105956999B (zh) 缩略图生成装置和方法
CN106302651B (zh) 图片的社交分享方法及具有图片社交分享系统的终端
WO2017148211A1 (zh) 移动终端及网页截图方法
CN104967802A (zh) 移动终端及其屏幕多区域的录制方法和装置
KR101387521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CN105187911A (zh) 一种视频图片显示方法、装置及一种图片显示方法
CN105530290A (zh) 提供应用安装包下载的装置和方法
KR101977081B1 (ko)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05049582A (zh) 一种通话录音的保存装置、方法和显示方法
CN106385502B (zh) 一种照片整理方法和一种移动终端
KR101397012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설정 방법
CN105208203A (zh) 一种移动终端、数据信息管理系统及方法
CN105847575B (zh) 调用录音机的装置和方法
KR101578000B1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N106507279A (zh) 无线热点连接装置和方法
CN106412207A (zh) 一种录音方法和终端
KR101969802B1 (ko) 이동 단말기 및 재생 영상의 오디오 줌잉 방법
CN111200556B (zh) 一种网络图片查看方法
KR101695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3d촬영 제어방법
CN106911894B (zh) 图像采集方法和移动终端
CN104731952B (zh) 图片查看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