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065A -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065A
KR20130082065A KR1020120145553A KR20120145553A KR20130082065A KR 20130082065 A KR20130082065 A KR 20130082065A KR 1020120145553 A KR1020120145553 A KR 1020120145553A KR 20120145553 A KR20120145553 A KR 20120145553A KR 20130082065 A KR20130082065 A KR 2013008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anging
request message
indic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489B1 (ko
Inventor
김원익
김은경
김성경
장성철
차재선
윤미영
김석기
이현
윤철식
임광재
신석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737,941 priority Critical patent/US9209886B2/en
Publication of KR2013008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의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제1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받던 단말은 제1 기지국과의 서비스 연결불능을 감지하는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을 탐색한다. 상기 단말은 제2 기지국으로 제1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TERMINAL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이나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사회 기반 시설에는 무선 전화, 유선 전화 및 인터넷 네트워크 등 다양한 통신 시설이 중요한 기발 시설로 꼽히는데, 이러한 통신 시설이 파괴 되거나 손상되면 사회 혼잡도가 높아지고 사회 복구력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도 통신 시설을 빨리 복구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고신뢰성(High Reliability) 지원이 중요하다.
특히 이동 단말의 통신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손상되거나 전력선이 파괴되어 기지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경우 서비스 불능지역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의 손상으로 인한 서비스 불능지역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표준회의인 IEEE 802.16n에서는 서비스 불능지역 발생시 무선통신 대체 수단으로 단말간 직접 통신뿐만 아니라 다중기능 단말이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EEE 8012.16n의 Amendment Working Draft[1]에 따르면, 이동통신 인프라가 더 이상 망을 운용할 수 없거나 특수임무에 따른 보조적인 대체 수단으로, 다중기능 단말은 상위(superordinate) 기지국의 요청 또는 다중기능 단말 스스로가 중계기 또는 기지국 역할기능으로 전환하여 임시망을 구축 및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기능 단말이 중계기 또는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위 기지국이 하부의 다중기능 단말들 중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최적의 단말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후보 다중기능 단말들이 GPS와 같은 위성위치기반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상위 기지국은 이러한 위성위치기반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중기능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를 통해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다중기능 단말이 GPS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위 기지국이 다중기능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서비스 연결 불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연결 불능을 감지한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통한 임시망 복구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일정한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커버리지 손실 지시(coverage loss indicator)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을 일정한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커버리지 손실에 의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을 지연시간 없이 바로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네트워크 재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RF 모듈, 그리고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며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서빙 기지국과의 서비스 불능 여부를 감지한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접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통한 임시망 복구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접 기지국이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탐색되는 경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커버리지 손실 지시(coverage loss indicator)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접 기지국이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탐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커버리지 손실에 의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인접 기지국이 지연시간 없이 바로 탐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괴된 셀(즉, 서비스 불능 셀)에 인접한 기지국에서 다중기능 단말을 통하여 임시망 복구시, 접속되어 있는 다중기능 단말들의 이전 서빙 기지국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활용하여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손상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네트워크 재접속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손상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200, 300), 기지국(200)이 서비스하는 셀 내의 하부 단말(110, 120, 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200)은 하부 단말(110, 120, 1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던 중 재난이나 재해 등으로 손상된 되어 기지국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기지국으로서, 이하에서는 '서빙 기지국'이라 한다.
서빙 기지국(200)이 손상된 경우 서비스 불능지역이 발생하여 하부 단말(110, 120, 130)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단말(110, 120, 130) 중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단말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단말(130)을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다중기능 단말로 나타내었으며, 이하에서는 단말(130)이 다중기능 단말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다중기능 단말(130)은 서빙 기지국(200)과의 서비스가 단절된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하는데, 이하에서는 기지국(300)을 인접 기지국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기능 단말(130)이 자신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방법으로 다중기능 단말(130)이 서빙 기지국(200)의 기지국식별자(이하, 'BSID'라 함)를 인접 기지국(300)에 알려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에 의해 서비스가 단절된 다중기능 단말(130)이 가용한 인접 기지국(도 1에서는 인접 기지국(300))으로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또는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절차 수행 시 자신의 이전 서빙 기지국(200)의 BSID를 알려 주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방법 및 절차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이 서빙 기지국(200)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중, 서빙 기지국(200)의 파괴 또는 다른 사유로 인해 일정시간 동안 서비스 연결이 끊긴 경우, 다중기능 단말(130)은 이를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로 판단하고 새로운 셀로 접속하기 위해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한다. 이때 다중기능 단말(130)은 인접 기지국(300)으로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또는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시도한다.
여기서 다중기능 단말(130)이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를 인식한 후 바로 새로운 가용 셀(즉, 인접 기지국(300))을 찾을 수 있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 2와 같은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이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를 인식한 후 일정 시간지연 새로운 가용 셀(즉, 인접 기지국(300))을 찾을 수 있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네트워크 재접속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다중기능 단말(130)은 서빙 기지국(200)이 재난, 재해 등과 같이 예고 없이 파괴되어 일정 구간(커버리지 손실 인식 구간) 서비스 연결이 불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210, S220).
다중기능 단말(130)는 서비스 연결 불능이 일정 구간 지속되는 경우, 서비스연결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한다(S230).
여기서 다중기능 단말(130)은 지연시간 없이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접 기지국(300)으로 가정함)을 탐색하였다면, 인접 기지국(300)으로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절차를 시작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은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할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Advanced Air Interface - Ranging - Request, AAI-RNG-REQ)를 인접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240). 여기서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의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는 0b1000(네트워크 재접속임을 나타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다중기능 단말(130)은 이전 서빙 기지국(200)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에 포함시켜, 새로운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
다중기능 단말(130)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에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에 의한 임시망 복구를 위한 다중기능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인접한 서비스 불능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즉 상기의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 인접 셀의 불능을 감지는 하여 다중기능 단말의 선택 시, 인접한 서비스불능 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상기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네트워크 재접속(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레인징 요청 메시지내에 이전 서빙 기지국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포함하여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달리 다중기능 단말(130)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자신의 이전 서빙 기지국의 BSID(previous serving BSID) 및 자신의 서빙셀(즉,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유실된 사실을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다중기능 단말(130)은 서빙 기지국(200)이 재난, 재해 등과 같이 예고 없이 파괴되어 일정 구간(커버리지 손실 인식 구간) 서비스 연결이 불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310, S320).
다중기능 단말(130)는 서비스 연결 불능이 일정 구간 지속되는 경우, 서비스연결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한다(S330).
여기서 다중기능 단말(130)은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접 기지국(300)으로 가정함)을 탐색하였다면, 인접 기지국(300)으로 네트워크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시작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은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할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Advanced Air Interface - Ranging - Request, AAI-RNG-REQ)를 인접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340). 이때, 아래의 표1과 같이,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의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는 0b0000으로, 커비리지 손실 지시(coverage loss indicator) 필드는 0b1로 설정된다. 그리고 다중기능 단말(130)은 이전 서빙 기지국(200)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에 포함시켜, 새로운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
다중기능 단말(130)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에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에 의한 임시망 복구를 위한 다중기능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인접한 서비스 불능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즉 상기의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 인접 셀의 불능을 감지는 하여 다중기능 단말의 선택 시, 인접한 서비스불능 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상기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AAI-RNG-REQ message 포맷
Field Size
( bits )
Value / Description Condition
Ranging Purpose Indication 4 0b0000 = Initial network entry
0b0001 = HO reentry
0b0010 =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0b0011 = Idle mode location update 0b0100 = DCR mode extension
0b0101 = Emergency call setup (e.g., E911)
0b0110 = Location update for updating service flow management encodings of E-MBS flows
0b0111 = Location update for transition to DCR mode from idle mode
0b1000 = Reentry from DCR mode, coverage loss or detection of different ABS restart count.
0b1001 = Network reentry from a Legacy BS
0b1010 = Zone switch to MZONE from LZONE
0b1011 = Location update due to power down.
0b1100 = Interference mitigation request to a CSG Femto ABS when experiencing interference from the CSG Femto ABS
0b1101 = NS/EP call setup
0b1110 = HR multicast service location update
0b1111 = Network reentry for FBIS operation
-
If (Ranging Purpose Indication == 0b0000) { // Initial network entry
If (S-SFH Network Configuration bit == 0b0 and AMSID privacy is enabled) {
AMSID* 48 The AMSID hash value. Refer to 16.2.5.3.1
} else if (S-SFH Network Configuration bit == 0b1 or AMSID privacy is disabled){
AMS MAC address 48 AMS's real MAC address
}
MAC version 8 See 11.1.3
Initial Offset for uplink power control (OffsetInitial) 5 The bit size represents power level ranging from -15 dB (0x00) to 16dB (0x1F) with 1dB step The value is determined by AMS after successful initial ranging process
Coverage loss indicator 1 0b0: Initial network entry
0b1: Initial network entry by coverage loss
If (Coverage loss indicator == 0b1)
{
Serving BSID 48 The BSID of the HR-MS? previous Serving HR-BS before incurring a coverage loss
}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시 인접 기지국(300)으로 서빙 기지국의 BSID를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다중기능 단말(130)은 서빙 기지국(200)이 재난, 재해 등과 같이 예고 없이 파괴되어 일정 구간(커버리지 손실 인식 구간) 서비스 연결이 불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410, S420).
다중기능 단말(130)는 서비스 연결 불능이 일정 구간 지속되는 경우, 서비스연결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한다(S430).
여기서 다중기능 단말(130)은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접 기지국(300)으로 가정함)을 탐색하였다면, 인접 기지국(300)으로 네트워크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시작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은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할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Advanced Air Interface - Ranging - Request, AAI-RNG-REQ)를 인접국(300)으로 전송한다(S440). 이때, 아래의 표2와 같이,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의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는 0b1111로 설정한다. 그리고 다중기능 단말(130)은 이전 서빙 기지국(200)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에 포함시켜, 새로운 기지국인 인접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의 0b1111은 커버리지 손실에 의한 초기 네트워크 접속(Initial Network Entry by coverage loss)임을 나타낸다.
다중기능 단말(130)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에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에 의한 임시망 복구를 위한 다중기능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인접한 서비스 불능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즉 상기의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300)은 추후 인접 셀의 불능을 감지는 하여 다중기능 단말의 선택 시, 인접한 서비스불능 상태의 셀로부터 진입한 상기 다중기능 단말(130)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AAI-RNG-REQ message 포맷
Field Size
( bits )
Value / Description Condition
Ranging Purpose Indication 4 0b0000 = Initial network entry
0b0001 = HO reentry
0b0010 =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0b0011 = Idle mode location update 0b0100 = DCR mode extension
0b0101 = Emergency call setup (e.g., E911)
0b0110 = Location update for updating service flow management encodings of E-MBS flows
0b0111 = Location update for transition to DCR mode from idle mode
0b1000 = Reentry from DCR mode, coverage loss or detection of different ABS restart count.
0b1001 = Network reentry from a Legacy BS
0b1010 = Zone switch to MZONE from LZONE
0b1011 = Location update due to power down.
0b1100 = Interference mitigation request to a CSG Femto ABS when experiencing interference from the CSG Femto ABS
0b1101 = NS/EP call setup
0b1110 = HR multicast service location update
0b1111 = Initial network entry by coverage loss
-
If (Ranging Purpose Indication == 0b1111) { // Initial network entry by coverage loss
If (S-SFH Network Configuration bit == 0b0 and AMSID privacy is enabled) {
AMSID* 48 The AMSID hash value. Refer to 16.2.5.3.1
} else if (S-SFH Network Configuration bit == 0b1 or AMSID privacy is disabled){
AMS MAC address 48 AMS's real MAC address
}
MAC version 8 See 11.1.3
Initial Offset for uplink power control (OffsetInitial) 5 The bit size represents power level ranging from -15 dB (0x00) to 16dB (0x1F) with 1dB step The value is determined by AMS after successful initial ranging process
Coverage loss indicator 1 0b0: Initial network entry
0b1: Initial network entry by coverage loss
Serving BSID 48 The BSID of the HR-MS? previous Serving HR-BS before incurring a coverage loss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기능 단말(1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중계기/중계모드 다중기능 단말(130)은 프로세서(132), 메모리(13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모듈(13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절차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4)는 프로세서(13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3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136)은 프로세서(13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다중기능 단말(13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괴된 셀(즉, 서비스 불능 셀)에 인접한 기지국에서 다중기능 단말을 통하여 임시망 복구시, 접속되어 있는 다중기능 단말들의 이전 서빙 기지국의 BSID(previous serving BSID)를 활용하여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량의 커버리지 손실(coverage loss)에 의한 네트워크 재접속 또는 초기 네트워크 접속이 발생할 경우, 인접 지역의 셀 커버리지에 대한 비정상적인 전파환경(out of coverage)을 유추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복구를 위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던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서비스 연결 불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연결 불능을 감지한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을 탐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통한 임시망 복구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최적의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일정한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커버리지 손실 지시(coverage loss indicator) 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을 일정한 지연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커버리지 손실에 의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기지국을 지연시간 없이 바로 상기 제2 기지국을 탐색한 경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네트워크 재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되는 방법.
  7. RF 모듈, 그리고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며 중계모드 또는 기지국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서빙 기지국과의 서비스 불능 여부를 감지한 경우 가용한 인접 기지국을 탐색하고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통한 임시망 복구시 상기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다중기능 단말을 선정하는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이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탐색되는 경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커버리지 손실 지시(coverage loss indicator) 필드를 더 포함하는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이 일정 지연시간 이후에 탐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커버리지 손실에 의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임을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되는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이 지연시간 없이 바로 탐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KR1020120145553A 2012-01-10 2012-12-13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10188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37,941 US9209886B2 (en) 2012-01-10 2013-01-09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2889 2012-01-10
KR1020120002889 2012-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65A true KR20130082065A (ko) 2013-07-18
KR101882489B1 KR101882489B1 (ko) 2018-07-27

Family

ID=4899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553A KR101882489B1 (ko) 2012-01-10 2012-12-13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94A1 (ko) * 2013-08-05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다중 기지국 검색 및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90042994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기지국 철탑 피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301A (ko)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방법
KR2011006967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증 절차를 고려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110182243A1 (en) * 2002-10-18 2011-07-28 Gallagher Michael D Messaging for paging a mobile station in an unlicensed mobile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2243A1 (en) * 2002-10-18 2011-07-28 Gallagher Michael D Messaging for paging a mobile station in an unlicensed mobile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80050301A (ko)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방법
KR2011006967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증 절차를 고려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94A1 (ko) * 2013-08-05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다중 기지국 검색 및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90042994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기지국 철탑 피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489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49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EP3583792B1 (en) Wlan d2d interworing with lte prose
CN106211261B (zh) 信息处理方法及通信节点
US8923884B2 (en) Method for measuring home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509778B2 (en) Handling location information for femto cells
EP2727400B1 (en) Handover in relation to cell identity ambiguity
EP3535994B1 (en) Mobility management for relaying
JP5516164B2 (ja) セル識別子の決定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209886B2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89828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such a system
WO2018120158A1 (zh) 传输系统信息的方法和终端设备
JP5379908B2 (ja) 適応的近隣セル関係機能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24984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network nodes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EP3525520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network switching
KR10225280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WO201514209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20264430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terminal
WO2014158064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electing a synchronization reference
ES2911513T3 (es) Equipo de usuario, estación base y métodos para establecimiento de conexión
KR101882489B1 (ko)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JP6433433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EP2747490A1 (en) Session termination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18027805A1 (zh) 资源获取方法及相关设备
WO2024073888A1 (en) Cell change handling by relay ue in an idle or inactive protocol state
EP4325968A1 (en) User device,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