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806B1 -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806B1
KR102252806B1 KR1020197023780A KR20197023780A KR102252806B1 KR 102252806 B1 KR102252806 B1 KR 102252806B1 KR 1020197023780 A KR1020197023780 A KR 1020197023780A KR 20197023780 A KR20197023780 A KR 20197023780A KR 102252806 B1 KR102252806 B1 KR 10225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standard
area
base station
cor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383A (ko
Inventor
원제 펑
밍쩡 다이
훙줘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단말기에 의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단말기에 의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2개의 통신 표준의 영역 아이덴티티들을 브로드캐스팅하여, 단말기가 셀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단말기에 대해 통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7년 1월 25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061266.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는 점점 더 인기를 누리게 되고, 사람들은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에 대해 점점 더 높은 요건들을 부여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는 그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가 진화함에 따라, 단말기의 통신은 단말기가 오래된 표준 및 새로운 표준의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신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제1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임 -; 단말기가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기지국에 의해,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고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임 - 및 단말기에 의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기지국에 의해,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고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있지 않음 -, 및 단말기에 의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통신 표준은 4G일 수 있고, 제2 통신 표준은 5G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기지국에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기 전에, 단말기에 의해 단말기의 능력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능력 정보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는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이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페이징 영역 코드(paging area code, PAC)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기에 의해,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또는
단말기에 의해,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또한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단말기에 의해,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와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의해,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하고; 및 기지국에 의해,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에 의해,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된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 의해,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고; 및 기지국에 의해,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에 의해, 제2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이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페이징 영역 코드(paging area code, PAC)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해,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또한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또한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하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단말기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고; 및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위치되고 또한: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또한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거나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또한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됨 -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처리 유닛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처리 유닛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처리 유닛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처리 유닛은: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과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과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및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위치되고 또한: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 -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유닛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송신 유닛은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유닛은: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송신 유닛은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 유닛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송신 유닛은 제2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제1 송신 유닛은: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또한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또한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그램은 제1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그램은 제2 양태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여기서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고 제5 양태에서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여기서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고 제6 양태에서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들에서,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와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2개의 통신 표준에 대한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2개의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2개의 영역 아이덴티티를 수신하고, 제2 통신 표준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적시 액세스 또는 적시 영역 갱신을 위해, 제2 영역 아이덴티티에 기초하여 영역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 페이징의 실패 확률을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2개의 상이한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상이한 통신 표준들의 통신 시스템들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한다. 2개의 상이한 통신 표준은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사용하여 구별된다. 제1 통신 표준은 제1 RAT를 사용하고, 제1 RAT는,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인데, 즉, 제1 통신 표준은 4G이다. 제2 통신 표준은 제2 RAT를 사용하고, 제2 RAT는,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R)인데, 즉, 제2 통신 표준은 5G이다. 4G 통신 시스템 또는 5G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의 일부 용어들이 설명된다.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라고도 지칭하는 단말기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면, 무선 접속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차량 내 디바이스이다. 공통 단말기들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들, 태블릿 컴퓨터들, 노트북 컴퓨터들, 팜톱 컴퓨터들,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들(mobile internet device, MID), 및 스마트 시계들, 스마트 밴드들, 및 보수계들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디바이스로도 지칭되는 기지국은, 예를 들어,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진화된 NodeB(evolved Node B, e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NodeB(NB),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홈 기지국(예를 들어, 홈 진화된 NodeB 또는 홈 Node B, HNB), 또는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각각의 통신 표준의 기지국을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단말기를 접속하는 디바이스이다. 또한, 디바이스는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통신 표준들의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기지국들은 상이하다. 구별을 위해,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LTE eNB라고 지칭하고,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NR gNB라고 지칭하고,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양자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eLTE eNB라고 지칭한다. 이러한 이름들은 단지 구별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제한도 부여하지 않는다.
(3) "복수의"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다른 수량사들도 그와 유사하다.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는데: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며, B만 존재한다.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들 사이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통신 시스템은 차세대 코어(Next Generation Core, NGC) 및 NGC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포함하고, NGC에 접속된 RAN은 NR gNB(11) 및 eNB(12)를 포함한다. 4G 통신 시스템은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및 EPC에 접속된 RAN을 포함하고, EPC에 접속된 RAN은 eNB(13) 및 eNB(12)를 포함한다. eNB(13)는 EPC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지만 NGC에 대한 접속은 지원하지 않는다. eNB(12)는 EPC 및 NGC 모두에 대한 접속을 지원한다. 이 실시예에서, eNB(13)와 eNB(12)를 구별하기 위해, eNB(13)는 LTE eNB로서 지칭될 수 있고, eNB(12)는 eLTE eNB로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킹에서, LTE eNB는 NGC에 접속될 수 있는 eLTE eNB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을 나타내고, (120)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을 나타내고, (130)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을 나타낸다.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영역의 개념,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이 도입된다. eNB(12)는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 및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이 위치되는 트래킹 영역의 것인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아이덴티티(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PLMN ID)를 브로드캐스팅한다. TAC 및 PLMN ID는 트래킹 영역 아이덴티티(Tracking Area Identity, TAI)를 형성한다. TAC(또는 TAI)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 LTE 시스템에서의 트래킹 영역 갱신(Tracking Area Update, TAU)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유휴 모드에서 이동하고; 및 단말기가 현재 진입하는 셀의 트래킹 영역 아이덴티티(Tracking Area Identity, TAI)가 단말기의 TAI 리스트에 있는 경우, 단말기는 어떤 TAU도 트리거링하지 않고, 또는 단말기가 현재 진입하는 셀의 TAI가 단말기의 TAI 리스트에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는 TAU를 트리거링한다.
셀(120)이 위치하는 TA의 TAI는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TAI를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기존의 4G 통신 시스템의 TA 계획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존 TAU 메커니즘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기가 셀(120)로 이동할 때, 보통은, 셀(110) 및 셀(120) 이 동일 TA 또는 동일 TA 리스트에 계획되기 때문에, 또는 셀(120) 및 셀(130)이 동일 TA 또는 동일 TA 리스트에 계획되기 때문에, 어떤 TAU도 개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통신은 충분한 신뢰성이 없다.
예를 들어, 단말기(14)는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 양쪽 모두를 지원하고; 및 단말기(14)가 유휴 모드에서 셀(130)로부터 셀(120)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어떤 TAU도 개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셀(130) 및 셀(120)이 동일 TA에 계획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단말기(14)는 NGC에 액세스할 수 없고, 따라서 5G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획득할 수 없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기(14)는 NGC에 등록되고 또한 단말기(14)에 대해 NGC에 의해 구성된 TAI 리스트는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이 위치되는 TA의 TAI 및 NR g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이 위치되는 TA의 TAI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14)에 대해 NGC에 의해 구성된 TAI 리스트는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이 위치되는 TA의 TAI 1 및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이 위치되는 TA의 TAI 2를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의 TAU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단말기(14)가 유휴 모드에서 셀(110)로부터 셀(120)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셀(120)의 TAI 1을 수신하고, 단말기(14)는 셀(120)의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기 때문에 어떤 TAU도 트리거링하지 않는다. 단말기(14)가 계속 이동하고 셀(120)로부터 셀(130)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셀(130)의 TAI를 수신하고, 그리고 셀(120)이 LTE 시스템에서 TAI 계획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셀(120)의 TAI는 셀(130)의 TAI와 동일할 수 있고; 및 셀(130)의 TAI가 또한 TAI 1인 경우, 단말기(14)는 셀(130)의 TAI 1이 또한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기 때문에 어떤 TAU도 트리거링하지 않는다. 단말기(14)가 셀(130)에 머무르고 NGC가 다운링크 트래픽을 단말기(14)에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NGC는 eNB(13)가 NGC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페이징을 통해 단말기(14)를 찾을 수 없다.
명백하게, 기존의 TA 계획 메커니즘은 불충분한 통신 신뢰성을 나타내기가 쉽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2개의 TA가 2개의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대해 계획되고 2개의 TA의 2개의 영역 아이덴티티가 브로드캐스팅된다. 구체적으로, 이하의 몇몇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특정 시나리오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동일한 계획 규칙이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들의 영역 아이덴티티들 및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들의 영역 아이덴티티들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으로, 상이한 계획 규칙들이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들의 영역 아이덴티티들 및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들의 영역 아이덴티티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이한 TAI가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할당된 2개의 상이한 TAI는 TAI 1 및 TAI 2이다. 하나는 4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5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TAI 1은 4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TAI 2는 5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된다. TAI 1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되고, TAI 2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TAI 1 및 TAI 2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하는 하기의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사례 1: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는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하고, 그리고 단말기(14)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하기 전에, 단말기(14)에 저장되는 TAI 리스트는 EPC에 의해 할당되고, EPC에 의해 할당되는 TAI 리스트는 5G 통신 시스템의 셀의 어떠한 TAI도 포함하지 않는다. 단말기(14)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한 후에,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TAI 1 및 TAI 2를 포함한다. 단말기(14)는 TAI 1 및 TAI 2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에 TAI 1 및 TAI 2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4)가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4)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NB(12)가 NGC에 접속되어 있다면 NGC에 대한 TAU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4)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예를 들어 TAI 1이 단말기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5G 통신 시스템의 TAI를 포함한다면, 단말기(14)는 5G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NGC)에 대한 TAU를 개시한다.
eNB(12)가 EPC 및 NGC 모두에 접속되고, eNB(12)가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를 파싱하지 않고서 포워딩만 하기 때문에, 단말기(14)는 TAU를 개시할 때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eNB(12)에 송신할 필요가 추가로 있고,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가 NG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TAU와 함께 eNB(12)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정보 요소 및 TAU 메시지는 하나의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에서 eNB(12)에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제1 표시 정보 요소 및 TAU는 eNB(12)에 개별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4)는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RRC 메시지에 추가하고 RRC 메시지를 eNB(12)에 송신하고; 및 단말기(14)는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메시지를 사용하여 NGC에 TAU를 송신한다. 그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eLTE eNB 및 NGC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은 다음의 S41 내지 S44를 포함한다.
S41. eLTE eNB는 4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1, 및 5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2를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팅한다.
S42. 단말기는 제1 표시 정보 요소 및 TAU를 eLTE eNB에 송신한다.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TAU가 NG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TAU는 TAI 2를 포함한다.
S43. eLTE eNB는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TAU를 NGC에 송신한다.
S44. NGC는 TAI 리스트 1을 eLTE eNB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eNB(12)가 TAI 1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이유는 4G 통신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단말기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4)는 4G 통신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단말기이고, 셀(130) 및 셀(120) 모두는 4G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들이다. 이 경우, 2개의 셀의 TAI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단말기(14)가 셀(130)로부터 셀(120)로 이동하기 전에, 단말기(14)의 TAI 리스트는 EPC에 의해 할당된다. 단말기(14)가 셀(130)로부터 셀(120)로 이동한 후에,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 경우, 단말기(14)는 어떤 TAU도 트리거링하지 않는다.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할 필요가 있다.
사례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는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하고, 그리고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하기 전에, 단말기(14)에 저장된 TAI 리스트는 NGC에 의해 할당되고, NGC에 의해 할당된 TAI 리스트는 TAI 1을 포함하지 않는다.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한 후에,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5G 통신 시스템의 TAI, 예를 들어 TAI 2가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TAI 2가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14)는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한다. TAI 2가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 경우, 단말기(14)는 NGC에 대해 어떤 TAU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대해,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할 필요가 추가로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말기(14)가 계속 이동하고 셀(120)로부터 셀(130)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가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가 TAI 1이고 TAI 1이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지 않은 경우,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와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2개의 통신 표준에 대한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2개의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2개의 영역 아이덴티티를 수신하고, 제2 통신 표준의 통신 시스템에의 적시의 액세스 또는 적시의 영역 갱신을 위해, 제2 영역 아이덴티티에 기초하여 영역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 페이징의 실패 확률을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단말기에 대한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적 해결책에서, 단말기가 eLTE eNB를 통해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하기 전에, eLTE eNB는 단말기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고; 및 능력 정보가 단말기가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거나 또는 단말기가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둘 다를 지원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기가 eLTE eNB를 통해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할 때, 단말기는 eLTE eNB에 표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지만 TAU를 eLTE eNB에 직접 송신하고, eLTE eNB는 단말기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TAU를 NGC에 직접 송신한다. 단말기가 4G 통신 시스템만을 지원한다는 것을 능력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가 TAU를 개시할 때, eLTE eNB는 TAU를 EPC에 직접 송신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R gNB(11)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TAI 3을 포함하고,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TAI 1 및 TAI 2를 포함하고, 여기서 TAI 1은 4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TAI 2는 5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TAI 1을 포함한다. 단말기(14)는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 둘 다를 지원하고, 단말기(14)는 NGC에 등록되고, NGC에 의해 단말기(14)에 할당된 TAI 리스트는 TAI 3을 포함한다. 단말기(14)가, 유휴 모드에서,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5G 통신 시스템에 대해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2가 단말기(14)의 TAI 리스트에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14)는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하고, NGC는 TAI 리스트 1을 단말기(14)에 반환하고, 여기서 TAI 리스트 1은 TAI 2를 포함하고, 단말기(14)는 단말기(14)에 저장된 원래 TAI 리스트를 TAI 리스트 1로 갱신한다. 단말기(14)가 계속 이동하고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로부터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 이동하는 경우,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1이 단말기(14)의 현재 TAI 리스트 1에 있지 않고, eNB(13)가 4G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셀(130)은 LTE 커버리지의 셀이고, eNB(13)는 NGC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하고, EPC는 TAI 리스트 2를 단말기(14)에 반환하고, 여기서 TAI 리스트 2는 TAI 1을 포함하고, 단말기(14)는 단말기(14)에 저장된 TAI 리스트 1을 TAI 리스트 2로 갱신한다.
또한, NGC에 대해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의 포맷은 EPC에 대해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의 포맷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14)는 NGC에 대해 5G NAS 포맷의 TAU를 개시하고,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EPC NAS 포맷의 TAU를 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가 유휴 모드에서 이동할 때,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의 포맷은 단말기(14)가 위치되는 셀의 지원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기(14)가 위치되는 셀이 NGC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4)는 바람직하게는 5G NAS 포맷의 TAU를 개시하고; 또는 단말기(14)가 위치되는 셀이 EPC에 대한 접속만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4)는 EPC NAS 포맷의 TAU를 개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는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둘 다를 지원한다.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로부터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 이동할 때,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1이 단말기(14)의 현재 TAI 리스트 1에 있지 않고, eNB(13)는 4G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셀(130)은 LTE 커버리지의 셀이고, eNB(13)는 NGC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EPC NAS 포맷의 TAU를 개시한다. 단말기(14)가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1이 단말기의 TAI 리스트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단말기(14)는 eNB(12)가 NGC에 접속되어 있다면 5G NAS 포맷의 TAU를 5G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NGC에 송신한다.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과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 사이에서 왔다갔다 이동할 때, 각각의 셀 재선택에 대해, 단말기(14)는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들에 상이한 포맷들의 TAU들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4)는 빈번하게 5G NAS 포맷의 TAU들을 NGC에 송신하고, 빈번하게 EPC NAS 포맷의 TAU들을 EPC에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핑퐁 현상(ping-pong phenomenon)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한다. 또한,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가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하는지 여부는 5G 통신 시스템에 대해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가 단말기(14)의 현재 TAI 리스트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그 원리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원리와 동일하고, 상세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에 대한 NGC에 의해 구성된 TAI 리스트에 5G 통신 시스템을 위해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가 있는 경우, 단말기(14)는 NGC에 대해 TAU를 개시할 필요가 없지만, 여전히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할 필요가 있고, EPC는 TAI 리스트를 단말기(14)에 반환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서 EPC에 의해 송신된 TAI 리스트를 수신할 때, 단말기(14)는 원래의 TAI 리스트, 즉, 단말기(14)에 대해 NGC에 의해 구성된 TAI 리스트를 유지하고, 또한 EPC에 의해 송신된 TAI 리스트를 저장한다.
eNB(12)가 EPC 및 NGC 모두에 접속되고, eNB(12)가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를 파싱하지 않고 단지 포워딩하기 때문에, 단말기(14)는 TAU를 개시할 때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eNB(12)에 송신할 필요가 또한 있고,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된 TAU가 EP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그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eLTE eNB, 및 EPC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은 다음의 S71 내지 S74를 포함한다.
S71. eLTE eNB는 4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1, 및 5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2를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팅한다.
S72. 단말기는 제2 표시 정보 요소 및 TAU를 eLTE eNB에 송신한다.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TAU가 EP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단말기에 의해 eLTE eNB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TAI 1을 더 포함한다.
S73. eLTE eNB는 제2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TAU를 EPC에 송신한다.
S74. EPC는 TAI 리스트 2를 eLTE eNB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TAI 리스트 2는 TAI 1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LTE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마다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14)가 핑퐁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네트워크에서 핑퐁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발견한 후에 코어 네트워크의 명령 하에 EPC에 대해 TAU를 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5G 통신 시스템의 셀로부터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단말기는 eLTE eNB를 통해 4G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를 개시하고, 4G 코어 네트워크는 TAI 리스트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가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로부터 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단말기가 4G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TAI 리스트를 저장하였기 때문에, TAI 리스트는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의 TAI 및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 주위의 LTE eNB들에 의해 서빙되는 셀들의 TAI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과 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 사이에서 왔다갔다 이동할 때,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의 TAI 및 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의 TAI 둘 다가 단말기의 TAI 리스트에 있기 때문에, 각각의 셀 재선택에 대해, 단말기는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들에 상이한 포맷들의 TAU들을 송신할 필요가 없다. 이는 단말기가 5G NAS 포맷의 TAU들을 NGC에 빈번하게 송신하고 또한 EPC NAS 포맷의 TAU들을 EPC에 빈번하게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이해 핑퐁 현상을 회피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시그널링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단말기(14)가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4)가 NR gNB(11)에 의해 서빙되는 셀(11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또는 eNB(13)에 의해 서빙되는 셀(130)로부터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120)에 진입할 때, 단말기(14)는 EPC에 대해 EPC NAS 포맷의 TAU 및 NGC에 대해 5G NAS 포맷의 TAU 둘 다를 개시할 수 있다. eNB(12)가 EPC 및 NGC 모두에 연결되고, eNB(12)가 단말기(14)에 의해 개시되는 TAU를 파싱하지 않고 단지 포워딩하기 때문에, EPC NAS 포맷의 TAU 및 5G NAS 포맷의 TAU 둘 다를 개시할 때, 단말기(14)는 제1 표시 정보 요소 및 제2 표시 정보 요소 둘 다를 eNB(12)에 송신할 필요가 더 있다.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TAU 1로 표시되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5G NAS 포맷의 TAU가 NG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TAU 2로 표시되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EPC NAS 포맷의 TAU가 EP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eLTE eNB, EPC, 및 NGC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은 다음의 S81 내지 S86을 포함한다.
S81. eLTE eNB는 4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1, 및 5G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TAI 2를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팅한다.
S82. 단말기는 제1 표시 정보 요소, TAU 1, 제2 표시 정보 요소, 및 TAU 2를 eLTE eNB에 송신한다.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TAU 1이 NG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TAU 2가 EPC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TAU 1은 TAI 2를 포함하고, TAU 2는 TAI 1을 포함한다.
S83. eLTE eNB는 TAU 1을 NGC에 송신한다.
S84. eLTE eNB는 TAU 2를 EPC에 송신한다.
S85. NGC는 TAI 리스트 1을 eLTE eNB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S86. EPC는 TAI 리스트 2를 eLTE eNB를 통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TAI 리스트 1이 TAI 2 및 TAI 3을 포함하고 TAI 리스트 2가 TAI 1을 포함하는 경우, TAI 리스트 1 및 TAI 리스트 2를 수신한 후에, 단말기는 TAI 리스트 1과 TAI 리스트 2를 전체 TAI 리스트가 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 TAI 리스트는 TAI 리스트 1 내의 TAI들 및 TAI 리스트 2 내의 TAI들을 포함한다. TAI 리스트는 TAI 리스트 1 또는 TAI 리스트 2보다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이다.
NR gNB(11)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3이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있고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5G 통신 시스템의 TAI 2가 또한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있기 때문에, 단말기(14)가 셀(110)과 셀(120)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TAU들을 빈번하게 개시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4G 통신 시스템의 TAI 1이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있고 eNB(13)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TAI 1이 또한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있기 때문에, 단말기(14)가 셀(120)과 셀(130)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때, 단말기(14)는 빈번하게 TAU들을 개시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TAI 리스트 1 및 TAI 리스트 2는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를 형성하여서, 단말기(14)가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대응하는 셀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어떤 TAU도 개시하지 않도록 하고, 단말기(14)는 단말기(14)에 대응하는 코어 네트워크가 변할 때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들에 대해 상이한 포맷들의 TAU들을 빈번하게 개시할 필요가 없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14)가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마다, 또는 단말기(14)가 핑퐁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결정한 후에,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네트워크에서 핑퐁 현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발견한 후 코어 네트워크의 명령 하에서 단말기(14)는 EPC에 대한 EPC NAS 포맷의 TAU 및 NGC에 대한 5G NAS 포맷의 TAU 양쪽 모두를 개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로 이동할 때, 단말기는 상이한 포맷들의 영역 갱신들을 4G 코어 네트워크 및 5G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4G 코어 네트워크 및 5G 코어 네트워크는 상이한 TAI 리스트들을 단말기에 할당하고, 여기서 2개의 TAI 리스트는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를 형성하고, 따라서 단말기는 더 큰 컬렉션의 TAI 리스트에 대응하는 셀 사이에서 이동할 때 어떤 TAU도 개시하지 않고, 단말기는 단말기에 대응하는 코어 네트워크가 변할 때 빈번하게 TAU들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는 에어 인터페이스 리소스들을 절감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적 해결책에서,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인 상이한 포맷들의 2개의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수 있고; 및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TAC)일 수 있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페이징 영역 코드(Paging Area Code, PAC)일 수 있다. TAI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아이덴티티(Public Land Mobile Network Identity, PLMN ID) 및 TAC를 포함하고, 페이징 영역 아이덴티티(Paging Area Identity, PAI)는 PLMN ID 및 PAC를 포함한다. TAC 및 PAC는 상이한 포맷들,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4)에 대해, 단말기(14)에 대한 조작자가 고정되어 있다면 PLMN ID가 고정된다. TAC 및 PAC는 상이한 포맷들을 갖기 때문에, TAI 및 PAI는 또한 상이한 포맷들을 갖는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I 1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PAI 1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eNB(12)는 TAI 1 및 PAI 1을 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기(14)가 TAI 1 및 PAI 1을 수신할 때, 단말기(14)는 TAI 1 및 PAI 1의 상이한 포맷들에 기초하여, PAI 1이 5G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TAI 1이 4G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기(14)가 eNB(12)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eNB(12)는 TAC 1 및 PAC 1을 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기(14)가 TAC 1 및 PAC 1을 수신할 때, 단말기(14)는 TAC 1 및 PAC 1의 상이한 포맷들에 기초하여 PAC 1이 5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고 TAC 1이 4G 통신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eLTE eNB는 상이한 포맷들을 갖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고, 따라서 eLTE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 내의 단말기가,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상이한 포맷들에 기초하여, 5G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 및 4G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eNB(1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동일한 포맷의 2개의 영역 아이덴티티, 예를 들어,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TAC 1이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TAC 2이다. TAI는 PLMN ID 및 TAC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말기(14)에 대한 조작자가 고정된 경우, PLMN ID는 고정된다. 따라서, TAC 1이 TAC 2와 상이한 경우, TAI 1은 TAI 2와 상이하다. 단말기(14)가 4G 및 5G 양쪽 모두를 지원하는 경우, eNB(12)는 추가로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단말기(14)에 송신할 필요가 있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1이 4G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5G에 대해 사용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eNB(12)는 한 피스의 표시 정보를 단말기(14)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1이 4G에 대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2가 디폴트로 5G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eNB(12)는 한 피스의 표시 정보를 단말기(14)에 송신하는데,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2가 5G를 위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1이 디폴트로 4G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기(14)가 4G만을 지원하는 경우, eNB(12)는 한 피스의 표시 정보만을 단말기(14)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1이 4G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즉 TAC 2가 5G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eLTE eNB는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여, eLTE eN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중 어느 것이 5G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인지와 어느 것이 4G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인지를 표시함으로써, 단말기가 eLTE eN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동일한 포맷의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eLTE eNB는 한 피스의 표시 정보를 송신하여, eLTE eN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중 어느 것이 5G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인지 또는 4G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영역 아이덴티티인지를 표시함으로써, 단말기가 eLTE eN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동일 포맷의 제1 영역 아이덴티티와 제2 영역 아이덴티티 중 하나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서 다른 하나는 디폴트로 알려진다. 이는 eLTE eNB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1 통신 표준은 4G일 수 있고, 제2 통신 표준은 5G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단말기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위치되고, 수신 유닛(101) 및 처리 유닛(1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01)은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02)은: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그리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는 처리 유닛(102)은: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그리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에서, 처리 유닛(102)은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처리 유닛(102)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처리 유닛(102)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2)은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처리 유닛(102)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수신 유닛(101)은: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됨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예들의 것들과 유사하고, 상세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1 통신 표준은 4G일 수 있고, 제2 통신 표준은 5G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위치되고, 제1 송신 유닛(111), 수신 유닛(112), 및 제2 송신 유닛(113)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유닛(111)은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되고, 제2 영역 식별자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 유닛(112)은: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신 유닛(113)은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서, 수신 유닛(112)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송신 유닛(113)은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112)은: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송신 유닛(113)은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112)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송신 유닛(113)은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제1 송신 유닛(111)은: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예들의 것들과 유사하고, 상세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단말기 또는 기지국에서의 유닛들의 분할은 논리적 기능들에 기초한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 유닛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나의 물리적 엔티티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닛들은 모두 처리 요소를 사용하여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모두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유닛들은 처리 요소를 사용하여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일부 유닛들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은 독립적으로 배치된 처리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구현을 위해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칩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 유닛은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여기서 기지국 또는 단말기의 처리 요소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전술한 유닛들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다른 유닛들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들 유닛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함께 통합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처리 요소는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 또는 전술한 유닛들은 처리 요소 내의 하드웨어 집적 로직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된 명령어들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신 유닛은, 단말기 또는 기지국의 안테나 및 무선 주파수 장치와 같은 수신 장치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전술한 제1 송신 유닛은 기지국의 안테나 및 무선 주파수 장치와 같은 송신 장치를 통해 단말기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전송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제2 송신 유닛은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전송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유닛들은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유닛들 중 하나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때, 처리 유닛은 범용 프로세서,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러한 유닛들은 집적되어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수신기(121), 송신기(122), 프로세서(123), 및 메모리(124)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다. 제1 통신 표준은 4G일 수 있고, 제2 통신 표준은 5G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단말기는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한다. 수신기(121)는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3)는: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프로세서(123)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때,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 구성된다.
도 12 에서, 프로세서(123)는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프로세서(123)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프로세서(123)는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3)는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프로세서(123)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수신기(121)는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됨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말기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예들의 것들과 유사하고, 상세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수신기(121) 및 송신기(122)는 안테나에 접속될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수신기(121) 및 송신기(122)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처리를 위해 정보를 프로세서(123)에 송신한다. 업링크 방향에서, 프로세서(123)는 단말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기(122)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메모리(124)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닛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3)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의 동작들을 수행하여, 도 10에 도시된 유닛들을 구현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유닛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구현을 위해 집적 회로의 형태로 단말기의 칩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유닛들은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기지국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송신기(131), 수신기(132), 및 프로세서(133)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한다. 제1 통신 표준은 4G일 수 있고, 제2 통신 표준은 5G일 수 있다. 송신기(131)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기(132)는: 단말기가 제1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또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기(131)는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3에서, 수신기(132)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기(131)는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기(132)는: 단말기가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할 때,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기에 의해 개시되는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기(131)는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신기(132)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 요소는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송신기(131)는 제2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동일하고, 송신기(131)는: 제1 표시 정보 및 제2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제1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또는 표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 표시 정보는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제2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고,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디폴트로 제1 통신 표준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의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방법 실시예들의 것들과 유사하고, 상세사항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3)는 대안적으로 제어기일 수 있고 도 13에서 "제어기/프로세서(133)"로서 예시되어 있다. 송신기(131) 및 수신기(13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정보 송신/수신을 지원하고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3)는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업링크에서, 단말기로부터의 업링크 신호가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132)에 의해 복조되고 (예를 들어, 고주파 신호가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되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 프로세서(133)에 의해 더 처리된다. 다운링크에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는 프로세서(133)에 의해 처리되고,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기(131)에 의해 변조되고(예를 들어, 기저대역 신호가 고주파 신호로 변조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에 전송된다.
기지국은 메모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4)는 기지국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은 통신 인터페이스(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5)는 기지국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35)는 기지국과 SGW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S1-U 인터페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35)는 기지국과 MME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S1-MME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133)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고,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4)는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저장 요소의 일반적인 용어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손쉽게 생각해 내게 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종속할 것이다.

Claims (26)

  1.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함 -;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1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됨 -;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상기 제1 영역 갱신이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1 영역 갱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는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함 -;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로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영역 갱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통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함 -;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됨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영역 갱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는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함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1 통신 표준 및 제2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정보는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함 -;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1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개시된 상기 제1 영역 갱신이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1 영역 갱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는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로 갱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로부터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영역 갱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5. 기지국에 적용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영역 아이덴티티 및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 - 상기 기지국은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2 통신 표준에서 단말기에 대한 위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은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상이함 -;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영역 리스트에 속하지 않을 때,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 - 상기 현재 영역 리스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됨 -; 및
    상기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1 표시 정보 요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개시된 영역 갱신이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개시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표시 정보 요소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갱신 요청을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셀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셀에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영역 갱신 요청을 상기 제1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갱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 표준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영역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는 상기 제2 영역 아이덴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영역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9. 통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0. 통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97023780A 2017-01-25 2018-01-22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KR10225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1266.0A CN108347725B (zh) 2017-01-25 2017-01-25 通信方法和设备
CN201710061266.0 2017-01-25
PCT/CN2018/073630 WO2018137579A1 (zh) 2017-01-25 2018-01-22 通信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383A KR20190103383A (ko) 2019-09-04
KR102252806B1 true KR102252806B1 (ko) 2021-05-18

Family

ID=6296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80A KR102252806B1 (ko) 2017-01-25 2018-01-22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90871B2 (ko)
EP (1) EP3565378B1 (ko)
JP (1) JP7110235B2 (ko)
KR (1) KR102252806B1 (ko)
CN (1) CN108347725B (ko)
BR (1) BR112019015351A2 (ko)
MX (1) MX2019008810A (ko)
RU (1) RU2747990C2 (ko)
WO (1) WO2018137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2977A1 (zh) * 2018-08-29 2020-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ui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2105037B (zh) * 2019-06-18 2021-12-1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异系统测量信息传输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46537B (zh) * 2020-01-14 2023-02-21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示消息的生成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259961B (zh) * 2020-02-13 2023-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管理方法和装置
CN115707046A (zh) * 2021-08-04 2023-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小区的方法、通信装置及网络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8620A1 (en) * 2011-04-27 2014-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a Radio Node
WO2016208997A1 (ko) 2015-06-23 2016-12-2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영역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59683T1 (de) * 2000-11-02 2007-05-15 Nokia Corp Steuerung von standortinformationen
US20050090251A1 (en) * 2003-10-07 2005-04-28 Ravi Kuchibhotla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ed network
CN100551165C (zh) * 2004-03-23 2009-10-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选择plmn用于网络共享的方法和系统
CN100474968C (zh) * 2005-03-11 2009-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终端接入的方法
CN101166357B (zh) * 2006-10-20 201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跨越异质网络寻呼终端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GB0702242D0 (en) * 2007-02-06 2007-03-14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ity management across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for a multimode terminal
GB2454647B (en) * 2007-10-05 2010-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CN100571465C (zh) * 2008-01-03 2009-12-16 嘉兴闻泰通讯科技有限公司 双卡双待手机移动中的位置区更新方法
CN100556215C (zh) * 2008-01-14 2009-10-28 嘉兴闻泰通讯科技有限公司 单gsm通讯模块的双卡双待手机进行周期性位置区更新的方法
US8489084B2 (en) * 2008-03-31 2013-07-16 At&T Mobility Ii Llc Over the air programming via cellular broadcast
CN101742676A (zh) * 2008-11-25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寻呼方法
JP5462357B2 (ja) * 2009-04-28 2014-04-02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ページング方法、ロケーション更新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2461270B (zh) * 2009-06-26 2015-03-25 诺基亚公司 便于切换至封闭订户组小区的系统、方法和装置
US9144050B2 (en) * 2009-12-17 2015-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983448B2 (en) * 2012-02-06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repor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428668B (zh) * 2012-05-17 2017-02-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跟踪区更新方法及装置
CN104541539B (zh) * 2012-07-20 2018-05-15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关于设备对设备连接的干扰的信息的方法和设备
US9788360B2 (en) * 2012-10-29 2017-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the connectivity management of a wireless terminal
KR101487488B1 (ko) * 2012-12-21 2015-01-29 주식회사 케이티 트래킹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974297A (zh) * 2013-01-18 2014-08-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针对ue组的自优化方法
CN104322095B (zh) * 2013-05-23 2018-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位置区管理方法和核心网控制器
WO2015149409A1 (zh) * 2014-03-31 2015-10-0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无线终端
CN103974231B (zh) * 2014-05-21 2017-10-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位置更新方法和移动终端
CN106664618B (zh) * 2014-06-03 2021-02-26 德国电信股份公司 用于改进用户设备的总体网络性能和/或服务质量的方案
EP3162124B1 (en) * 2014-06-30 2021-01-20 Apple Inc. Preventing a mobile device from repeating a request toward a mobile network
CN105764047A (zh) * 2014-12-15 2016-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更新移动网络信息的方法和装置、实现选网的方法和装置
US10149217B2 (en) * 2015-09-01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based, separated access and paging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WO2017099520A1 (ko) * 2015-12-10 2017-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링크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신호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939525A (zh) * 2016-06-22 2016-09-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小区重选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8620A1 (en) * 2011-04-27 2014-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a Radio Node
WO2016208997A1 (ko) 2015-06-23 2016-12-2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영역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0701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5378A1 (en) 2019-11-06
JP2020505889A (ja) 2020-02-20
JP7110235B2 (ja) 2022-08-01
WO2018137579A1 (zh) 2018-08-02
EP3565378A4 (en) 2019-12-25
BR112019015351A2 (pt) 2020-03-10
RU2747990C2 (ru) 2021-05-18
US11290871B2 (en) 2022-03-29
US20190349749A1 (en) 2019-11-14
RU2019126658A3 (ko) 2021-04-22
CN108347725B (zh) 2021-02-09
CN108347725A (zh) 2018-07-31
MX2019008810A (es) 2019-09-16
KR20190103383A (ko) 2019-09-04
EP3565378B1 (en) 2023-04-26
RU2019126658A (ru)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582B1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11432469B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装置
KR10225280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US11153884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from terminal device
CN109691214B (zh) 通信方法、核心网设备和接入网设备
KR101844540B1 (ko) 소형 셀 활성화 및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EP2984883B1 (en) Radio access network defined paging area
US20190059119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contex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EP3820192B1 (en) Communication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525520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network switching
CN112400332B (zh) Pws消息和关联的区域信息的分段
EP3447990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220394604A1 (en)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l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7193286A1 (zh) 移动性管理方法和装置
WO2016029391A1 (zh) 一种接入网节点、核心网节点和寻呼方法
CN109076489B (zh) 附着方法、寻呼方法、装置和设备
US11540261B2 (en) Method for indicating number of transmitting ports of UE, UE and network device
KR20210044211A (ko) 통신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3692033B (zh) 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20230164685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Device
CN115767625A (zh) 拥塞处理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4168551A (zh) 动态公共警报系统的停用
CN111034348B (zh) 用户设备、下一代无线接入网节点及其无线通信方法
US20190007925A1 (en)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20230403532A1 (en) Dynamic tra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