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801A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801A
KR20130081801A KR1020120002817A KR20120002817A KR20130081801A KR 20130081801 A KR20130081801 A KR 20130081801A KR 1020120002817 A KR1020120002817 A KR 1020120002817A KR 20120002817 A KR20120002817 A KR 20120002817A KR 20130081801 A KR20130081801 A KR 2013008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pipe
heating element
heat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원
Original Assignee
에너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너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801A/ko
Publication of KR2013008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내부 및 외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단열기능 및 난방 출력을 크게 향상시킨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풍부(200)와 연결되는 제1관(110)과,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지지구(121)를 통해 지지되고 내측면에 면상발열체(130)가 고정 설치되는 제2관(120)과, 상기 제1관(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단열공간(143)이 형성되는 단열부(140)를 포함하여 된 열원부(100); 및 상기 열원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기능을 수행하는 송풍부(20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Heat source apparatus using plane heater}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내부 및 외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단열기능 및 난방 출력을 크게 향상시킨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면상발열체란, 전기저항을 갖는 세라믹저항체의 발열부위를 매개로 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주어 난방을 수행하는 매체로, 근래 난방장치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매트형태나 벽면에 설치되는 형태, 또는 어떤 특정부위에 부착되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고 출력의 온풍장치를 만들고자 연구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고출력 고효율의 열원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내부 및 외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단열기능 및 난방 출력을 크게 향상시킨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부와 연결되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내측에 다수개의 지지구를 통해 지지되고 내측면에 면상발열체가 고정 설치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된 열원부; 및 상기 열원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기능을 수행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사이에는 지지구를 통해 틈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풍부는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를 커버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관의 일측에는 보호망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원부와 송풍부 사이에 연결관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원장치를 구성하되,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내부 및 외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단열기능이 뛰어나고, 난방 출력을 크게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열원장치 외부표면 온도가 상승하지 않아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원부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열원장치는 열기를 발산하여 외부를 토출하는 열원부(100)와, 상기 열원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기능을 수행하는 송풍부(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원부(1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송풍부(200)와 연결되는 제1관(110)과,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지지구(121)를 통해 지지되고 내측면에 면상발열체(130)가 고정 설치되는 제2관(120)과, 상기 제1관(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단열공간(143)이 형성되는 단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관(110)은 일측에 송풍부(200)와 연결되는 유입부(111)와, 타측에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관(110)과 제2관(120)의 사이에는 지지구(122)를 통해 틈새공간(12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부(140)는 상기 제1관(110)의 양측 유입구(111) 및 토출구(11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양측벽부(141)(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단열공간(14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부(200)는 송풍모터(210)와, 상기 송풍모터(210)를 커버하는 커버(220)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220)의 일측이 상기 제1관(110)의 유입구(111)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관(110)의 토출구(112)에는 보호망부(1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21은 공기유입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원장치는 면상발열체(130)의 발열에 의해 열기가 발생되면 발생된 열기는 제2관(120)의 내부통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동시에 제2관(120) 자체에서 발열되는 열기는 틈새공간(122)으로 전이된다. 이때 상기 틈새공간(122)으로 전이된 열기는 틈새공간(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단열부(140)의 단열공간(143)에 의해, 제1관(110)의 내부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외부로부터 단열되고, 동시에 안전 기능도 수행하여 외부표면, 즉 단열부(140) 자체는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되어 제품에 안전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과정과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제2관(120)의 내부면에 면상발열체(130)를 부착 고정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제2관(120)을 제1관(110)의 내측에 삽입한 후, 상기 제1관(110)과 제2관(120) 사이에 다수개의 지지구(121)를 용접 고정하여 준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제1관(110)의 외부에 단열부(140)를 용접 고정시켜준다.
상기 단열부(140)의 고정으로 열원부(100)가 완성되면, 상기 열원부(100)의 유입구(111)에 송풍부(200)의 커버(220)를 고정 장착하고, 상기 열원부(100)의 타측 토출구(112)에 보호망부(113)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열원장치가 완료되면, 상기 면상발열체(130)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송풍모터(210)를 구동시켜준다.
상기 면상발열체(1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면상발열체(130)가 발열되면, 제2관(120)의 내부에는 강한 열기가 형성되고, 동시에 제2관(120) 자체도 발열된다.
상기 제2관(120)의 발열로, 틈새공간(122) 역시 열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모터(210)의 구동으로 바람이 유입되면, 제2관(120) 내부의 열기는 물론, 제2관(120)과 제1관(110) 사이의 틈새공간(122)에 형성된 열기가 토출구(112)를 통해 동시에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강력한 열풍이 외부로 발산되며, 동시에 제2관(120) 내부의 열기와 외부의 열기는 제1관(11)을 감싸고 있는 단열부(140)의 단열공간(143)에 의해 단열 차단되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빼앗기지 않게 된다.
동시에 상기 단열부(140)는 내부의 온도 전이를 차단하여 줌으로써, 그 표면 온도가 상승하지 않아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주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열원장치는, 열원부(100)와 송풍부(200) 사이에 연결관(300)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연결관(300)을 통해 열원장의 설치가 자유로운 환경을 더 제공하게 된다.
100: 열원부 110: 제1관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제2관 121: 지지구
122: 틈새공간 130: 면상발열체
140: 단열부 141,142: 측벽부
143: 단열공간 200: 송풍부
210: 송풍모터 220: 커버

Claims (5)

  1. 송풍부(200)와 연결되는 제1관(110)과,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다수개의 지지구(121)를 통해 지지되고 내측면에 면상발열체(130)가 고정 설치되는 제2관(120)과, 상기 제1관(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단열공간(143)이 형성되는 단열부(140)를 포함하여 된 열원부(100); 및
    상기 열원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기능을 수행하는 송풍부(20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110)과 제2관(120)의 사이에는 지지구(122)를 통해 틈새공간(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200)는 송풍모터(210)와, 상기 송풍모터(210)를 커버하는 커버(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110)의 일측에는 보호망부(11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100)와 송풍부(200) 사이에 연결관(300)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KR1020120002817A 2012-01-10 2012-01-1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KR2013008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17A KR20130081801A (ko) 2012-01-10 2012-01-1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17A KR20130081801A (ko) 2012-01-10 2012-01-1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801A true KR20130081801A (ko) 2013-07-18

Family

ID=4899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17A KR20130081801A (ko) 2012-01-10 2012-01-10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18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509B1 (ko) 탄소히터를 이용한 온수생성장치
WO2021052320A1 (zh) 电吹风
JP2016519754A (ja) 真空らせん状のヒートパイプを用いたラジエーター暖房装置
KR20200049496A (ko)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US20160204328A1 (en) Waste heat power generation device and gas appliance using the same
KR100729569B1 (ko) 전기 온풍기
KR20130081801A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열원장치
CN201636967U (zh) 远红外辐射对流采暖器
CN114636190A (zh) 一种具有电热补偿的燃气取暖装置
CN101581497A (zh) 一种远红外加热室
RU2691891C1 (ru) Блок трубчатых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ей оборудования
CN210581447U (zh) 一种干发器
PL68673Y1 (pl) Urządzenie do odbierania ciepła
CN103234233A (zh) 一种电取暖器
JP2005180889A (ja) I.h.(電磁発熱)を用いた電気暖房器。
KR102116260B1 (ko) 가열 장치
KR101327384B1 (ko) 일체형 히트 방열기
US7889979B2 (en) Radiant device
KR20160002292U (ko) 월 마운트형 온풍기
KR100655403B1 (ko) 전기 온풍 난방기의 온풍열기 집열장치
RU143310U1 (ru) Блок нагнетания и нагрева воздуха
CN210292308U (zh) 一种对流式ptc空气加热器
CN104764215A (zh) 太阳能发电供暖烘干热水器
KR20190012385A (ko) 가열조리기용 전기발전형 용기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