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182A -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182A
KR20130081182A KR1020120022697A KR20120022697A KR20130081182A KR 20130081182 A KR20130081182 A KR 20130081182A KR 1020120022697 A KR1020120022697 A KR 1020120022697A KR 20120022697 A KR20120022697 A KR 20120022697A KR 20130081182 A KR20130081182 A KR 2013008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ini
output
mobile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255B1 (ko
Inventor
김자연
나대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2008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3555A3/en
Priority to US13/734,652 priority patent/US9456130B2/en
Priority to CN201310003762.2A priority patent/CN103369387B/zh
Priority to CN201610621426.8A priority patent/CN106162271B/zh
Publication of KR2013008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82A/ko
Priority to US15/261,135 priority patent/US201700485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처리 장치 및 UI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는, 제1 요청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일 예는, 제1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제1 요청에 따라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제2 요청에 따라 페어링 된 외부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요청에 따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APPARATUS OF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바이스(device) 간에 서비스(service)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 시대에서 디지털 방송 시대로 전환된 지금, TV는 이제 단순한 바보 상자가 아닌 스마트한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로 변화하고 있다.
비록 TV에 스마트 기능이 포함되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의 욕구를 모두 충족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한편, 그러한 욕구의 충족의 일환으로 일부는 최근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통해 충족하고 있다.
다만, 여전히 모바일 디바이스, TV 등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각자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고수하며 개별 디바이스 특성이 강하여 상호 간에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송수신 등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불편함이 있다. 일 예로, 각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조 주체가 서로 상이한 등 태생적인 한계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와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other digital device) 간 데이터 송수신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그를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단순하게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즉,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을 제공하거나 리모컨 대용으로만 사용되던 한계를 넘어 보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간의 향상된 인터페이싱, 커뮤니케이션 환경 내지 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사이에서 각자의 장단점을 보완하거나 활용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는, 제1 요청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방법의 다른 예는,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이후 사용자의 제1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일 예는, 제1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제1 요청에 따라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제2 요청에 따라 페어링 된 외부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요청에 따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다른 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및 상기 페어링 과정 및 해당 과정에 관련된 UI 출력을 제어하고, 제1 요청에 따라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영상을 단순하게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사이에서 더욱 다양한 기능과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의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디지털 디바이스들에 대한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일 예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메인 디바이스에서 일반 화면을 시청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를 제공하는 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에서 방송 화면을 시청하다가 중도에 입력이 변경 등이 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를 제공하는 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다가 중도에 입력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가 방송 채널이 아닌 컴포넌트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가 최초 방송 채널을 제공하다가 PC 입력으로 전환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12는 예컨대, 메인 TV에서 웹 브라우저를 구현한 경우에 미니 TV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화면에서 선택된 채널을 실행하여 미니 TV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a) 내지 (c)가 상술한 내용과 같은 미니 TV 기능 실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 실행을 위한 액세스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 실행 또는 액세스를 위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입력을 변경 또는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기능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의 또 다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전술한 도 21과 같이, 관련 SNS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SNS를 이용하여 내용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3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이외의 이미지 정보를 SNS에 첨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액세스를 위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5 내지 2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액세스를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8과 2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처리 장치(service processing apparatus)”는 일종의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로, 고정형 또는 이동형 방송 수신기, PC(노트북 포함),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등 컨텐트(content)를 처리하고 출력할 수 있는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digital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기에는 네트워크 TV(Network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웹 TV(Web TV) 등이 모든 타입의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V)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메인 디바이스(main device)”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지털 디바이스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명명하고 기술한다. 이러한 메인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는 n:m (여기서, n과 m은 모두 양의 정수)으로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디바이스는 예컨대, 메인 TV 또는 그와 페어링된 외부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를 예로 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미니 TV(mini-TV)”는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function)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미니 TV는, 메인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 또는 커뮤니케이션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상기 메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미니 TV는 후자의 관점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본 명세서에서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remote application)이라 명명하여 설명하며, 상기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은 미니 TV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과 관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미니 TV는 메인 디바이스 이외에 후술할 도 1의 2nd TV 형식의 외부 TV(140)와는 그 기능 내지 역할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2nd TV 형식의 외부 TV(140)가 단지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메인 디바이스를 입력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TV 리모컨의 기능만을 수행함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는 상술한 2nd TV의 기능들을 포함하며 거기에 후술할 기능들, 액세스 방식이나 기능의 면에서 상기 2nd TV와는 차별화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미니 TV는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미니 TV 전용 모바일 디바이스나 기타 서비스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메인 디바이스(100), 방송국(broadcast station)(110), 서버(internal or external server, IP 서버 포함)(120), 외부 디바이스(external device)(130), 외부 TV(external or second TV(2nd TV))(140),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150) 등을 포함한다.
방송국(110)은, 컨텐트, 서비스 또는/및 네트워크 프로바이더(provider)의 개념으로, 단지 컨텐트(content)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양방향으로 메인 디바이스(100) 또는/및 모바일 디바이스(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0)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또는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통하여 방송국(110)과 연결되어 컨텐트를 수신하거나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100)는 서버(120), 외부 디바이스(130), 외부 TV(140), 모바일 디바이스(150) 등과 각각 유, 무선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서버(120), 외부 디바이스(130), 외부 TV (140), 모바일 디바이스(150) 등도 상호 간에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디바이스(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방송국(110)과도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130)에는 USB 메모리, HDD(Hard Disc Drive), PC,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의 일 예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구성이 메인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로 설명하나, 모바일 디바이스(15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일 예는, 제1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제1 요청에 따라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제2 요청에 따라 페어링 된 외부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요청에 따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전환 여부를 결정하며,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의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의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드롭,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및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캡쳐, 상기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이미지 데이터의 소정 영역으로의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2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 다른 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및 상기 페어링 과정 및 해당 과정에 관련된 UI 출력을 제어하고, 제1 요청에 따라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처리 장치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변경 여부를 결정 또는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1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의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의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드롭,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및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캡쳐, 상기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이미지 데이터의 소정 영역으로의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210), 복조부(2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제어부(250), 비디오 출력부(260), 오디오 출력부(270), 전원 공급부(280), 사용자 인터페이스(290) 등을 포함한다.
한편, 메인 디바이스(200)는,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리모컨(remote controller)(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와 통신을 통하여 소정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RF(Radio Frequency) 튜너 또는 셋톱박스(STB; Set-Top Box) 등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부(2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단일 캐리어(sing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의 복수 캐리어(multiple carriers)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240)는, 방송 수신부(2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이를 복조한다. 일 예로, 복조부(240)는 방송 수신부(2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에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외부장치와 메인 디바이스(100) 사이에 예컨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을 포함), 셋톱박스(STB), 모바일 디바이스(15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는, 메인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20)는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이나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컨(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컨(300)으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를 리모컨(3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로 송신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26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27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80)는, 메인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8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50),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26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후술할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제어부는 각각 개별 실시 예일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의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제어부(350)는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이, 도 1의 메인 디바이스(1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5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50)는, 역다중화부(351), 영상 디코더(352), 스케일러(352), OSD 생성부(357), 믹서(354),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그리고 포맷터(3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51)는, 입력되는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영상 디코더(35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53)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resolution)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OSD 생성부(357)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믹서(354)는, 상기 OSD 생성부(357)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352, 353)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믹싱(mixing)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 주파수에 기인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포맷터(356)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56)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차분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도 2 내지 3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서로 병합되어 모듈화되거나 모듈에서 분리되어 개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입력에 대해 일부 구성들은 입력되는 신호 내지 데이터를 바이패스(bypass)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 간 데이터 송수신(제어 데이터(control data or control signal)도 포함)이 더욱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메인 디바이스, 외부 디바이스 등 다수의 디지털 디바이스 객체(object)가 기술되나 특히, 미니 TV와 관련하여,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객체로 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니 TV와 관련하여, 반드시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미니 TV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경로(path), 뎁쓰(depth) 등으로 액세스 가능한데, 일 예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remote application)의 실행에 따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단순히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예컨대, 메인 디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을 제공)만을 수행하거나 리모컨과 같이 단순히 메인 디바이스의 입력 수단 대용으로만 사용되던 한계를 넘어 더욱 향상된 기능, 커뮤니케이션 환경 내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메인 디바이스 등과 인터페이싱 또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환경 내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미니 TV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페어링(pairing), 미니 TV의 액세스 방식, 미니 TV의 사용 시나리오 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페어링 과정은 대동소이하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입 즉, 스마트 폰(도 4)이냐 태블릿 PC(도 5)냐에 따라 페어링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등이 조금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페어링 수행의 시작 및 주체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4와 5를 함께 설명하고, 해당 부분에서 필요한 내용만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2/202).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페어링이 시작된다. 이때, 페어링은 메인 디바이스와 같이 미리 약속된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디바이스와만 이루어지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링크 또는 연동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페어링된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리스트를 UI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 페어링을 위한 네트워크 사정 내지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디바이스,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에 따른 디바이스 등과 페어링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페어링 상태를 판단하거나 페어링을 시작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페어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페어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어링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설정이나 소정 조건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페어링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으면, 우선 페어링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 상태 즉, 네트워크와의 연결 여부 내지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S104/204).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 중이라는 UI(410/5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와 5에서는 페어링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의 일 예로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네트워크로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이나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S104/204 과정에서 페어링을 위한 네트워크와의 연결 여부 내지 상태 판단 결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팝-업(pop-up)으로 알린다(S106/206).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자가 임의로 네트워크 연결을 블록(block)하였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location) 등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상기 S106/206 과정에서 알림 팝-업이 확인하면, 그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하거나 또는 위치 등을 옮김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면상에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있음을 UI(410/510)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UI(410/510)는 적어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임의로 네트워크 연결을 블록하지 않아야 제공된다.
S104/204 또는 S106/206 과정을 통하여 네트워크의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한다(S108/208). 이러한 확인 과정에서 예컨대,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없으면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음을 알리는 UI(420/520)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재설정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상술한 과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한편, S108/208 과정에서 확인된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연결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I(430/530)(다만, 이 경우에는 디바이스가 1개만 디스플레이됨)를 제공하고, 이전에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된 기록이 있는지 그 유무를 판단한다(S110/210). 그리고 만약 이전에 연결된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디바이스의 상태를 파악하여 연결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112/212). 이때, 만약 해당 디바이스가 현재 연결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해결을 위한 가이드 UI(440/540)을 제공한다(S114/214).
한편, S108/208 과정에서 확인된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연결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I(430/530)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후 사용자가 UI(430/530)를 통해 소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 가능 상태를 판단한다(S116/216). 상기에서 UI(430/530)는 각 디바이스의 식별자, 네임, 전원 온/오프 상태, 연결 가능 상태, 네트워크 연결 상태(신호 세기 등),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16/216 과정 판단 결과, 만약 해당 디바이스가 연결 불가능한 상태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guide)하는 UI(440/540)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었거나 또는 상기 S116/216 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해당 디바이스가 연결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디바이스와 이전에 연결했던 기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8/218).
S112/212 또는/및 S114/214 과정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페어링 과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페어링 된 디바이스와 다음 동작을 위한 UI(450/550)을 제공한다. 또는, S118/218 과정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이전에 연결된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역시 페어링 과정이 종료하고, 상기 UI(450/550)을 제공하여 다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S118/218 과정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이전에 연결되었던 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디바이스와의 페어링 과정을 마무리하기 위해 해당 디바이스 액세스에 필요한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련 UI(460/560)를 제공한다. 도 4 내지 5에서는 이러한 UI(460/560)로 사용자 인증창과 같이 보안 관련 UI를 예시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과정에서 필요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110/210 과정에서 연결 기록이 없는 경우에는 UI(430/530)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UI(460/560)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 과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예컨대, 메인 TV)와 페어링되었다고 가정한다. 물론, 메인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술한 내용 및 후술한 내용이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페어링 된 모바일 디바이스(미니 TV)와 메인 디바이스(메인 TV)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기능 수행의 일 예로, 메인 TV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내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라 페어링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12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및 메인 디바이스의 상태 내지 모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니 TV 제공 가능 씬들(scenes)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일반 화면(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를 제공하는 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TV(610)는 최초 DTV 채널 6을 시청하고 있다. 이때, 전술한 도 4 내지 5와 같은 페어링 과정을 통해 페어링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920)는 메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주고 받아 미니 TV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페어링 및 미니 TV 기능이 시작되면, 모바일 디바이스(620)는 미니 TV 기능을 위하여 화면상에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현재 제공 중인 채널(또는 컨텐트)를 제공한다. 이는 예컨대, 페어링 된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별도의 채널 변경이나 미니 TV 기능 오프 이전까지 지속된다.
이후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채널을 변경(채널 6에서 채널 7로)하면, 미니 TV(620)도 동일 채널로 변경한다. 다만,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에 따라 바로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으나, 현재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채널이 변경(채널 7로) 여부 또는/및 채널 변경 유무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UI를 팝-업(pop-up) 등으로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후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다시 채널을 변경(채널 7에서 채널 8로)하면, 모바일 디바이스(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채널 변경 또는 UI 제공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도 6은 예를 들어, 메인 TV(610)의 채널 변경 내지 전환 등에 따른 미니 TV(620)의 동작에 관해 기술하였다.
도 7은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610)에서 방송 화면을 시청하다가 중도에 입력이 변경 등이 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를 제공하는 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TV(610)는 최초 DTV 채널 6을 제공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620)가 전술한 도 4 내지 5와 같은 페어링 과정을 통해 페어링 되면, 메인 디바이스(610)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아 미니 TV 기능을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620)는, 현재 메인 TV(610)에서 제공 중인 DTV 채널 6을 제공한다. 이는 예를 들어, 메인 TV(610)에서 채널 변경이 있을 때까지 유지된다.
관련하여, 만약 메인 TV(610)에서 입력을 변경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위한 DTV 채널이 아니라 컴포넌트 입력으로 변경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니 TV(620)는 크게 두 가지 동작을 할 수 있다. 하나는 메인 TV(610)의 입력 변경에 따라서 미니 TV(620)도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메인 TV(610)의 입력이 변경되었다고 하더라도 미니 TV(620)는 현재 화면을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미니 TV(620)는 예를 들어, 컴포넌트 입력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졌다면 그 재생에 문제가 없으나, 만약 해당 구성이 없다면 메인 TV(6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미니 TV(620)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예컨대, 파일 변환, 해상도 변환, 크기 조절, 화면 비율 조절 등)로 변환할 수도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후자의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이를 위해 미니 TV(620)는 자체적으로 현재 화면에 관한 채널을 튜닝하여 화면을 제공 또는 메인 TV(6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재생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니 TV(620)는 메인 TV(6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위한 채널을 변경하지 않는 한 컴포넌트와 같은 외부 입력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그에 상관없이 계속하여 이전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메인 TV(610)가 컴포넌트 입력으로 변경된 시점에서도 여전히 미니 TV(620)는 DTV 채널 6번을 제공한다.
여기서,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의 외부 입력과 별도로 채널을 변경(채널 6에서 채널 7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메인 TV(610)는 여전히 컴포넌트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채널 7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만약 메인 TV(610)가 컴포넌트 입력에서 다시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방송 채널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TV(61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하나는 메인 TV(610)는 외부 입력 전환 이전에 기 제공중이던 채널이 아니라 현재 미니 TV(620)에서 제공중인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전환하여 제공, 다른 하나는 외부 입력 전환 이전에 기 제공중이던 채널을 계속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7에서는 전자와 같이 현재 미니 TV(620)에서 제공중인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는 미니 TV(620)가 만약 메인 TV(610)의 튜너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받아 재생한다면, 미니 TV(620)의 채널 변경시 이미 해당 채널이 튜닝되었으므로 입력 전환과 동시에 화면 제공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다만, 메인 TV(610)가 복수 튜너를 구비하거나 또는 미니 TV(620)에서 채널 전환시에는 자신의 튜너를 이용한 경우에는 후자와 같이 동작될 수 있으며, 또한 1개의 튜너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다시 이전 채널로 강제 튜닝하여 다시 채널 6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도 7에서는 메인 TV의 입력 변경 내지 전환에 따른 미니 TV의 동작 예를 설명하였다.
도 8은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620)에서 메인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다가 중도에 입력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반대의 경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고 있는데 예컨대, 도 7이 메인 TV(610)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컴포넌트 입력으로 변경하였으나, 도 8은 메인 TV(610)는 여전히 계속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나 미니 TV(620)에서 컴포넌트 입력으로 전환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TV(610)가 DTV 채널 6번을 제공하면, 미니 TV(620)에서도 메인 TV(6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동일한 DTV 채널 6번을 제공한다.
이후 메인 TV(610)는 아무런 변경이 없으나, 미니 TV(620)가 컴포넌트 입력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메인 TV(610)는 미니 TV(620)와 연동되어 컴포넌트 입력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아무런 변화가 없을 수 있다. 도 8은 후자의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메인 TV(610)는 미니 TV(620)의 컴포넌트 입력 전환 이후에도 계속하여 동일한 채널을 제공한다.
이후 메인 TV(610)는 미니 TV(620)와 관계없이 방송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의 방송 채널 변경에 따라 제공 중인 외부 입력을 계속하여 유지하거나 또는 변경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메인 TV(610) 또는/및 미니 TV(620)는 미니 TV 기능 실행 또는 페어링 결과로 각 디바이스의 변경 사항 등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팝-업 알람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링은 미니 TV 기능 수행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나, 반대로 미니 TV와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의 채널 변경에 관계없이 계속하여 컴포넌트 입력을 제공한다. 이후 만약 미니 TV(620)는 컴포넌트 입력을 종료하고 다시 방송 채널로 전환된 경우에는 기 제공중이던 채널 6을 제공하거나 또는 현재 메인 TV(610)의 제공 채널(채널 7)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8은 예를 들어, 미니 TV(620)의 입력 전환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메인 디바이스의 동작의 일 예를 기술하였다.
도 9는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610)가 방송 채널이 아닌 컴포넌트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6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미니 TV(620)는 메인 TV(610)가 방송 채널에서 컴포넌트 입력으로 전환한 경우에도 컴포넌트 입력으로 전환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여 방송 채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도 9에서는 미니 TV 기능 실행시에 현재 메인 TV(610)가 방송 채널이 아닌 컴포넌트 입력을 제공 중인 경우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미니 TV(620)는 메인 TV(610)가 방송 채널이 아닌 컴포넌트 입력을 제공하면, 그에 따라 컴포넌트 입력을 수신하여 제공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와 사양, 속성, 능력 등이 다르므로, 그에 맞게 적절하게 입력되는 컴포넌트 입력을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컴포넌트 입력이 아니라 방송 채널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변환할 수도 있다.
도 10은 예컨대, 메인 디바이스(610)가 최초 방송 채널을 제공하다가 PC 입력으로 전환한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6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에서는 외부 입력으로 컴포넌트 입력을 예로 하였으나, 도 10에서는 외부 입력으로 PC 입력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 TV(610)는 최초 DTV 채널 6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미니 TV(620) 역시 화면을 통해 DTV 채널 6을 제공한다.
이후 만약 메인 TV(610)가 방송 채널에서 외부 입력 즉, PC 입력으로 전환한다면, 미니 TV(620)는 이전 채널을 계속 유지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PC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PC 입력은 미니 TV(620)에서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하거나 입력을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관련하여, 도 10에서는 미니 TV(620)에서 메인 TV(610)의 PC 입력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방송 채널(채널 6)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11 내지 12는 예컨대, 메인 TV(610)에서 웹 브라우저를 구현한 경우에 미니 TV(620)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미니 TV(620)는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페어링 과정과 함께 미니 TV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메인 TV(610)의 현재 제공 화면, 속성(attributes), 채널 넘버(channel number), 채널 명(channel name), 시그널링 정보(signalling information) 등 많은 부가 정보(additional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메인 TV(610)와 미니 TV(620)가 동일한 기능, 속성 등이 아니므로 적절한 화면의 제공을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상호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의 웹 브라우저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따라서, 도 11을 참조하면, 미니 TV(620)는 메인 TV(610)에서 현재 웹 브라우저를 실행 중이며, 실행이 불가능함을 팝-업으로 알람(alarm)할 수 있다.
반면, 이와 관련하여, 메인 TV(610)는 웹 브라우저의 어드레스 정보를 제공한다면, 미니 TV(620)는 이러한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어드레스 정보를 액세스하여 유사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미니 TV(620)는 이러한 어드레스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웹 화면을 제공받을 것인지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선택 이후에 화면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미니 TV(620)는 메인 TV(610)가 웹 브라우저를 실행 이전에 최초 DTV 채널 6번의 방송 채널을 제공 중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였다면, 메인 TV(610)의 튜너가 현재 튜닝 중인 방송 채널을 계속하여 제공하며, 웹 브라우저는 실행 불가라는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12는 예컨대, 미니 TV의 기능 실행 당시에는 메인 TV(610)가 방송 채널을 제공 중이다가 중간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것이 아니라 미니 TV 실행 당시에도 메인 TV(610)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상, 도 11과 12에서는 메인 TV(610)가 웹 브라우저를 실행 중인 경우의 미니 TV(620)의 동작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상 상술한 도 6 내지 12에서는 미니 TV 기능 실행에 따른 미니 TV(620)와 메인 TV(610) 간의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음으로는, 미니 TV 기능의 실행 등 미니 TV 액세스에 대한 다양한 사용 또는 동작 시나리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기능 액세스 방법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화면에서 선택된 채널을 실행하여 미니 TV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화면 최상단(131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mode), 네트워크 상태, 배터리 잔량, 신호의 세기, 시간 정보 등이 제공된다.
화면의 최상단(1310) 바로 아래에는 메뉴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화면 중간(1320)에는 채널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리스트는 일 예이며, 다른 메뉴 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채널 리스트는 그 상단에 채널 리스트임을 식별하는 텍스트 정보가 제공되며, 그 아래에 다수의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때, 채널에 대한 정보라 함은 예컨대, 방송국 정보, 채널 정보, 썸네일 이미지, 방송 시간에 대한 정보, 기타 텍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채널 리스트 메뉴 화면 구성은 일 예일 뿐이며, 방송사별, 채널별, 장르별, 시청제한 여부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채널 리스트의 하단 영역(13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기능 실행을 위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한 아이콘이 제공된다.
한편, 화면 최하단(1340)에는 볼륨 조정, 채널 조정을 위한 메뉴 항목이 제공된다.
도 13(a)에서 사용자는 미니 TV 아이콘을 클릭, 더블 클릭, 포인팅 등을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바로 미니 TV 기능을 실행하여 현재 메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수신하여 도 13(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수신된 또는 메인 디바이스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채널의 썸네일 이미지(1360)를 확대하여 출력하고, 미니 TV 기능 실행을 위해 로딩 중임을 표시하기 위해 로딩 휠 애니메이션(1365)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때, 메인 디바이스에서 외부 입력을 실행 중인 경우에는 외부 입력 컨트롤 패널(370)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b)에서는 상기 미니 TV 기능 로딩 과정에서 화면 제1 영역(1350)에는 미니 기능을 위해 필요한 엑시트(EXIT) 항목, TV AV 온/오프 항목, 사운드 온니(Sound Only) 항목, 캡쳐(Capture) 항목, SNS(Social Network Service) 항목 등을 포함한 소정 기능 항목들을 출력한다.
한편, 화면의 제2 영역(1355)에는 현재 해당 컨텐트의 시간 정보를 포함한 재생 바(playback bar or reproducing bar or replay bar) 형태로 제공하고, 재생 바에서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면의 제3 영역에 채널 정보, 방송국 정보, 컨텐트 정보, 입력 정보(외부 입력, TV 입력, PC 입력 등)(1372), 볼륨 또는/및 채널 조정 항목(1374), 채널 리스트 아이콘(1376)을 포함한 컨트롤 패널(1370)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엑시트(EXIT) 항목은, 미니 TV를 종료하고 도 13(a)와 같은 홈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TV AV 온/오프 항목은, 미니 TV와 페어링 된 메인 TV의 디스플레이 즉, 전원을 온/오프하고 음소거(mute) 또는 음소거 해제 등을 위한 것이다. 사운드 온니 항목은, 사운드 온니 항목이 온 된 경우에는 미니 TV 기능이 종료되더라도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트의 사운드가 계속하여 제공(홈 화면으로 전환되더라도 사운드는 계속 제공됨)함으로써 멀티태스킹을 구현한다. 반면에 사운드 온니 항목이 오프된 경우에는, 미니 TV 기능 종료와 함께 컨텐트에 대한 사운드도 오프되고 제공되지 않는 것이다. 캡쳐 항목은 현재 영상 화면을 캡쳐하여 소정 위치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SNS 항목은 SNS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 패널을 현재 화면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제공 중인 화면은 일시 정지되거나 또는 관계없이 계속하여 제공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370) 내 외부 입력 컨트롤 항목은 미니 TV와 메인 TV 각각의 입력 가능한 외부 입력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중 선택한 항목으로 전환 내지 변경 등을 위해 UI를 제공한다.
한편, 도 13(a)에서 소정 동작에 따라 미니 TV 기능이 바로 전환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할지 UI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를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니 TV, TV 계정 로그인, 검색, 환경 설정 등에 관한 아이콘을 포함한 UI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미니 TV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제서야 도 13(b)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a)과 같은 홈 화면(채널 리스트)에서 미니 TV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의 다른 하나는 채널 리스트 중 원하는 채널의 썸네일 이미지를 화면에 미니 TV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1330) 방향으로 드래그&드롭(drag&drop)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메인 TV에서 제공 중인 채널에 관계없이 선택된 즉, 드래그&드롭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의 컨텐트가 제공된다. 한편,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 튜너와 같은 방송 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있다면, 메인 TV의 화면은 전환되거나 변경되지 않으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인 TV의 튜너를 통해 튜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면,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인 디바이스로 채널 정보 등에 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메인 디바이스에서 튜너를 통해 해당 채널 정보에 기반된 채널을 튜닝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여기서도, 메인 디바이스가 멀티 튜너인 경우에는 관계없으나, 싱글 튜너인 경우에는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TV의 화면 역시 전환 제공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c)가 상술한 내용과 같은 미니 TV 기능 실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화면상에는 도 13(a)와 같이 홈 화면의 하나인 채널 리스트가 제공되고 있다. 화면상에는 한 번에 총 9개의 채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가 제공되고, 그 중 중간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을 접근하여 미니 TV로 시청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도 14(a) 및 (b)와 같이 해당 썸네일 이미지 항목(1410,1420)을 터치하여 드래그한 후 아래쪽으로 드롭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화면은 상기 드래그&드롭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TV로 전송하고, 메인 TV는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도 14(c)와 같은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에서 드래그&드롭 즉,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이 메인 TV에서 기 제공중인 채널이 아니었다면, 로딩 시간이 조금 더 소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메인 TV의 화면도 전환 제공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 실행을 위한 액세스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인 화면(1510)에는, 애니 스크린(any screen)이다. 이때, 사용자는 메인 화면의 소정 영역 또는 하단의 옵션 아이콘을 터치(클릭, 더블클릭, 소정시간 누름 등)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도 15(b)와 같은 옵션 메뉴 기능 항목(1520)이 제공된다. 이러한 옵션 메뉴 기능 항목(1520)에는 미니 TV 기능, TV 계정 로그인, 검색, 환경 설정과 같은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5(b)와 같은 옵션 메뉴 기능 항목(1520)은 상기와 같은 동작 이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좌우로 흔들거나 상하로 흔드는 등 소정 동작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5(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된 옵션 메뉴 기능 항목(1520)의 아이콘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미니 TV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5(c)와 같은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스마트 쉐어(smart share) 재생 중인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 TV 채널을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b)에서 미니 TV 아이콘이 선택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의 현재 제공 채널, 해당 채널의 컨텐트, 녹화/예약 녹화, 타임 쉬프트(time-shift), 타임 머신(time machine)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 후에 그 선택에 따라 도 15(c)의 화면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련된 정보라 함은, 채널 리스트이거나 현재 제공되는 채널 및 컨텐트의 시리즈 정보, 재방송 정보, 재전송 채널 정보, 또는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 정보는 도 15(c)의 전환 화면에서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 실행 또는 액세스를 위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메인 TV에는 영상이 출력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애니 스크린이다. 이때, 도 16(a)와 같이, 사용자가 TV 영상 쪽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빠르게 당김(낚시 올림 동작)과 유사하게 받기 동작을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6(b)와 같이 현재 메인 TV에서 출력중인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은 받기 동작으로 해당 시간의 썸네일 이미지만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또는 바로 미니 TV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와 후자의 경우 모두 저장 여부, 미니 TV 기능 실행 여부 등에 관해 사용자에게 문의 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메인 TV는 영상 1을 출력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영상 2를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도 16(a)의 받기와 반대로 즉, 빠르게 던짐(낚시의 던짐 동작)과 같이 던지기 동작으로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중인 영상 2를 도 16(d)와 같이 메인 TV에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메인 TV의 영상의 카메라로 찍거나 동영상 촬영을 소정 시간 이상 하는 경우에는, 저장 여부와 함께 미니 TV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문의하는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6과 같은 경우에, 해당 과정에서 전술한 도 4 내지 5와 같은 페어링 과정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 4 내지 5에서는 페어링이 리모트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이루어졌으나,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 16과 같은 동작 내지 가볍게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드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 기능의 실행 또는 액세스 방법은 해당 부분에서 후술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입력을 변경 또는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미니 TV 기능이 실행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예컨대, 컨트롤 패널의 외부 입력 항목(1710)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7(b)와 같은 UI(1720)를 제공한다. 이는 전술한 도 13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미니 TV와 메인 TV로 구분되며, 각각 현재 설정되었거나 이용 가능한 입력의 타입 또는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력의 리스트로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메인 TV의 입력이 도 17(a)와 같이 TV가 아니라 HDMI를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TV를 거쳐 상기 메인 TV와 연결된 HDMI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도 17(d)와 같이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도 17(c)와 같이, 화면 전환 과정은 로딩 휠 아이콘(1730)과 함께 컨트롤 패널에서도 선택된 입력에 대한 표시(1740)를 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때, 만약 네트워크 불량 등의 이유로 소정 시간 동안 도 17(c)의 화면이 지속되고 도 17(d)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점검 또는/및 리프레쉬(refresh)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소정 횟수나 시간 동안에는 다시 도 17(c)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도 17(a)와 같이 외부 입력 선택 전의 화면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사정에 대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추후 선택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라 미니 TV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미니 TV 기능 중 하나로 영상 동기화 기능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 18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니 TV 화면을 메인 디바이스의 화면과 영상 동기화하는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19는 반대로 메인 디바이스의 화면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니 TV 화면과 영상 동기화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 주체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한편, 여기서, 미니 TV와 메인 TV는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하고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재 HDMI 입력을 미니 TV로 제공하고 있으며, TV는 방송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외부 입력을 전환하여 메인 TV의 방송 채널 화면으로 전환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8(a)에서는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화면상에 소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현재 메인 TV에서 제공중인 화면과 동기화(메인 TV 입력 상태를 가져오기)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동작이라 함은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지점을 터치한 후에 서로 마주보도록 드래그(1810)를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니 TV의 화면은 도 18(b)와 같이 화면 전환 중이라는 UI와 함께 또는 로딩 휠 아이콘(1820)을 포함하여 제공되고, 이후 도 18(c)와 같이 메인 TV에 동기화된 화면(1830)이 미니 TV에서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9(a)를 참조하면, 미니 TV에서 소정 동작 예를 들어, 멀티 터치 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1910)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900)는 메인 TV(1950)로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1900)에서 제공하고 있는 영상과 동기화하도록 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메인 TV(1950)는 도 19(b)와 같이 이전에 제공 중인 화면에서 도 19(a)의 미니 TV에서 제공중인 화면과 동기화한다.
도 18 내지 19에서는 소정 동작에 따라 영상 동기화를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화면의 두 개의 영역을 터치한 후 서로 마주보거나(도 18) 또는 반대로 서로 멀어지도록 드래그함으로써 영상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동작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영상 동기화를 위한 액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거나, 멀티 터치 또는/및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컨트롤 패널 이용, 싱글 터치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싱글 또는 멀티 터치 후 원형으로 드래그 등 다양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각 동작이 이루어지면 영상 동기화를 위한 UI를 제공하고 그 선택에 따라 대응되는 영상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기능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예를 들어, 미니 TV의 기능 중 하나로 화면 캡쳐 기능을 설명한다.
도 2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니 TV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소정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 항목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만약 현재 방송 중인 화면을 캡쳐하고 싶다면, 상기 캡쳐 항목(2010)을 선택하면, 도 20(b)와 같이, 화면(2020)이 살짝 흐려지면서(이는 일종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카메라 기능과 유사함) 현재 출력 중인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가 종료되면 도 20(c)와 같이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UI(20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 위치는 디폴트로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저장 위치 선택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그에 대응되게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미지가 잘 캡쳐되었는지 흔들려서 흐리거나 등 캡쳐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 화면 소정 영역에 캡쳐 이미지를 썸네일 형식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된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화면에 확대되어 제공되고, 사용자가 만약 확대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편집을 위한 UI 내지 도구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집을 위한 UI 내지 도구는 확대된 썸네일 제공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도 20(a)에서 사용자가 캡쳐 항목을 선택하거나 도 20(c) 이후에 현재 채널 또는 이전 채널에 대해 캡쳐된 화면의 썸네일 이미지에 관한 리스트가 제공되고 그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0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니 TV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타임 쉬프트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항목 중 하나에 타임 쉬프트 항목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면, 현재 화면부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만약 저장부의 용량이 충분치 않은 경우, 가장 오래된 항목부터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관련 UI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를 수도 있다. 그 밖에 예약/녹화 예약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의 또 다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미니 TV 기능 시청 중에 SNS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기능 제공에 관한 것으로, 도 21(a)에서 사용자가 SNS 항목(2110)을 선택하면, 현재 채널 또는 채널의 컨텐트에 대한 SNS 내용(2120)이 도 21(b)와 같이, 소정 영역에 제공된다. 이때, SNS는 하나의 서비스만이 아니라, 채널 또는 채널의 컨텐트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연동 또는 접근 가능한 모든 SNS 서비스의 내용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만약 도 21(b)에 리스트-업 된 특정 내용을 확인하려고 선택(2130)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21(c)와 같이 화면을 오버랩하여 제공한다. 한편, 해당 내용이 많거나 한 화면에 다 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 영역에 휠 막대 UI(2140)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터치 후 원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함으로써 도 21(d)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도 22는 전술한 도 21과 같이, 관련 SNS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도 SNS를 이용하여 내용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는 예컨대, 도 21(b)에서 우측 상단에 제공된 글쓰기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가 SNS 내용 작성을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UI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화면 상단(2210)에는 취소 버튼, 음성 버튼, 트위터 버튼(2212), 페이스 북 버튼(2214)과 같은 SNS 서비스 타입에 따른 종류, 그리고 카메라 버튼(2216)이 제공된다. 여기서, 취소 버튼은 이를 통해 다시 도 21(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한편, 음성 버튼은, 음성 녹음 파일을 첨부하기 위한 것으로, 바로 녹음할 수도 있고, 기 녹음된 내용의 리스트를 통해 원하는 음성 내용을 첨부할 수 있다.
또한,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이 자신이 선호하거나 작성하고 싶은 SNS 서비스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따라 화면에서 내용 작성을 위해 제공된 인터페이스가 상이해 질 수도 있다.
한편, 어떤 SNS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로 설정된 SNS 서비스, 모든 SNS 서비스가 선택되어 해당 서비스에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버튼은 바로 캡쳐 또는 사진을 찍어 첨부한다거나 또는 해당 버튼 선택시 기 저장된 이미지 항목들(비디오, 동영상도 포함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로그인 되지 않은 SNS 서비스 항목은 온된 항목과 차별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화면 대부분에는 텍스트 창(2220)과 키패드 창(2230)이 제공된다. 그리고 화면 소정 영역에 작성된 내용을 업로드를 위한 업로드 버튼(2240)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에서 키패드 창(2230)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쿼티 자판 등이 기 구비되었거나 별도의 입력 수단과 연결된 경우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22(b) 내지 (c)를 통해 현재 시청 컨텐트와 관련된 해시 태그를 입력하고 업로드(upload)하면, 도 22(d)와 같이 업로드 중임을 표시(2250)한 후, 도 21(b)와 유사한 도 22(e)와 같은 화면에 SNS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UI(2260)와 함께 자신이 작성한 내용이 추가되어 제공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자신이 작성한 내용은 다른 내용과 구별되도록 차별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3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이외의 이미지 정보를 SNS에 첨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의 화면에서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 항목(2310)을 선택하면, 도 23(b)와 같이, 이미지 정보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정보를 선택하면, 도 23(c)와 같이, 다시 원래 화면에 카메라 항목(2310’)에 도 23(b)에서 선택한 이미지 정보의 개수가 표시되고, 도 23(d)와 같이 추가된 이미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3(d)의 화면은 예컨대, 도 23(c)에서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거나 삭제 등 수정이 필요한 경우로서, 다시 카메라 버튼(2310-1)을 선택하면 구성된다. 여기서, 도 23(d)는 도 23(b)에서 선택한 이미지 정보들(2342,2344)과 추가를 위한 항목(2346)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 정보들(2342,2344)의 소정 부분에는 삭제를 위한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3(d)에서 두번째 이미지 정보(2344)의 삭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도 23(e)와 같은 화면이 제공된다. 한편, 추가 아이콘(2346)을 선택하면, 다시 도 23(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어 이미지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를 도모한다. 한편, 도 23(e)에서 상기 아이콘 이외에 소정 영역을 터치(2350)함으로써 도 23(f)와 같이 최종적인 SNS 이미지 업로드를 위한 화면이 제공된다.
한편, SNS 서비스 이용 중 만약 이미지를 첨부하는 경우에 이미지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은 경우에 이미지를 편집하고 싶은 경우에는 클릭, 더블 클릭, 싱글 또는 멀티 터치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등을 통해 바로 편집하거나 편집 도구에 관한 아이콘이 포함된 UI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1 내지 23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만약 이러한 미니 TV 시청 중 SNS 기능 실행시에 SNS 서비스의 인증(authentication) 또는 로그-인(log-in) 절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를 위한 제어 창(control window)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액세스를 위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전술한 도 17과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에 애니 스크린 상태(2410)에서 메인 TV를 스내칭(snatching)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인 TV의 현재 화면을 캡쳐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렇게 스내칭 이후에 메인 TV의 화면이 스내칭되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24(b)와 같은 스팟 메뉴(Spot menu)(2420)를 제공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내칭을 통해 캡쳐된 화면이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만 스팟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24(b)와 같이, 캡쳐된 이미지와 함께, 스팟 메뉴 UI로, 미니 TV, SNS, 상세 보기, 선호 이미지(또는 채널), 이미지 저장 등에 대한 메뉴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미니 TV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 TV 기능이 활성화되어, 제어 신호를 메인 디바이스로 송출하여, 메인 디바이스에서 현재 출력 중인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제공한다.
도 25 내지 2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액세스를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디어 파일(media file)(2520), 마이 앱스(My Apps)(2530), 채널 리스트(Channels)(2540) 등을 포함한 프리미엄 메뉴(2510)를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리미엄 메뉴(2510)를 구성하는 각 항목은 예를 들어, 계층 형태, 리스트 형태 등 다양한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리미엄 메뉴가 제공된 화면의 제1 영역에 제1 기능 아이콘(2552)과 제2 기능 아이콘(2556)을 제공하며, 제2 영역에 별도의 옵션 기능 아이콘들(2554)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기능 아이콘(2552)은 예를 들어, 오디오에 관한 기능 제어를 위한 것으로, 오디오 레벨 즉, 볼륨 조정 등과 관련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2 기능 아이콘(2556)은 비디오에 관한 기능 제어 또는 채널에 관한 기능 제어에 관한 것으로, 채널 넘버, 이전 채널 등에 관련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옵션 기능 아이콘들(2554)에는 전원 키, 채널, 미디어, 방향, 터치, 게임 등에 관한 제어를 위한 키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터치 키를 선택하면, 화면 전체가 터치 패드로 전환되어, 메인 TV 등에 제어 명령 등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리미엄 메뉴 중, 도 25(a)에서 제공되는 채널 리스트는, 예를 들어, 채널 리스트임을 식별하는 식별자(ID 또는 명칭)을 포함하고, 미리보기(preview) 항목, 프로그램 상세 정보 항목(2544), 채널 리스트 항목이 제공된다. 또한, 화면 소정 영역에는 예를 들어, 채널 리스트 항목의 구성 방식 또는 배열 방식 변경 등을 위한 기능 아이콘(2560)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미리 보기 항목에는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과 함께, 미니 TV 기능 아이콘(2542)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리스트 액세스 중에 미리보기 항목으로부터 바로 미니 TV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미리보기 항목으로부터 미니 TV 실행 아이콘(2542)을 선택하면, 상기 미리보기 항목에 대응되는 채널 또는 컨텐트를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도 25(b)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는 반드시 메인 TV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입력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해당 입력에 대한 표시만 해주면 된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에는 개인 또는 별도의 컨텐트 프로바이더(CP)나 IP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 아이콘(2560)을 선택하면, 팝-업 되어 각종 구성 방식 또는 배열 방식에 관한 타입 정보가 제공되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25(a)와 같이 제공되던 화면 구성이 전체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6(a) 내지 (b)에서는 각 컨텐트가 수평 방식으로 제공되되 화면 중앙의 컨텐트와 관련된 화면이 크기가 가장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화면의 크기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 26(a)에서는 그 하단에 볼륨 조정을 위한 기능 아이콘과 중앙에 채널 리스트를 팝-업 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6(b)와 같이, 채널 리스트가 수평으로 나열되어 간략한 채널 번호 및 채널 명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6(a) 내지 (b)를 참조할 때, 각 채널 또는 컨텐트 리스트는 채널 또는 컨텐트 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이미지(2610)를 제공하고, 그 하단에는 재생 바 형태로 현재 재생 시간 및 남은 시간 등 시간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미리보기 이미지는(2610)는 썸네일 이미지와 같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미니 TV 전환 아이콘(26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6(a) 내지 (b)는 선호 채널 리스트(마이 채널) 또는 선호 컨텐트 리스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6(a) 내지 (b)와 같은 서비스 중에 미리보기 이미지 내 미니 TV 전환 아이콘(2620)을 선택함으로써, 즉시 도 25(b)와 같은 미니 TV 전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보기 이미지 내 미니 TV 전환 아이콘(2620)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보기 이미지를 선택하여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함으로써 미니 TV 기능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도 27(a)는 채널 브라우저와 EPG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이고, 도 27(b) 내지 (c)는 리스트와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채널 브라우저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도 25 내지 26과 유사하나, 채널 브라우저 및 EPG의 제공 포맷이 그와 상이하다. 여기서, 사용자는 좌우 채널을 검색 또는 이동하기 위해서는 플리킹(flicking)하면 되며, 상하방향으로는 해당 채널의 EPG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EPG 정보를 이용하여 녹화/예약 녹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채널 브라우저 내 중앙에 제공되는 채널은 전술한 도 26(a) 내지 (b)와 같이, 내부에 미니 TV 전환 아이콘 또는 이미지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함으로써, 미니 TV로 전환 가능하다. 한편, 실시간 이용이란 기능 항목은 선호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7(b) 내지 (c)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내용이나, 단지 디스플레이 포맷이 상호 간에 약간 상이하다. 도 27(b)가 화면의 중앙 영역에 제공되는 채널만 상세 내용이 제공되고, 나머지 영역은 간략 정보만 제공됨에 반하여, 도 27(c)는 화면 상단에 제공되는 채널만 상세 내용을 제공하고, 나머지 하단 영역의 채널들은 모두 간략 정보만을 제공한다. 한편, 도 27(b) 내지 (c)에서도 미리보기 이미지 내 미니 TV 전환 아이콘 내지 미리보기 이미지를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함으로써 바로 미니 TV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8과 2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서비스 처리 방법의 일 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310),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와 페어링한다(S32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소정 선택 또는 소정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미니 TV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S330),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한다(S34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서비스 처리 방법은,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 상기 수신되는 메인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 과정 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서비스 처리 방법의 다른 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인 디바이스와 페어링(S410), 상기 페어링 이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을 입력받는다(S420).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하거나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43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니 TV 서비스 처리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 상기 수신되는 메인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미니 TV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구비된 하드웨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또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상기 메인 디바이스 또는/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페어링 된 다른 디바이스의 출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출력하거나 상기 메인 디바이스 또는/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페어링 된 다른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여 조정, 변경과 같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소정 선택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UI 중 각 뎁쓰(depth) 또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미니 TV 실행을 위한 아이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메인 디바이스에 대한 스내칭,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UI 중 소정 항목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내 소정 영역을 터치하여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리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의 화면을 캡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미니 TV는 화면 구성의 속성 등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기울기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거나 그에 따라 전환 제공될 수도 있으며, 디폴트로 수평 또는 수직 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에서는 방송 화면의 특성상 수평 화면을 디폴트로 제공하는 예시들을 도시하였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인 디바이스의 영상을 단순하게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메인 디바이스와 사이에서 더욱 다양한 기능과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의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디지털 디바이스들에 대한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당해 명세서에서는 도 1 내지 28을 설명의 편의상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각 도면의 특징 중 일부를 결합하여 다른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발명은 모두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machinary code)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비스 처리 장치 110: 방송국
120: 서버 130: 외부 디바이스
140: 외부 TV 15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7)

  1. 제1 요청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제2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을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이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화면을 캡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이후 사용자의 제1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 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출력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출력 영상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이후 사용자의 제1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이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드롭,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화면을 캡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9. 제1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제1 요청에 따라 소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고, 제2 요청에 따라 페어링 된 외부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요청에 따른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전환 여부를 결정하며,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의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의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드롭,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및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캡쳐, 상기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이미지 데이터의 소정 영역으로의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2 요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및
    상기 페어링 과정 및 해당 과정에 관련된 UI 출력을 제어하고, 제1 요청에 따라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 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 변경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영상 변경 여부를 결정 또는 출력 영상 변경에 관한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며, 상기 소정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1 요청과 관련된 아이콘의 선택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스내칭, 상기 각 단계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 항목의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드롭, 화면 내 소정 영역 터치 및 소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플리킹,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화면 캡쳐, 상기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이미지 데이터의 소정 영역으로의 드래그&드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제1 요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KR1020120022697A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191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8639.2A EP2613555A3 (en) 2012-01-06 2012-12-27 Mobile terminal with eye movement sensor and grip pattern sensor to control streaming of contents
US13/734,652 US9456130B2 (en) 2012-01-06 2013-01-04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201310003762.2A CN103369387B (zh) 2012-01-06 2013-01-06 处理服务的设备及其方法
CN201610621426.8A CN106162271B (zh) 2012-01-06 2013-01-06 处理服务的设备及其方法
US15/261,135 US20170048576A1 (en) 2012-01-06 2016-09-09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3609P 2012-01-06 2012-01-06
US61/583,609 2012-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82A true KR20130081182A (ko) 2013-07-16
KR101913255B1 KR101913255B1 (ko) 2018-10-30

Family

ID=489930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98A KR101913256B1 (ko)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20120022697A KR101913255B1 (ko)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20120022696A KR101913254B1 (ko)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98A KR101913256B1 (ko)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96A KR101913254B1 (ko) 2012-01-06 2012-03-06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1913256B1 (ko)
CN (2) CN1033693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256B1 (ko) * 2012-01-06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50134674A (ko) * 2014-05-22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60014226A (ko) * 2014-07-29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5927B1 (ko) * 2016-04-28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205390A (zh) * 2017-08-23 2018-06-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的方法和终端
WO2023287207A1 (ko) * 2021-07-15 2023-0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 연결 방법
WO2023128613A1 (ko) * 2021-12-3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4839B1 (ko) * 2022-01-20 2022-12-07 (주)우리젠 타임머신 기능을 갖는 장비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장비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027B2 (ja) * 2005-01-25 2006-12-27 船井電機株式会社 放送信号受信システム
KR100668341B1 (ko) * 2005-06-2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입력방법 및 장치.
US20110167447A1 (en) *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hannel surfing applicat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EP2357806B1 (en) * 2010-01-06 2018-05-23 Lg Electronics Inc.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n the same
CN101800816B (zh) * 2010-04-08 2012-10-17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触摸屏的横竖屏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101913256B1 (ko) * 2012-01-06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254B1 (ko) 2018-10-30
CN106162271B (zh) 2020-04-21
CN103369387B (zh) 2016-08-24
KR20130081183A (ko) 2013-07-16
CN106162271A (zh) 2016-11-23
CN103369387A (zh) 2013-10-23
KR101913255B1 (ko) 2018-10-30
KR20130081181A (ko) 2013-07-16
KR101913256B1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945613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13255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US9778835B2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s on a screen display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US9762953B2 (en) TV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20051966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59723A1 (zh)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US93323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KR20100083641A (ko) 단말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19045B2 (en) Server,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same
KR101911249B1 (ko) 컴퓨팅 디바이스 및 ui 제공 방법
EP2723084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KR1021044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3011645A1 (ja) 映像コンテンツ選択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選択方法
US11032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ent from plurality of external content sources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555028B2 (en) Image providing device
KR102281839B1 (ko) 영상제공장치
KR20110134091A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20140074058A (ko)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 및 디바이스 타입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템을 컨트롤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09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20023318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2389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10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JP2014030160A (ja)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