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930A - Airba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ba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930A
KR20130079930A KR1020120000703A KR20120000703A KR20130079930A KR 20130079930 A KR20130079930 A KR 20130079930A KR 1020120000703 A KR1020120000703 A KR 1020120000703A KR 20120000703 A KR20120000703 A KR 20120000703A KR 20130079930 A KR20130079930 A KR 2013007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airbag cushion
coupled
airba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0615B1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15B1/en
Publication of KR2013007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e.g. airbag systems

Abstract

PURPOSE: An airbag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s of a strap restraint device because a variable strap is separated from a connecting strap when an airbag cushion is expanded. CONSTITUTION: An airbag device comprises an airbag cushion (20), a strap (60), and a strap restraint device (70). The strap includes a variable strap (62) and a connecting strap (64). Both ends of the variable strap are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and a folded unit (62a) is formed by folding a gap between both ends.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ap is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rap restraint device. The folded unit is spread by the tension of the airbag cushion and is separa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expanded from the folded unit to expand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and a gap between both ends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p.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에 앉은 승객의 체구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전개형상을 달리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apparatus capable of varying the deployment shape of a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the size of a passenger sitting on a sea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장치가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bag device that is a safety device to protect the occupant by inflating the airbag cushion by receiving gas from the inflator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이러한, 에어백장치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레일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Such an airbag device is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vehicle as necessary, and the driver's seat airbag device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to protect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and the glove box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love box to protect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passenger's seat. Background Art An airbag device and a curtain airbag device mounted along a roof rail to protect a passenger's side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에어백장치들은 차량 충돌시에 인플레이터의 내부에 포함된 가스발생매체의 폭발에 기인하여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 유입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In the airbag apparatus, the gas generated due to the explosion of the gas generating medium included in the inflator is introduced into the airbag cushion during vehicle collision, thereby expanding and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to protect the occupant.

그런데, 에어백 쿠션은 약 70Kg의 일반적인 성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은 에어백 쿠션의 내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airbag cushion is designed to protect a general adult of about 70 kg, a small woman, a child, and an infant may be injured or lose their lives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특히, 조수석에는 상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이 앉게 되므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이들을 모두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passenger seat is seated as well as the general adult, the female body, small children and infants are small, the airbag cushion of the airbag device should be designed to effectively protect them all.

따라서, 각국에서는 법규를 마련하여, 충돌시험을 통해 에어백 장치가 상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법규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Therefore, countries have established laws and regulations to evaluate how effectively an airbag device can protect not only the above-mentioned adults but also small women, children and infants through collision tests, and these laws have recently been strengthened. It is becom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구가 큰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까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otect not only the general adult having a large body size, but also women, children and infants having a small body siz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지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상기 스트랩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트랩구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양단이 결합되고 그 양단 사이가 접혀져서 접힘부가 형성된 가변스트랩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접힘부가 펼쳐져서 상기 가변스트랩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변스트랩에 양단 사이가 결합된 연결스트랩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to protect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irbag cushion, the airbag cushion as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And a strap restraint mechanism coupled to the strap,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coupled to the strap to restrain or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ody, wherein the strap is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t both ends. And a variable strap having a fold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two ends thereof, and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being extend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airbag cushion. Spaced apart from the fol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so that it can expand. It includes a connection strap of the strap between the two ends coupled to the variabl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시트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분리되어 가변스트랩의 길이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에 그루브가 형성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목숨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is a female, a child, or an infant with a small body size, since the connecting strap is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is not extended, a groove is formed in the airbag cushion.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 small woman, child and infant sitting on the seat from being injured or lost by excessiv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또한,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변스트랩이 상기 연결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길이가 확장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승객을 향해 크게 전개되어서, 상기 시트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적정 전개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is an adult of a general body size, since the connecting strap is not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variable strap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the length is extended by the inflating force of the airbag cushion. The airbag cushion is largely deployed toward the passenger, so that an adult of a general body sitting on the seat can be protected by an appropriat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이 크게 팽창될 때, 가변스트랩이 연결스트랩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strap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when the airbag cushion is greatly inflated,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스트랩 및 연결스트랩의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시트가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 1,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restrained b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variable strap and the connecting strap shown in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in which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 2 is deployed,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restrained b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5 is a plan sectional view in which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 1 is deploy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releas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6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cushion retainer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a cushion retainer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eat of a vehicle to which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의 전개초기의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변스트랩 및 연결스트랩의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평단면도로서, 스트랩이 스트랩구속기구로부터 구속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스트랩구속기구 및 쿠션 리테이너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시트가 도시된 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of an initial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variable strap and the connecting strap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fla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ure 2 is a state showing the strap is restrained b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1 is a plan sectional view in which the airbag cushion shown in FIG. 1 is deploy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releas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FIG. 6 is a coupling diagram of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cushion retainer of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cushion retainer of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eat of the vehicle to which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don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50)로부터 전방에 배치된 글로브 박스(미도시)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1 to 8, the airba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a glove box (not shown)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 50.

에어백 장치(100)는 에어백 하우징(10)과, 에어백 하우징(10)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20)과,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될 수 있도록 가스를 발생시켜서 에어백 쿠션(20)에 상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인플레이터(30)를 포함한다.The airbag device 100 generates a gas to allow the airbag housing 10, the airbag cushion 20 accommodated in the airbag housing 10, and the airbag cushion 20 to be deployed to the airbag cushion 20. It includes an inflator 30 for introducing.

에어백 하우징(10)은, 그 하부에 인플레이터(3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5)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에어백 쿠션(20)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7)이 형성된다.In the airbag housing 10, a mounting space 15 for mounting the inflator 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torage space 17 for accommodating the airbag cushion 2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인플레이터(30)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내부에 포함된 가스발생매체의 폭발에 기인하여 발생된 가스를 에어백 쿠션(20)으로 유입시킨다.The inflator 30 introduces the gas generated due to the explosion of the gas generating medium contained therein into the airbag cushion 20 when the vehicle collides.

에어백 쿠션(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30)와 연결되어 에어백 하우징(10)의 수납공간(17)에 복수번 접혀져서 수납되어 있다가, 인플레이터(3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전개되어, 시트(50)에 앉은 승객을 보호한다.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connected to the inflator 30 as shown in FIG. 1 and is folded and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17 of the airbag housing 10 a plurality of times, the gas flows from the inflator 30. Inflated and deployed as shown in FIGS. 4 and 5 to protect the passengers seated in the seat 50.

에어백 쿠션(20) 및 인플레이터(30)는 쿠션 리테이너(4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쿠션 리테이너(40)는 중앙부에 인플레이터(3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홀(45)이 형성되고, 에어백 쿠션(20)의 하단으로 삽입 배치된다. 인플레이터 삽입홀(45)로 인플레이터(30)의 머리부를 삽입한 후, 볼트(42)로 쿠션 리테이너(40), 인플레이터(30)의 둘레면에 돌출된 플랜지부(35) 및 에어백 하우징(10)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쿠션(20) 및 인플레이터(30)는 쿠션 리테이너(40)를 통해 에어백 하우징(10)에 결합된다.The airbag cushion 20 and the infla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ushion retainer 40. The cushion retainer 40 has an inflator insertion hole 45 in which a head of the inflator 30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airbag cushion 20. After inserting the head of the inflator 30 into the inflator insertion hole 45, the cushion retainer 40, the flange portion 35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flator 30, and the airbag housing 10 with the bolt 42. By coupling the airbag cushion 20 and the inflator 30 are coupled to the airbag housing 10 via a cushion retainer 40.

또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는 스트랩(60)이 결합되어서,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됨에 따라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진다. 또한, 스트랩(60)은 스트랩구속기구(70)에 결합되어서 스트랩구속기구(70)에 의해 이동이 구속 또는 구속해제된다.In addition, the strap 6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irbag cushion 20, and as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the strap 60 is pulled by the airbag cushion 20 to be taut. In addition, the strap 60 is coupled to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so that the movement is restrained or restrained b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스트랩구속기구(70)는 스트랩(60)에 결합되어, 시트(50)에 앉은 승객의 체구에 따라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한다.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is coupled to the strap 60 to restrain or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trap 60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즉,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일 경우에,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하여서 스트랩(60)으로 하여금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되는 크기를 구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20)의 승객과 접촉하는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60)에 의해 당겨져서 내부로 함입되는 그루브(22)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22)에 의해 에어백 쿠션(20)은 전개된 후,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의 특정부위를 낮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strap 60 when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has a small body, a child, an infant, or the like, so that the airbag cushion 20 is restrained by the strap 60. To constrain the size of the expansion. Accordingly, a groove 2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bag cushion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ssenger, as shown in FIG. 2, which is pulled by the strap 60 to be embedded therein, and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by the groove 22. (20), after the deployment, it is possible to protect a specific part of the body, such as small women, children and infants with a low development pressure.

한편, 에어백 쿠션(20)은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에어백 쿠션(20)은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 비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irbag cushion 20 should be able to protect not only women, children and infants having a small body size, but also adults having a general body size. That is, the airbag cushion 20 should be deployed at a higher deployment pressure than when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n adult having the general body siz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ody size is small women, children, and infants.

따라서, 스트랩구속기구(70)는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될 때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스트랩(60)이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되는 면을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도록 해야 한다.Accordingl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should allow the strap 60 to restrain or release the surface of the airbag cushion 20 in contact with the passenger 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즉, 운전석에는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만이 앉게 되지만, 조수석 시트(50)에는 일반적인 성인뿐만 아니라, 상기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이 앉게 되므로, 에어백 쿠션(20)은 시트(50)에 앉은 승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전개압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만약,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만을 보호할 수 있는 전개압으로 전개된다면, 상기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신체적 조건이 열악한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은 상기 에어백 쿠션(20)의 높은 전개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반대로,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낮은 전개압으로만 전개된다면, 상기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은 에어백 쿠션(20)의 낮은 전개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That is, only an adult having a general body size sits in the driver's seat, but the passenger seat 50 includes not only a general adult but also a female, a child, and an infant having a smaller body size than the adult, so that the airbag cushion 20 includes a seat ( Depending on the type of passenger sitting in 50), it may need to be developed with various deployment pressures. If the airbag cushion 20 is deployed at a deployment pressure that can protect only an adult having the general body size, the female body, the child and the infant having a poor physical condition compared to the general adult have the airbag cushion 20 The high deployment pressure of) may result in injury or loss of life. Conversely, if the airbag cushion 20 is deployed only at a low deployment pressure so that the body size can protect small women, children and infants, the adult having the general body area is rather injured due to the low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20. You may lose your life or lose your life.

스트랩구속기구(70)는 스트랩(60)과 결합되어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가, 후술할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트랩(60)을 놓아서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해제할 수 있다.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is coupled to the strap 60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trap 60, and then releases the strap 6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4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he strap 60. Can be released.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에 양단이 결합되고 그 양단 사이가 접혀져서 접힘부(62a)가 형성된 가변스트랩(62)과, 에어백 쿠션(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스트랩구속기구(64)에 결합되며,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접힘부(62a)가 펼쳐져서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접힘부(62a)로부터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변스트랩(62)에 양단 사이가 결합된 연결스트랩(64)을 포함한다.The strap 60 has a variable strap 62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20 and folded at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olding portion 62a formed thereon, and one end thereof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strap restrained. The airbag cushion 20 is coupled to the mechanism 64 so that the airbag cushion 20 is fold from the fold portion 62a so that the fold portion 62a is unfolded by the inflating force of the airbag cushion 20 so that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62 can be extended. The connecting strap 64 is spaced apart in the expanding direction and coupled between both ends of the variable strap 62.

가변스트랩(62)은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연결스트랩(64)은, 가변스트랩(6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에어백 쿠션(20)에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접힘부(62a)로부터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변스트랩(62)에 결합되는 가변스트랩 연결부(62a)와, 가변스트랩 연결부(62a)의 타단과 스트랩구속기구(70)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b)를 포함한다.The variable strap 62 is dispos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and protrudes, and the connecting strap 64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variable strap 62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bag cushion 20.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olded portion 62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the variable strap connecting portion 62a coupled to the variable strap 62,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trap connecting portion 62a and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 70) a strap restraint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64b for connecting therebetween.

가변스트랩 연결부(64a)의 타단은, 가변스트랩(62)에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바느질로 결합되어 바느질부(65)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trap connecting portion 64a is stitched so that the variable strap 62 can be separated by the inflating force of the airbag cushion 20 to form a sewing portion 65.

바느질부(65)는, 에어백 쿠션(2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고,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멀어지게 바느질되는, 제1 바느질부(65a) 및 제2 바느질부(65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바느질부(65a) 및 제2 바느질부(65b)가 에어백 쿠션(2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고,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멀어지게 바느질됨으로써,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구속기구(70)가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b)를 구속하고 있으면 바느질부(65)가 쉽게 분리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구속기구(70)가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64b)를 구속해제하면 바느질부(65)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The stitching portion 65 is stitched closer to each other as the airbag cushion 20 protrudes toward each other, and stitched away from each other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us the first stitching portion 65a and the second stitching portion 65b. ). In this way, the first stitching portion 65a and the second stitching portion 65b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airbag cushion 20 protrudes toward each other, and the airbag cushion is sewn away from each other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20 is inflated, if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restrains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64b as shown in FIG. 4, the stitching portion 65 is easily separated, as shown in FIG. When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releases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64b, the sewing portion 65 is not easily separated.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스트랩(64)을 붙들어서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holds the connecting strap 64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n adult of a general body, and thus the variable strap 62 and the connecting strap 64. By allowing them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62 can be extended.

또한, 스트랩구속기구(70)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일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스트랩(64)과 분리되어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없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 female, a child, an infant, or the like having a small body size,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64 as shown in FIG. ) Length should not be expanded.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되는 초기에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을 따라 이동되어 팽팽지면서 에어백 쿠션(20)을 당기기 시작하는데, 이 때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되지 않으면, 스트랩(60)의 인장력에 의해 스트랩구속기구(70)가 파손되어 스트랩(60)의 이동을 구속해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가변스트랩(62) 및 연결스트랩(64)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스트랩구속기구(7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itially 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deployed, the strap 60 is moved along the airbag cushion 20 and starts to pull the airbag cushion 20 as it swells, wherein the variable strap 62 and the connecting strap 64 are If they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may be broken by the tension of the strap 60,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movement of the strap 60 is restrained.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variable strap 62 and the connecting strap 6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flating force of the airbag cushion 20, thereby prevent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from being dama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와 분리되지 않으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이 구속되지 않아서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을 보호할 수 있고,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와 분리되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이 구속되어 상기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adult body of the general body without restraining the expansion of the airbag cushion 20 unless the strap 60 is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When the strap 60 is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the expansion of the airbag cushion 20 is restrained, thereby protecting the small female, child, and infant.

아래에서는, 스트랩구속기구(7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100)는, 시트(50)에 앉은 상기 승객의 체구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72)와,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판별한 후 스트랩구속기구(7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4)를 더 포함한다.1 to 9, the airba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ssenger sensor 72 and a passenger sensor 72 that detects the body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The controller 74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74 for controll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after determining the body size of the passenger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assenger.

승객감지센서(72)는 시트(50)에 내부에 배치된다.The passenger sensor 72 is disposed inside the seat 50.

승객감지센서(72)는 시트(50)에 앉은 대상의 중량을 감지하는 방식과,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것은 중량을 감지하는 방식의 승객감지센서(72)이다.Passenger detection sensor 72 may be used to detect the weight of the subject sitting on the seat 50,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apacitance, and the like. Illustrated in FIG. 8 is a passenger sensor 72 of the weight sensing method.

컨트롤러(74)는 자동차의 대표적인 제어장치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도 있고, 스트랩구속기구(70)만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제어장치일 수도 있다.The controller 74 may be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is a representative control device of a vehicle, or may be a control device separately provided to control only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스트랩구속기구(70)는 쿠션 리테이너(40)에 배치된다. 스트랩구속기구(70)는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71)와, 가스발생부(71)가 삽입 배치되는 바디부(73)와, 바디부(73)의 하단을 밀봉하는 캡(75)과, 바디부(73)의 상단을 밀봉하여 스트랩(60)과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77)를 포함한다.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is disposed in the cushion retainer 40.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includes a gas generating part 71 for generating the ga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4, a body part 73 into which the gas generating part 71 is inserted, and a body part 73. Cap 75 for sealing the bottom of the) and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connected to the strap 60 by sealing the top of the body portion 73.

스트랩 연결부(77)는 가스발생부(71)에서 발생된 상기 가스에 의해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되면, 스트랩(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20)이 팽창되는 것을 구속한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백 쿠션(20)은 그루브(22)가 형성된다.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73 by the gas generated in the gas generating portion 71. As such, when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73, the strap 60 restrains the airbag cushion 20 from expanding as shown in FIG. 5. In this case, the airbag cushion 20 is formed with a groove 22.

스트랩 연결부(77)가 가스발생부(71)에서 발생된 상기 가스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스트랩 연결부(77)에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파손되는 절개부(77c)가 형성된다.In order that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gas generated from the gas generator 71,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formed with an incision 77c which is broken by the gas.

스트랩 연결부(77)는 바디부(73)와 결합된 바디부 결합부(77a)와, 바디부 결합부(77a)로부터 돌출되어 스트랩(60)과 후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후크부(77b)를 포함한다. 바디부 결합부(77a)에는 상기 절개부(77c)가 형성된다.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ncludes a body portion coupling portion 77a coupled to the body portion 73 and a hook portion 77b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coupling portion 77a and connected to the strap 60 in a hooked manner. do. The cutout 77c is formed at the body portion coupling portion 77a.

바디부(73)는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부(73a)가 형성된다. 바디부(73)는 단턱부(73a)를 기준으로 하단에 캡(75)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73b)가 형성되고, 단턱부(73a)를 기준으로 상단에 스트랩 연결부(77)가 결합되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73c)가 형성된다. 캡(75)은 캡 결합부(73b)의 둘레면에 씌워져서 결합되고, 스트랩 연결부(77)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73c)의 둘레면에 씌워져서 결합된다.Body portion 73 has a stepped portion (73a)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Body portion 73 has a cap coupling portion (73b) is formed at the bottom based on the stepped portion (73a) is coupled to the cap 75,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coupled to the top based on the stepped portion (73a) Strap connection portion 73c is formed. The cap 75 is covered by being cover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engaging portion 73b, and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is covered by being covered 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3c.

가스발생부(71)는 인플레이터(30)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스발생부(71)의 내부에는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스발생매체가 포함되어 있어서,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스발생매체가 폭발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스트랩 연결부(77)의 절개부(77c)가 파손되어서,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된다.The gas generator 71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inflator 30. That is, a gas generating medium capable of generating gas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4 is input to the inside of the gas generating unit 71 is included, and the gas generating medium is explod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4. Gas is generated, and the cut portion 77c of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77 is broken by the pressure of the generated gas, so that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77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73.

스트랩구속기구(70)는 에어백 쿠션(20) 내에서 스트랩(60)을 붙들고 있다가 컨트롤러(74)의 제어신호에 의해 파손되어 스트랩(60)을 놓아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가스발생부(71)는 인플레이터(30)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게 제작된다.Since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holds the strap 60 in the airbag cushion 20 and is damag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74,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only needs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leasing the strap 60. 71 is made much smaller in size than the inflator 30.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구속기구(70)는 결합부재(80)을 통해 쿠션 리테이너(4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배치된다.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retainer 40 through the coupling member 80 and disposed in the airbag cushion 20.

결합부재(80)에는 바디부(73)의 캡 결합부(73b)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85)이 형성되어서, 캡 결합부(73b)가 관통홀(85)로 삽입된 후 캡(75)이 캡 결합부(73b)의 둘레면에 씌워된다.The coupling member 8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85 through which the cap coupling portion 73b of the body portion 73 is coupled, so that the cap coupling portion 73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85 and then the cap ( 75 is cover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engaging portion 73b.

스트랩(60)은 스트랩 연결부(77)의 후크부(77b)의 둘레면에 걸림되어 스트랩 연결부(77)와 후크방식으로 결합된다.The strap 60 is hook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k portion 77b of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77 and is coupled to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77 in a hooked manner.

스트랩(60)은 스트랩 연결부(77)에 결합된 채로 에어백 쿠션(20)을 붙들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인플레이터(30)의 가스 온도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즉, 에어백 쿠션(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strap 60 only needs to hold the airbag cushion 20 while being coupled to the strap connecting portion 77, the strap 60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gas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inflator 30. That is, i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irbag cushion 20, or may be made of lea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승객감지센서(72)에서 감지된 값은 컨트롤러(74)로 입력되고,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된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된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시트(50)에 앉은 대상이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인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시트(50)에 앉은 대상이 상기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인 것으로 판별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 장치는 컨트롤러(74)에 상기 임계값을 하나만 미리 설정해놓고,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컨트롤러(74)가 시트(50)에 앉은 승객을 에어백 쿠션(20)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어도 무방한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승객과, 에어백 쿠션(20)이 높은 전개압으로 전개되지 말아야 할 신체조건이 열악한 체구를 가지는 승객으로 구분한다.First, the value detected by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72 is input to the controller 74, and the controller 74 compares the value input from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72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thereby detecting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72. If the inpu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sitting on the sheet 50 is an adult having a general body size. If the valu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subject sitting on the sheet 50 is larger than the general adult. Small women, children and infants are determined. That is,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only one threshold value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74, and the controller 74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put from the passenger sensor 7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has a general body that may be deployed at a high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20, and a body body having a poor body condition that the airbag cushion 20 should not be deployed at a high deployment pressure. Classify as passenger.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 등인 것으로 판별하여, 가스발생부(71)를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스트랩 연결부(77)의 절개부(77c)가 파손되고, 이에 따라 스트랩 연결부(77)가 바디부(73)로부터 분리되므로, 스트랩(60)은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하는 면을 구속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20)이 작은 크기로 전개되도록 하여서 시트(50)에 앉은 체구가 작은 승객을 낮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4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 female, a child, an infant, or the like having a small body size when the signal input from the passenger detection sensor 72 is small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 gas generator 71 Control to operate. Thus, the cutout 77c of the strap connection 77 is broken, and thus the strap connection 77 is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73, so that the strap 60 is used 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and deployed. Constrain the face of the cushion 20 in contact with the passenger. As a result, the airbag cushion 20 can be deployed in a small size, so that a small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can be protected at low deployment pressure.

또한, 컨트롤러(74)는 승객감지센서(7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성인으로 판별하여, 가스발생부(71)에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가스발생부(71)에서 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 스트랩(60)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스트랩(60)은 바느질부(65)가 파손되어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로부터 분리되어서, 에어백 쿠션(20)이 팽창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20)의 상기 승객과 접촉되는 면을 구속해제한다. 이로 인해, 에어백 쿠션(20)이 크게 전개되도록 하여서 시트(50)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를 가지는 승객을 체구가 작은 승객에 비해 높은 전개압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74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n adult having a general body size when the signal input from the passenger sensor 7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 gas generator 71 detects gas. Control not to generate. As such, if no gas is generated in the gas generator 71, the strap 60 is not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so that the strap 60 is damaged from the sewing portion 65 and the variable strap 62 is removed.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64, it releases the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ssenger of the airbag cushion 20 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inflated and deployed. As a result, the airbag cushion 20 can be largely deployed to protect the passenger having a general body sitting on the seat 50 with a higher deployment pressure than a passenger having a small body siz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64)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어 가변스트랩(62)의 길이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20)에 그루브(22)가 형성되어서, 시트(50)에 앉은 체구가 작은 여성, 어린이 및 유아가 에어백 쿠션(20)의 지나친 전개압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목숨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 female, a child, or an infant with a small body, the connecting strap 64 is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and the variable strap ( Since the length of the 62 is not extended, the groove 22 is formed in the airbag cushion 20, so that the small body, the child and the infant sitting on the seat 50 are exposed to the excessiv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20. It can prevent you from getting injured or losing your life.

또한, 시트(50)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일 경우에는, 연결스트랩(64)이 스트랩구속기구(7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으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길이가 확장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20)이 상기 승객을 향해 크게 전개되어서, 시트(50)에 앉은 일반적인 체구의 성인이 에어백 쿠션(20)의 적정 전개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50 is an adult of a general body, the connecting strap 64 is not separated from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and the variable strap 62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64 so that the airbag Since the length is expanded by the inflating force of the cushion 20, the airbag cushion 20 is largely deployed toward the passenger so that an adult of a general body sitting on the seat 50 is caused by the proper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20. You can be protected.

또한, 에어백 쿠션(20)이 크게 팽창될 때, 가변스트랩(62)이 연결스트랩(64)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스트랩구속기구(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strap 62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trap 64 when the airbag cushion 20 is greatly inflated,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에어백 하우징 20: 에어백 쿠션
22: 그루브 30: 인플레이터
40: 쿠션 리테이너 60: 스트랩
62: 가변스트랩 62a: 접힘부
64: 연결스트랩 64a: 가변스트랩 연결부
64b: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 65: 바느질부
65a: 제1 바느질부 65b: 제2 바느질부
70: 스트랩구속기구 71: 가스발생부
72: 승객감지센서 73: 바디부
73a: 단턱부 73b: 캡 결합부
73c: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 74: 컨트롤러
75: 캡 77: 스트랩 연결부
77a: 바디부 결합부 77b: 후크부
77c: 절개부 80: 결합부재
85: 관통홀
10: airbag housing 20: airbag cushion
22: groove 30: inflator
40: cushion retainer 60: strap
62: variable strap 62a: folded portion
64: connecting strap 64a: variable strap connection
64b: strap restraint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65: sewing portion
65a: first sewing part 65b: second sewing part
70: strap restraint mechanism 71: gas generating unit
72: passenger detection sensor 73: body
73a: stepped portion 73b: cap coupling portion
73c: strap connection coupling 74: controller
75: cap 77: strap connection
77a: body portion engaging portion 77b: hook portion
77c: cutout 80: coupling member
85: through hole

Claims (11)

팽창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해 당겨져서 팽팽해지는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에 결합되어, 상기 승객의 체구에 따라, 상기 스트랩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스트랩구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양단이 결합되고 그 양단 사이가 접혀져서 접힘부가 형성된 가변스트랩과,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접힘부가 펼쳐져서 상기 가변스트랩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변스트랩에 양단 사이가 결합된 연결스트랩을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An airbag cushion inflated to protect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A strap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irbag cushion, the strap being pulled and tightened by the airbag cushion as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And
And a strap restraint mechanism coupled to the strap,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strap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ody size.
The strap includes:
A variable strap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nd folded at both ends thereof, the folding strap having a fold;
One end is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nd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from the fold so that the fold is extend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airbag cush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variable strap can be extended. Airbag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strap is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is coupled between the two ends to the variable str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스트랩은,
상기 가변스트랩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힘부로부터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변스트랩에 결합되는 가변스트랩 연결부와,
상기 가변스트랩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스트랩구속기구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랩구속기구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riable strap is dispos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and protrudes,
The connecting strap is,
A variable strap connection part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variable strap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bag cushion,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trap spaced apart from the folding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and coupled to the variable strap;
An airbag apparatus including a strap restraint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trap connection portion and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스트랩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가변스트랩에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바느질로 결합되어 바느질부가 형성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trap connection portion, the airbag device is coupled to the variable strap to be sewn so as to be separat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airbag cushion is formed in the airba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느질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가까워지고,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사이가 서로 멀어지게 바느질되는, 제1 바느질부 및 제2 바느질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titching unit includes an airba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stitching unit and a second stitching unit, which ar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airbag cushion protrudes toward each other,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감지하는 승객감지센서와, 상기 승객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승객의 체구를 판별한 후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body size of the passeng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fte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passenger sensor to determine the body size of the passeng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와,
상기 가스발생부가 삽입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을 밀봉하는 캡과,
상기 바디부의 타단을 밀봉하고, 상기 스트랩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에 의해 상기 바디부로부터 분리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A gas generator for generating ga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 body part into which the gas generator is inserted;
A cap sealing one end of the body part;
And a strap connecting portion sealing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trap and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by the ga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에는 상기 가스에 의해 파손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ir cut device that is cut by the ga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부 결합부와,
상기 바디부 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트랩과 후크방식으로 연결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A body par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having the cutout part formed therein;
An airbag device including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coupling portion and hooked with the strap.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를 기준으로 일단에 상기 캡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를 기준으로 타단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결합되는 스트랩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ody part
The stepped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cap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ap is coupled to one end based on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An airbag device having a strap connection portio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on the other end based on the steppe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는 쿠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상기 쿠션 리테이너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ushion retainer coupled to the inflator for generating the gas and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to the cushion retain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내에 결합되는 쿠션 리테이너;와, 상기 스트랩구속기구를 상기 쿠션 리테이너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캡 결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에어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cushion retainer coupled to the inflator for generating the gas and coupled to the airbag cushion; and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strap restraint mechanism to the cushion retainer.
The coupling member has a through-hole is formed through the cap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airbag device.
KR1020120000703A 2012-01-03 2012-01-03 Airbag apparatus KR101890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03A KR101890615B1 (en) 2012-01-03 2012-01-03 Airba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03A KR101890615B1 (en) 2012-01-03 2012-01-03 Airba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930A true KR20130079930A (en) 2013-07-11
KR101890615B1 KR101890615B1 (en) 2018-09-28

Family

ID=4899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703A KR101890615B1 (en) 2012-01-03 2012-01-03 Airba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383A (en) * 2019-06-05 2019-08-27 辽宁尚泽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ulti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fe automobile air b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097A (en) * 1995-11-08 1997-05-20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for vehicle
JP2007261410A (en) * 2006-03-28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JP2009040206A (en) * 2007-08-08 2009-02-26 Takata Corp Airbag and airbag device
KR20110093133A (en) * 2010-02-11 201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n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097A (en) * 1995-11-08 1997-05-20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for vehicle
JP2007261410A (en) * 2006-03-28 2007-10-11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JP2009040206A (en) * 2007-08-08 2009-02-26 Takata Corp Airbag and airbag device
KR20110093133A (en) * 2010-02-11 2011-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n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1383A (en) * 2019-06-05 2019-08-27 辽宁尚泽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ulti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fe automobile air bag
CN110171383B (en) * 2019-06-05 2020-06-26 辽宁尚泽电子科技有限公司 Multist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 safety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615B1 (en)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2840B2 (en) Side airbag device
KR101136309B1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101081274B1 (en) A passinger airbag apparatus
JP4931512B2 (en) Airbag device for passenger seat
JPH11189117A (en) Occupant restraining device
KR101931317B1 (en) Airbag apparatus
KR101940724B1 (en) Airbag apparatus
US7758072B2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of air bag
JP2018149880A (en) Air bag system
KR20130068965A (en) Airbag apparatus
JP3881760B2 (en) Crew restraint system
KR20090026413A (en) Airbag device for vehicles
KR20110093133A (en) An automobile
KR101890615B1 (en) Airbag apparatus
KR20130048534A (en) Airbag apparatus
KR101430194B1 (en) Driver seat air bag module of vehicles
KR20120020966A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20080002208A (en) An airbag module of a passenger seat for a vehicle
JP2015039959A (en) Side airbag device
KR101875919B1 (en) Airbag apparatus
KR20110100062A (en) A passenger airbag apparatus
CN110871765B (en) Airbag device
KR20090026415A (en) Curtain air bag device for vehicles
CN205468933U (en) Air bag subassembly, air bag and vehicle
JP2017114456A (en) Center air ba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